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62Y1 - Accessory for necktie knot - Google Patents

Accessory for necktie kn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62Y1
KR200426062Y1 KR2020060015457U KR20060015457U KR200426062Y1 KR 200426062 Y1 KR200426062 Y1 KR 200426062Y1 KR 2020060015457 U KR2020060015457 U KR 2020060015457U KR 20060015457 U KR20060015457 U KR 20060015457U KR 200426062 Y1 KR200426062 Y1 KR 20042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tie
shaped
cover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4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동원
Original Assignee
안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원 filed Critical 안동원
Priority to KR2020060015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6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 매듭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가 배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져 상기 넥타이의 매듭 외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양한 도안 또는 보석류 등으로 장식되어 있는 매듭 모양부 및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에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삽입된 후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으로 상단으로 체결결합되는 매듭 모양부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knot ornaments, and more particularly, the tie is inserted into the back in the state where the tie knot is built so as to cover the knot outline of the tie, and the surface is decorated with various patterns or jewelry And a knot-shaped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knot-shaped part to cover the knot-shaped back surfac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knot-shaped part and the knot-shaped back surface is built. Relates to tie-knot ornaments.

따라서, 매듭 모양부에 다양한 도안 및 보석류를 미려하게 형성하여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매듭 모양부에 상기 넥타이의 매듭을 끼워넣고,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매듭 모양부 덮개를 닫은 후 사용자가 착용하면 사용자는 다양하고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의 넥타이로 코디 할 수 있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various shapes and jewelry are beautifully formed in the knot-shaped part, the knot of the tie is inserted into the knot-shaped part in a state where the knot of the tie is built, and the user closes the knot-shaped cover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shaped part. When worn, the user can provide tie-knot ornaments that can be coordinated with a variety of classy, refined ties.

넥타이, 장신구, 넥타이 매듭, 넥타이 코디, 도안, 보석류 Tie, Ornament, Tie Knot, Tie Stylist

Description

넥타이 매듭 장신구{Accessory for necktie knot}Necktie Knot Ornaments {Accessory for necktie k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knot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매듭 모양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ck in the open state of the knot-shaped portion of the tie knot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a tie knot trin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a tie knot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를 넥타이 매듭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e knot ornamen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tie kno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100: tie-knot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매듭 모양부 111: 제1 넥타이 삽입공110: knot-shaped portion 111: the first tie insertion hole

112: 제2 넥타이 삽입공 113: 제1 걸림 돌기112: second tie insertion hole 113: first locking projection

120: 매듭 모양부 덮개 121: 판 스프링120: knot cover 121: leaf spring

122: 넥타이 고정부 123: 걸림홈122: tie fixing portion 123: locking groove

125: 덮개 힌지부 126: 제2 걸림 돌기125: cover hinge 126: second locking projection

200: 넥타이200: tie

본 고안은 넥타이 매듭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듭 모양부에 다양한 도안 및 보석류를 미려하게 형성하여 넥타이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매듭 모양부에 상기 넥타이 매듭을 끼워넣고,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매듭 모양부 덮개를 닫으면 사용자는 다양하고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의 넥타이로 코디 할 수 있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knot orna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variety of patterns and jewelry beautifully in the knot-shaped portion, the tie knot is inserted into the knot-shaped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tie knot is built,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Closing the knot cover to cover the user is in a tie-knot ornament that allows the user to coordinate with a variety of refined and refined ties.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양복 정장을 하는 경우, 상하의 와이셔츠와 함께 착용하는 필수적인 에티켓 요소로서, 넥타이의 색깔, 디자인 및 재질에 따라 옷의 맵시를 더욱 살릴 수 있고, 현재에는 더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넥타이가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a tie is an essential etiquette element to be worn together with top and bottom shirts when wearing a suit suit, and according to the color, design and material of the ti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fashion of the clothes. Ties are being developed.

그런데, 이러한 넥타이는 상기 넥타이를 목에 두르고 적정한 부분에서 역 사다리꼴의 매듭을 하여 이 매듭이 와이셔츠의 양쪽 깃 부분의 중앙부에 오게 한 후 조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착용을 하고 있었다.By the way, this tie was worn in the usual way after the neck was wrapped around the neck and inverted in a proper trapezoidal knot so that the knot came to the center of both collars of the shirt.

