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270Y1 - An ornamental hanger - Google Patents

An ornamental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270Y1
KR200172270Y1 KR2019970004158U KR19970004158U KR200172270Y1 KR 200172270 Y1 KR200172270 Y1 KR 200172270Y1 KR 2019970004158 U KR2019970004158 U KR 2019970004158U KR 19970004158 U KR19970004158 U KR 19970004158U KR 200172270 Y1 KR200172270 Y1 KR 200172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n
coupling
fashion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1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0141U (en
Inventor
손경찬
Original Assignee
손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찬 filed Critical 손경찬
Priority to KR2019970004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270Y1/en
Publication of KR19980060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14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27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7/00Cards for buttons, collar-studs, or sleeve-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의에 매달아 장식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넥타이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패션 장식물이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또한 상의의 어떠한 위치에도 패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에도 걸수 있도록 이루어진 패션 장식물 걸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hion ornament hanger that is suspended from a top. For example, a tie or a fashion ornament made of various materials can be combined to double the decorative effect. To provide a fashion ornament hanger made.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는, 배면이 요입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노치부(11)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노치부(11)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 핀(2)과; 상기 본체(1)의 배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단이 상기 본체(1)의 배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괘지핀(3)과; 상기 본체(1)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의의 소정의 장소에 결합되는 결합수단(4)과; 그리고, 파지되는 장식물(6)을 상기 괘지핀(3)에 걸어 지지하는 괘지클립(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체(1) 뿐만 아니라 괘지클립(5)에 의하여 파지되어 본체(1)에 결합되는 다양한 장식물(6)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다양한 패션을 창출할 수 있다.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urface is recessed to form a space portion, and the main body (1) formed with a notch portion 11 at the lower end; A stopper pin (2)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notch (11); A rubbing pin (3) whose both ends are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1)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of the main body (1); A coupling means (4)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lace on the upper body; And, it comprises a hanging clip (5) for holding the decorative material (6) to be held on the hanging pin (3).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well as the main body 1 can be appropriately created a variety of fashion as needed by a variety of ornaments (6) are held by the clip (5) coupled to the main body (1).

Description

패션 장식물 걸이Fashion ornament hanger

본 고안은 패션 장식물 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를 줄에 연결시켜 목에 걸거나 상의의 단추나 슬라이딩 패스너에 결합하여 지지시키고, 상기 본체에는 예컨대 넥타이나 장식줄, 노리개 등 다양한 패션 장식물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패션 장식물 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hion ornament hanger, and in particular,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a string to be supported by a neck or a button or sliding fastener on the top, and the main body is used to hang various fashion ornaments such as ties, sequins, and soothers. It is about a fashion ornament hanger.

일반적으로 상의에 패용하여 장식하는 장신구로서 대표적인 것은 브로우치를 들수 있다. 이 브로우치는 한복의 옷고름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상의의 왼쪽가스쪽 또는 옷깃에 꽂아 장식하도록 되어 있으며, 장식효과를 내기 위한 본체의 배면에 옷핀이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옷핀을 옷에 꽂음으로써 지지된다.In general, a typical example of ornaments worn by decorating on the top is a brooch. The brooch is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clothes of the hanbok, or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garment or the collar, and the clothespin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to create a decorative effect, and the clothespin is supported by the clothespi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브로우치는 그 자체만으로 장식효과를 도모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장식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없으므로 다양한 패션을 연출하기 어렵다. 더구나, 단추나 슬라이딩 패스너에 의하여 잠그도록 되어있는 상의를 입고 있을 경우, 브로우치는 상의의 왼쪽 가슴 부분에 패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추나 지퍼가 상의의 중앙에 있기 때문에 브로우치의 구조상 상의의 중앙에 브로우치를 패용하기란 어렵고 실제로 상의의 중앙에 브로치를 패용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사용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발휘하기 위한 사람들에게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roach as described above is made to achieve a decorative effect by itself, it is difficult to produce various fashions because it cannot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ecorations. In addition, when wearing a jacket which is locked by a button or sliding fastener, the brooch is usually worn on the left chest of the jacket, and the brooch is in the center of the structural jacket because the button or zipper is in the center of the jacket. It is difficult to wear and because it does not actually wear brooches in the middle of the jacket, the range of use is naturally limited.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satisfy those desires for those who exercise their unique personalities.

