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07Y1 -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07Y1
KR200424907Y1 KR2020060017616U KR20060017616U KR200424907Y1 KR 200424907 Y1 KR200424907 Y1 KR 200424907Y1 KR 2020060017616 U KR2020060017616 U KR 2020060017616U KR 20060017616 U KR20060017616 U KR 20060017616U KR 200424907 Y1 KR200424907 Y1 KR 200424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wave
center frequency
mhz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주홍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광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상의 기지국에서 광중계기로 데이터를 내려주는 RIFU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중간 대역 변환용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준파 생성기; 입력 신호와 상기 중간 대역 변환용 기준파를 믹싱하여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믹서; 복수개의 주파수들 중 하나를 가지는 출력 변환용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파 생성기; 상기 출력 변환용 기준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2 PLL 회로; 상기 제2 믹서가 생성한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출력 변환용 기준파를 믹싱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서의 Transmitter는 낮은 주파수 신호를 믹서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향 이동시켜 높은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데 반해, 본 고안의 Transmitter는 낮은 주파수 신호를 믹서를 통해 한번은 상향 이동시키고, 한번은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업, 다운을 혼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높은 주파수를 생성한다. Receiver 또한 높은 주파수를 믹서를 통해 순차적으로 하향 이동시켜 낮은 주파수를 발생하는데 반해, 본 고안의 Receiver에서도 높은 주파수를 받아 한번은 상향 이동시키고, 한번은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업, 다운을 혼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낮은 주파수를 생성하는 새로운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이 적용된다.
RIFU, 광 중계기, 무선 인터넷, 기지국, PLL

Description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REPEATER INTERFACE UNIT}
도 1은 하나의 믹서를 사용하여 구현한 3FA 출력 신호를 가지는 TX 경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하나의 믹서를 사용하여 구현한 3FA 입력 신호를 가지는 RX 경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3a 및 3b는 2개의 믹서를 사용하여 구현한 3FA 출력 신호를 가지는 TX 경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및 위상도.
도 4a 및 4b는 2개의 믹서를 사용하여 구현한 3FA 입력 신호를 가지는 RX 경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및 위상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2, 412 : 제1 믹서 314, 414 : 제1 기준파 발생기
316, 416 : 제1 PLL 회로 318, 418 : 제1 대역 통과 필터
322, 422 : 제2 믹서 324, 424 : 제2 기준파 발생기
326, 426 : 제2 PLL 회로 328, 428 : 제2 대역 통과 필터
본 고안은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광중계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신호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상의 기지국과 광중계기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주파수 변환 경로로 사용되는 RIFU(Repeater InterFace Unit)에 관한 것이다.
CDMA 셀룰라 또는 PCS, Wibro 등의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시, 지상의 인구밀도가 낮은 산간지역, 농어촌지역 또는 읍,면소재지 등이나 차량 통행량이 적은 외곽 도로와 같은 전파 음영지역이나 전파 미약지역에 원활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중계 장치를 사용한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원활한 통신소통 환경을 구축하고 또한 그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목적으로 중계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중계기는 시설투자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이 적고 그 설치의 용이성에 따라 시설 투자비를 조기에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지상의 전파 음영지역, 전파 음영지역, 서비스 미보급지역등에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용으로 많이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RF 중계기는 모 기지국의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중계주파수와 중계기와 서비스 주파수가 동일하여 중계기 내 부에서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RF 중계기 상에서는 아이솔레이션 문제가 발생하고 전송효율면에서 불리하므로, 최근에는 광중계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 기지국의 통신 트래픽이 증가될 것에 대비하여, 복수개의 FA를 운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섹터마다 다른 FA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 광 중계기를 적용하면 복수개의 다른 주파수 신호들 각각을 해당 광 중계기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다른 주파수별로 광 중계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따로따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다른 주파수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는 리피터/중계기 설비의 대량 생산에 용이하며, 설치가 완료된 기지국에서의 FA 