그러나, 상기 넥타이는 사용자의 목 둘레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고정하는 부위가 느슨하게 풀어지거나 헐거워져 타인에게 단정치 못하게 보이게 되고, 넥타이와 넥타이의 매듭은 서로 색상과 디자인이 동일해 시각적으로 단조롭게 보이므로 값비싼 넥타이를 구매하여 얼마 착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들에게 식상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tie is not stably fixed around the user's neck, the part of the tie is loosely loosened or loosened due to the wearer's movement in a worn state, and the tie is not neatly seen by others. Since the knots of the color and design are the same visually monotonous to each o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is fed up even if you do not wear expensive tie purchased.

그러므로, 기존의 넥타이를 통해서는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어, 넥타이의 코디를 통해 다양하고 세련된 품위를 연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creating a refined and refined atmosphere through the existing tie, and it is true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satisfy the desire of the user to produce various and refined dignity through the coordination of the tie. .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도안 및 보석류가 미려하게 형성되어 있는 매듭 모양부를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의 매듭을 끼워넣고,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매듭 모양부 덮개를 닫은 후 사용자가 착용하면 사용자는 다양하고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의 넥타이로 코디 할 수 있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ert the knot of the tie in a state where the knots of various patterns and jewelry are beautifully formed, and the knot of the tie is formed, and covers the back of the knot-shaped part. When the user wears the cover after closing the knot-shaped cover, the user is to provide a tie knot ornament that can be coordinated with a variety of refined and refined t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는,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가 배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져 상기 넥타이의 매듭 외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양한 도안 또는 보석류 등으로 장식되어 있는 매듭 모양부 및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에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삽입된 후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으로 상단으로 체결결합되는 매듭 모양부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The tie knot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formed so that the tie is inserted into the back to cover the knot outline of the tie in a state where the knot of the tie is built, and various patterns or jewelry on the surface And a knot-shaped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knot-shaped part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shaped par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knot-shaped part and the knot-shaped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knot-shaped part. Tie-knot ornaments composed by.

또한, 상기 매듭 모양부는,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끼워지도록 배면의 내부 공간이 넥타이 매듭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의 양측에는 각각 매듭이 지어진 넥타이의 고리가 끼워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넥타이 고리 삽입공 및 제2 넥타이 고리 삽입공 및 상기 매듭 모양부의 배면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knot-shaped portion, the inner space of the back is formed in a form similar to the tie knot shape so that the knot of the tie is fitted, the first ti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o that the hooks of the tie tie knot respectively formed The hook insertion hole and the 2nd tie ring insertion hole, and the 1st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said knot-shaped part are compris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는,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상부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으로 힌지 결합되는 덮개 힌지부와,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형태가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는 상기 매듭 모양부에 끼워지는 넥타이 매듭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판 스프링와,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상기 매듭 모양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의 머리부와 꼬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넥타이 고정부와, 상기 넥타이 고정부의 일측 끝단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 및 상기 매듭 모양부의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끼워 맞춰져 끼움 결합되는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내측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 걸림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knotted cover may include a cover hinge portion formed at each end of an upper portion of the knotted cover and hinged to the back of the knotted portion, and the knotted portion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ted portion. The knot-like cover is formed in a similar form, and a leaf spring is installed at the inner center to support a tie knot fitted to the knot-shaped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knot-shaped cover is a knot of the tie. A tie fixing part formed to support the head and tail of the tie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shape part, a lock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tie fixing part, and the knot-shaped part 1 and the lef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knot-shaped cover that is fitted and fitt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The side edge that is forme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또한, 상기 매듭 모양부는, 금속재, 비금속재 및 플라스틱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이 서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knot-shap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material o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etal material, non-metal material and plastic material are mixed with each oth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바람직 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ie knot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매듭 모양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를 넥타이 매듭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e knot trin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of the open state of the tie knot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tie knot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ack view of a tie knot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tie kn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jewelry is attached to a tie knot.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100)는, 매듭 모양부(110) 및 매듭 모양부 덮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the tie knot orna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t-shaped portion 110 and a knot-shaped cover 120.