또한, 10대에서 20대에 이르는 연령층의 청소년들은 대체적으로 넥타이의 착용을 싫어하면서도 넥타이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식줄 등이 결합된 장신구의 패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젊은 층의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착용가능하며 다양한 패션의 창출이 가능한 장식용의 패션 장식물 걸이가 절실하게 요청된다.In addition, teenager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generally tend not to wear a tie, but prefer to wear jewelry combined with a tie or similar cord, so these young people wear free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decorative fashion ornament hangers that are capable of creating a variety of fashion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예컨대 넥타이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패션 장식물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장식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또한 어떠한 형태의 상의에도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패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목걸이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패션 장식물 걸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for example, various fashion ornaments made of a tie or various material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as needed to double the decorative effect, and also in any form of top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ashion ornament hanger that can be worn regardless of location and can be used as a necklace.

제1도는 본 고안의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를 구성하는 본체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ody constituting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동 배면도.2 is the same rear view.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본 고안의 패션 장식물 걸이를 구성하는 괘지클립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aper clip constituting the fashion ornament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괘지클립에 의하여 장식물이 파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is gripped by the paper clip.

제6도는 장식물이 결합된 괘지클립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a decorative clip coupled to the main body.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를 구성하는 본체의 배면에 설치된 결합수단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본체의 배면도.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coupling mean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의 사용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of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ate of use of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스토퍼 핀1: body 2: stopper pin

3 : 괘지핀 4 : 결합수단3: hook pin 4: coupling means

5 : 괘지클립 6 : 장식물5: hanging clip 6: decoration

11 : 노치부 41,45 : 빠짐방지용 결합부11: notch 41,45: coupling to prevent falling

50 : 양쪽 아암 53 : 후크부50: both arms 53: hook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는, 배면이 요입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노치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노치부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 핀과; 상기 본체의 배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단이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괘지핀과; 상기 본체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의의 소정의 장소에 결합되는 결합수단과; 그리고, 파지되는 장식물을 상기 괘지핀에 걸어 지지하는 괘지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urface is recessed to form a space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notch; A stopper pin disposed laterally at a lower end of the notch; A rubbing pin each having both ends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coupl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lace on the upper body;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ging clip for supporting the hanging ornament to the hanging pin.

상기 노치부의 하단에는 괘지클립에 의하여 장식물이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노치부에 삽입된 장식물의 상단부에 본체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핀이 횡방향으로 본체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bottom of the notch part, 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pi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not to be out of the main part at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on inserted into the notch when the decora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paper clip.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괘지클립은 장식물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괘지핀에 걸리는 후크부를 가지는 구조로 된 것이라면 어떤 형태의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ing clip may be adopted in any form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having a gripping portion for holding a decoration and a hook portion caught on the rubbing pin.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외팔보 형태로 일단이 본체이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중앙부에 반원형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옷에 꽂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추나 슬라이딩 패스너의 손잡이 결합부에도 결합될 수 있는 옷핀 형태, 본체의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옷에 꽂을 수 있는 구조로 된 옷핀 형태, 또는 본체의 배면 상단부의 양쪽에 설치됨으로써 목걸이줄에 의하여 본체를 목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진 양쪽 결합고리 형태, 또는 양단이 본체의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단추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넥타이 핀에 연결되는 단추결합용 고리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mi-circular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can be plugged into the clothes as well as the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button or sliding fastener Clothes pin shape, which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upper part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and clothes pin shap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by being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neck by the neckband Various types of coupling means, such as a coupling ring shape, or a button coupling ring connected to a tie pin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button, may be employ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패션 장식물 걸이에 따르면, 장식물이 파지된 괘지클립을 노치부를 통하여 본체에 끼운 다음 괘지클립의 후크부를 본체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괘지핀에 걸면, 스토퍼 핀에 의하여 노치부의 개방된 부분이 막혀 있으므로 노치부에 삽입된 장식물이 노치부 밖으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수단을 상의의 원하는 곳에 결합하거나 목걸이줄을 결합수단에 연결하여 목걸이줄을 목에 걸면 본체에 의한 장식효과 뿐만 아니라 장식물에 의한 장식효과에 의하여 장식효과가 배가되고, 또한 다양한 패션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shion ornament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hanging clip clip in which the ornament is hel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notch part, and then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anging clip clip to the hanging pin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the stopper pin Since the open part of the notch part is blocked, the decoration inserted into the notch part does not escape the notch part. In this state, when the joining means are joined to the desired place of the top or the necklace is connected to the joining means to hang the necklace on the neck, the decorative effect is doubled not only by the decoration effect by the body but also by the decoration effect, and also various fashions Can create.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본체로서 배면이 요입되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back surface as a main body to form a space portion.

