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139Y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139Y1
KR200425139Y1 KR2020060016400U KR20060016400U KR200425139Y1 KR 200425139 Y1 KR200425139 Y1 KR 200425139Y1 KR 2020060016400 U KR2020060016400 U KR 2020060016400U KR 20060016400 U KR20060016400 U KR 20060016400U KR 200425139 Y1 KR200425139 Y1 KR 20042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body housing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6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결합개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결합개구로 삽입된 커넥터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부재;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해제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가 본체하우징에 삽입된 후에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커넥터의 결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접근시켜 결합하면 되므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비좁고 복잡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설치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하우징 및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의 1차 결합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커넥터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하우징 및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의 2차 결합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커넥터위확보유닛의 전면사시도,
도 3c는 도 3a에서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본체하우징의 결합개구측 전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어셈블리 10 : 본체하우징
12 : 결합개구 14 : 수용홈
16 : 슬라이딩가이드 17a, 17b : 제1수용부
18a, 18b : 제2수용부 20 : 래치부재
21 : 몸체부 23 : 걸림부
25 : 누름부 30 : 커넥터위치확보유닛
31 : 제1부재 32a, 32b : 본체부
33a, 33b : 회동핀 34a, 34b : 슬라이딩부
35 : 제2부재 40 : 결합부
41 : 걸림돌기 42 : 걸림돌기수용부
45 : 연결부 50 : 커넥터
51 : 걸림쇠 A : 고정위치
B : 개방위치
본 고안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의 체결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하나의 회로와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접속부품으로서, 자동차에서는 각종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연결부재로 사용된다.
자동차 및 이와 유사한 장치에 사용되는 커넥터들은 보통 설치시에 상호 가압되거나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스냅끼워맞춤형 커넥터들은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적절한 결합상태가 보증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커넥터와 커넥터하우징이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전기적으로는 아직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며, 비록 상호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 할지라도 진동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서 결합이 분리되거나 헐거워져 전기적 연결이 해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0093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72761호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위치확보장치(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를 마련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와 커넥터하우징이 완전히 맞물린 상태에서만 폐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맞물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거나, 커넥터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조립체의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커넥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등의 방법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커넥터위치확보장치가 본체하우징을 중심으로 커넥터가 결합되는 반대방향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설치환경에 따라 조립 및 분해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내부와 같은 좁고 복잡한 설치환경에서는 커넥터를 본체하우징에 삽입한 뒤에 본체하우징의 뒤에서 다시 밀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 고정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결합방향 또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의 체결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에 결합개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결합개구로 삽입된 커넥터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부재;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해제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은 각각 상기 본체하우징의 타단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1차결합된 후,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접근하여 상기 고정위치에서 2차결합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회동핀을 가지며, 상기 본체하우징은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1차결합될 때 상기 각 회동핀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각 회동핀이 상승한 후 2차결합될 때 상호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핀이 1차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상기 고정위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재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걸림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상호 접근할 때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돌기수용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사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본체하우징(10)과, 본체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결합개구(12)로 삽입된 커넥터(50)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부재(20)와, 본체하우징(10)에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래치부재(20)가 커넥터(50)와 결합된 상태에서 래치부재(20)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위치(A, 도 3a 참조)와 래치부재(20)가 커넥터(50)로부터 해제가능한 개방위치(B, 도 2a 참조)사이에서 이동하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30)을 포함한다.
본체하우징(10)은 일단에 커넥터(50)가 삽입되는 결합개구(12 ,도 4참조)가 형성되며, 본체하우징(10)의 타단에는 결합된 커넥터(50, 도 2b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는 수용홈(14)이 형성된다.
결합개구(12)는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는 커넥터(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체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개구(12)로 삽입되는 커넥터(50)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부재(20)가 마련된다.
래치부재(20)는 본체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결합개구(12)로 삽입된 커넥터(50)와 결합 및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래치부재(2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의 양단이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어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21)와, 결합개구(12)를 향하는 몸체부(21)의 전방에 마련되어 커넥터(50)의 걸림쇠(51)와 결합 및 해제되는 걸림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21)의 타단에는 걸림부(23)와 걸림쇠(51)가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걸림부(23)를 들어올려 걸림쇠(51)로부터 해제되게 하는 누름부(25)가 마련된다.
이에, 래치부재(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가 결합되기 전에는 걸림부(23)가 하방을 향하고 있다가 삽입되는 커넥터(50)의 상부면을 미끄러 져 진행하다가 걸림쇠(51)에 걸림유지되게 된다.