변환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하나의 대역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다수개의 대역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대역을 가지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다수개의 대역 중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파를 사용하여 입력신호를 변환하여 적합한 대역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현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로 출력 신호가 선택적인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믹싱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출력 신호가 가질 수 있는 모든 대역폭을 포함하는 통과 대역을 가져야 하는데, 이 경우 잡음이 충분히 억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가변 대역폭을 가지는 기준파의 주파수가 100 MHz보다 낮은 경우에는, 생성된 기준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변 대역 PLL회로의 구현이 곤란하다 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믹싱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 믹싱된 신호의 주파수가 낮을 경우(15MHz 정도)에는 잡음 제거 성능이 충분하도록 제작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환 손실이나 변환 잡음 추가를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는 중계기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광 중계기 모듈과 AD/DA 컨버터간에 신호 전송 경로 상의 주파수 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계기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심화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FA를 가질 수 있는 수백 ~ 수십MHz대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FA를 가져 기지국으로의 설치 후 FA 변환이 용이하고, 다중 FA 또는 다중 섹터 환경의 요구조건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확장 성이 높은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리피터/중계기 설비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준파 생성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믹서; 제2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파 생성기; 상기 제1 믹서가 생성한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믹서; 및 상기 제1 믹서의 플러스 믹싱 신호를 상기 제2 믹서가 믹싱한 신호들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로 선택되도록 하는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서의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낮은 주파수 신호를 믹서를 통한 두 번의 플러스 믹싱을 수행하여 높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데 반해, 본 고안의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낮은 주파수 신호를 믹서를 통해 한번은 플러스 믹싱하고, 한번은 마이너스 믹싱하는 방식으로 높은 주파수를 생성한다.
또한, 기존의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서의 R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도 높은 주파수 신호를 믹서를 통한 두 번의 마이너스 믹싱을 수행하여 낮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데 반해, 본 고안의 R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높은 주파수 신호를 받아 한번은 플러스 믹싱하고, 한번은 마이너스 믹싱하는 방식으로 낮은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계기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비스 지역의 통신 트래픽 변동에 따른 기지국의 대응이 중요한 무선 휴대인터넷(예: Wibro 서비스) 등의 서비스 사업자의 기지국 장치와 음영 지역 등에 설치되는 광 중계기 간의 전송 데이터의 주파수 변환에 사용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무선 휴대인터넷 시스템 등의 기지국 장비는, 원형의 담당 지역을 복수개의 섹터로 구분하고, 각 섹터를 담당하는 복수개의 채널 카드를 구비한다. 또한, 어느 한 섹터에 통신 트래픽이 증가하면 이를 처리하게 위해 동일한 섹터 내에 각각 할당 주파수(FA)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채널 카드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채널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장래에 복수개의 채널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광 중계기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수개의 운용 주파수에서 광 전송용 주파수로 변경하는 기능 또는 광 전송용 주파수에서 다수개의 운용 주파수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현장에서 요청되고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확장 가능성 및 하드웨어의 절감 요청 상의 절충안으로, 인접한 3개의 운용 주파수와 광 전송 주파수간 변환을 수행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다소 유용하다.
(비교예 1)
도 1은 가장 간단한 구조로 구현한 인접한 3개의 운용 주파수(FA)와 광 전송 주파수간 변환을 수행하는 TX 경로상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다. 도시한 바와 같은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 신호와 변환용 기준파를 믹싱하기 위한 믹서(112); 3개의 주파수를 가지는 변환용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파 생성기(114); 및 상기 기준파 생성기(114)의 생성 파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PLL 회로(116); 및 상기 믹서(1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118) 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는 DA 컨버터의 출력 아날로그 신호로서, 1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신호이며, 본 비교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현되는 장비의 사양에 따라 고정된 값을 가진다.