상기 본체(1)로서 첨부도면에서는 배면에 요입공간이 형성된 사각뿔 형태의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장식효과를 다양하게 낼 수 있도록 예컨대 반구, 타원형 반구, 곤충 및 동식물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은 형태로 배면이 요입된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의 것이라면 여하한 형태의 것이라도 본체(1)로 채용될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main body (1) is shown an example of the shape of a square pyramid in the concave space is formed on the bac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only, such as hemispheres, elliptical hemispheres, insects and fauna and the like to produce a variety of decorative effects It may be made in a variety of forms, as long as it is in the form of a space formed in the back recessed in such a form can be employed as the main body 1 of any form.

상기 본체(1)의 하단 중앙에는 노치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11)는 다양한 형태로 절취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괘지클립(5)(제4도 및 제5도 참조)에 결합되는 장식물(6)이 간섭되지 않고 노치부(11)를 통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으로 절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tch part 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 The notch 11 may be cut in various forms, but the ornament 6 coupled to the paper clip 5 (see FIGS. 4 and 5) described below is not easily interfered with the notch 11. It is preferable to be cut in an arc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it can be inserted.

상기 노치부(11)의 하단에는 스토퍼 핀(2)이 횡방향으로 본체(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 핀(2)에 의하여 상기 노치부(11)는 개구된 부분이 막혀 대략적으로 상하로 통하는 반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스토퍼 핀(2)은 노치부(11)형성시 이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A stopper pin 2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notch part 11 with the main body 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part where the notch part 11 is opened by the stopper pin 2 is blocked. It forms a semicircle that goes up and down. The stopper pin 2 may be formed with this when the notch part 11 is formed.

한편, 상기 노치부(11)의 상부 위치, 즉 본체(1)의 배면 중앙에는 횡방향으로 괘지핀(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괘지핀(3)은 본체(1)의 배면 중앙과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이 본체(1)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in 3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notch portion 11, that is,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ruler pin 3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are fixed by wel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그리고, 상기 괘지핀(3)의 상부 위치, 즉 본체(1)의 배면 상부에는 상의에 결합되거나 목걸이줄에 연결되는 결합수단(4)이 설치된다.And, the upper position of the rubbing pin (3), that is, the coupling means (4) coupled to the top or connected to the necklace is installed on the upper back of the main body (1).

