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047Y1 - 의료용 세발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047Y1
KR200326047Y1 KR20-2003-0011010U KR20030011010U KR200326047Y1 KR 200326047 Y1 KR200326047 Y1 KR 200326047Y1 KR 20030011010 U KR20030011010 U KR 20030011010U KR 200326047 Y1 KR200326047 Y1 KR 200326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atient
wall surface
tricycl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애
Original Assignee
남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애 filed Critical 남영애
Priority to KR20-2003-0011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함체(100)의 수납부(110) 내부에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된 함체(100)의 벽면(120)에는 상부에는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되며, 상기 벽면(120)의 하부에는 수납부(110)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21)가 형성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머리를 감겨야 하는 경우 세척자가 함체(100)의 벽면(120)에 형성된 지지부(140)에 환자의 목이 지지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머리의 저면이 머리받침대(130)에 의 의해 지지되면서 함체(100)의 수납부(110)에 위치됨으로서, 세발작업을 수행시 세척자가 양손을 다 사용해 세발을 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환자의 머리를 세발시 발생되는 세척수는 배수구(121)를 통해 수납부(110)의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수거함에 수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세척 및 헹굼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세발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세발기{Medical Shampoo Bowl}
본 고안은 의료용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료용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병원에 누워있는 중환자 및 중환자는 물론, 중풍환자와 같이 혼자서 움직이거나 거동하는 것이 불편한 환자들의 세발작업시에는 물수건등을 이용해 환자의 머리카락을 닦아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수건을 이용해 머리카락을 세발시에는 제대로 머리카락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 세발작업을 마친후에도 환자가 머리에 가려움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머리를 침대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시킨 후 의자에 세숫대야를 놓고 감기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환자를 이동시켜 세숫대야 물로 직접 환자의 머리를 감기기 위해서는 많은 보호자가 힘을 합쳐 환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함으로서, 많은 보호자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이 환자의 위치를 이동시켜 세발작업을 수행시에는 상기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세척자가 한손으로는 환자의 머리를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만 머리를 감겨야 함으로서, 세발작업을 수행시 불편하면서도 많은 힘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함체의 수납부 내부에 머리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받침대가 형성된 함체의 벽면에는 상부에는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하며, 상기 벽면의 하부에는 수납부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를 형성하여,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등을 병상에 눕힌 상태에서도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면서 함체의 수납부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에 위치되어 있는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료용 세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세발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세발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세발기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함체 110 : 수납부
120 : 벽면 121 : 배수구
130 : 머리받침대 140 : 지지부
200 : 수거함 300 : 패킹부재
310 : 고정부재 320 : 연결부재
400 : 연결파이프 300 : 패킹부재
310 : 고정부재 320 : 연결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의료용 세발기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함체(100)의 수납부(110) 내부에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된 함체(100)의 벽면(120)에는 상부에는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되며, 상기 벽면(120)의 하부에는 수납부(110)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21)가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구(121)에는 일측단부가 수거함(200)에 연결되어 있는연결파이프(400)의 타측단부가 연결되어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수가 수납부(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121)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벽면(120)에는 패킹부재(30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2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재(31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머리를 감겨야 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 목을 함체(100)의 벽면(120)에 형성된 지지부(140)에 안착시키면 상기 환자의 머리 저면이 함체(100)의 수납부(110)에 형성된 머리받침대(130)에 지지되며 수납부(1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머리받침대(130)에 머리가 위치되면 머리를 감기는 세척자가 양손을 다 이용해 세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환자의 머리를 감길시 발생되는 세척수는 함체(100)의 벽면(120)에 형성된 배수구(121)를 통해 수납부(110)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연결파이프(400)를 통해 수거함(200)에 저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세척작업 및 헹굼작업을 수행시에도 함체(100)의 수납부(110)에 물이 담겨져 있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함체(100)에 물을 담수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세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함체(100)의 벽면에 형성된 배수구(121)가 밀폐되도록 패킹부재(300)를 결합시켜 주는 것에 의해 함체(100)의 수납부(110)에 담겨지는 세척수가 수납부(1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머리를 감겨야 하는 경우 세척자가 함체(100)의 벽면(120)에 형성된 지지부(140)에 환자의 목이 지지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머리의 저면이 머리받침대(130)에 의 의해 지지되면서 함체(100)의 수납부(110)에 위치됨으로서, 세발작업을 수행시 세척자가 양손을 다 사용해 세발을 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환자의 머리를 세발시 발생되는 세척수는 배수구(121)를 통해 수납부(110)의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수거함에 수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세척 및 헹굼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세발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함체의 수납부 내부에 머리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받침대가 형성된 함체의 벽면에는 상부에는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하며, 상기 벽면의 하부에는 수납부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를 형성하여,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등을 병상에 눕힌 상태에서도 환자의 머리가 지지되면서 함체의 수납부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에 위치되어 있는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함체(100)의 수납부(110) 내부에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된 함체(100)의 벽면(120)에는 상부에는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되며, 상기 벽면(120)의 하부에는 수납부(110)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2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1)에는 일측단부가 수거함(20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파이프(400)의 타측단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면(120)에는 패킹부재(30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2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재(31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세발기.
KR20-2003-0011010U 2003-04-10 2003-04-10 의료용 세발기 KR200326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10U KR200326047Y1 (ko) 2003-04-10 2003-04-10 의료용 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010U KR200326047Y1 (ko) 2003-04-10 2003-04-10 의료용 세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047Y1 true KR200326047Y1 (ko) 2003-09-17

Family

ID=4933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010U KR200326047Y1 (ko) 2003-04-10 2003-04-10 의료용 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0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27Y1 (ko) 2010-02-18 2012-10-02 장병성 의료용 세발기
KR20230108871A (ko) 2022-01-12 2023-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침대에 사용되는 머리감기가 가능한 세발기, 의료용 침대 및 그의 사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27Y1 (ko) 2010-02-18 2012-10-02 장병성 의료용 세발기
KR20230108871A (ko) 2022-01-12 2023-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침대에 사용되는 머리감기가 가능한 세발기, 의료용 침대 및 그의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3960A (en) Back scrubber
JPH0752706Y2 (ja) 小物衣類用の乾燥機能付き超小型超音波洗濯器
KR200326047Y1 (ko) 의료용 세발기
KR200268623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JPS6022947Y2 (ja) ふきん専用小型洗濯機
KR200192506Y1 (ko) 의료용 세발기
JP2896350B2 (ja) 手動洗濯装置
CN217517193U (zh) 一种多功能洗脸盆
KR0163949B1 (ko) 세족기가 부설된 좌변기
KR200278878Y1 (ko) 애완동물용 자동 안마 목욕조
JP3017962U (ja) 携帯用シャワー
CN219923839U (zh) 一种超声检查探头消毒器
CN217517724U (zh) 一种带洗衣板的洗脸盆
KR950002831Y1 (ko) 절수 욕조
CN210086371U (zh) 一种新型洗漱台的结构
KR0137982Y1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부착된 씽크대
CN208659779U (zh) 一种折叠护理用洗头盆
KR200423592Y1 (ko) 청소솔
KR200253839Y1 (ko) 씽크대의배수구조
KR200164718Y1 (ko) 중환자용 다용도 침대
JP3057803U (ja) 身体自動洗浄式浴槽
JP2000288058A (ja) シャワーシステム
JP3622075B2 (ja) 入浴装置、入浴装置付ベッド及び入浴装置付車椅子
JP2000282532A (ja) 洗面所ユニット
JPH11318545A (ja) 可搬式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