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868Y1 -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868Y1
KR200424868Y1 KR2020060015763U KR20060015763U KR200424868Y1 KR 200424868 Y1 KR200424868 Y1 KR 200424868Y1 KR 2020060015763 U KR2020060015763 U KR 2020060015763U KR 20060015763 U KR20060015763 U KR 20060015763U KR 200424868 Y1 KR200424868 Y1 KR 200424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ust
dust cup
coupling portion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출
Original Assignee
김향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출 filed Critical 김향출
Priority to KR2020060015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71Devices for removing chips dust collectors for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0Chip guiding or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쪽에 개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드릴 구멍이 형성된 분진컵과; 상기 분진컵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드릴기가 삽입되도록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드릴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릴 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드릴기를 조이기 위한 복수의 조임나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규격이 다른 드릴기가 사용되어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적응성이 뛰어나고 조립이 간단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드릴, 분진, 수거, 가이드봉, 조임나사, 스토퍼

Description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A DUST GATHERING APPARATUS IN DRILLING}
도 1은, 종래 드릴용 이물질받이장치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드릴의 분진방지장치와 드릴의 다른 결합구조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에서 분진방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드릴기에 장착된 분진수거장치의 구조를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드릴기에 장착된 분진수거장치의 구조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분진컵
110... 개구
150... 드릴 구멍
200... 가이드봉
300... 드릴 결합부
400... 조임나사
500... 안내 파이프
600... 압축 스프링
1000... 분진수거장치
본 고안은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기의 종류에 대하여 적응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한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공사, 설비공사, 건물천정공사 또는 철물공사 등 각종 공사를 실시할 때에는 콘크리트로 된 천정 슬라브나 벽면에 전기드릴기, 전동드릴기 또는 진동드릴기를 사용하여 앵커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0191026호에는 이러한 천정이나 벽면의 드릴링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이에 관하여 아래에 간략히 기술하도록 한다.
먼저, 전기드릴기를 사용하여 천정 슬라브나 벽면을 천공할 때, 드릴이 점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콘크리트 가루와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 가루와 분진과 같은 이물질을 받아주는 장치가 전기드릴기에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이물질들이 바닥에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었다.
또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콘크리트 가루와 분진 등이 드릴링 작업을 실시하는 주변에 비산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고, 비산된 미세먼저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였다.
또한, 작업을 완료한 후 항상 작업자는 목욕과 세탁을 실시하여야 하고 오염된 주변도 깨끗하게 청소해 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1026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드릴용 이물질받이장치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릴용 이물질받이장치는 전기드릴(1)의 슬리브(4)에 장착하여 드릴링 작업시에 발생하는 가루와 분진 등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장치로서, 외주면 일단에 환상돌기(21-1)가 형성된 고정관(21)에 지지판(22)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판(22)의 외측에는 중간에 주름부가 형성된 받이컵(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물질받이컵(20-1)을 형성하며, 이물질받이컵(20-1)의 고정관(21)에 통상의 고정밴드(30)를 삽입 결합시켜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릴용 이물질받이장치에 따르면,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재로 이루어진 받이컵(23)에 주름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강도가 비교적 약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가루나 분진이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자중으로 인해 변형되어 쳐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드릴의 슬리브 치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고정관(21)의 치수가 달라져야 하므로 다른 규격으로 교체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론, 받이컵(23)의 원주방향 1개소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변화하는 드릴기의 슬리브 치수에 대응하게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받이컵(23)의 밀폐가 어려워 비산되는 분진을 완전히 차단하기가 어렵고, 슬리브와의 견고한 결합도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31204호에는 종래의 해머드릴용 분진방지장치의 또 다른 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그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해머드릴용 분진방지장치는, 제 1 분진컵(100), 제 2 분진컵(110), 제 3 분진컵(140), 분진컵 결합부(120) 및 상기 분진컵들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스프링(130)(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진컵(100)은, 투명 재질의 제 1 측벽(102)과 제 1 바닥면(104)이 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 1 바닥면(104)에는 드릴 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드릴 통과구(106)가 관통되게 가공되고, 상기 제 1 드릴 통과구(106)가 가공된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상기 제 1 측벽(102)이 이루는 공간 내부로 경사지게 상기 제 1 바닥면(1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진컵(110)은, 상기 제 1 측벽(102)이 끼워질 수 있는 제 2 측벽(112)과, 상기 제 2 측벽(112)과 연결되며 드릴 