상기 기준파로서 FA를 지정하는 설정 신호에 따라 110Mhz, 101Mhz 또는 119Hhz의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를 110Mhz의 기준파와 믹싱하면, 12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20.5Mhz에서 129.5Mhz사이의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 이 경우 주파수 변환에 사용되는 신호는 120.5Mhz에서 129.5Mhz사이의 신호이므로 그 외 대역의 신호는 잡음으로 간주하여 최대한 억제하여야 한다. 120.5Mhz에서 129.5Mhz의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마이너스 방향으로 9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91.5Mhz에서 99.5Mhz사이의 신호도 함께 생성되지만 요망하는 주파수 변환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상기 대역 통과 필터 등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리 행해진 설정 신호에 따라 101Mhz의 기준파를 사용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입력 신호를 믹싱하면, 111.5Mhz에서 120.5Mhz의 출력 신호가 생성되며, 111.5Mhz에서 120.5Mhz의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신호에 따라 119Mhz의 기준파를 사용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입력 신호를 믹싱하면, 129.5Mhz에서 138.5Mhz의 출력 신호가 생성되며, 129.5Mhz에서 138.5Mhz의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PLL 회로(116)는 기준파 생성기가 생성하는 기준파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생성되는 기준파의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PLL 회로로 구현하면 무방하다. 각 기준파의 3 주파수 마다 하나씩 총 3개의 PLL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비용 및 구현 공간의 절감을 위해 하나의 9Mhz씩 변경할 수 있는 가변 PLL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에는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설정 신호에 따라 3개의 대역 통과 필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과하도록 구현하거나, 기준파가 어떤값을 가지더라도 고정된 30Mhz정도의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비용 및 구현 공간의 낭비라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필터의 대역폭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서 상당량의 잡음이 억제되지 않고 통과된다는 단점이 있다.
(비교예 2)
도 2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 구현한 인접한 3개의 운용 주파수(FA)와 광 전송 주파수간 변환을 수행하는 RX 경로상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다. 도시한 바와 같은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 신호와 변환용 기준파를 믹싱하기 위한 믹서(212); 3개의 주파수 중 하나를 가지는 변환용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파 생성기(214); 및 상기 기준파 생성기(214)의 생성 파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PLL 회로(216); 및 상기 믹서(2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대역 통과 필 터(218)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는 7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70.5Mhz에서 79.5Mhz사이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66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61.5Mhz에서 70.5Mhz사이의 신호가 입력되거나, 84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79.5Mhz에서 88.5Mhz사이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기준파 생성기(214)는 외부 조정 신호에 따라, 51Mhz, 60Mhz, 69Mhz의 기준파 중 하나를 생성하는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66Mhz 이면 51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고 75Mhz이면 60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고, 84Mhz이면 69Mhz의 기준파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믹서의 출력은 항상 15Mhz를 중심주파수를 하여 10Mhz에서 19.5Mhz의 신호가 생성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된 출력 신호의 대역폭은 본 비교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현되는 장비의 사양에 따르게 된다. 플러스 방향으로 믹싱되는 신호 및/또는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약 10Mhz의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218)를 구비한다.
상기 PLL 회로(216)는 기준파 생성기(214)가 생성하는 기준파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생성되는 기준파의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PLL 회로로 구현하면 무방하다.
그런데, 각 기준파의 3 주파수 마다 하나씩 총 3개의 PLL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비용 및 구현 공간의 절감을 위해 하나의 9Mhz씩 변경할 수 있는 가변 PLL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90Mhz 이하의 주파수에서 9Mhz의 가변 PLL회로를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용이하지는 않다.
상기 비교예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사상인 입력 신호를 먼저 플러스 믹싱한 후 마이너스 믹싱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리퍼터에 대한 실시예들을 하기에 제시하겠다.