먼저, 매듭 모양부(110)는, 금속재, 비금속재 및 플라스틱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매듭 모양부(110)에는 겉 표면에는 다양한 도안(문양, 기호 등) 및 보석류 등이 다양한 형태로 미려하게 장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First, the knot-shaped part 110 is preferably formed of at least one of metals, non-metals, and plastics, or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material. Various patterns (patterns, symbols, etc.) and jewelry, etc. are preferably decorated beautifully in various for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매듭 모양부(110)는 넥타이(200)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200)가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데, 매듭 모양부(110)는 넥타이(200) 매듭의 외형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의 내부 공간이 넥타이(200) 매듭 형태로 형성되어, 매듭 모양부(110)의 형태가 넥타이 매듭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역삼각형 외형으로 형성된다.The knot-shaped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knot-shaped part 110 in a state where the knot 200 is knotted, and the knot-shaped part 110 is the shape of the knot 200. To cover the inner space of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ie 200 knot, the shape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tie knot.

매듭 모양부(110)의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매듭이 지어진 넥타이의 고리가 끼워지도록 제1 넥타이 고리 삽입공(111) 및 제2 넥타이 고리 삽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tie ring insertion hole 111 and the second tie ring insertion hole 112 are form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knot-shaped part 110 so that the tie ring of the knot is formed.

매듭 모양부(110) 배면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제1 걸림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제2 걸림 돌기(126)와 끼워 맞춰지므로, 매듭 모양부(110)와 후술할 매듭 모양부 덮개(120)는 서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113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respectively, and are fitted with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s 1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knot-shaped cover 120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매듭 모양부 덮개(120)는,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 상부로 결합되도록, 상부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매듭 모양부(110) 배면으로 힌지 결합되는 덮개 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The knotted cover 120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upper end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back of the knotted part 110, and a hinge hinge 125 is formed to be hinged to the back of the knotted part 110. have.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에 매듭 모양부 덮개(120)가 서로 결합하여 개폐가능하다면 어떠한 힌지 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If the knot-shaped cover 120 is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can be opened and closed, any hinge mean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매듭 모양부 덮개(120)의 형태는 매듭 모양부(110) 배면을 커버하도록 넥타이 매듭형태의 역삼각형 모양으로 형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knot-shaped cover 120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of the tie knot-shaped so as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또한, 매듭 모양부 덮개(120)는 내측 중앙으로 상기 매듭 모양부(110)에 끼워지는 넥타이(200)의 매듭을 고정 지지하도록 판 스프링(12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knot-shaped cover 1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eaf spring 121 to support the knot of the tie 200 to be fitted to the knot-shaped portion 110 to the inner center.

넥타이 고정부(122)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매듭 모양부 덮개(120)의 꼭짓점의 하부 방향에 형성된 넥타이 고정부(122)는 덮개(12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The tie fixing part 122 is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rtex of the knot-shaped cover portion 120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is formed inside the cover 120.

이때, 반원 고리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넥타이(200)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의 머리부와 꼬리부를 고정지지 하는데, 넥타이 고정부(122)의 상면으로는 넥타 이(200)의 머리부가 위치하고, 상기 반원 고리형의 판 내부로는 넥타이(200)의 꼬리부가 통과된다.At this time, it is formed of a semi-circular annular plate is fixed to the head and tail of the tie knot state of the tie 200, the head of the tie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fixing portion 122, The tail of the tie 200 passes through the semi-circular annular plate.

걸림홈(123)은 매듭 모양부 덮개(120)와 매듭 모양부(110)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림홈(123)에 가압하여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locking groove 123 is formed when the user separates the knot-shaped cover 120 and the knot-shaped portion 110 by pressing a finger against the locking groove 123.

