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339Y1 -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 Google Patents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6339Y1 KR200426339Y1 KR2020060017948U KR20060017948U KR200426339Y1 KR 200426339 Y1 KR200426339 Y1 KR 200426339Y1 KR 2020060017948 U KR2020060017948 U KR 2020060017948U KR 20060017948 U KR20060017948 U KR 20060017948U KR 200426339 Y1 KR200426339 Y1 KR 2004263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driver
- piece
- seat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된 머리받침대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여 주행중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나 목뼈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auxiliary support in the head restraint installed in the driver's or passenger seat of the car to prevent damage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head or neck bone or reduce the damage to the minimum in the event of a car collision and cras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 전면에 위치한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된 머리받침대 내측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받침대는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면으로 출몰되게 하여 운전시에는 머리받침대로부터 보조받침대가 돌출하여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와 간격을 최소로 줄여 충돌 및 추돌사고시 머리나 목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고, 자동차 내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보조받침대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전면으로 돌출되었던 보조받침대를 머리받침대 내로 진입되게 하여 일반적인 머리받침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auxiliary support on the inside of the head restraint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interior of the car, the auxiliary support is to be sunk to the front by a simple operation if necessary head The support protrudes from the pedestal, minimizing the head and gap of the driver or passengers to reduce the impact on the head or ne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collision, and protrudes to the front if you do not need to rest in the car or need support. The auxiliary base is inserted into the head restraint so that it can be used like a normal head restraint.
Description
도 1 : 본 고안의 개략단면구성도로서 보조받침대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protrudes forward
도 2 : 본 고안의 개략단면구성도로서 보조받침대가 진입된 상태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is entered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 개략구성도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원터치형 출몰장치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type appearance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도 4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도 6 :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고정관체의 평면구성도6 is a plan view of the fixed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출몰관체의 평면구성도7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ppearance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작동관체의 단면구성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ing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 :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고정관체의 전개도9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fixed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출몰관체의 전개도10: Development view of the appearance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작동관체의 전개도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working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원터치형 출몰장치의 전개된 상태 조립구성도12: expanded configuration of the one-touch type appearance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y configuration
도 13 : 도 12의 상태에서 출몰관체가 이동한 상태도FIG. 13: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appearance pipe moves in the state shown in FIG. 12
도 14 : 도 13의 상태에서 작동관체가 후진하여 걸린 상태도14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working body is caught backward in the state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머리받침대 (11)--수장실(10)-headrest (11)-cab cabinet
(12)--고정브라켓 (13)--고정판(12)-fixing bracket (13)-fixing plate
(14)--스프링 (15)--지지판(14)-Spring (15)-Support Plate
(30)--보조브라켓 (40)--원터치형 출몰장치(30)-Auxiliary Bracket (40)-One-Touch Type Device
(50)--고정관체 (51)--중공부(50)-Fixed Tube (51)-Hollow Division
(52)--깊은 안내홈 (53)--얕은 안내홈(52)-Deep Guideway (53)-Shallow Guideway
(54)--걸림턱 (55)--후육부(54)-Jumping Jaw (55)-Thickness
(56)--개방부 (57)--내면(56)-Open (57)-Inside
(58)--경사면 (60)--출몰관체(58)-Inclined plane (60)-Owl
(61)--중공부 (62)--안내돌편(61)-Heavy Department (62)-Guide Stone
(63)--각형 돌부 (64)--몸체(63)-square protrusions (64)-body
(65)--각형 요부 (66)--경사면(65)-Square recess (66)-Slope
(70)--작동관체 (71)--본체(70)-operating body (71)-body
(72)--머리부 (73)--각형 돌부(72)-Head (73)-Square Stone
(74)--각형 요부 (75)--작동편(74)-Square Recess (75)-Operation