상기 결합수단(4)의 일 형태로서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의 어느 곳이나 결합될 수 있는 옷핀 형태의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은 괘지핀(3)과 마찬가지로 본체(1)의 배면 상부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되며, 일단(본체(1)의 배면쪽에서 보아 우단이 바람직함)이 본체(1)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 외팔보 형태를 이루며, 따라서 결합수단(4)의 자유단과 본체(1)의 배면과의 사이에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의 중앙부는 예컨대 윗쪽으로 반원형으로 절곡된 빠짐 방지용 결합부(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41)는, 예컨대 상의의 소정의 장소에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된 옷 부분이 결합부(41)에 위치하도록 하면 결합부(41)에 위치한 옷 부분이 결합부(41)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채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41)는, 지퍼로 여닫는 상의의 슬라이딩 패스너(8)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핀(4)이 결합(제9도 참조)되었을 경우에 상기 결합부(41)에 의하여 슬라이딩 패스너(8)로부터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단추(7)(제8도 참조)로 여닫는 상의의 단추(7) 사이에 결합부(41)를 끼우면 결합부(41)가 단추(7)를 꿰맨 실 부분에 안착되므로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이 비교적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채용된다.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6, as one form of the coupling means 4, a coupling means in the form of a clothespin that can be coupled anywhere on the top may be employed. Coupling means (4) of this typ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body 1, similar to the ruler pin (3), one end (preferably right end as seen from the back of the body 1) is It forms a cantilever shape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 by wel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refore, there i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means 4 and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art of the coupling means 4 of this form is formed, for example, a release preventing coupling portion bent in a semicircle upward. The engaging portion 41 is, for example, the clothing portion located in the engaging portion 41 when the combined clothing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engaging portion 41 when the engaging means 4 of this type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lace on the top. Since it is not separated by the engaging portion 41 is employed to maintain a stable engaged state. Further, the engaging portion 41 is slid by the engaging portion 41 when the engaging pin 4 is engaged (see also FIG. 9) to the handle engaging portion of the sliding fastener 8 on the zipper. The coupling means 4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fastener 8, and the coupling portion 41 is sandwiched between the buttons 7 on the upper and lower buttons 7 (see FIG. 8). Since 41 is seated o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utton 7, the coupling means 4 of this type are also employ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 relatively stable engagement.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4)의 다른 예로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대략 일반적인 옷핀과 유사한 형태의 결합수단(4)이 채용될 수 있다. 이 형태의 결합수단(4)은 일단(본체(1)의 배면에서 보아 우단이 바람직함)이 본체(1)의 배면 상단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결합핀(43)과, 본체(1)의 배면 상단부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핀(43)의 자유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핀(43)을 로크 및 로크해제하는 소켓(47)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결합핀(43)의 중앙부에는 전기한 예의 결합수단에 있어서의 반원형 결합부(41)와 동일한 반원형 결합부(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4, as shown in Figure 7, the coupling means 4 of the form similar to the general clothespin that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 May be employed. Coupling means (4) of this type is one end (preferably right end as seen from the back of the main body 1) is a coupling pin 43 is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in 43 by moving the fre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onsisting of a socket 47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coupling pin 43,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in 43 The same semicircular coupling portion 45 as the semicircular coupling portion 41 in the coupling means of the above example may be further formed.

또한, 결합수단(4)의 또 다른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단이 본체(1)의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상의의 단추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넥타이핀에 연결되는 단추결합용 고리 형태의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4,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utton coupling is connected to the tie pin both ends are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can be coupled to the button on the top Dragon ring-shaped coupling means may be employed.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4)의 또 다른 예로서, 본체(1)의 배면 상단부의 양쪽에 고정설치됨으로써 목걸이줄에 의하여 본체(1)를 목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진 양쪽 결합고리(49)(49)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쪽 결합고리(49)(49)에 목걸이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목걸이줄을 목에 걸어 본체(1)를 패용할 수 있다. 상기한 양쪽 결합고리(49)(49)로 된 결합수단(4)은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예들의 결합수단(4)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와 함께 설치(도면에서는 두 번째 예의 결합수단(4)과 함께 설치된 것이 도시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결합수단이 제공될 경우에는 상의의 원하는 장소에 본체(1)를 패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목걸이줄만 양쪽 결합고리(49)(49)에 연결되면 본체(1)를 목에 걸고 다닐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s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means 4, the main body 1 is attached to the neck by a collar by be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Both engaging rings 49 and 49 made to be hooked may be employed. That is,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llar to each of the coupling rings (49) and (49), the body (1) can be worn by hanging the collar on the neck. The engaging means 4 of both engaging rings 49 and 49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alone or optionally together with one of the engaging means 4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example in the drawing). Installed with the coupling means 4 can be seen). When such a complex coupling means is provided, not only the main body 1 can be worn at the desired place of the jacket, but also the main body 1 when only the collar is connected to both coupling rings 49 and 49 as necessary. You can wear it around your neck.

