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72B1 -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72B1
KR101681872B1 KR1020160077742A KR20160077742A KR101681872B1 KR 101681872 B1 KR101681872 B1 KR 101681872B1 KR 1020160077742 A KR1020160077742 A KR 1020160077742A KR 20160077742 A KR20160077742 A KR 20160077742A KR 101681872 B1 KR101681872 B1 KR 10168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ver
plate body
front cov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안
Original Assignee
김성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안 filed Critical 김성안
Priority to KR102016007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72B1/en
Priority to DE212017000165.8U priority patent/DE212017000165U1/en
Priority to US16/304,290 priority patent/US20190082755A1/en
Priority to JP2018600162U priority patent/JP3221852U/en
Priority to CN201790000888.6U priority patent/CN209609937U/en
Priority to PCT/KR2017/001996 priority patent/WO20172221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08Means for forming or tying the kno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A necktie wearing tool includes: a first plate body having an upper cover and a front cover becoming increasingly narrow whil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cover and having a necktie knot shape convex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late body having a back cover hinge-coupled with the upper cover of the first plate body,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vering the front cover and a lower cover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back cover, the second plat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accommodating a necktie passing through a necktie hole between the lower cover and the front cover;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coupled with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cover; first and second steps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coupled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and fixing the necktie; and a necktie supporting bar coupled with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and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the necktie being wound around the necktie supporting bar after passing through the necktie hole.

Description

넥타이 착용구{APPARATUS FOR WEARING NECKTIE}{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본 발명은 넥타이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넥타이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wearing mouth.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tie wearing mouth having a necktie knot shape.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위하여 간편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개발이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넥타이를 매기 위해서는 넥타이 자체에서 매듭을 만들어 사용자에 목에 매다보니 길이 조정 등의 실수로 바쁜 와중에도 매듭을 풀어서 다시 매는 등의 불편을 겪어왔던 것이 사실이다.Recently,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wearing a tie easily for modern people living in a busy life has been actively performed. Conventionally, in order to tie a tie, a tie itself is knotted to the user's neck, so it is true that the user has suffered inconveniences such as adjusting the length and releasing the knot in the middle of a busy accident.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착용구에 넥타이를 걸어 자유로운 길이조정과 함께 고정하는 등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수요가 커지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onvenience in that a wearer having a necktie knot shape is ti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tie with a free length, and the convenience is increasing.

뿐만 아니라, 상기 착용구를 통하여 넥타이를 단지 정장차림의 구색에 그치지 않고 착용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미하여 보다 아름답고 화려한 패선으로 꾸밈으로서 용모와 맵시를 한껏 돋보이게 하고 이미지를 부각하여 대인관계 및 비즈니스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상기 착용구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wearing area, the tie is not limited to the suit, but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re added to the surface of the wearer to make the appearance and appearance more beautiful and brilliant. Various developments are needed for the wearer since it can provide a great deal of business support.

이러한 넥타이 착용구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기 위해 목줄을 필요로 하며, 상기 목줄의 길이는 용이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목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Such a necktie requires a collar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the length of the collar must be readily adjustable and securely secured to the neck of the user.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간편하게 상기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갖추어야 하며, 상기 넥타이가 넥타이 착용구로부터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편의성과 넥타이 고정력을 갖춘 넥타이 착용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 necktie wearer should have a convenience in which the necktie can be easily worn, and the necktie needs a fixing force capable of being fixed firmly from the necktie wearer's mouth.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ie wearing structure having convenience and tie-fixing ability.

한국등록특허 제10-0899444호(등록일자 2009.5.19.)Korean Patent No. 10-0899444 (Registered on May 19, 2009) 한국등록특허 제10-1544737호(등록일자 2015.8.10.)Korean Patent No. 10-1544737 (registered on August 8, 201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1649호(등록일자 2003.07.18.)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1649 (Registered on July 18, 200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3989호(등록일자 2000.09.08.)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03989 (Registration date: 2000.09.08.)