(76)--경사부 (77)--걸림턱(76)-Slant Part (77)-Jagged Jaw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등받이 상에 결합구성되는 머리받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받침대 전면에 보조받침대를 출몰가능케 설치한 다음 운전중 머리받침대로부터 보조받침대가 돌출되게 하여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 뒷면에 근접되게 하므로서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나 동승자의 목뼈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head restraint coupled to the back of a driver's seat or driver's seat. Especially, the head restraint can be protruded from the head restraint while driving the driver or passengers. Close to the back of the head to prevent or minimize the damage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neckbone during a car crash and crash.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에는 등판 윗쪽에 머리받침대를 설치하여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나 목뼈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head restraint is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n the top of the back to protect the driver's or passenger's head or neck bone during a collision or collision.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된 머리받침대의 구조는 주행중 운전자의 머리가 머리받침대의 전면으로부터 대체로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머리나 목뼈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head restraint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which is currently used in general, causes the driver's head to fall off the front of the head rest while driving, causing damage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head or neck during a collision or collision. There was a problem.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된 머리받침대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여 주행중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나 목뼈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 auxiliary support on the head restraint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to correct the above disadvantages, and prevents or minimizes the damage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head or neck bone during a collision and collision. It is to redu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 전면에 위치한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된 머리받침대 내측에 보조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받침대는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면으로 출몰되게 하여 운전시에는 머리받침대로부터 보조받침대가 돌출하여 운전자나 동승자의 머리와 간격을 최소로 줄여 충돌 및 추돌사고시 머리나 목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고, 자동차 내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보조받침대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전면으로 돌출되었던 보조받침대를 머리받침대 내로 진입되게 하여 일반적인 머리받침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auxiliary support on the inside of the head restraint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interior of the car, the auxiliary support is to be sunk to the front by a simple operation if necessary head The support protrudes from the pedestal, minimizing the head and gap of the driver or passengers to reduce the impact on the head or ne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collision, and protrudes to the front if you do not need to rest in the car or need support. The auxiliary base is inserted into the head restraint so that it can be used like a normal head restrain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동차 운전석용 머리받침대(10)의 개략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머리받침대(10)의 주요기술요지는 머리받침대(10) 내면에 전면이 개방된 수장실(11)을 구성하고, 상기 수장실(11)에 쿠션이 우수한 보조받침대(30)가 출몰토록 구성하여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머리가 도 3에서와 같이 보조받침대(30) 전면에 근접되게 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의 머리나 목뼈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1 and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봉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12)이 일체형으로 매립구성된 머리받침대(10)의 내면에 전면으로 개방된 수장실(11)을 구성하되, 상기 수장실(11)은 대체로 직사각형태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수장실(11) 내에 수장실(11)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 보조받침대(30)를 출몰가능케 설치한다.In more detail, the
상기에서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에 끼워진 보조받침대(30)의 출몰수단은 여러구성으로 할 수 있겠으나 본 고안에서는 보조받침대(30)를 누를때마다 보조받침대(30)가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로부터 빠져나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수장실(11)내에 들어가 머리받침대(10)의 전면과 나란하게 위치되게 한다.Although the means of appearance of the
이때 보조받침대(30)의 출몰수단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원터치형 출몰장치(40)를 이용하였다.At this time, the device used as the appearance means of the
상기 원터치형 출몰장치(40)를 상세히 설명하면 원터치형 출몰장치(40)는 도 4 내지 도 14에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고정관체(50)와 출몰관체(60) 및 작동관체(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설명한다.When explaining the one-touch
고정관체(50)는 내부에 중공부(51)가 구성되어 있고, 중공부(51) 내측면에는 후육부(55)를 구성하되, 상기 후육부(55)는 고정관체(50)의 약1/2정도 형성되게 한다.The fixed
