KR200426850Y1 -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850Y1
KR200426850Y1 KR2020060016314U KR20060016314U KR200426850Y1 KR 200426850 Y1 KR200426850 Y1 KR 200426850Y1 KR 2020060016314 U KR2020060016314 U KR 2020060016314U KR 20060016314 U KR20060016314 U KR 20060016314U KR 200426850 Y1 KR200426850 Y1 KR 200426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pressure
underground
drain pipe
so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채
주상준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우광티엔씨(주)
홍기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티엔씨(주), 홍기채 filed Critical 우광티엔씨(주)
Priority to KR2020060016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8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 공사 완료 후, 버림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하여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터파기가 이루어진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후좌우로 연결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에 덮개가 형성된 점검구 연결소켓과;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에 종횡의 격자형상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와;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과 배수파이프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 상면에 포설되는 폴리에틸렌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필름상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는 버림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 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 점검구 연결 소켓, 배수파이프

Description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The structure for underground structure reduction processing for uplif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1,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1,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2,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2,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일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일자형 점검 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L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L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T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십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Y자형 점검구 연결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터파기 20: 점검구 연결소켓
22: 덮개 30: 배수파이프
32: 주름유공관 34: 부직포
35: 원형부 36: 날개부
40: 폴리에틸렌필름 50: 버림콘크리트층
C: 집수정 F: 독립기초
S: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공사 완료 후 버림콘크리트 설치전에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구조물에 대한 양압력 해소방안으로 굴착이 완료된 최하층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유입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압력배수 및 중력배수를 통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여 구조물의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영구배수공법은 MPC공법(Minimum Pipe Clogging Drainage System), 부분배수로와 양면 판형배수재를 이용한 설치공법, 전단면 자갈포설공법 및 드레인매트 배수공법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MPC공법은 기존 문제점인 눈막힘 현상과 배수로 터파기 과다에 따른 공사비 증가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시켜 최대의 안정성과 최소의 공사비로 품질보장 및 공기를 단축하는 공법으로서, 토질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수리모델링 및 수리, 지반공학적 설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부분배수로와 양면 판형배수재를 이용한 설치공법은 매트기초 아래의 수개 소의 배수로 내에 자갈을 포설하여 드레인보드로 유도된 지하수를 자갈 층 내에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설치위치가 암반일 경우에는 배수로 터파기에 과다한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토질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수리모형화 및 수리, 지반공학적 설계가 MPC공법과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단면 자갈포설공법은 최종 굴착완료 후 매트 기초 아래의 굴토 마감면의 전단면에 자갈포설 및 자갈층 내에 다발관을 포설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골재의 대량수급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고, 경비가 증가하며, 토공량이 부분 트랜치 공법에 비해 증가하고 공기가 늘어나며, 이물질 방지를 위하여 전단면에 토목섬유를 설치해야 하며, 또한 골재 채취로 인하여 골재의 고갈현상이 발생되며, 토공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드레인매트 배수공법은 매트기초 아래의 일부 배수로를 굴착 및 버림 콘크리트 내에 일체화된 편형 드레인보드와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시공면이 암반일 경우에는 면처리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며, 원형다발관과 직사각형다발관 및 편형 배수재의 연결로 인하여 공정관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조물 간에 일체성이 결여되며, 토립자 및 부유물질이 많은 지반에는 적용이 불가함으로 인하여 모든 지층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뒤따르며, 세척기능 및 통수 단면적 미확보로 인하여 구조적 안정에 문제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영구배수공법들은 각각의 공법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단점 외에도 전체적인 공법들이 기초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 및 산정할 수 있는 기구나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양압력의 크기를 가정하거나 시공상의 경험에 의해서 단순히 처리함으로써 향후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재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 공사 완료 후, 버림 콘크리트 타설면에 설치하여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터파기가 이루어진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후좌우로 연결이 가능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에 덮개가 형성된 점검구 연결소켓과;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에 종횡의 격자형상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와;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과 배수파이프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 상면에 포설되는 폴리에틸렌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필름상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는 버림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를 도시한 측 