본 발명의 과제는 편의성과 넥타이 고정력을 갖춘 넥타이 착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tie having convenience and tie-fixing ab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전면 덮개를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상기 제1 판 몸체의 상기 상부 덮개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커버하는 뒷면 덮개 및 상기 뒷면 덮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 사이의 넥타이 홀을 통과하는 넥타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판 몸체, 상기 뒷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이 제공하는 상기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여 상기 넥타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걸림턱들, 및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넥타이 홀을 통과한 상기 넥타이가 감겨서 상기 넥타이 홀을 다시 통과할 수 있는 넥타이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e wearing too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have a tapered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cover and gradually becoming narrower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late body including a front cover having a convex tie knot shape, a rear cover hinged to the top cov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cover the front cover, A second plate body including a lower lid protru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 neck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between the lower lid and the front lid, a second plate bod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lid,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each in contact with the tie, each of the elastic member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to contact the tie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which fix the ti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and a tie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and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tie hole, And a neck support bar that can be wound and pass through the tie hole agai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 덮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 상기 제1 목줄 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목줄 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덮개 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목줄 홀을 통과하는 목걸이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하부 덮개에 구비된 제3 목줄 홀을 통과하는 길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목줄, 및 상기 하부 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조정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목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re ar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each penetrating the front cov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top lid, A neckl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neckline hole and extending on the upper lid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neckline hole and a necklac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A neck collar including a length adjus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ollar holes, and a neck collar adjusting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collar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목줄 조절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길이 조정부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neck line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by an elastic force, and a button for releas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may comprise meta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홀은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tie hole may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에 배치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뒷면 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자석 결합할 수 있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front cover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rear cover and capable of magnet coupling with the first magnet ha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뒷면 덮개와 접촉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판 몸체를 상기 제1 판 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판 몸체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plate body is disposed on the top lid,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contacts the rear lid, to couple the second plate body to the first plate body by an elastic force. And a second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leaf spring having a plate spr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 지지바 및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eckwea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worn by using the neck support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jaws.

특히, 상기 넥타이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 사이에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넥타이가 상기 넥타이 착용구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ie is fixed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elastic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the tie can be firmly fixed to the tie wearing mouth.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금속을 포함하여, 금 광택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넥타이 착용구의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은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고급스런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The necktie wearer may include a metal to give a gold glos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of the tie bracket may comprise brass. Through this, the tie wearing zone can exhibit a fine aesthetic feeling.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목줄 조절부를 이용하여 목줄의 길이를 버튼 하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ie wear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ine with a button by using the neckline adjust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넥타이 착용구에서 제2 판 몸체를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도 1의 넥타이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의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의 제2 판 몸체 결합부에 의해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wearing implemen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body is opened in the tie wearing mouth of Fig. 1;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necktie wearer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Fig. 6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in Fig. 1; Fig.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ure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ure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of a tie wearing mouth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plate body engagement portion of the tie-wear fitting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넥타이 착용구에서 제2 판 몸체를 열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도 1의 넥타이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3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길이 조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e-wearing implemen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late body is opened in the tie wearing mouth of Fig. 1;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necktie wearer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Fig. 6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in Fig. 1; Fig.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ure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ngth adjuster of Figure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는 제1 판 몸체(100), 제2 판 몸체(200),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및 넥타이 지지바(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8, the tie wear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plate body 100, a second plate body 20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1 and second locking jaws 400, 410, and a tie support bar 50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 612), 목줄(600), 및 목줄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tie strap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 612, a collar 600, and a neck collar 700.

제1 판 몸체(100)는 상부 덮개(110), 및 전면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덮개(120)는 상부 덮개(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late body 100 may include an upper lid 110, and a front lid 120. For example, the front cover 120 is gradually narrowed whi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top cover 110, and the front cover 120 is tapered in a second direction D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1. Shape.