상기 후육부(55)에는 다수개의 깊은 안내홈(52)과 얕은 안내홈(53)을 구성하되, 깊은 안내홈(52)과 얕은 안내홈(53) 일측에는 걸림턱(54)을 구성하고 타측은 개방부(56)를 구성하여 깊은 안내홈(52)이 고정관체(50)의 내면(57)과 나란하게 위치되게 하며 얕은 안내홈(53)은 고정관체(50)의 내면(57)보다 조금 높게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개방부(56)가 형성된 부분의 후육부(55)에는 경사면(58)이 형성되게 한다.In addition, the
출몰관체(60)의 구성 역시 내면에 중공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안내돌편(62)이 형성되게 하고, 안내돌편(62)이 형성된 부분의 출몰관체(60)에는 각형 돌부(63)와 각형 요부(65)가 형성되게 하되, 상기 안내돌편(62)의 갯수는 고정관체(50)에 구성된 안내홈(53)의 갯수와 동일하게 한다.The constitution of the
상기 출몰관체(60)를 고정관체(50)의 중공부(51)에 끼워 안내돌편(62)이 깊 은 안내홈(52)과 얕은 안내홈(53)에 끼워지게 한 다음 걸림턱(54)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출몰관체(60)의 몸체(64)는 고정관체(50) 일측으로 돌출되게 한다.The
출몰관체(60)에 끼워지는 작동관체(70)는 본체(71) 일측에 본체(71)의 외경보다 큰 머리부(72)를 구성하고 머리부(72)에는 각형 돌부(73)와 각형 요부(74)를 구성하되 각형 돌부(73)와 각형 요부(74) 사이에는 경사부(76)가 형성된 작동편(75)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작동편(75) 일측에는 걸림테(77)가 형성된다.The working
상기한 구성의 작동관체(70)를 고정관체(50)의 중공부(51)에 끼워 작동관체(70)의 머리부(72)에 구성된 작동편(75)이 고정관체(50)의 깊은 안내홈(52)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원터치형 출몰장치(40)가 완성된다.The
상기 원터치형 출몰장치(40)를 이용하여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에 끼워진 보조받침대(30)가 출몰되게 한다.By using the one-touch
상기 출몰수단을 설명하면 머리받침대(10) 내에 구성된 고정브라켓(12)의 고정판(13) 전면에 고정관체(50)를 일체형으로 용접구성하되, 고정판(13)과 고정관체(50) 사이에는 스프링(14)을 탄력설치하여 고정관체(50)에 끼워전 작동관체(70) 및 출몰관체(60)가 항상 일측으로 탄지되게 한다.Referring to the inlet and out means, the fixed
출몰관체(60) 일측에는 지지판(15)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15)에 보조받침대(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One side of the
미설명부호 (80)은 운전석, (81)은 핸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80)에 앉아 운전을 하게 될 때 머리받침대(10) 전면에 끼워진 보조받침대(30)를 전면으로 돌출 되게 하여 운전자의 머리와 근접되게 하여 사용케 하므로서 운전중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의 머리나 목뼈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is sitting in the driver's seat (80) to drive as shown in Figure 3 so as to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다시 설명하면 운전시 보조받침대(30)가 머리받침대(10)로부터 돌출되어 운전자의 머리뒷부분에 근접위치되게 하여 충돌 및 추돌사고시 머리가 뒷쪽으로 밀릴때 머리가 조금만 뒤로 이동하여도 보조받침대(30)와 접하게 되므로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머리나 목뼈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상기에서와 같이 머리받침대(10)로부터 보조받침대(30)가 돌출되게 하여 사용하다가 보조받침대(30)의 기능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머리로 보조받침대(30)를 밀면 보조받침대(30)가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내에 들어가 고정되고, 보조받침대(30)를 한번더 밀면 보조받침대(10)는 다시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은 원터치형 출몰장치(4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머리받침대(10)로부터 보조받침대(3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관체(50)내에 끼워진 출몰관체(60) 및 작동관체(70)의 위치는 도 12에서와 같이 위치한다.In more det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도 12 내지 도 14는 원터치형 출몰장치(40)의 작동상태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관체를 전개시켜 평면상으로 표현한 것이다.12 to 14 are shown in plan view by developing a cylindrical tube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one-touch
즉 도 12에서와 같이 작동관체(50)의 깊은 안내홈(52)에 출몰관체(60)의 안내돌편(62)이 끼워져 있고, 다시 안내돌편(62)에 작동관체(70)의 작동편(75)이 위치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이때 출몰관체(60)의 각형 돌부(63)의 선단부는 작동관체(70)의 작동편(75) 과 접하게 되는데 작동편(75)에 구성된 경사부(76)가 출몰관체(60)의 각형 돌부(63) 일측 경사면(66)과 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ip end of the
상기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보조받침대(30)를 머리로 누르게 되면 출몰관체(60)가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면서 작동관체(70)를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driver presses the
출몰관체(60) 및 작동관체(70)가 최대로 이동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출몰관체(60)의 안내돌편(62)은 고정관체(50)의 깊은 안내홈(52) 개방부(56)에 위치하게 되고, 작동관체(70)의 작동편(75)은 깊은 안내홈(52)을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When the retracting
그러나 상기한 상태에서도 작동관체(70)는 스프링(14)에 탄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편(75)의 경사부(76)가 각형 돌부(63)의 일측 경사면(66)과 접하게 되므로 작동관체(75)는 작동편(75)의 경사부(76) 및 각형 돌부(63)의 경사면(66)에 의해 미끌리면서 시계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However, even in the above state, the operating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관체(70)는 시계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14)에 탄지되어 전방으로 밀리게 되나 작동관체(70)의 작동편(75)이 고정관체(50)의 얇은 안내홈(53) 입구에 걸려 이동이 정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이때 얕은 안내홈(53)의 깊이가 작동편(75)에 두께보다 얕기 때문에 작동편(75)은 얕은 안내홈(53)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일측에 위치한 후육부(55)에 의해 작동관체(70)는 도 14에서와 같이 고정관체(50)의 얕은 안내홈(53)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epth of the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관체(70)가 고정관체(50)의 얕은 안내홈(53) 상에 위치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보조받침대(30)는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내에 위 치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머리받침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ing