또한, 제2 걸림 돌기(126)는 매듭 모양부 덮개(120)의 내측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매듭 모양부(110)에 외부로 돌출형성된 제1 걸림 돌기(113)와 제2 걸림 돌기(126)는 서로 끼워 맞춰져 분리되는 것도 용이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126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knotted part cover 1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11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knotted part 110.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s 126 are also easily fitt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100)를 넥타이의 매듭에 착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process of the user wearing the tie knot ornament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knot of the ti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넥타이(200)에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200)가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데, 사용자가 넥타이(2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매듭을 지으면, 상기 넥타이(200)의 매듭 상부로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타이 고리가 형성된다.First, the tie 200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in a state where a knot is formed in the tie 200. When the user makes a tie to wear the tie 200, the tie ( The upper part of the knot of 200) is formed with a tie hook to hang on the user's neck.

그 다음, 상기 넥타이(200)의 고리는 매듭 모양부(110)의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형성된 제1 넥타이 고리 삽입공(111) 및 제2 넥타이 고리 삽입공(112)에 적당하게 끼워 넣고, 매듭 모양부(110)의 배면의 공간에 넥타이(200)의 매듭을 적당하게 끼워 넣는다.Then, the ring of the tie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ie ring insertion hole 111 and the second tie ring insertion hole 112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respectively. In the space on the back of the knot-shaped part 110, the knot of the tie 200 is appropriately inserted.

그 다음, 넥타이 고정부(122)의 상면으로는 넥타이(200)의 머리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반원 고리형의 판 내부로는 넥타이(200)의 꼬리부가 통과도도록 한다.Next, the head of the tie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e fixing part 122, and the tail of the tie 200 passes through the semicircular annular plate.

그 다음, 매듭 모양부 덮개(120)를 닫는데, 매듭 모양부 덮개(120)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126)에 매듭 모양부(110)에 하부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113)와 서로 끼워 맞춰져 끼움 결합 된다.Then, the knot-like cover 120 is closed, and the first catching protrusion 113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knot-shaped portion 110 at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 126 formed at the knot-shaped cover 120 is mutu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Fit together and fit together.

그러므로, 매듭 모양부 덮개(120)와 매듭 모양부(110)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림홈(123)에 삽입하여 적은 힘을 가압하여도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separating the knot-shaped cover 120 and the knot-shaped portion 110, the us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if a user presses a small force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locking groove 123.

그 다음, 상기 넥타이(200)의 꼬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100)의 위치를 와이셔츠의 양쪽 깃 부분의 중앙부에 오게 한 후 조이면 상기 넥타이(200)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ail portion of the tie 200 to bring the position of the tie knot ornament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er of both collar portions of the shirt and tighten the tie 200 can be worn. It is.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매듭 장신구(100)의 매듭 모양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도안 및 보석류로 인하여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었던 넥타이(200)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다양하고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코디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due to the various patterns and jewelery formed in the knot-shaped portion 110 of the tie-knot orna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the tie 200 that was previously used as it is, It can be coordinated to produce a sophisticated atmosphere.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easily modified by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Such change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도안 및 보석류가 미려하게 형성되어 있는 매듭 모양부를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의 매듭을 끼워넣고,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매듭 모양부 덮개를 닫은 후 사용자가 착용하면 사용자는 다양하고 품위있고 세련된 분위기의 넥타이로 코디 할 수 있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knot-shaped cover is formed in a variety of patterns and jewelry is beautifully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knot of the tie is built, the knot-shaped cover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When closed and worn by the user, the user can provide tie-knot trinkets that can be coordinated with a variety of classy and refined ties.