(실시예 1)
상기 제1 비교예 및 제2 비교예의 경우 PLL 회로와 대역 통과 필터의 구현에 있어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입력 신호를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보다 높은 소정의 중간 대역으로 변환하여 처리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실시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내장하기 위한 TX 경로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중계기를 위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하면, 기지국 장치 내의 DA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당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기지국 시스템과 이격된 광 중계기 모듈로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와이브로 같은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 중계기에 사용되는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예컨대 1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입력 신호를, 12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출력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다수개의 FA를 가지는 경우나, 다수개의 섹터의 신호를 한 종류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로 처리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실시예는 1FA/3sector 및 3FA/OMNI 모두가 지원 가능하도록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생성하는 출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125MHz 및 125MHz에서 9MHz단위로 증감된 값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구현하였다. 본 고안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본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에 구체화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1FA/3sector로 구현하는 경우나 3FA로 구현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125, 134, 116MHz 중 하나의 값을 선택적으로 가지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T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로 예를 들어 도시된다. 용도에 따라 상기 도면에 표시한 것과 다른 주파수의 입력/출력 신호 및 중간 대역 신호에 대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도 있으며, 출력 신호 주파수의 가지수도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준파 생성기(314);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상향 이동시킨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믹서(312); 3개의 주파수 중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파 생성기(324); 상기 제1 믹서에서 생성된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하향 이동시킨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믹서(322); 상기 제1 믹서(3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대역 통과 필터(318); 및 상기 제2 믹서가 믹싱한 신호들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로 선택되도록 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32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준파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1 PLL 회로(316) 및 상기 제2 기준파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2 PLL 회로(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비교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DA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1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신호이며, 본 실시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현되는 장비의 사양에 따라 고정된 값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믹싱하려는 2개의 신호 중 데이터가 포함되는 신호는 일정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데이터 신호)이며, 다른 하나의 신호는 단일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서, 믹싱 작업의 기준파로서 기능한다. 상기 2개의 신호를 믹싱하면,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 만큼 높여준 주파수를 가지는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데이터 신호에 주파수에 마이너스를 취한 값의 주파수를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 만큼 높여준 주파수를 가지는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기준파의 주파수가 더 높으면 플러스 믹싱 신호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같은 위상 패턴을 가지며, 마이너스 믹싱 신호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반대의 위상 패턴을 가지게 된다. 또한, 기준파의 주파수가 더 낮으면 플러스 믹싱 신호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반대의 위상 패턴을 가지며 마이너스 믹싱 신호는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같은 위상 패턴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믹서(312) 및 제2 믹서(314)는 2개의 신호를 믹싱하여, 2개의 신호의 주파수들을 합한 주파수를 가지는 변환 신호(즉, 플러스 믹싱 신호) 및 2개의 신호의 주파수들을 차감한 주파수를 가지는 변환 신호(즉, 마이너 스 믹싱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입력 신호를 380MHz의 중간 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제1 믹서(312)에 사용되는 제1 기준파는 365Mhz의 고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314)는 365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회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를 위한 제1 PLL 회로(316)는 365Mhz에 동기되는 회로로 구현하면 무방하며, 고정된 주파수를 생성함에 따라 주파수 변동 가능성이 낮음을 감안하면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를 위한 제1 PLL 회로(316)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믹서(312)에 의해 변환된 중간 대역 신호는 380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375.5Mhz에서 384.5M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여기서, 380MHz는 무선 신호처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주파수이므로, 상기 380MHz 부근의 대역을 가지는 중간 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소자의 구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324)는 설정 신호에 따라 246Mhz, 255Mhz, 264Mhz 중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기준파를 생성한다. 상기 설정 신호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중에 외부(예: 광 중계기)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일 수도 있고, 딥 스위치 등에 의한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정-기록되는 값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PLL 회로(326)는 상기 246Mhz, 255Mhz, 264Mhz 중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기준파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9Mhz 단위의 가변 PLL 회로로 구현한다. 여기서 가변 PLL을 위한 주파수가 250Mhz대로 비교적 커서 가변 PLL 회로 구현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믹서(322)에서 생성된 출력 신호는 상기 설정 신호에 따라 246Mhz의 기준파를 사용하면 111.5Mhz에서 120.5Mhz의 출력 신호가 생성되며, 255Mhz의 기준파를 사용하면 120.5Mhz에서 129.5Mhz의 출력 신호가 생성되며, 264Mhz의 기준파를 사용하면 129.5Mhz에서 138.5Mhz의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제2 믹서(32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2 대역 통과 필터(328)는 상기 기준파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설정 신호에 따라 3개의 대역 통과 필터(111.5Mhz ~ 120.5Mhz, 120.5Mhz ~ 129.5Mhz, 129.5Mhz ~ 138.5Mhz)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과하도록 구현하거나, 기준파가 어떤값을 가지더라도 고정된 30Mhz 정도의 대역폭(111.5Mhz ~ 138.5Mhz)을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비용 및 구현 공간의 낭비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후자가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필터 대역폭이 넓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잡음 차단 성능 감소의 문제는 상기 제1 믹서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10Mhz의 대역폭(375.5Mhz ~ 384.5Mhz)을 가지는 별도의 중간 대역용 제1 대역 통과 필터(318)를 구비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의 경우는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318)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328)를 경유한 출력 신호는 외부의 광 중계기 모듈로 전달된다.
