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592Y1 - 청소솔 - Google Patents

청소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92Y1
KR200423592Y1 KR2020060014597U KR20060014597U KR200423592Y1 KR 200423592 Y1 KR200423592 Y1 KR 200423592Y1 KR 2020060014597 U KR2020060014597 U KR 2020060014597U KR 20060014597 U KR20060014597 U KR 20060014597U KR 200423592 Y1 KR200423592 Y1 KR 200423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brush
cleaning
motor
oper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아이링
Original Assignee
마아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아이링 filed Critical 마아이링
Priority to KR2020060014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및 화장실의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를 힘들이지않고,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밀폐커버를 열어 세제를 솔로 흘려내리도록 하고,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형성된 조작스위치를 누르면 외부봉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구에 장착된 솔이 내장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때,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바닥 및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 찌든 때 등에 회전하는 솔을 접촉시켜 청소시에 청소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봉에 삽입된 내부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저속, 중속, 고속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작스위치와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수신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청소솔에 있어서, 상기 외부봉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세제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화장실, 배란다 등의 찌든 때 및 곰팡이를 청소하기 위한 세제 및 세정액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캡과,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돌기홈을 중앙에 형성하고, 하단에 솔을 장착한 장착구와, 상기 세제통의 상기 수 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구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 및 세정액이 상기 솔로 흐르도록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을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청소솔{A cleaning brush}
도 1은 본 고안의 청소솔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청소솔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청소솔의 주요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으로, 세제가 외부로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청소솔의 주요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으로, 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청소솔의 내부봉이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청소솔 2. 외부봉
2a. 내부봉 3. 조작스위치
4. 주입구 5. 세제통
6. 안내관 7. 밀폐커버
8. 모터 9. 모터축
10. 돌기 11. 돌기홈
12. 장착구 13. 솔
14. 전기선 15. 손잡이
16. 높이 조절구 17. 캡
18. 수용부 19. 나사홈
20. 솔 몸체
본 고안은 청소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및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를 힘들이지않고,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밀폐커버를 열어 세제를 솔로 흘려내리도록 하고,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형성된 조작스위치를 누르면 외부봉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구에 장착된 솔이 내장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때,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바닥 및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 찌든 때 등에 회전하는 솔을 접촉시켜 청소시에 청소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장소가 협소하거나 좁은 위치, 즉, 화장실의 변기의 구석은 청소솔이 길이가 짧아 청소의 불편을 야기하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부봉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봉이 상부로 연장되어 청소솔의 전체길이가 신장되어 화장실, 배란다, 창고 등의 구석을 편리하게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실이나 배란다 청소솔은 길이가 정형화되어 제작, 생산,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솔은 변기 내부 및 외부를 청소하고, 또한, 욕실을 청소하는 청 소솔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청소솔은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구석구석 때를 제거하지 못하고, 또한, 청소솔에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서 찌든 때, 곰팡이 등을 제거함으로써, 주부 및 청소부 등에게 고역이 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종래의 청소솔은 플라스틱의 손잡이와 손잡이 하단에 솔이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세제 및 세정액 등을 솔에 직접 묻혀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개량 안출한 청소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및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를 힘들이지않고,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밀폐커버를 열어 세제를 솔로 흘려내리도록 하고,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형성된 조작스위치를 누르면 외부봉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구에 장착된 솔이 내장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때, 배란다, 욕실의 욕조, 바닥 및 타일사이에 낀 곰팡이, 찌든 때 등에 회전하는 솔을 접촉시켜 청소시에 청소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외부봉에 내부에 삽입된 내부봉이 상부로 연장되어 청소솔의 전체길이가 신장되어 화장실의 변기의 구석, 배란다, 창고 등의 장소가 협소하거나 좁은 위치 및 구석을 편리하게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 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봉에 삽입된 내부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저속, 중속, 고속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작스위치와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수신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청소솔에 있어서,
상기 외부봉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세제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화장실, 배란다 등의 찌든 때 및 곰팡이를 청소하기 위한 세제 및 세정액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캡과,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돌기홈을 중앙에 형성하고, 하단에 솔을 장착한 장착구와,
상기 세제통의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구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 및 세정액이 상기 솔로 흐르도록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을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는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의 개방 및 밀폐를 용 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장착구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청소솔의 주요부 및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외부봉(2)에 삽입된 내부봉(2a)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구(16)가 외부봉(2)의 상단에 형성되어있고, 높이 조절구(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저속, 중속, 고속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스위치(3)가 구비되어있다. 또한, 조작스위치(3)의 상부에는 화장실, 배란다, 드레스룸 등 먼지 및 찌든 때가 있는 장소의 청소시에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5)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조작스위치(3)와 전기선(14)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3)를 조작하면 조작신호를 수신받는 모터(8)가 회전하고, 이 모터(8)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9)이 세제통(5)의 하부에 형성되어있다.