본 고안에서는 결합수단(4)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또한 이 이외에도 상의의 결합위치에 따라 배지나 단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걸이줄의 양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형태의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결합수단(4)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 variety of examples as described above as the coupling means (4), but also in addition to the various combination means such as a badge or a button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top as well as both ends of the collar Any one of a typ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means (4).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본체(1), 스토퍼 핀(2), 괘지핀(3) 및 결합수단(4)은 공히 은과 같은 귀금속, 신주나 Sn계 합금인 바베트와 같은 표면 광택이 우수한 일반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 the stopper pin 2, the rubbing pin 3 and the coupling means 4 are generally excellent in surface gloss such as precious metals such as silver, barbetes made of brass or Sn-based alloys.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한편,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5는 다양한 재료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장식물(6)(제6도 참조 ; 여기서는 장식물로서 넥타이가 도시됨)을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본체(1)에 결합하기 위한 괘지클립(5)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and 5,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main body by selectively binding the ornament 6 (see Fig. 6; a tie is shown here as the ornament) made of various forms of various materials. It shows an example of the hanging clip (5) for coupling to (1).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괘지클립(5)으로서 장식물(6)의 상단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50)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본체(1)의 괘지핀(3)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후크부(53)가 상단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형태의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50)는 예컨대 양쪽 파지아암(5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형태의 괘지클립(5)과 장식물(6)과의 결합은, 예컨대 넥타이, 노리개, 장식줄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6)중 어느 한 장식물(6)의 상단부를 양쪽 파지아암(51)(52) 사이에 놓은 다음 상기 괘지클립(5)의 양쪽 파지아암(51)(52)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장식물(6)의 상단을 파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예의 괘지클립(5)은 본 고안에 있어서 채용될 수 있는 한 형태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에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물(6)을 파지 또는 지지할 수 있는 파지부(50)와 괘지핀(3)에 걸 수 있는 후크부(53)를 가지는 형태이 괘지클립이라면 어느 것이나 괘지클립(5)으로 채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50 for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on (6) as the hanging clip 5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hook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hanging pin (3) of the main body (1) The shape of the part 53 formed in the upper part is shown. The gripping portion 50 may consist of both gripping arms 51 and 52, for example. Accordingly, the combination of the hanging clip 5 and the ornament 6 of this form, for example, a tie arm, a soother, a string, the upper end of any one of the ornaments 6 of the various forms 6, such as the grip arm 51 ) Between the 52 and then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grip arms (51) 52 of the hanging clip (5) facing each other can be made by holding the top of the ornament (6). The clip clip 5 of the above example is merely an example of one type that can b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50 capable of gripping or supporting the ornament 6. If the shape having a hook portion 53 that can be hooked to the ruler pin 3 is a ruler clip, any one may be employed as the ruler clip 5.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괘지클립(5)은 장식물(6)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탄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예컨대 SKD11과 같은 Fe계 합금공구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ging clip 5 is made of a Fe-based alloy oral material such as SKD11 so as to firmly grip the decoration 6 and have a good elasticity and durability.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by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예컨대 넥타이나 장식줄, 기타 각종 소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6)이 파지부(50)에 의하여 파지 또는 지지된 괘지클립(5)을 아래에서 위로 노치부(11)를 통하여 본체(1)의 배면의 공간부로 인출한 다음, 괘지클립(5)의 후크부(53)를 본체(1)의 배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괘지핀(3)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다. 이와 같이 하면, 스토퍼 핀(2)에 의하여 노치부(11)의 개방된 부분이 막혀 있으므로 노치부(11)에 삽입된 장식물(6)의 뒤쪽이 노치부(11)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스토퍼 핀(2)에 의하여 제한되고, 이에 따라 장식물(6)의 상단부가 본체(1)밖으로 벗어나지 않고 보기좋게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 through the notch (11) from the top of the hanging clip (5), which is held or supported by the gripping portion (50) of various forms of ornaments (6) made of a tie or a cord or other various materials. After drawing to the space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hook portion 53 of the hanging clip 5 is fastened to the hanging pin 3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In this way, since the open part of the notch part 11 is blocked by the stopper pin 2, the stopper pin 2 so that the back of the ornament 6 inserted in the notch part 11 may not go out of the notch part 11. Limited to,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rnament (6) can be neatly aligned without leaving the main body (1).