상기 기술한 내용을 입력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의 관점에서 정리하겠다. 후술하는 신호 변환 방법은 특히, RF 신호 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IF 입력 신호를 상기 IF 입력 신호와 다른 중심주파수를 갖는 IF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중계기와 송신 경로를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신호 변환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와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 보다 높은 중심 주파수를 갖는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 대역 신호 중 플러스 믹싱 신호가 선택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제1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중간 대역 신호 사이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신호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선택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제2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대역 신호 생성 단계의 수행 결과 생성되는 중간 대역 신호에는,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필터링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향 이동시킨 신호인 플러스 믹싱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출력 신호 생성 단계의 수행 결과 생성되는 출력 신호에는,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제2 필터링 단계는,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하향 이동시킨 신호인 마이너스 믹싱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파는 다수개(도면에서는 246MHz, 255MHz 및 264MHz의 3개)의 주파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지므로, 상기 제2 필터링 단계에서는 각 기준파들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너스 믹싱 신호들을 모두 통과시킬 수 있는 대역폭을 가지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b는 상기 제1 믹서(312) 및 제2 믹서(322)에 의한 변환 신호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믹서(312)의 출력 신호는 365MHz를 기준으로, 입력 신호 주파수와 제1 기준파 주파수가 합해진 값의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플러스 믹싱 신호와, 입력 신호 주파수와 제1 기준파 주파수가 차감된 값의 주파수를 가지며 입력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마이너스 믹싱 신호로 출력되는데, 이 중 제1 대역 통과 필터(418)에 의해 플러스 믹싱 신호만이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제2 대역 통과 필터(428)에 의해 상기 제2 믹서(322)의 출력 신호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만이 선택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대역 통과 필터(318, 328)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의 대역폭을 선택하였지만, 구조의 간소화를 추구하는 구현에서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하나만을 구비하여 출력 신호의 대역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내장하기 위한 RX 경로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중계기를 위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하면, 기지국 시스템과 이격된 광 중계기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당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기지국 장치 내의 AD 컨버터로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와이브로 같은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에 사용되는 R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 12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20.5Mhz에서 129.5Mhz사이의 입력 신호를, 1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야 한다. 다수개의 FA를 가지는 경우나, 다수개의 섹터의 신호를 한 종류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로 처리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실시예의 R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중심 주파수가 125MHz 및 125MHz에서 9MHz단위로 증감된 값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지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구체화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1FA/3sector로 구현하는 경우나 3FA로 구현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125 MHz, 134 MHz, 116MHz 중 하나의 값을 선택적으로 가지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RX 경로용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다. 용도에 따라 상기 도면에 표시한 것과 다른 주파수의 입력/출력 신호 및 중간 대역 신호에 대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도 있으며, 입력 신호 주파수의 가지수도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3개의 주파수를 가지는 중간 대역 신호 변환용 제1 기준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준파 생성기(414);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상향 이동시킨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믹서(412); 제2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파 생성기(424); 상기 제1 믹서에서 생성된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하향 이동시킨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믹서(422); 상기 제1 믹서(4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대역 통과 필터(418); 및 상기 제2 믹서가 믹싱한 신호들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로 선택되도록 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42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준파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1 PLL 회로(416) 및 상기 제2 기준파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2 PLL 회로(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상기 제2 비교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광 중계기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7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70.5Mhz에서 79.5Mhz사이의 신호이거나, 66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61.5Mhz에서 70.5Mhz사이의 신호이거나, 84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79.5Mhz에서 88.5Mhz사이의 신호이다.