제1 판 몸체(1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 몸체(100)는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body 100 may include a metal. For example, the first plate body 100 may comprise brass.

제2 판 몸체(200)는 뒷면 덮개(210), 및 하부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덮개(220)와 전면 덮개(120) 사이에 구비된 넥타이 홀(206)을 통과하는 넥타이(8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204)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body 200 may include a back cover 210 and a lower cover 220 and may include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206 provided between the lower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120. [ An inner space 204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inner space 800.

예를 들어, 뒷면 덮개(210)는 제1 판 몸체(100)의 상부 덮개(110)와 힌지 결합하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220)는 뒷면 덮개(2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하부 덮개(220)는 전면 덮개(120)와 접촉하지 않고 넥타이 홀(206)은 하부 덮개(220) 및 전면 덮개(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넥타이 홀(206)은 전면 덮개(12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cover 210 may be hinged to the top cover 110 of the first plate body 100 and extend in a first direction D1. The lower lid 220 may protrude from the rear lid 2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so that the lower lid 220 does not contact the front lid 120 and the tie hole 206 does not contact the lower lid 220 and the front cover 120. [0034] Specifically, the tie holes 206 may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20.

제2 판 몸체(2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 몸체(200)는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body 200 may include a metal. For example, the second plate body 200 may comprise brass.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뒷면 덮개(210)의 내면(2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전면 덮개(120)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back cover 210.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protrude toward the front cover 120 and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넥타이(80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300)는 제3 방향(D3)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넥타이(800)를 제1 걸림턱(400)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thir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and may contact the tie 800. [ 5, the first elastic member 300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D3, so that the tie 8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atching jaw 400. As shown in FIG.

또한, 제2 탄성 부재(310)는 제3 방향(D3)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넥타이(800)를 제2 걸림턱(410)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310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the third direction D3 so that the tie 8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410. [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은 중간 부재(30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중간 부재(30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rmediate member 305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305 may be integrally formed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be plate springs integrally formed.

중간 부재(305)는 지지 부재(205)를 통하여 뒷면 덮개(21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5)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member 305 may be coupled to the rear cover 210 through the support member 205.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205.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이 제공하는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넥타이(800)와 접촉하여 넥타이(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e 80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to fix the tie 800 have.

넥타이 지지바(500)는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되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넥타이 홀(206)을 통과한 넥타이(800)가 넥타이 지지바(500)에 의해 감겨 넥타이 홀(206)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The tie support bar 5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D3 so that the tie 800 passing through the tie hole 206 is received in the tie support bar 500 And can pass through the tie hole 206 again.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 620)은 전면 덮개(120)를 각각 관통하며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부 덮개(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 620)은 각각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목줄(600)이 통과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 and 620 may extend through the front cover 120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and adjacent to the top cover 110. [ Th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 and 620 may exten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respectively, and the collar 600 described below may pass through.

목줄(600)은 고정부(630), 목걸이부(640), 및 길이 조정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30)는 제1 목줄 홀(610)에 고정되며 내부 공간(204)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630)는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204)에 배치되어 목줄(600)을 제1 목줄 홀(6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llar 600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630, a necklace portion 640, and a length adjusting portion 650. The fixing portion 630 may be fixed to the first neckline hole 610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04. For example, the fixing portion 630 may have a knot shape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04 to provide a function of fixing the neckline 600 to the first neckline 610.

목걸이부(640)는 고정부(630)로부터 연장되어 제1 목줄 홀(610)을 통과하여 상부 덮개(110) 상에서 연장되어 제2 목줄 홀(620)을 통과할 수 있다. 목걸이부(640)는 상기 넥타이 착용구를 사용자의 목에 매다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The necklace portion 640 extends from the fixing portion 63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neckline hole 610 and extends on the upper cover 110 to pass through the second neckline hole 620. The necklace portion 640 may provide a function of hanging the tie wearing mouth on the user's neck.

