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469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469Y1
KR200424469Y1 KR2020060015555U KR20060015555U KR200424469Y1 KR 200424469 Y1 KR200424469 Y1 KR 200424469Y1 KR 2020060015555 U KR2020060015555 U KR 2020060015555U KR 20060015555 U KR20060015555 U KR 20060015555U KR 200424469 Y1 KR200424469 Y1 KR 200424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space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학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5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부에 걸이턱(28)이 형성되는 하우징(22)과,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턱(28)에 걸어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터미널랜스(44)를 구비하는 터미널(40)과, 상기 하우징(22)의 걸이턱(28)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랜스(44)가 상기 걸이턱(28)에 닿아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탄성변형유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항상 정확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터미널, 랜스, 지지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에서 터미널랜스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터미널랜스가 걸이턱을 파고드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터미널랜스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커넥터 22: 하우징
24: 관통공간 26: 하우징랜스
28: 걸이턱 29: 경사면
30: 탄성변형유도부 34: 스토퍼
40: 터미널 42: 결합부
44: 터미널랜스 46: 바렐
48: 와이어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대되는 커넥터의 터미널이 결합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에서 터미널 랜스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관통공간(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4)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0)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공간(4)에는 걸이턱(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은 상기 관통공간(4)의 후방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된 경사면(8)을 가진다. 물론 상기 경사면(9)이 형성된 반대쪽 걸이턱(7) 부분은 상기 관통공간(4)의 내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간(4)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스토퍼(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9)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0)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9)는 상기 관통공간(4)의 선단 입구 네 모 서리에 각각 구비된다.
터미널(1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0)은 상기 하우징(3)의 관통공간(4)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10)의 선단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2)는 일반적으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형태로 내부가 터미널(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1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3)의 걸이턱(7)에 걸어지는 터미널랜스(1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14)는 상기 터미널(10)의 일측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14)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터미널랜스(14)는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하우징(3)의 관통공간(4)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걸이턱(18)에 의해 지지되어 터미널(10)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10)의 후단에는 바렐(16)이 구비되고, 상기 바렐(16)은 와이어(18)를 상기 터미널(10)에 고정하고 터미널(10)과 와이어(1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0)의 터미널랜스(14)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대 터미널에 의해 밀려 상기 관통공간(4) 내부에서 도 2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방 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10)이 밀리면 상기 터미널랜스(14)도 같이 밀린다.
이때, 상기 터미널랜스(14)는 그 선단이 상기 관통공간(4)의 바닥면이나 걸이턱(7)에 지지되어 있다가 밀리게 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간(4)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 터미널(10)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결국 걸이턱(7)과 바닥면이 만나는 구석에 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상기 걸이턱(7)에만 접촉되어 있는 경우라도 터미널(10)이 화살표 A방향으로 밀리면 결국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상기 걸이턱(7)과 바닥면이 만나는 구석에 닿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걸이턱(7)과 바닥면이 만나는 구석에 닿게 되고, 터미널(10)이 밀리도록 힘이 계속해서 가해지면 상기 터미널랜스(14)의 선단이 걸이턱(7)으로 파고 들면서 터미널(10)의 설치위치가 상기 관통공간(4)내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터미널(10)의 설치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터미널랜스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걸이턱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랜스가 상기 걸이턱에 닿아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탄성변형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유도부는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요홈이다.
상기 탄성변형유도부는 상기 터미널랜스가 최대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관통공간의 내면과 터미널랜스의 선단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관통공간의 내면이 터미널랜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지지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하우징랜스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간 선단 입구에는 터미널이 관통공간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관통공간 입구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항상 정확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부분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20)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2)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관통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24)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부에는 하우징랜스(2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26)는 상기 하우징(22)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26)는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랜스(26)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결합부(42)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 일측에는 걸이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하우징랜스(26)가 형성된 관통공간(24)의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관통공간(24)의 후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된 경사면(29)을 가진다. 물론 상기 경사면(29)이 형성된 반대쪽 걸이턱(28) 부분은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하우징랜스(26)의 선단보다 더 하우징(22)의 선단쪽에 위치한다.
상기 걸이턱(28)에 인접한 관통공간(24)의 바닥면에는 탄성변형유도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터미널랜스(44)가 터미널(40)이 상대 터미널에 의해 밀릴 때, 걸이턱(28)에 선단이 닿아 탄 성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는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홈형상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는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터미널랜스(44)의 선단이 닿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변형유도부(30)가 요홈형태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터미널랜스(44)가 최대로 탄성변형되었을 때, 그 선단이 관통공간(24)의 내면에 닿지 않도록 관통공간(24)의 내면이 터미널랜스(44)의 선단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형성하면 된다.