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414)는 외부 조정에 따라, 296Mhz, 305Mhz, 314Mhz의 기준파를 생성하는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66Mhz 이면 314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고 75Mhz이면 305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고, 84Mhz이면 296Mhz의 기준파를 생성한다. 즉, 61.5Mhz ~ 70.5Mhz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314MHz의 제1 기준파를 생 성하며, 70.5Mhz ~ 79.5Mhz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305MHz의 제1 기준파를 생성하며, 79.5Mhz ~ 88.5Mhz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296MHz의 제1 기준파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믹서(412)의 출력은 항상 380Mhz를 중심주파수를 하여 375.5Mhz에서 384.5Mhz의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380MHz는 무선 신호처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주파수이므로, 상기 380MHz 부근의 대역을 가지는 중간 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소자의 구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1 기준파 생성기(414)의 기준파의 주파수 결정 방법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별도의 수단 또는 입력 신호에 대한 태그 등의 정보로부터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현하거나, 딥 스위치 같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기록 수단을 사용하여 미리 고정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대역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제2 믹서(422)에 사용되는 기준파는 365Mhz의 고정된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424)는 365Mhz의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회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424)를 위한 제2 PLL 회로(426)는 365Mhz에 동기되는 회로로 구현하면 무방하며, 고정된 주파수를 생성함에 따라 주파수 변동 가능성이 낮음을 감안하면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를 위한 제2 PLL 회로(426)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믹서(422)에 의해 변환된 출력 신호는 15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여 10.5Mhz에서 19.5M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이는 상기 제2 믹서의 출력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만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플러스 믹싱 신호 및/또는 잡음을 억제 하기 위해 15Mhz의 중심 주파수에 약 10Mhz의 통과 대역폭을 가지는 제2 대역 통과 필터(428)를 사용한다. 상기 고정된 출력 신호의 대역폭은 본 실시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현되는 장비의 사양에 따르게 된다.
구현에 따라 상기 제1 믹서(412)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대역 통과 필터(4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418)는 대역폭이 10MHz 정도로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는 필터 또는 중심주파수가 각각 다르며 10MHz 대역폭의 필터 3개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중심 주파수가 380Mhz로 고정된 30Mhz 정도의 대역폭을 가지는 필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328)를 경유한 출력 신호는 외부의 AD 컨버터로 전달된다.
상기 기술한 내용을 입력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의 관점에서 정리하겠다. 후술하는 신호 변환 방법은 특히, RF 신호 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IF 입력 신호를 상기 IF 입력 신호와 다른 중심주파수를 갖는 IF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중계기와 송신 경로를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신호 변환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와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 보다 높은 중심 주파수를 갖는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 대역 신호 중 플러스 믹싱 신호가 선택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제1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제2 기준파를 믹 싱하여 기저 대역 신호와 상기 입력 신호 사이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신호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선택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제2 필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대역 신호 생성 단계의 수행 결과 생성되는 중간 대역 신호에는,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필터링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향 이동시킨 신호인 플러스 믹싱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파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수개(도면에서는 296MHz, 305MHz 및 314MHz의 3개)의 주파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지므로,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대역폭은 375MHz에서 384MHz의 값을 가지면 된다.