길이 조정부(650)는 내부 공간(204)을 지나 하부 덮개(220)에 구비된 제3 목줄 홀(230)을 통과할 수 있다. 길이 조정부(650)는 후술하는 목줄 조절부(66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er 650 may pass through the third rib hole 230 provided in the lower cover 220 through the inner space 204. [ The length adjusting unit 650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 neck adjusting unit 660 to be described later.

목줄 조절부(660)은 하부 덮개(220)에 배치되어, 길이 조정부(6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 조절부(660)은 탄성력에 의해 길이 조정부(650)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664) 및 탄성 부재(664)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6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ck line adjusting portion 66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lid 22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650. 7, the neck line adjusting unit 660 applies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4 and the elastic member 664 that fix the length adjusting unit 650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fixing the length adjusting unit 650 A button 662,

예를 들어, 버튼(662)은 뒷면 덮개(210)로 돌출되며 하부 덮개(220)를 따라 연장되고, 탄성 부재(664)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의 고정을 풀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64)는 하부 덮개(220)를 따라 연장되며, 길이 조정부(650)를 뒷면 덮개(210) 방향으로 밀어 길이 조정부(650)를 제3 목줄 홀(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button 662 protrudes from the back cover 210 and extends along the lower cover 220, and can release the fixing of the length adjuster 650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4. The elastic member 664 may extend along the lower cover 220 and may push the length adjuster 650 toward the back cover 210 to fix the length adjuster 650 to the third neck hole 230 .

이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목줄 조절부(670)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 조정부(650)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664) 및 탄성 부재(664)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668)을 포함할 수 있다.8, the neck collar adjustment portion 67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664 that fixes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650 by an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member 664 that applies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4 And a button 668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650. [

예를 들어, 버튼(668)은 뒷면 덮개(210)로 돌출되며 뒷면 덮개(210)를 따라 연장되고, 탄성 부재(668)에 힘을 가하여 길이 조정부(650)의 고정을 풀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68)는 뒷면 덮개(210)를 따라 연장되며, 길이 조정부(650)를 뒷면 덮개(210) 방향으로 밀어 길이 조정부(650)를 제3 목줄 홀(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button 668 protrudes from the rear cover 210, extends along the rear cover 210, and can release the fixing of the length adjuster 650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668. The elastic member 668 may extend along the rear cover 210 and may push the length adjuster 650 toward the rear cover 210 to fix the length adjuster 650 to the third neckline 230 .

넥타이(800)는 넥타이 홀(206)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 과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하고, 넥타이 지지바(500)에 의해 감겨 방향을 바꾼 후, 다시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과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된 후, 넥타이 홀(206)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The tie 800 passes through the tie hole 206 and intervenes between and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After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re interposed and contac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again after the winding direction is chang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500 and 500, 206 agai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 지지바(500) 및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넥타이(800)를 착용할 수 있다.The tie brack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using the tie supporting bar 50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So that the tie 800 can be easily worn.

특히, 넥타이(800)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사이에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넥타이(800)가 상기 넥타이 착용구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ie 800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elastic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neck of a tie.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금속을 포함하여, 금 광택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넥타이 착용구의 제1 및 제2 판 몸체들(100, 200)은 황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고급스런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The necktie wearer may include a metal to give a gold glos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100, 200 of the tie strap may comprise brass. Through this, the tie wearing zone can exhibit a fine aesthetic feeling.

또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목줄 조절부(660, 670)를 이용하여 목줄(600)의 길이를 버튼 하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the tie wear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ine 600 with a single button by using the neckline adjusters 660 and 67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의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넥타이 착용구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넥타이 착용구에서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of a tie wearing mouth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9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ion and / or structure except for the first plate body engagement portion in the tie wearing se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는 제1 판 몸체(100), 제2 판 몸체(200),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넥타이 지지바(500), 및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9, the tie wear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plate body 100, a second plate body 20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1 and second locking jaws 400, 410, a tie support bar 500, and a first plate body engagement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 612), 목줄(600), 및 목줄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tie strap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 612, a collar 600, and a neck collar 700.