보조받침대(30)가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전방으로 돌출되게 할려면 운전자가 머리로 보조받침대(30)를 한번더 누르면 보조받침대(30)는 다시 전방으로 돌출된다.To make th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자가 머리로 보조받침대(30)를 누르면 출몰관체(60)가 밀리면서 고정관체(50)의 얕은 안내홈(53) 직상부에 위치한 작동편(75)을 일측으로 밀게 되고, 작동편(75)이 후육부(55)를 벗어나게 되면 작동관체(70)는 작동편(75)의 경사부(76) 및 각형 돌부(63)의 경사면(66)에 의해 시계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육부(55)의 경사면(58)을 따라 다시 깊은 안내홈(5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driver presses the
이때 출몰관체(60) 및 작동관체(7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스프링(14)의 탄지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상기에서와 같이 고정관체(50)로부터 출몰관체(60)가 전진이동하게 되면 머리받침대(10)의 수장실(11)에 위치하던 보조받침대(30)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 뒷면에 근접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above, when the retracting
상기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머리로 보조받침대(30)를 한번씩 누를때마다 머리받침대(10)로부터 보조받침대(30)가 출몰하게 되므로 운전중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받침대(30)를 돌출 혹은 진입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ever the driver presses the
이때 머리받침대(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보조받침대(30)의 돌출정도는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고정관체(50)에 구성된 깊은 안내홈(52)의 길이를 조정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상기 머리받침대(10)는 운전석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조수석이나 뒷좌석등 자동차의 모든 좌석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석 상부에 위치한 머리받침대 전면에 보조받침대를 출몰되게 하여 운전중 보조받침대가 전면으로 돌출되게 하여 운전자의 머리 뒷면에 근접위치되게 하므로서 운전중 충돌 및 추돌사고시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운전자의 머리 및 목뼈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the auxiliary support to appear on the front of the head restraint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protrudes to the front during the operation, so that it is located close to the back of the driver's head, so By reducing the impact, the driver's head and neck bones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948U KR200426339Y1 (en) | 2006-07-03 | 2006-07-03 |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948U KR200426339Y1 (en) | 2006-07-03 | 2006-07-03 |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6339Y1 true KR200426339Y1 (en) | 2006-09-13 |
Family
ID=4177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7948U KR200426339Y1 (en) | 2006-07-03 | 2006-07-03 |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6339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8547B1 (en) * | 2011-02-01 | 2012-11-06 | 안동시 |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shock absorbers headrests |
KR20180001799U (en) * | 2016-12-08 | 2018-06-18 | 김봉수 | Body protector |
KR102001122B1 (en) * | 2018-04-09 | 2019-07-17 | 황성일 | Head rest for cars seat |
-
2006
- 2006-07-03 KR KR2020060017948U patent/KR20042633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8547B1 (en) * | 2011-02-01 | 2012-11-06 | 안동시 |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shock absorbers headrests |
KR20180001799U (en) * | 2016-12-08 | 2018-06-18 | 김봉수 | Body protector |
KR200487442Y1 (en) | 2016-12-08 | 2018-09-18 | 김봉수 | Body protector |
KR102001122B1 (en) * | 2018-04-09 | 2019-07-17 | 황성일 | Head rest for cars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30584B2 (en) | Mounting structure of air bag device on vehicle body | |
EP2901894B1 (en) | Head rest | |
JP6038939B2 (en) | Headrest | |
KR200426339Y1 (en) | Head support device of car driver's seat | |
CN113386639A (en) | Child safety seat | |
KR101015447B1 (en) | Active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s | |
EP2902254A1 (en) | Head rest | |
JP5508790B2 (en) | Safety device for car child seat | |
KR100811005B1 (en) | Sliding type head rest for an automobile | |
ATE393719T1 (en) | A VEHICLE DEVICE | |
JP5325455B2 (en) | Active headrest headrest tilting device | |
KR101360155B1 (en) | Head rest for vehicle | |
CN108928269B (en) | Children's seat | |
JP6513739B2 (en) | Vehicle seat | |
CN220720887U (en) | Seat headrest and vehicle | |
KR20120032201A (en) |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 |
KR101039675B1 (en) | Tilting headrest for vehicle | |
US11192482B2 (en) |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 |
JP6513738B2 (en) | Vehicle seat | |
KR100387654B1 (en) | Mounting structure of headrest guide for automobile | |
JP2005138754A (en) | Headrest supporting structure of vehicle seat | |
KR960004712Y1 (en) | Head re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of a car | |
KR19990002371A (en) | Car seat | |
KR100435367B1 (en) | Buckle-guide for constructive-work of seatbelt-buckle for automobile | |
KR100254790B1 (en) | Sub-headrest for rear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