상기 출력 신호 생성 단계의 수행 결과 생성되는 출력 신호에는,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제2 필터링 단계는,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하향 이동시킨 신호인 마이너스 믹싱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 4b는 상기 제1 믹서(412) 및 제2 믹서(422)에 의한 변환 신호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믹서(412)의 출력 신호 중 플러스 믹싱 신호만이 선택되며, 상기 제2 믹서(422)의 출력 신호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만이 선택된다. 도시한 플러스 믹싱 신호의 선택 및 마이너스 믹싱 신호의 선택은 제1 대역 통과 필터(418) 및/또는 제2 대역 통과 필터(42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은 본 고안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실시함에 의해, 변환 손실이나 변환 잡음 추가를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 중계기 모듈과 AD/DA 컨버터간에 데이터 주파수 변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개의 FA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수백 ~ 수십MHz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9)

  1. RF 신호 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IF 입력 신호를 상기 IF 입력 신호와 다른 중심주파수를 갖는 IF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중계기와 인터페이스 경로를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제1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준파 생성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상향 이동시킨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믹서;
    제2 기준파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기준파 생성기;
    상기 제1 믹서에서 생성된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하향 이동시킨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가 믹싱한 신호들 중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상기 출력 신호로 선택되도록 하는 제2 필터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의 생성 파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1 PLL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의 생성 파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2 PLL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대역 신호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보다 높은 중심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대역 신호는 380M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대역 신호는 380M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며, 375.5Mhz에서 384.5Mhz 사이의 아날로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믹서는 상기 입력 신호와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포함하는 중간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1 믹서가 믹싱한 신호들 중 플러스 믹싱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필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믹서는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플러스된 플러스 믹싱 신호와, 상기 중간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제2 기준파의 중심주파수가 마이너스된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파 생성기는 설정 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주파수들 중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기준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의 중계기 모듈과의 송신(Tx)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신호 보다 높은 중심 주파수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15MHz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이며, 상기 출력 신호는 116MHz, 125MHz 및 134MHz의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는 365MHz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파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기준파는 246MHz, 255MHz 및 264MHz의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제1 기준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링 수단은,
    상기 중간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기준파를 믹싱하여 생성되는 마이너스 믹싱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파 생성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복수개의 주파수들 중 선택된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1 기준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의 중계기 모듈과의 수신(Rx)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입력 신호 보다 낮은 중심 주파수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75MHz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이며, 상기 출력 신호는 6MHz, 15MHz 및 24MHz의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파는 296MHz, 305MHz 및 314MHz의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이며, 상기 제2 기준파는 365MHz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링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제1 기준파를 믹싱하여 생성되는 플러스 믹싱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20060017616U 2006-06-29 2006-06-29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424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16U KR200424907Y1 (ko) 2006-06-29 2006-06-29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16U KR200424907Y1 (ko) 2006-06-29 2006-06-29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096A Division KR100764166B1 (ko) 2006-04-18 2006-04-18 리피터 인터페이스 유닛 및 그 신호 변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07Y1 true KR200424907Y1 (ko) 2006-08-28

Family

ID=4177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16U KR200424907Y1 (ko) 2006-06-29 2006-06-29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42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다중대역 라디오 장치 및 방법
EP1675270B1 (en) Noise removing apparatus for wireless transceiver
KR20170031756A (ko)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CN101116272A (zh) 通信装置
CN109412639B (zh) 微波通信同频干扰防护装置
KR100313748B1 (ko) 주파수 변환기 및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960332B1 (ko) 다중-채널 디지털 무선 통신
JP5911811B2 (ja) 1つまたはそれより多い第一の周波数帯域において受信/送信される電磁信号を送信/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H11331026A (ja) 二重帯域移動電話ハンドセット
KR100764166B1 (ko) 리피터 인터페이스 유닛 및 그 신호 변환 방법
KR200424907Y1 (ko) 리피터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40467B1 (ko) 양방향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JP2011250093A (ja) 受信機及び送信機
JP2013168701A (ja) 送受信モジュール
RU239437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цифр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в тропосферных линиях связи
CN106605445B (zh) 射频拉远单元、接收机和基站
KR20090054803A (ko) 필터뱅크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RU2308149C2 (ru) Приемный радиоцентр (варианты)
WO2003036830A1 (en) Low noise transmitter architecture using foldover selective band filtering and method thereof
KR100400926B1 (ko)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수신장치
US20100022210A1 (en) Receiv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37947B2 (en) Filter apparatus, multiplex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KR101037835B1 (ko) 마이크로웨이브 링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섹터를 서비스하기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JP5871429B2 (ja) 中継システム
KR100497940B1 (ko) 무선 랜 중계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