제1 판 몸체(100)는 상부 덮개(110), 및 전면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덮개(120)는 상부 덮개(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late body 100 may include an upper lid 110, and a front lid 120. For example, the front cover 120 is gradually narrowed whi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top cover 110, and the front cover 120 is tapered in a second direction D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1. Shape.

제2 판 몸체(200)는 뒷면 덮개(210), 및 하부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덮개(220)와 전면 덮개(120) 사이에 구비된 넥타이 홀(206)을 통과하는 넥타이(8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204)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body 200 may include a back cover 210 and a lower cover 220 and may include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206 provided between the lower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120. [ An inner space 204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inner space 800.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뒷면 덮개(210)의 내면(2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전면 덮개(120)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back cover 210.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protrude toward the front cover 120 and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이 제공하는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넥타이(800)와 접촉하여 넥타이(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e 80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to fix the tie 800 have.

넥타이 지지바(500)는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되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넥타이 홀(206)을 통과한 넥타이(800)가 넥타이 지지바(500)에 의해 감겨 넥타이 홀(206)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The tie support bar 5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D3 so that the tie 800 passing through the tie hole 206 is received in the tie support bar 500 And can pass through the tie hole 206 again.

상기 제1 판 몸체 결합부는 전면 덮개(120)에 배치되는 제1 자석(710) 및 뒷면 덮개(210)에 배치되어 제1 자석(710)과 자석 결합할 수 있는 제2 자석(7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 710 disposed on the front cover 120 and a second magnet 720 disposed on the rear cover 210 to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magnet 710 can do.

예를 들어, 제1 자석(710)은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배치되어 제2 방향(D2)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720)은 뒷면 덮개(210)의 내면(202)에 배치되어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agnet 7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and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D2. The second magnet 72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rear cover 210 and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D2.

제1 자석(710)은 N극 자성을 띄며, 제2 자석(720)은 S극 자성을 띨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자석(710)은 S극 자성을 띄며, 제2 자석(720)은 N극 자성을 띨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석들(710, 720)은 각각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 710 may have an N pole magnetization and the second magnet 720 may have an S pole magnetization. Alternatively, the first magnet 710 may have an S pole magnetization and the second magnet 720 may have an N pole magnetiza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710 and 720 may each include a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 지지바(500) 및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넥타이(800)를 착용할 수 있다.The tie brack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using the tie supporting bar 50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So that the tie 800 can be easily worn.

특히, 넥타이(800)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사이에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넥타이(800)가 상기 넥타이 착용구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ie 800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elastic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neck of a tie.

또한, 상기 제1 판 몸체 결합부가 제1 및 제2 자석들(710, 720)을 포함하여 제1 판 몸체(100) 및 제2 판 몸체(20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제2 판 몸체(2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판 몸체(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에 의해 넥타이(800)가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710 and 720 to couple the first plate body 100 and the second plate body 200,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disposed on the first plate body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400 and 410 disposed on the first plate body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ixed firmly.

도 10 및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의 제2 판 몸체 결합부에 의해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넥타이 착용구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넥타이 착용구에서 제2 판 몸체 결합부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coupled to each other by a second plate body engagement portion of a necktie attachmen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10 and 11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ion and / o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econd plate body engagement portion in the tie wear fitting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1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넥타이 착용구는 제1 판 몸체(100), 제2 판 몸체(200),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넥타이 지지바(500), 및 제2 판 몸체 결합부를 포함한다.1 to 8, 10 and 11, the tie wear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plate body 100, a second plate body 20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a tie supporting bar 500, and a second plate body coupling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610, 612), 목줄(600), 및 목줄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tie strap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610, 612, a collar 600, and a neck collar 700.