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터파기(10)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후좌우로 연결이 가능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에 덮개(22)가 형성된 점검구 연결소켓(20)과;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에 종횡의 격자형상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30)와;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과 배수파이프(30)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 상면에 포설되는 폴리에틸렌필름(40)과; 상기 폴리에틸렌필름(40)상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는 버림콘크리트층(50)으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크게 점검구 연결소켓(20) 및 배수파이프(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은 그 단면형상이 一자형, T자형, L자형, 십자형, Y자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의 상면에는 덮개(22)를 설치하여 추후 구조물 완공시 양압력 작용수두 및 막힘방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은 그 두께가 600mm로 한다.
한편, 상기 배수파이프(30)는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주름유공관(32)과; 상기 주름유공관(32)의 외면을 감싸는 부직포(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부직포(34)는 바닥콘크리트내를 유수하는 지하수를 흡수시켜 집수정(C)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부직포(34)는 주름유공관(32)의 외면을 일체로 감싸는 원형 부(35)와 상기 원형부(35)로부터 양단으로 일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3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날개부(36)를 형성하는 통수 단면적에 해당되는 날개부(36)의 면적만큼 더 지하수를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 시공방법은 시공 지면을 건축 지하 구조물 버림콘크리트면까지 굴착하여 터파기(10)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10)가 완료된 바닥면에 점검구 연결관 소켓(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점검구 연결관 소켓(20)에 배수파이프(3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점검구 연결관 소켓(20) 및 배수파이프(30)를 보호하기 위한 양압력 감쇄가 요구되는 시공지면에에 폴리에틸렌필름(4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필름(40)상에 원활한 양압력 감쇄를 위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5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력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지하 건축 구조물 최하층 전바닥에 배수파이프(30)를 그물망식으로 연결하여 유입 지하수를 용이하게 처리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주배수로와 보조배수로의 구분없이 배수파이프를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하고, 기존 공법의 경우 주배수로의 다발관 및 우공관은 유연성이 없는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요철이 심한 시공지면에 적합한 유연성이 매우 좋은 주름유공관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시공지면의 면정리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기존 공법의 경우 주배수로의 자재인 경우 길이(L=4m)가 제한적임과 연결관 소켓을 다수 이용한 단점을 보완하여 주름유공관은 롤형태(L=50m)로 되어있기 때문에 건축 구조물의 기초형상에 따라 자유자재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연결관 소켓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점검구 연결관 소켓을 이용하여 추후 구조물 완공시 양압력 작용수두 및 막힘방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점검구 연결관 소켓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지하 구조물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터파기(10)가 이루어진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후좌우로 연결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에 덮개(22)가 형성된 점검구 연결소켓(20)과;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에 종횡의 격자형상으로 연결되는 배수파이프(30)와; 상기 점검구 연결소켓(20)과 배수파이프(30)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 상면에 포설되는 폴리에틸렌필름(40)과; 상기 폴리에틸렌필름(40)상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는 버림콘크리트층(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30)는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주름유공관(32)과; 상기 주름유공관(32)의 외면을 감싸는 부직포(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34)는 주름유공관(32)의 외면을 일체로 감싸는 원형부(35)와 상기 원형부(35)로부터 양단으로 일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KR2020060016314U 2006-06-16 2006-06-16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KR200426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314U KR200426850Y1 (ko) 2006-06-16 2006-06-16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314U KR200426850Y1 (ko) 2006-06-16 2006-06-16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419A Division KR100770290B1 (ko) 2006-06-16 2006-06-16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850Y1 true KR200426850Y1 (ko) 2006-09-20

Family

ID=4177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314U KR200426850Y1 (ko) 2006-06-16 2006-06-16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14B1 (ko) * 2012-05-15 2014-11-03 송현기 지하 영구배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14B1 (ko) * 2012-05-15 2014-11-03 송현기 지하 영구배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9258A1 (en) Under drainage method for building using perforated drain pipes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3741715A (zh) 一种新型地下室防水疏水施工方法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26850Y1 (ko)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CN107724405B (zh) 一种地埋管施工中地基降水施工方法
KR100655384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770290B1 (ko) 지하 구조물 양압용 감쇄처리용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CN115012452A (zh) 后浇带施工工艺和地下室疏水泄压结构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CN106638641A (zh) 基坑降水水井结构及其施工方法
CN209353360U (zh) 地下室结构的抗浮排水装置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CN207775842U (zh) 一种溢洪道泄槽底板排水系统结构
CN111663492A (zh) 一种河道生态治理施工工艺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120071569A (ko) 영구배수용 집수정 연결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34601Y1 (ko)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200440768Y1 (ko) 건축물 기초바닥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