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2 드릴 통과구(116)가 관통되게 가공된 제 2 바닥면(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분진컵(140)은, 상기 제 1 분진컵(100)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투명재질의 제 3 측벽(142)과 제 3 바닥면(144)이 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3 바닥면(144)에는 드릴 날이 통과할 수 있는 제 3 드릴 통과구(146)가 관통되게 가공되며, 상기 제 3 바닥면(144)은 상기 제 3 드릴 통과구(146)가 가공된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상기 제 3 측벽(142)이 이루는 공간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진컵 결합부(120)는, 상기 제 2 분진컵(110)의 외면에 부착되어 드릴 본체에 상기 제 2 분진컵(11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진컵(100)의 외부 하면에는 제 1 코일 스프링(13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분진컵(140) 외부 하면에는 제 3 코일 스프링(15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드릴이 진행함에 따라 제 3 분진컵(140)의 입구는 천정에 부착되는 한편, 제 1 분진컵(100)과 제 2 분진컵(110)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변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해머드릴용 분진방지장치에 따르면, 역시 다양한 드릴기의 치수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분진컵이 2개 이상 구비되 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분진컵 결합부(120)가 분진컵의 바닥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어, 드릴기의 핸들 위치가 바뀌는 경우 서로 맞지가 않게 되는 등 적응성이 부족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드릴을 압축하는 하중이 분진컵의 중앙이 아니므로 드릴링 작업시 힘의 편중으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치수가 다른 드릴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응시켜서 분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진의 수거상황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는,
위쪽에 개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드릴 구멍이 형성된 분진컵과;
상기 분진컵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드릴기가 삽입되도 록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드릴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릴 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드릴기를 조이기 위한 복수의 조임나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릴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안내 파이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안내 파이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파이프와 분진컵의 바닥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봉을 둘러싼 상태로 압축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히다.
그리고, 상기 드릴 결합부의 중심과 상기 분진컵의 드릴 구멍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진컵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는, 위쪽에 개구(110)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드릴 구멍(150)이 형성된 분진컵(100)과, 상기 분진컵(100)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봉(200)과, 상기 가이드봉(200)을 따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드릴기(DM)가 삽입되도록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드릴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측면에는 복수의 조임나사(400)가 결합되어 있어 드릴기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분진컵(100)은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형상의 중공의 원통형이지만 그 모양이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가이드봉(200)은 둘레방향으로 3개가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나사(400)는 상기 가이드봉(200)들 사이에 각각 1개씩 총 3개가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상기 드릴 결합부(300)가 하강할 때 조임나사(400)가 상기 가이드봉(200)에 접촉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2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안내 파이프(5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200)의 바닥 단부에는 상기 안내 파이프(500)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200)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 파이프(500) 및 드릴 결합부(300)의 하한(下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안내 파이프(500)와 분진컵(100)의 바닥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600)이 상기 가이드봉(200)을 둘러싼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600)에 의해 드릴 결합부(300)가 분진컵(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려서 하한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중심과 상기 분진컵(100)의 드릴 구멍(150)이 일치한다. 따라서, 드릴링 작업시 힘이 편중되는 경우가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컵(100)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유리나 합성수지 등의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투명한 창(window)(170)이 설치된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다.
먼저, 드릴기(DM)를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중공(310)에 끼우되, 상기 드릴 결합부(300)의 둘레부분에 배치된 조임나사(400)를 조여서 드릴기(DM)의 드릴척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슬리브(SL) 등의 고정부가 드릴 결합부(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릴기(DM)의 드릴(800)은 상기 분진컵(100)의 바닥에 형성된 드릴 구멍(150)을 통과한 상태가 된다.
다음, 이와 같은 분진수거장치(1000)가 장착된 드릴기(DM)를 천정이나 벽체 에 대향시키되, 분진컵(100)의 개구부(110)가 천정이나 벽체에 닿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을 연결하여 드릴기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드릴 결합부(300)를 상기 가이드봉(200)을 따라 탄성력을 극복하여 진행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많은 가루와 분진은 상기 분진컵(100) 내에 쌓여서 수용되므로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분진컵(100) 외측부의 일부가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분진의 수용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 드릴링 작업을 통해 분진컵에 완전히 수용된 가루나 분진을 별도로 폐기하도록 한다.