제1 판 몸체(100)는 상부 덮개(110), 및 전면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덮개(120)는 상부 덮개(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고,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late body 100 may include an upper lid 110, and a front lid 120. For example, the front cover 120 is gradually narrowed whi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top cover 110, and the front cover 120 is tapered in a second direction D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1. Shape.

제2 판 몸체(200)는 뒷면 덮개(210), 및 하부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덮개(220)와 전면 덮개(120) 사이에 구비된 넥타이 홀(206)을 통과하는 넥타이(8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204)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body 200 may include a back cover 210 and a lower cover 220 and may include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206 provided between the lower cover 220 and the front cover 120. [ An inner space 204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inner space 800.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뒷면 덮개(210)의 내면(2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300, 310)은 전면 덮개(120)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back cover 210.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protrude toward the front cover 120 and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이 제공하는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넥타이(800)와 접촉하여 넥타이(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e 80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to fix the tie 800 have.

넥타이 지지바(500)는 전면 덮개(120)의 내면(102)에 결합되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넥타이 홀(206)을 통과한 넥타이(800)가 넥타이 지지바(500)에 의해 감겨 넥타이 홀(206)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The tie support bar 50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front cover 120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D3 so that the tie 800 passing through the tie hole 206 is received in the tie support bar 500 And can pass through the tie hole 206 again.

상기 제2 판 몸체 결합부는 상부 덮개(110)에 배치되고,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뒷면 덮개(210)와 접촉하여 탄성력에 의해 제2 판 몸체(200)를 제1 판 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는 판 스프링(9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lid 1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D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lid 210 so that the second plate body 200 can be moved And may include a leaf spring 9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dy 100.

판 스프링(900)은 뒷면 덮개(210)의 내면(202)에 구비되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가이드 홈(920)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leaf spring 900 may be movable along the spring guide groove 92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202 of the rear cover 210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10) 및 뒷면 덮개(210)가 힌지(910)에 의해 힌지 결합할 때, 판 스프링(900)이 상부 덮개(110)에 인접한 뒷면 덮개(210)의 일부를 밀면서 스프링 가이드 홈(920)을 따라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판 몸체(100)와 제2 판 몸체(2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10, when the upper lid 110 and the rear lid 210 are hinged by the hinge 910, the leaf spring 9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rear lid 210 adjacent to the upper lid 110,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spring guide groove 9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pushing a part. In this case, the first plate body 100 and the second plate body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900)이 뒷면 덮개(210)의 상기 일부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는 뒷면 덮개(210)의 다른 일부를 밀면서 스프링 가이드 홈(920)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판 몸체(100)와 제2 판 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벌어질 수 있다.The leaf spring 900 is moved along the spring guide groove 920 while pushing the other part of the rear cover 210 spaced from the part of the rear cover 21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case, the first plate body 100 and the second plate body 200 can be open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넥타이 착용구는 넥타이 지지바(500) 및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넥타이(800)를 착용할 수 있다.The tie brack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using the tie supporting bar 50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400 and 410 So that the tie 800 can be easily worn.

특히, 넥타이(800)가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 사이에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넥타이(800)가 상기 넥타이 착용구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tie 800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elastic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neck of a tie.