또한, 세제통(5)은 외부봉(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세제 및 세정액을 보관하느 2개의 수용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장실, 배란다 등을 청소할 경우에 세제통(5)의 상부 양측에는 주입구(4)가 형성되어서, 주입구(4)를 돌려서 열어 청소시 사용할 세제 및 세정액이 주입될 수 있고, 또한, 주입구(4)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17)을 이용하여 세제 및 세정액의 주입후 주입구(4)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3)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8)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 는 모터축(9)의 하부에는 돌기(10)가 형성되어있다.
이 돌기(10)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장착구(12)의 중앙에는 돌기홈(11)이 형성되어있고, 장착구(12)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19)에 솔(13)이 부착된 솔 몸체(20)가 나사결합으로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솔(13)이 청소중에 마모되거나, 솔(13)을 오래 사용하여 솔(13)을 교환할 때 솔 몸체(20)를 장착구(12)의 하단으로 이탈시켜 새로운 솔을 장착구(12)의 나사홈(19)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도 4참조)
또한, 세제통(5)의 수용부(18)의 하부에서 장착구(12)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되어 세제 및 세정액이 솔(13)로 흐르도록 안내관(6)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세제통(5)의 양측 끝단에는 밀폐커버(7)가 형성되어 안내관(6)을 개방 및 밀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밀폐커버(7)는 고무로 형성되고,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안내관(6)을 개방 및 밀폐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안내관(6)의 개방 및 밀폐를 용이하도록 세제통(5)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밀폐커버(7)의 일단이 각각 세제통(5)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관(6)의 개방 및 밀폐는 청소시에 밀폐커버(7)를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개방하여 세제통(5)의 내부에 수용된 세제 및 세정액이 솔(13)의 하단으로 흘려내리게 됨으로써 화장실, 배란다 등의 구석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소솔 사용후에 다시 밀폐커버(7)를 안내관(6)의 하단부로 삽입하여 세제 및 세정액을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은 본 고안의 청소솔(1)의 주요부분인 세제통(5)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장착구(12)의 하단에서 솔 몸체(20)가 교체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내부봉(2a)이 외부봉(2)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청소솔(1)의 전체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화장실, 창고, 배란다, 싱크대, 찬장 등의 구석을 청소하는 경우에, 본 고안의 세제통(5)의 상부에 형성된 주입구(4)를 개방 및 밀폐하는 캡(17)을 돌려서 개방하고, 개방된 주입구(4)에 세제 및 세정제를 주입한다. 세제 및 세정제주입 후 캡(17)을 주입구(4)에 돌려서 고정하고,
주입구(4)를 통해 주입된 세제 및 세정제는 세제통(5)의 수용부(18)의 내부에 저장되고, 또한, 수용부(18)의 하부에서 장착구(12)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된 안내관(6)에도 세제 및 세정액이 수용된다. 따라서, 세제통(5)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밀폐커버(7)를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개방하면, 이와 동시에 세제 및 세정액이 안내관(6)을 통해 아래로 흘러 내려 장착구(12)의 하단에 형성된 솔(13)에 세제 및 세정액이 도포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할 세제 및 세정액을 조정하여 사용한 후 밀폐커버(7)로 관통홈(18)을 막아 세제 및 세정제를 밀폐한다.
