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013Y1 - 구명구의 팽창구조 - Google Patents

구명구의 팽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013Y1
KR200423013Y1 KR2020060014046U KR20060014046U KR200423013Y1 KR 200423013 Y1 KR200423013 Y1 KR 200423013Y1 KR 2020060014046 U KR2020060014046 U KR 2020060014046U KR 20060014046 U KR20060014046 U KR 20060014046U KR 200423013 Y1 KR200423013 Y1 KR 200423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mpressed air
life
pressing
life pre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훈
Original Assignee
이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훈 filed Critical 이치훈
Priority to KR202006001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0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명구의 팽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구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명구의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압축공기탱크의 결합부와 대응함과 동시에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결합공과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동작공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폐쇄판을 타통하는 공이가 하부에 구비된 작동구와; 상기 몸체에 동작공 상부와 연통되어 수평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평공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공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구를 하부로 밀어 공이로 폐쇄판을 타통하도록 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가 설치되는 몸체의 수평공 상부측에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수직공에 설치되고, 정·역회전하며 누름구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명구를 평상시에 작게 접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긴급상황 발생시 구명구를 펼침과 동시에 압축공기가 내장된 압축공기탱크를 타통하여 구명구를 신속하게 부풀려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구명구, 압축공기탱크, 공이, 안전노브, 누름구, 작동구

