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84Y1 -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684Y1
KR200424684Y1 KR2020060016163U KR20060016163U KR200424684Y1 KR 200424684 Y1 KR200424684 Y1 KR 200424684Y1 KR 2020060016163 U KR2020060016163 U KR 2020060016163U KR 20060016163 U KR20060016163 U KR 20060016163U KR 200424684 Y1 KR200424684 Y1 KR 200424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piece
portable multimedia
multimedia player
out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희
강영식
김창휘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림시스
Priority to KR2020060016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수광하여 접안된 사용자의 눈 전방으로 출력함으로써, 크고 선명한 실감적인 영상과 음향을 시청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기 위해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손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전방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기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간접적인 감시나 간섭을 받지 않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있어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수단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에 맞게 변환하고,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수단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디 스플레이하는 영상을 확대 투사시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는 접안식 광학처리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음향 출력수단을 포함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에 이용됨.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접안식, 영상 확대, 영상 투사, 광학 처리

Description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Ocular Type Display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제어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광학처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12 : 제어기
13 : 디스플레이부 14 : 광학처리부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수광하여 접안된 사용자의 눈 전방으로 출력하기 위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 Station Portable),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무선랜 단말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는 일 측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특정 평면에 거치하거나 손으로 들고,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시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보아야 한다.
이러한 시청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시선이 고정된 자세를 일정 시간 유지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장시간의 영상 시청을 힘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휴대성으로 인하여 무게, 크기의 제약을 받아 일정 크기 이상의 화 면을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수광하여 접안된 사용자의 눈 전방으로 출력함으로써, 크고 선명한 실감적인 영상과 음향을 시청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기 위해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손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전방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기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간접적인 감시나 간섭을 받지 않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있어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 호를 디스플레이수단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에 맞게 변환하고,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수단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확대 투사시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는 접안식 광학처리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음향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11)로부터 전송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 등)에 맞게 변환하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부(15)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제어기(12), 상기 제어기(12)와 전송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12)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확대 투사시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는(접안식) 광학처리부(14), 및 상기 제어기(12)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는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형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학처리부(14)는 확대 투사된 영상이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학처리부(14)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는 소형의 음향 출력기로서 이어폰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는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11)와 제어기(12) 사이의 전송 케이블 및 제어기(12)와 디스플레이부(13) 사이의 전송 케이블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제어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제어기는, 제어기(12)의 케이스 외관에 돌출되어,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11)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인 전송 케이블의 착탈식 접속 단자인 영상 및 음향 입력 연결 커넥터(21), 디스플레이부(13)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 등)에 맞게 변환한 영상신호와 음향 출력부(15)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22),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휴대용 배터리(23), 제어기(12)를 벨트나 호주머니 등에 제어기(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24),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키(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키(25)는, 제어기(12)의 케이스 전면에 위치하여 휴대용 배터리(23)로부터의 전원을 입력/차단하기 위한 전원버튼(251), 사용자 설정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한 메뉴버튼(252), 및 메뉴 간 이동 신호(좌/우 또는 상/하)를 입력받기 위한 이동키(253, 254)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광학처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의 광학처리부는, 디스플레이부(13)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한 영상 수광기(141), 상기 영상 수광기(141)에서 수광한 영상을 접안기(142) 방향으로 반사, 굴절, 확대시키기 위한 렌즈(프리즘 렌즈)(142), 및 상기 렌즈(142)를 통해 반사, 굴절, 확대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 주위와 밀착되는 접안기(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안기(143)는 지지대를 통해 사용자의 눈 주위 안면부에 밀착된다. 이때, 지지대는 안경의 형태, 안경과 밴드의 결합 형태, 헤드셋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고,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조건에 맞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한 영상을 수광하여 접안된 사용자의 눈 전방으로 출력함으로써, 크고 선명한 실감적인 영상과 음향을 시청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기 위해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손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 전방에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기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간접적인 감시나 간섭을 받지 않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에 있어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수단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에 맞게 변환하고,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음향 출력수단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확대 투사시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는 접안식 광학처리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음향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케이스 외관에 돌출되어, 상기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인 전송케이블의 착탈식 접속 단자인 영상 및 음향 입력 연결 커넥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디스플레이 조건(해상도, 사이즈 등)에 맞게 변환한 영상신호와 음향 출력수단의 출력 조건(정격 출력)에 맞게 변환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제어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키
    를 포함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는,
    상기 제어수단의 케이스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입력/차단하기 위한 전원버튼;
    사용자 설정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한 메뉴버튼; 및
    메뉴 간 이동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이동키
    를 포함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식 광학처리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한 영상 수광 기;
    상기 영상 수광기에서 수광한 영상을 접안기 방향으로 반사, 굴절, 확대시키기 위한 렌즈(프리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해 반사, 굴절, 확대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 주위와 밀착되는 상기 접안기
    를 포함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기는,
    지지대를 통해 사용자의 눈 주위 안면부에 밀착되며, 안경의 형태, 안경과 밴드의 결합 형태, 헤드셋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KR2020060016163U 2006-06-15 2006-06-15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KR200424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163U KR200424684Y1 (ko) 2006-06-15 2006-06-15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163U KR200424684Y1 (ko) 2006-06-15 2006-06-15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76A Division KR20070119445A (ko) 2006-06-15 2006-06-15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및 그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684Y1 true KR200424684Y1 (ko) 2006-08-28

Family

ID=4177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163U KR200424684Y1 (ko) 2006-06-15 2006-06-15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085B2 (en) Computer headset with detachable 4G radio
US8937771B2 (en) Three piece prism eye-piece
KR101441873B1 (ko) 헤드 장착 단안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217868B2 (en) Monocular display device
WO2015125373A1 (ja) 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11378802B2 (en) Smart eyeglasses
US20150340010A1 (en) Interactive wearable and portable smart devices
US20060203998A1 (en) Eyeglass-attached video display based on wireless transmission from a cell phone
KR2017011289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Starner Wearable computing
KR20180105963A (ko) 이동 단말기
US9319980B1 (en) Efficient digital image distribution
WO2012112309A2 (en) Projector with dock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424684Y1 (ko)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JP2008028552A (ja) 表示装置
KR20070113067A (ko) 휴대용 입체 카메라
CN113282141A (zh) 基于混合虚拟现实的可穿戴便携计算机及教学平台
KR20070119445A (ko)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및 그동작 방법
US12002435B1 (e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identifying a companion device type
KR20190073843A (ko)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WO2023185698A1 (zh) 一种佩戴检测方法及相关装置
CN201955608U (zh) 能与手机配合使用的微型投影装置
WO2016171479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0991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8069A (ja) モバイ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