Claims (4)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가 배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져 상기 넥타이의 매듭 외형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양한 도안 또는 보석류 등으로 장식되어 있는 매듭 모양부; 및In the state where the tie knot is built, the tie is inserted into the back and is inserted to cover the outline of the knot of the tie, the surface of which is decorated with various patterns or jewelry; And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에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 삽입된 후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으로 상단으로 체결결합되는 매듭 모양부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A knot-shaped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knot-shaped rear part to cover the knot-shaped rear surfac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knot-shaped rear surface of the knot-shaped part; Necktie knot ornaments, which are constructe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 모양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t-shaped portion,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끼워지도록 배면의 내부 공간이 넥타이 매듭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의 양측에는 각각 매듭이 지어진 넥타이의 고리가 끼워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넥타이 고리 삽입공 및 제2 넥타이 고리 삽입공; 및The first tie ring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tie are formed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back surface is similar to the tie knot shape so that the knots of the tie are inserted, and the hooks of the tie with knots are respectively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ie. Ring insertion hole; And 상기 매듭 모양부의 배면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 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First locking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knot-shaped part; Necktie knot ornaments, which are constructe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not-shaped cover,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상부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으로 힌지 결합되는 덮개 힌지부;A cover hinge portion formed at each end of an upper portion of the knot-shaped cover and hin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knot-shaped portion; 상기 매듭 모양부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매듭 모양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형태가 형성되고, 내측 중앙에는 상기 매듭 모양부에 끼워지는 넥타이 매듭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판 스프링;A leaf spring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knot-shaped portion to cover the back of the knot-shaped portion, and installed at the inner center thereof to support a tie knot fitted to the knot-shaped portion;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넥타이의 매듭이 상기 매듭 모양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넥타이의 머리부와 꼬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넥타이 고정부;A tie fixing part formed below the knot-shaped cover to support the neck and tail of the tie while the knot of the tie is fitted to the knot-shaped part; 상기 넥타이 고정부의 일측 끝단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 및 A locking groove having a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tie fixing portion; And 상기 매듭 모양부의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끼워 맞춰져 끼움 결합되는 상기 매듭 모양부 덮개의 내측의 하부의 좌측과 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 걸림 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Second locking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knot-shaped cover which are fitted and fitted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f the knot-shaped part; Necktie knot ornaments, which are constructed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 모양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knot-shaped portion, 금속재, 비금속재 및 플라스틱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이 서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 장신구.At least one material of the metal material, non-metal material and plastic material o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aterials are mixed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e knot ornaments.
KR2020060015457U 2006-06-09 2006-06-09 Accessory for necktie knot KR2004260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57U KR200426062Y1 (en) 2006-06-09 2006-06-09 Accessory for necktie kn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57U KR200426062Y1 (en) 2006-06-09 2006-06-09 Accessory for necktie kn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62Y1 true KR200426062Y1 (en) 2006-09-19

Family

ID=4177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457U KR200426062Y1 (en) 2006-06-09 2006-06-09 Accessory for necktie kn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62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601B1 (en) 2006-09-25 2007-01-16 전정일 Fashion necktie body
KR101042193B1 (en) 2009-10-19 2011-06-20 최보규 Necktie
KR101402004B1 (en) 2013-02-01 2014-05-30 김태현 A fixing device for a nectie
KR101681872B1 (en) * 2016-06-22 2016-12-01 김성안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WO2017222144A1 (en)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601B1 (en) 2006-09-25 2007-01-16 전정일 Fashion necktie body
KR101042193B1 (en) 2009-10-19 2011-06-20 최보규 Necktie
KR101402004B1 (en) 2013-02-01 2014-05-30 김태현 A fixing device for a nectie
KR101681872B1 (en) * 2016-06-22 2016-12-01 김성안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WO2017222144A1 (en)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434A (en) Ornamental neckpiece
KR200426062Y1 (en) Accessory for necktie knot
US20080313864A1 (en) Button cover adapter for jeans
US20110271715A1 (en) Removable Securable Interchangeable Clothing Button Jeweled System
KR200425447Y1 (en) Accessory for Shoes
KR200415394Y1 (en) accessory
KR20180002696U (en) Accessory
KR200350218Y1 (en) The bag with separable handles
KR200453337Y1 (en) Necktie knot
KR102051951B1 (en) Nectie attachment for an accessary
KR100953838B1 (en) Mult functional jac ket
KR101402004B1 (en) A fixing device for a nectie
KR100749952B1 (en) Accessory for both necktie and knot
KR20070112588A (en) Knot accessories of necktie
KR200306533Y1 (en) The clothes ornament adhere plans
KR200172270Y1 (en) An ornamental hanger
KR100894347B1 (en) Scarf Necklace
JP3041219U (en) shirt
KR20170111311A (en) Tie cap for decoration
KR100828991B1 (en) Wear-device of a necktie
KR100847197B1 (en) Shirt equipped with coverlet for necktie or muffler
EP2591689A1 (en) Waist belt
JP3027248U (en) Ornament toys
JP3200161U (en) Decorative body for bottle
KR200443959Y1 (en) Neck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