다음에 저속, 중속, 고속동작이 가능한 조작스위치(3)를 손으로 누르면, 모터(8)와 이 모터(8)의 모터축(9)이 회전하고, 이 모터축(9)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10)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돌기홈(11)을 중앙에 구비한 장착구(12)가 모터축(9)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장착구(12)의 하단에 형성된 솔(13)이 일체로 회전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 즉, 화장실, 창고, 배란다, 싱크대, 찬장 등의 구석에 회전하는 솔(13)을 접촉시켜 청소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13)이 청소중에 마모되거나, 솔(13)을 오래 사용하여 솔(13)을 교환할 때 장착구(12)와 나사체결된 솔 몸체(20)를 장착구(12)의 하단으로 이탈시켜 새로운 솔을 장착구(12)의 나사홈(19)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실, 창고, 배란다, 싱크대, 찬장 등의 구석 등이 깊이가 깊고, 좁을 경우에, 외부봉(2)의 상단에 형성된 높이조절구(16)를 조작하여 외부봉(2)에 삽입된 내부봉(2a)을 원하는 길이 만큼 연장시켜 깊이가 깊고, 협소한 청소장소를 손쉽고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청소솔은 청소할 위치의 깊이 및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청소솔은 안내관의 크기 및 모양은 안내관을 통해 세제 및 세정액이 솔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본 고안의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청소솔의 솔이 장착되는 장착구는 솔이 회전을 용이하도록 원형이외에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숙련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고안의 청소솔의 안내관의 개방 및 밀폐는 청소시에 밀폐커버를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개방하여 세제통의 내부에 수용된 세제 및 세정액이 솔의 하단으로 흘려내려 솔에 세제 및 세정액이 도포되고, 조작스위치을 조작하면 모터에 의해 솔이 회전하고, 이 회전하는 솔을 화장실, 배란다 등의 구석에 접촉시켜 깨끗하고 편리하게 찌든 때 및 곰팡이를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할 세제 및 세정액을 사용한 후 밀폐커버로 안내관을 막아 세제 및 세정제를 밀폐한 다음 저속, 중속, 고속동작이 가능한 조작스위치를 손으로 누르면, 모터와 연결된 모터축이 회전하고, 이 모터축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돌기홈을 중앙에 구비한 장착구가 모터축과 함께 견고하게 회전함과 동시에 장착구의 하단에 형성된 솔이 일체로 회전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 즉, 화장실, 창고, 배란다, 싱크대, 찬장 등의 구석에 회전하는 솔을 접촉시켜 청소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장실, 창고, 배란다, 싱크대, 찬장 등의 구석 등이 깊이가 깊고, 좁을 경우에, 외부봉의 상단에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조작하여 외부봉에 삽입된 내부봉을 원하는 길이 만큼 연장시켜 깊이가 깊고, 협소한 청소장소를 손쉽고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청소솔은 솔이 청소중에 마모되거나, 솔을 오래 사용하여 솔을 교환할 때 장착구와 나사체결된 솔 몸체를 장착구의 하단으로 이탈시켜 새로운 솔을 장착구의 나사홈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봉에 삽입된 내부봉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저속, 중속, 고속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작스위치와 전기선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수신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청소솔에 있어서,
    상기 외부봉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세제 및 세정액을 보관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화장실, 배란다 등의 찌든 때 및 곰팡이를 청소하기 위한 세제 및 세정액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캡과,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모터축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돌기홈을 중앙에 형성하고, 하단에 솔을 장착한 장착구와,
    상기 세제통의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구의 양측 끝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 및 세정액이 상기 솔로 흐르도록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세제통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을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의 개방 및 밀폐를 용이하도록 일단이 상기 장착구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솔.
KR2020060014597U 2006-05-30 2006-05-30 청소솔 KR200423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97U KR200423592Y1 (ko) 2006-05-30 2006-05-30 청소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97U KR200423592Y1 (ko) 2006-05-30 2006-05-30 청소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92Y1 true KR200423592Y1 (ko) 2006-08-08

Family

ID=4177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597U KR200423592Y1 (ko) 2006-05-30 2006-05-30 청소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845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할로겐 융착설비 캡 자동 청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845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할로겐 융착설비 캡 자동 청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KR100884189B1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200426839Y1 (ko) 세척용 전동브러쉬
KR100935066B1 (ko) 세척용 전동 브러시
US6367621B1 (en) Combination plunger and scrubber holder
KR200423592Y1 (ko) 청소솔
CN212698060U (zh) 喷水刷子
US6519785B1 (en) Sanitary plunger device
CN206120277U (zh) 一种水槽式清洗机的箱体结构
CN213216770U (zh) 一种用于icu病房的清洁消毒装置
JPH1028667A (ja) 食器洗浄機
US20090260998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receptacle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CN217659760U (zh) 一种可调节洗碗刷
KR200326047Y1 (ko) 의료용 세발기
CN216262422U (zh) 一种义齿专用消毒柜
JP3102103U (ja) バスウオッシャー
CN209826443U (zh) 一种盥洗柜
CN215166165U (zh) 一种一体全自动感应水龙头的医用双人位刷手池
JP3228084U (ja) 汚水を自動分離できるモップバケツ構造
KR100957449B1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CN110584313B (zh) 一种手持式洗碗机
KR100614150B1 (ko) 주방일 보조장치
CN201896344U (zh) 厕所堵味器
KR200295806Y1 (ko) 골프클럽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