이와 같이 본체(1)에 괘지클립(5)이 지지된 상태에서, 예컨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결합부(41 또는 45)가 형성된 옷핀 형태의 결합수단(4)이 채용된 경우에는 결합수단(4)이 상의의 소정이 장소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추(7)나 지퍼로 여닫는 상의에는 단추(7)나 슬라이딩 패스너(8)의 고리모양의 손잡이 결합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의의 단추(7)에 결합수단(4)을 결합할 경우에는, 상의와 단추(7) 사이에 결합수단(4)의 결합부(41 또는 45)가 위치하도록 결합수단(4)을 위에서 아래로 상위와 단추(7) 사이에 끼우면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스너(8)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수단(4)을 결합할 경우에는, 결합수단(4)의 자유단과 배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결합수단(4)의 자유단을 슬라이딩 패스너(8)의 손잡이에 끼워 손잡이가 결합수단(4)의 빠짐방지용 결합부(41 또는 45)에 위치하도록 하면, 결합부(41 또는 45)가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손잡이 결합부가 결합수단(4)의 결합부(41 또는 45)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패스터(8)의 손잡이가 제거되더라도 본체(1)가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의의 천 부분에 결합수단(4)이 결합될 경우에도 결합된 천 부분이 결합부(41 또는 45)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천 부분이 결합부(41 또는 45)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lothespin-shaped coupling means 4 having the semicircular coupling portion 41 or 45 is formed. In this case, the engaging means 4 can be reliably coupled to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upper garment, as well as the button 7 or the zippered upper ring of the button 7 or the sliding fastener 8. I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at is, when the engaging means 4 are coupled to the button 7 of the upper garment, the engaging means 4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engaging portion 41 or 45 of the engaging means 4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the button 7. It can be inserted from top to bottom between the top and the button (7). And, when engaging the engaging means (4) to the handle engaging portion of the sliding fastener (8), the sliding fastener (8) moves the free end of the engaging means (4)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ree en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ngaging means (4). If the handle is placed in the engaging portion (41 or 45)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coupling means (4), the coupling portion (41 or 45) is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handl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4). Since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portion 41 or 45, a stabl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is state, even when the handle of the sliding fastener 8 is removed as shown in FIG. 9, the main body 1 may be used as a handle substitute. In addition, even when the coupling means 4 is coupled to the fabric portion of the upper, since the combined fabric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coupling portion 41 or 45, the fabric portion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ortion 41 or 45, so that it is stable. Coupling can be maintained.

한편, 양쪽 결합고리(49)(49)의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수단(4)이 채용된 경우에는 양쪽 결합고리(49)(49)에 각각 목걸이줄의 양단을 연결하여 목에 걸면 본체(1)를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이 형태의 결합수단(4)과, 전술한 예의 결합수단(4)들이 선택적으로 함께 채용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의에 패용하거나 목걸이로 패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means 4 formed in the form of both coupling rings 49 and 49 are employed, the both ends of the collar to each of the coupling rings 49 and 49 are hooked to the neck and the main body 1, respectively. Can be used as a necklace, and furthermore, when the coupling means 4 of this type and the coupling means 4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are selectively employed together, they can be worn on the top or as a necklace as need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패션 장식물 걸이에 의하면, 다양한 패션 연출이 가능한 장식물(6)을 본체(1)의 괘지클립(5)에 결합시켜 상의의 소정의 장소, 특히 단추나 지퍼로 여닫는 상의의 경우에는 지퍼의 슬라이딩 패스너 또는 단추에도 쉽게 결합하여 패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걸이식으로 패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패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패용방법이 다양화됨으로써 다양한 패션 창출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ornament (6) capable of directing a variety of fashion to the hanging clip (5) of the main body 1, opening and closing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top, in particular buttons or zippers In the case of a jacke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sliding fastener or a button of the zipper can be worn as well as wearing a necklace, it is not only easy to wear, but also a variety of ways to create a fashion is possible.

더욱이, 본체(1) 뿐만 아니라 본체(1)에 다양한 장식물(6)이 괘지클립(5)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장식물(6)들을 선택적으로 본체(1)에 결합하여 패용할 수 있으므로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의 패션장식욕구를 쉽게 충족시킬수 있게 되고, 따라서 패션 연출을 위하여 소요되는 새 옷의 구매비용을 줄이면서도 늘 새로운 옷차림새를 유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도모된다.In addition, since the various ornaments 6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 as well as the main body 1 by the hanging clip 5, the decorative elements 6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main body 1 to be worn as necessa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eet the fashion decorative needs of young people who are sensitive to fashion, thus reducing the purchase cost of new clothes required for fashion production, while also maintaining an additional effect of maintaining a new outfit.