또한, 상기 제2 판 몸체 결합부가 판 스프링(900)을 포함하여 제1 판 몸체(100) 및 제2 판 몸체(200)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제2 판 몸체(2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300, 310) 및 제1 판 몸체(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턱들(400, 410)에 의해 넥타이(800)가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plate body 100 and the second plate body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plate body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plate spring 900. Therefore, The tie 800 can be more firmly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300 and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400 and 410 disposed on the first plate body 100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제1 판 몸체 102: 내면
110: 상부 덮개 120: 전면 덮개
200: 제2 판 몸체 202: 내면
204: 내부 공간 206: 넥타이 홀
210: 뒷면 덮개 220: 하부 덮개
230: 제3 목줄 홀 300: 제1 탄성 부재
310: 제2 탄성 부재 400: 제1 걸림턱
410: 제2 걸림턱 500: 넥타이 지지바
600: 목줄 610: 제1 목줄 홀
620: 제2 목줄 홀 630: 고정부
640: 목걸이부 650: 길이 조정부
660, 670: 목줄 조절부 710: 제1 자석
720: 제2 자석 800: 넥타이
900: 판 스프링 910: 힌지
920: 스프링 가이드 홈
100: first plate body 102: inner surface
110: upper cover 120: front cover
200: second plate body 202: inner surface
204: inner space 206: tie hole
210: rear cover 220: bottom cover
230: third collar hole 300: first elastic member
310: second elastic member 400: first hooking jaw
410: second stop jaw 500: tie support bar
600: collar 610: collar 1
620: second neckline hole 630:
640: Necklace part 650: Length adjusting part
660, 670: neck collar adjuster 710: first magnet
720: second magnet 800: necktie
900: leaf spring 910: hinge
920: Spring guide groove

Claims (7)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한 넥타이 매듭 형상을 갖는 전면 덮개를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상기 제1 판 몸체의 상기 상부 덮개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커버하는 뒷면 덮개, 및 상기 뒷면 덮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 사이의 넥타이 홀을 통과하는 넥타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판 몸체;
상기 뒷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덮개를 향하여 돌출되며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이 제공하는 상기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넥타이와 접촉하여 상기 넥타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걸림턱들; 및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넥타이 홀을 통과한 상기 넥타이가 감겨서 상기 넥타이 홀을 다시 통과할 수 있는 넥타이 지지바를 포함하는 넥타이 착용구.
A first plate body including a top cover and a front cover having a tie knot shape that is gradually reduced in width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top cover and convex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 rear cover hinged to the upper cover of the first plate body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cover the front cover, and a lower cover protruding from the rear cover in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plate body defining an interior space for receiving a tie passing through a tie hole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front cover;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projecting toward the front cov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ing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to fix the tie in contact with the tie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d a tie support ba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tie passing through the tie hole is wound to pass through the tie hole aga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 덮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목줄 홀들;
상기 제1 목줄 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목줄 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덮개 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목줄 홀을 통과하는 목걸이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을 지나 상기 하부 덮개에 구비된 제3 목줄 홀을 통과하는 길이 조정부를 포함하는 목줄; 및
상기 하부 덮개에 배치되어, 상기 길이 조정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목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llar holes each penetrating the front cov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top cover;
A neck portion fixed to the first neck hole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neckl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neckline, extending on the top cover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neckline, A neck collar including a length adjusting unit passing through an inner space and a third neckline provided in the lower cover; And
Further comprising a neckline adjuster disposed on the lower cover to adjust a length of the length adjus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 조절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길이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길이 조정부의 고정을 풀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by an elastic force; And
And a button for releasing the fixing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by applying a force to the elastic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판 몸체들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The tie-wearing implement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comprise a me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홀은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The tie-wearing implement of claim 1, wherein the tie hole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뒷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자석 결합할 수 있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제1 판 몸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plate body coupling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ing a second magnet capable of magnet coupling with the first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뒷면 덮개와 접촉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판 몸체를 상기 제1 판 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판 몸체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뒷면 덮개의 상기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leaf spring disposed on the top lid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rear lid to allow the second plate body to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body by an elastic force, Further comprising a plate body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leaf spr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is movable along a spring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KR1020160077742A 2016-06-22 2016-06-22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KR101681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42A KR101681872B1 (en) 2016-06-22 2016-06-22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DE212017000165.8U DE212017000165U1 (en) 2016-06-22 2017-02-23 Device for putting on a tie
US16/304,290 US20190082755A1 (en) 2016-06-22 2017-02-23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JP2018600162U JP3221852U (en) 2016-06-22 2017-02-23 Tie wear device
CN201790000888.6U CN209609937U (en) 2016-06-22 2017-02-23 Necktie wearable device
PCT/KR2017/001996 WO2017222144A1 (en) 2016-06-22 2017-02-23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742A KR101681872B1 (en) 2016-06-22 2016-06-22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72B1 true KR101681872B1 (en) 2016-12-01