한편, 걸림부(23)를 걸림쇠(51)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누름부(25)를 하방(도 2b의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몸체부(21)가 회동하면서 걸림부(23)가 상승하여 걸림쇠(51)로부터 해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몸체부(21)는 본체하우징(10)과 소정 간격(도 2a의 참조)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몸체부(21)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위치확보유닛(30)은 본체하우징(10)에 마련되어 래치부재(20)가 커넥터(50)와 결합된 상태에서 래치부재(20)의 회동을 방지하여 커넥터(50)가 본체하우징(1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커넥터위치확보유닛(30)은 본체하우징(10)에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도 2a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되며 래치부재(20)가 커넥터(50)와 결합된 상태에서 래치부재(20)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위치(A, 도 3a 참조)와, 래치부재(20)가 커넥터(50)로부터 해제가능한 개방위치(B, 도 2a 참조)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위치확보유닛(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위치확보유닛(3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의 타단에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슬라딩되어 1차 결합된 후,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접근하여 고정위치(A)에서 2차 결합되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본체부(32a, 32b)와, 일단은 본체부(32a, 32b)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회동핀(33a, 33b)을 가질 수 있다.
회동핀(33a, 33b)은 본체부(32a, 32b)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도 1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1차 결합상태에서는 하방을 향하고 있다가 결합개구(12)를 통하여 삽입되는 커넥터(50)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본체하우징(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1차 결합될 때 각 회동핀(33a, 33b)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7a, 17b)와,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는 커넥터(50)에 의해 각 회동핀(33a, 33b)이 상승한 후 2차 결합될 때 상호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는 제2수용부(18a, 18b)를 포함할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참조).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본체하우징(10)에 1차 결합될 때에는 각 회동핀(33a, 33b)은 본체하우징(10)의 제1수용부(17a, 17b)에 수용되어 있다.
제2수용부(18a, 18b)는 래치부재(20)의 몸체부(21) 아래에 위치하며, 제1수용부(17a, 17b)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수용부(17a, 17b)와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핀(33a, 33b)은 1차 결합상태에서는 제1수용부(17a, 17b)로부터 제2수용부(18a, 18b)로 이동될 수 없다.
커넥터(50)가 결합개구(12)를 통하여 삽입되면서 회동핀(33a, 33b)을 상승시키면 회동핀(33a, 33b)은 제1수용부(17a, 17b)로부터 상승되어 제2수용부(18a, 18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수용부(17a, 17b)와 제2수용부(18a, 18b) 사이의 높이는 각 회동핀(33a, 33b)의 커넥터(50)에 의해 회동되어 상승하는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커넥터(50)는 본체하우징(10)에 완전히 삽입되어 래치부재(20)의 걸림부(23)와 걸림쇠(51)는 걸림유지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부재(31)와 제2부재(35)를 상호 접근시켜 2차 결합을 하게 되면, 회동핀(33a, 33b)은 제2수용부(18a, 18b)에 수용된다(도 4에 도시된 상태).
제2수용부(18a, 18b)에 수용된 회동핀(33a, 33b)은 몸체부(21)와 본체하우징(10) 사이의 빈공간을 채우게 되어 누름부(25)의 회동이 불가능하게 한다.
즉, 누름부(25)와 본체하우징(10) 사이에 회동핀(33a, 33b)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누름부(25)를 눌러 걸림부(23)를 상승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2차 결합된 상태에서는 래치부재(20)의 걸림부(23)와 본체하우징(10)의 걸림쇠(51)는 해제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용부(18a, 18b)의 높이는 상기 회동핀(33a, 33b)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용부(18a, 18b)의 높이가 수용된 회동핀(33a, 33b)의 두께보다 높은 경우에는 그 만큼 누름부(25)의 회동가능성 이 높아지므로 커넥터(50)와 본체하우징(10)의 견고한 고정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에는 본체하우징(10)과 1차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부(34a, 34b)가 마련되며, 본체하우징(10)에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1차 결합될 때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슬라이딩부(34a, 34b)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가이드(16)가 마련된다.
결합부(40)는 본체부(32a, 32b)에 마련되어 제1부재(31)와 제2부재(35)를 고정위치(A)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결합부(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1)에 마련된 걸림돌기(41)와, 제2부재(35)에 마련되어 걸림돌기(41)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걸림돌기수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2차 결합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걸림돌기수용부(42)의 상부에서 걸림돌기(41)를 가압하여 해제하면 된다.
여기서, 제2부재(35)에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상호 접근할 때 걸림돌기(41)를 걸림돌기수용부(42)로 안내하는 경사면(39, 도 2a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5)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를 사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5)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사출성형될 때 제1부재(31)와 제2부재(35)가 일체로 제작,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를 짝을 맞추어 생산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제조 및 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35)의 경사면(39)의 일측과 제1부재(31)의 단부가 막힌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막힌지는 2차 결합시 제1부재(31)와 제2부재(35)를 상호 접근시킬 때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1부재(31)와 제2부재(35)의 제조 및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1차 결합시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를 본체하우징(10)에 슬라이딩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간편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및 분해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1)와 제2부재(35)를 본체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시켜 1차 결합을 한다.