전술한 것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대표적으로, 상기 가이드봉(200)과 조임나사(400)의 갯수는 2개 이상이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파이프(500)와 조임나사(400)가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봉(200)과 조임나사(400)는 중복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분진컵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봉 을 따라 드릴 결합부가 이동하게 되고, 그의 측면에는 드릴기를 고정하는 복수의 조임나사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드릴기가 사용되어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적응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드릴 결합부가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 가능하되, 가이드봉에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그 하한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드릴 결합부의 중심과 상기 분진컵의 드릴 구멍이 일치하므로 드릴링 작업시 힘의 편중현상이 없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분진컵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쌓인 가루나 분진의 양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Claims (4)

  1.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에 있어서,
    위쪽에 개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드릴 구멍이 형성된 분진컵과;
    상기 분진컵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드릴기가 삽입되도록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드릴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릴 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드릴기를 조이기 위한 복수의 조임나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안내 파이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안내 파이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 파이프와 분진컵의 바닥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봉을 둘러싼 상태로 압축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결합부의 중심과 상기 분진컵의 드릴 구멍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컵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KR2020060015763U 2006-06-12 2006-06-12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KR200424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63U KR200424868Y1 (ko) 2006-06-12 2006-06-12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63U KR200424868Y1 (ko) 2006-06-12 2006-06-12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868Y1 true KR200424868Y1 (ko) 2006-08-28

Family

ID=4177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763U KR200424868Y1 (ko) 2006-06-12 2006-06-12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86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36B1 (ko) * 2013-10-25 2015-11-23 대한민국 수간주사용 드릴장치
CN109113344A (zh) * 2018-09-05 2019-01-01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移动式建筑施工用降温降尘装置
CN111730102A (zh) * 2020-06-23 2020-10-02 广州纯元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精准且稳定性好的手枪钻
CN113000908A (zh) * 2021-03-15 2021-06-22 南通力科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摇臂式铣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36B1 (ko) * 2013-10-25 2015-11-23 대한민국 수간주사용 드릴장치
CN109113344A (zh) * 2018-09-05 2019-01-01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移动式建筑施工用降温降尘装置
CN111730102A (zh) * 2020-06-23 2020-10-02 广州纯元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精准且稳定性好的手枪钻
CN111730102B (zh) * 2020-06-23 2022-02-08 陈荣才 一种手枪钻
CN113000908A (zh) * 2021-03-15 2021-06-22 南通力科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摇臂式铣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6701C1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сверлении объектов
KR200424868Y1 (ko) 드릴링 작업용 분진수거장치
US20070264091A1 (en) Suction device for a pick power tool
KR102173891B1 (ko) 드릴용 집진장치
CN110154247B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墙体打孔装置
NL1018370A1 (nl) Cycloon-stof-verzamel-apparaat voor een stofzuiger.
EP1925372B1 (en) Anchor bolt hole cleaning device
JP5056216B2 (ja) 穿孔工具
JP2008207258A (ja) 穿孔工具
JP4802070B2 (ja) 穿設工具用集塵器具
JP2004276194A (ja) 振動ドリルの集塵装置
JP2005305577A (ja) 集塵機能付き電動ドリル装置
KR100631440B1 (ko) 햄머드릴용 비산물받이통 구조
CN215698210U (zh) 一种多功能电锤
KR200475294Y1 (ko) 다목적 박음기
CN112827953A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切割设备
JP2016169983A (ja) 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システム
JP2008207361A (ja) 集塵機構付き穿孔工具
KR101465614B1 (ko) 비산방지컵이 장착된 앙카 천공용 비트
CN213288771U (zh) 一种便于料屑清理的锁紧盘用开孔装置
KR200494222Y1 (ko) 스피드 앵커 펀치
CN208391954U (zh) 一种具有吸收扬尘功能的电锤
KR102357464B1 (ko) 집진부를 포함한 고정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CN211539597U (zh) 一种建筑材料用打孔装置
CN210475633U (zh) 一种建筑监控仪器安装用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