Family

ID=5757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742A KR101681872B1 (en) 2016-06-22 2016-06-22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44A1 (en)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74Y1 (en) * 1993-11-02 1996-01-04 윤대원 Necktie
KR200203989Y1 (en) 2000-01-11 2000-11-15 변남근 A necktie having a knot device
KR200265816Y1 (en) * 2001-11-19 2002-02-25 이청림 Necktie wear-device
KR200321649Y1 (en) 2003-04-29 2003-07-31 방지영 A necktie being easily worn
KR200426062Y1 (en) * 2006-06-09 2006-09-19 안동원 Accessory for necktie knot
KR100899444B1 (en) 2007-12-31 2009-05-26 김영선 Wearing apparatus for the necktie of the structure which becomes simplification
KR200453337Y1 (en) * 2010-09-09 2011-04-27 정운섭 Necktie knot
KR101544737B1 (en) 2014-08-18 2015-08-17 김영선 Wearing apparatus for the necktie inserting an aromatic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74Y1 (en) * 1993-11-02 1996-01-04 윤대원 Necktie
KR200203989Y1 (en) 2000-01-11 2000-11-15 변남근 A necktie having a knot device
KR200265816Y1 (en) * 2001-11-19 2002-02-25 이청림 Necktie wear-device
KR200321649Y1 (en) 2003-04-29 2003-07-31 방지영 A necktie being easily worn
KR200426062Y1 (en) * 2006-06-09 2006-09-19 안동원 Accessory for necktie knot
KR100899444B1 (en) 2007-12-31 2009-05-26 김영선 Wearing apparatus for the necktie of the structure which becomes simplification
KR200453337Y1 (en) * 2010-09-09 2011-04-27 정운섭 Necktie knot
KR101544737B1 (en) 2014-08-18 2015-08-17 김영선 Wearing apparatus for the necktie inserting an aromat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44A1 (en) * 2016-06-22 2017-12-28 김성안 Device for putting on neckt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5265B2 (en) Eyeglass frame with decorative piece
CN205671647U (en) Wrist-watch and the Intelligent bracelet that this table is buckled is buckled and had to table
KR101681872B1 (en) Apparatus for wearing necktie
US7058983B1 (en) Necktie
DE60123951D1 (en) EARRING WITH CLOSURE
JP2008167789A (en) Ornament
US20120324678A1 (en) Tie holder
KR102643191B1 (en) bracelet attachment device
KR100919609B1 (en) Earring with tension-spring
JP2010535552A (en) Equipment for eyeglasses
KR200440905Y1 (en) Secret cover and Blouse with secret cover
KR101633418B1 (en) Wrist watch-band
JP4200508B1 (en) Women's underwear shoulder strap stabilizer
KR200164601Y1 (en) Glasses
KR101703968B1 (en) Buckle for garments belt
KR200458065Y1 (en) Y-shirt collar holder
KR102620979B1 (en) Ear pain relief type mask strap connector
US20170095024A1 (en) 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the Closure Point or Fastening Point on the Front-Facing Placket of a Button-Down Shirt
KR200294302Y1 (en) Necktie having pendant with additional function
US20160206057A1 (en) Fastener for angle-adjustable earring
JP3207346U (en) Garment decoration equipment
JP3144454U (en) Shirt collar fixture
KR101847192B1 (en) Knee dehiscence prevention pants
JP3124534U (en) Leather flower ribbon with fastener
KR200240407Y1 (en) Neckti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