이 때,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가 본체하우징(10)의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각 슬라이딩부(34a, 34b)가 본체하우징(10)의 슬라이딩가이드(16)에 안내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의 각 회동핀(33a, 33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7a, 17b)에 수용되게 되며, 래치부재(20)의 걸림부(23) 역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고 있다.
다음, 상기 1차 결합상태에서 본체하우징(10)의 전방으로 커넥터(50)를 삽입한다.
커넥터(50)가 결합개구(12)로 삽입될 때, 커넥터(50)의 걸림쇠(51)는 본체하우징(10)의 걸림부(23)에 걸림유지되며(도 3c 참조), 동시에 커넥터(50)의 단부는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의 회동핀(33a, 33b)을 상승시켜 도 3b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1) 및 제2부재(35)를 상호 접근시켜 2차결합을 한다.
이 때, 각 회동핀(33a, 33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부(18a, 18b)에 수용되게 되는데, 제2수용부(18a, 18b)에 수용된 회동핀(33a, 33b)은 누름부(25)의 회동을 막아 걸림부(23)가 걸림쇠(51)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한편, 제1부재(31)에 마련된 걸림돌기(41)는 제2부재(35)에 마련된 걸림돌기수용부(42)를 향하여 이동되어 수용되게 되며, 이때, 제2부재(35)의 단부에는 경사면(39)이 형성되어 있어 제2부재(35)의 단부가 걸림돌기(41)를 용이하게 지나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넥터(50)를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부재(31)에 마련된 걸림돌기(41)를 제2부재(35)의 걸림돌기수용부(42)로부터 해제한 후에, 제1부재(31)와 제2부재(35)를 상호 이격시켜 각 회동핀(33a, 33b)을 제2수용 부(18a, 18b)에서 이탈시킨다.
다음, 래치부재(20)의 누름부(25)를 하방으로 눌러 걸림부(23)를 상승시켜 걸림쇠(51)로부터 해제시키면 커넥터(50)를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커넥터가 본체하우징에 삽입된 후에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커넥터의 결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접근시켜 결합하면 되므로 장착에 적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비좁고 복잡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설치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에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1차 결합된 상태로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므로 설치공간 내에서 본체하우징에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7)

  1. 일단에 결합개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결합개구로 삽입된 커넥터와 결합 및 해제되는 래치부재; 및
    상기 본체하우징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해제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위치확보유닛은 각각 상기 본체하우징의 타단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1차결합된 후,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접근하여 상기 고정위치에서 2차결합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회동핀을 가지며,
    상기 본체하우징은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1차결합될 때 상기 각 회동핀 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각 회동핀이 상승한 후 2차결합될 때 상호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핀이 1차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상기 고정위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재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제2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걸림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상호 접근할 때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돌기수용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사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60016400U 2006-06-19 2006-06-19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2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00U KR200425139Y1 (ko) 2006-06-19 2006-06-19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00U KR200425139Y1 (ko) 2006-06-19 2006-06-19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139Y1 true KR200425139Y1 (ko) 2006-08-30

Family

ID=4177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00U KR200425139Y1 (ko) 2006-06-19 2006-06-19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30B1 (ko) 2006-09-11 2008-03-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30B1 (ko) 2006-09-11 2008-03-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램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6250B (zh) 具有杆的电连接器
US700825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 actuating mechanism
KR100875066B1 (ko) 이중 래칭 및 피드백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레버형 전기 커넥터
US5888081A (en) Lever connector
US7465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US792712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ble securing device
US7052293B2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CN102544856B (zh) 连接部件
JP2013016524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633199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8695646B (zh) 插头连接器和产生插头连接的方法
US7731519B1 (en)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KR101257617B1 (ko)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70037663A (ko) 개선된 단자 장착 하우징 수단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EP1905134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8352656B (zh) 连接器装置
KR200425139Y1 (ko) 커넥터 어셈블리
WO2002073749A9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KR100988793B1 (ko) 레버타입커넥터
US20050272316A1 (en) Plug connector having a securing element with integrated damping element
US20220393396A1 (en) Plug connection with backlash-free preload
US12009618B2 (en) Plug connection with backlash-free preload
EP2362974A1 (en) Mate-assist with an off-centre lever
EP1955417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in a panel cutout
US9627794B2 (en) Connector element having a contact module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