Claims (6)

배면이 요입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노치부(11)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노치부(11)가 상하방향으로 통하도록 상기 노치부(11)의 하단 양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퍼 핀(2)과; 상기 본체(1)의 배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양단이 상기 본체(1)의 배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괘지핀(3)과; 상기 본체(1)의 배면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의의 소정의 장소에 결합되는 결합수단(4)과; 그리고, 파지되는 장식물(6)을 상기 괘지핀(3)에 걸어 지지하는 괘지클립(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A main body 1 having a back surface recessed to form a space portion and a notch portion 1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 stopper pin (2) provided i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notch (11) so that the notch (11)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ubbing pin (3) whose both ends are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1)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of the main body (1); A coupling means (4)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place on the upper body; And, a fashion ornament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ging clip (5) for holding the decorative material (6) to be held on the hanging pin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클립(5)은 장식물(6)을 파지하는 파지부(50) 및 괘지핀(3)에 거는 후크부(5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The fashion decorative hoo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ing clip (5) has a gripping portion (50) for holding a decoration (6) and a hook portion (53) hanging on the hanging pin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은 본체(1)의 배면 상부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일단이 본체(1)의 배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외팔보 형태를 이룸과 아울러 자유단과 본체(1)의 배면과의 사이에도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반원형으로 굴곡된 결합부(41)가 형성된 옷핀 형태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upling means (4) has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o form a cantilever shape. In addition,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free en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 fashion ornament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has a clothespin shape having a coupling part (41)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은 일단이 본체(1)의 배면 상단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결합핀(43)과, 상기 결합핀(1)의 자유단쪽 본체(1)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핀(43)의 자유단을 로크 및 로크해제하는 소켓(47)으로 이루어진 옷핀 형태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coupling means 4 is one end of the coupling pin 43 is fix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1, the free end of the main body of the coupling pin (1) (1) is fixed to the back of the fashion ornament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thespin form consisting of a socket 47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in (4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43)의 중앙부에는 위로 반원형으로 굴곡된 결합부(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The fashion hang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coupling part (45)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in (4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본체(1)의 배면 상단부 양쪽에 설치된 결합고리(49)(4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장식물 걸이.The fashion ornament hang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body (1) further comprises coupling rings (49) (49) provided on both rear upper ends of the main body (1).
KR2019970004158U 1997-03-07 1997-03-07 An ornamental hanger KR2001722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58U KR200172270Y1 (en) 1997-03-07 1997-03-07 An ornamental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58U KR200172270Y1 (en) 1997-03-07 1997-03-07 An ornamental 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41U KR19980060141U (en) 1998-11-05
KR200172270Y1 true KR200172270Y1 (en) 2000-04-01

Family

ID=1949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158U KR200172270Y1 (en) 1997-03-07 1997-03-07 An ornamental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27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41U (en)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434A (en) Ornamental neckpiece
US7406840B2 (en) Multi-function jewelry chain primarily for supporting an upper torso garment
US20110277276A1 (en) Customizable garment accessory
US9289084B1 (en) Zipper assist device
US20180055120A1 (en) Functional Decorative Brooch Skirt Weights
US20110271715A1 (en) Removable Securable Interchangeable Clothing Button Jeweled System
KR200426062Y1 (en) Accessory for necktie knot
US2834080A (en) Button ornament mounting
WO2010072012A1 (en) A necktie assembly
KR200172270Y1 (en) An ornamental hanger
JP3929055B2 (en) Neck clothing
US4052771A (en) Cuff linking device
US10537159B2 (en) Adjustable garment closure
US20070261209A1 (en) Pocket jewelry clasp
JP5117697B2 (en) Accessory holder for kimono
JP3038302U (en) Multipurpose brooch
JP3145920U (en) Pin type crab
KR200365270Y1 (en) Multipurpose accessory
CN200987416Y (en) Collar clip
KR20070112588A (en) Knot accessories of necktie
JP3094254U (en) brooch
JP3063106U (en) Mounting structure of accessory parts
JP2017209471A (en) Ornament
JP3079459U (en) Decorative chains and their motif parts and clasps
US20170099894A1 (en) Body Wear Access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