상기 하우징(22)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간(24)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스토퍼(3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4)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34)는 상기 관통공간(24)의 선단 입구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
터미널(4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40)은 상기 하우징(22)의 관통공간(24)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40)의 선단에는 결합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2)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42)는 일반적으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형태로 내부가 터미널(4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4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22)의 걸이턱(28)에 걸어지는 터미널랜스(4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상기 터미널(40)의 일측 일부를 잘 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상기 터미널(40)이 상기 하우징(22)의 관통공간(24)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걸이턱(28)에 걸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랜스(44)는 그 선단이 상기 걸이턱(28)에 닿거나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 입구에 있도록 된다. 특히, 상기 터미널랜스(44)의 길이는 최대로 탄성변형되었을 때,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40)의 후단에는 바렐(46)이 구비되고, 상기 바렐(46)은 와이어(48)를 상기 터미널(40)에 고정하고 터미널(40)과 와이어(4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랜스(26)와 터미널랜스(44)는 상기 터미널(40)을 상기 하우징(22)에 이중으로 록킹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대 터미널이 터미널(40)에 결합될 때, 터미널(40)을 이중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터미널(40)은 하우징(22) 내부의 관통공간(24)에 상기 하우징랜스(26)에 결합부(42)가 걸어지고, 걸이턱(28)에 터미널랜스(44)가 걸어져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 일정 이상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하우징(22)의 전방으로 터미널(40)이 빠지는 것은 상기 스토퍼(34)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터미널(40)은 본 고안에서 하우징랜스(26)와 터미널랜스(44)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이 터미널(40)에 삽입될 때 밀리는 힘 이 분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랜스(44)는 그 선단이 상기 관통공간(24)의 내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있다. 즉,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의 존재에 의해 터미널랜스(44)의 선단이 관통공간(24)의 내면에 닿지 않고 터미널(40)이 밀리면 걸이턱(28)에 닿게 된다.
상기 터미널(40)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 설계된 것보다 터미널(40)이 더 밀리더라도 상기 터미널랜스(44)의 선단은 상기 걸이턱(28)에 닿고 상기 탄성변형유도부(30) 내부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터미널(40)이 밀리기 전에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랜스(44)의 선단이 걸이턱(28)에 닿아 있던지 약간 떨어져 있다. 그리고 터미널(40)에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기 시작하면 터미널(40)이 화살표 A방향으로 밀리면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랜스(44)의 선단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랜스(44)는 선단이 탄성변형유도부(3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탄성변형은 되지만 하우징(22), 즉 걸이턱(28)의 내부로 파고 들지는 않는다. 따라서, 터미널(4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터미널랜스(44)가 복원되면서 터미널(4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미널랜스(44)와 하우징랜스(26)에 의해 터미널(40)이 이중으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 본 고안이 적용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터미널랜스(44)에 의해서만 하우징(22) 내에 터미널(40)이 지지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을 하우징 내부에 지지하는 터미널랜스가 하우징의 내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터미널랜스를 지지하는 걸이턱의 전방에 탄성변형유도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에 의해 밀리더라도 터미널랜스가 탄성변형되지 걸이턱을 파고들지는 않게 되어 외력이 제거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터미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항상 정확하게 되면서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터미널랜스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걸이턱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랜스가 상기 걸이턱에 닿아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탄성변형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유도부는 상기 관통공간의 내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요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유도부는 상기 터미널랜스가 최대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관통공간의 내면과 터미널랜스의 선단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관통공간의 내면이 터미널랜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를 지지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하우징랜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 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간 선단 입구에는 터미널이 관통공간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관통공간 입구의 네 모서리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060015555U 2006-06-09 2006-06-09 커넥터 KR200424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55U KR200424469Y1 (ko) 2006-06-09 2006-06-09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55U KR200424469Y1 (ko) 2006-06-09 2006-06-09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469Y1 true KR200424469Y1 (ko) 2006-08-22

Family

ID=4177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55U KR200424469Y1 (ko) 2006-06-09 2006-06-09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4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964B1 (ko) 2007-03-23 2008-12-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탈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964B1 (ko) 2007-03-23 2008-12-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탈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65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968020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60336669A1 (en) Electrical terminal
JP5765462B1 (ja) 電気コネクタ
WO201511297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00176917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885191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
US8911268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n integral lance for securing a terminal fitting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2012099276A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KR200424469Y1 (ko) 커넥터
KR101041383B1 (ko) 커넥터하우징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KR102218568B1 (ko) 커넥터
KR200440518Y1 (ko) 커넥터
KR100814934B1 (ko)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KR102376682B1 (ko)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5708854B1 (ja) 電気コネクタ
KR101211799B1 (ko) 로크 기구 장착 전기 커넥터
JP2020135998A (ja) コネクタ
KR101493987B1 (ko) 커넥터
JP2014049327A (ja) メス端子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メス端子の固定構造
KR102644962B1 (ko) 커넥터
KR101288335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