Description

구명구의 팽창구조{The Expansion Structure of Lifesav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구명구 팽창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노브의 회전동작을 보인 평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노브의 록킹동작을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구명구 팽창구조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명구 2 - 공기유로
5 - 압축공기탱크 7 - 폐쇄판
10 - 몸체 12 - 동작공
13 - 공급유로 14 - 가이드
15 - 수직공 20 - 작동구
21 - 공이 30 - 누름구
40 - 안전노브
본 고안은 구명구의 팽창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명구를 최대한 작게 접어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에는 압축공기탱크를 터뜨려 간편하게 구명구를 팽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명구조시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구는, 물놀이 및 수영중에 발생하는 사고, 배의 침몰 및 비행기의 추락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등산중 발생하는 사고 등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인명을 구조할 때 사용되는 기구이다.
즉, 익사사고를 방지하는 구명구로는, 튜브, 에어매트, 에어보트, 구명조끼 등이 있으며, 산악에서의 인명을 구조하는 구명구로는 매트가 있다.
상기와 같이 물에서 사용하는 구명구는, 평상시에는 물놀이에 사용하다가 익사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명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명구는, 바람을 불어 넣어서 부풀려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거나, 바람을 불어 넣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장치에는 손으로 피스톤 동작을 하며 바람을 불어 넣는 장치, 발로 밞는 펌프, 전기를 이용하여 바람을 불어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는 것은 매우 힘이 들어 대부분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을 불어 넣는 장치를 구명구와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4202호(명칭:구명구)가 개시된바 있으며, 상기의 건은 일정 형상의 튜브 내에 압축공기용기를 내장시키고, 상기 압축공기용기를 버튼을 조작하여 압축공기를 튜브 내부로 배출시켜 튜브를 팽창시켜 튜브를 간편하게 부풀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의 건은, 사용자의 실수로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튜브가 팽창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한번 사용한 후에는 튜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새로운 압축공기용기로 교체할 수 없어 일회용으로 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제125761호(명칭:팽창식 구명용부기구)가 개시된바 있으며, 상기의 건은 부기구몸체의 일측에 고압가스통이 내장된 가스용기보호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압가스통의 가스주입밸브장치에 연결된 안전삭줄을 잡아당겨 고압가스통을 타통하여 고압가스가 부기구몸체 내로 집입하여 부기구몸체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의 건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안전삭줄이 잡아당겨져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부기구몸체가 팽창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항상 안전삭줄이 아래로 자유롭게 휘어지며 위치되어 있으므로, 부기구몸체를 이송하는 도중에 주변 의 물품과 돌출부분 등에 안전삭줄이 걸리게 되어 불필요하게 팽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명구를 최대한 작은 크기로 접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사용시에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구명구를 부풀려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구를 신속하게 팽창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명사고시 사고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상기 구명구를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압축공기탱크를 타통하는 부분에 안전장치를 구성하여 필요시에만 압축공기탱크가 타통되어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명구의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압축공기탱크의 결합부와 대응함과 동시에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결합 공과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동작공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폐쇄판을 타통하는 공이가 하부에 구비된 작동구와; 상기 몸체에 동작공 상부와 연통되어 수평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평공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공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구를 하부로 밀어 공이로 폐쇄판을 타통하도록 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가 설치되는 몸체의 수평공 상부측에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수직공에 설치되고, 정·역회전하며 누름구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누름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구을 하부로 밀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돌부와; 상기 원형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누름구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홈부와; 상기 원형홈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름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작동구를 하부로 밀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의 상부가 누름구의 하부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의 원형돌부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동작공과 수평공 사이에 동작공보다 더 넓은 구경으로 형성되어 단턱이 구비되도록 하는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의 단턱과 작동구의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누름구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안전노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누름구의 상부에 일부 절결되어 형성되는 홈 형상의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고, 90°정·역회전하였을 때 고 정홈과의 고정력을 상실하도록 안전노브의 양측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전노브가 90°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수직공 외주연 양측에, 마주보며 직각을 이루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각각 대응 결합되며 회전홈 내에서 회전하는 안전노브의 외주연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이에 의해 폐쇄판이 타통되었을 때 압축공기가 공급유로로 공급되지 않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결합부와 몸체의 결합공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패킹과; 상기 작동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작동구와 동작공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2패킹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전노브를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전노브의 상측 외주연에 널링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구명구 팽창구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구명구(1)는, 내부에 공기유로(2)가 구비되고, 다수 개소에 손잡이(3)가 구비된 매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본 고안 구명구의 팽창구조인 몸체(10)와 압축공기탱크(5)가 결합됨과 함께 공기유로(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구명구(1)를 매트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물놀이용품 또는 구명물품인 튜브, 에어매트, 에어보트, 구명조끼 등에 본 고안 구명구의 팽창구조인 몸체(10)와 압축공기탱크(5) 및 배출구(4)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구(4)는 공기유로(2)와 연통되어 설치되며, 간편한 조작에 의해 공기유로(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현재 많은 것들이 개시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되고, 이에 배출구(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과 대응하는 숫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6)가 압축공기탱크(5)에 형성되어, 결합공(11)과 결합부(6)의 나사체결에 의해 압축공기탱크(5)가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6)와 결합공(11)은 나사산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억지끼움이나 기타의 결합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결합공(11) 상부측에는, 수직상으로 연통된 동작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동작공(12)에는 압축공기탱크(5)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폐쇄판(7)을 타통하는 공이(21)가 구비된 작동구(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와 결합공(11)의 상측부에는, 제1패킹(61)이 결합되어 폐쇄판(7)을 공이(21)가 타통하였을 때 압축공기탱크(5) 내부의 압축공기가 결합부(6)와 결합공(11)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동작공(12)과 결합공(11) 사이와 구명구(1)의 공기유로(2)를 연통하며 형성된 공급유로(13)로만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20)의 외주연에도 제2패킹(62)이 결합되어, 작동구(20)와 동작공(12)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압축공기가 동작공(12)과 작동구(20)의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구(20)의 상측에는 작동구(20)를 하측으로 밀어 공이(21)로 폐쇄판(7)을 타통하도록 하는 누름구(30)가 설치되는바, 상기 누름구(30)는 몸체(10)의 수평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평공(14a)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20)의 상측에 형성된 원형돌부(23)와 누름구(30)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홈부(32)가 밀착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에는, 누름구(30)의 설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14)가 형성되어, 누름구(30)의 누름동작을 안내하게 되고, 상기 동작공(12)과 수평공(14a)의 사이에는 동작공(12)보다 약간 더 넓은 구경의 설치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20)의 원형돌부(23)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설치공(12a)에 의해 형성된 단턱(12b)과 플랜지(22)의 사이에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스프링(50)에 의해 작동구(20)의 원형돌부(23)와 누름구(30)의 원형홈부(32)가 항상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구(30)의 원형홈부(32)와 연장되어 누름구(30)의 하부로 경 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에 의해 누름구(3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사면(33)에 의해 원형돌부(23)가 아래로 눌려지며 스프링(50)이 압착되고, 이에 작동구(20)가 하강하며 공이(21)가 폐쇄판(7)을 타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누름구(30)의 누름 방향을 좌측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누름구(30)를 우측 방향으로 눌러 작동구(20)를 아래로 눌러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작동구(20)의 원형돌부(23)와 누름구(30)의 원형홈부(32) 및 경사면(33)으로 이루어진 눌러주는 구성 또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누름구(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작동구(20)를 아래로 눌러줄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모두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구(30)가 불필요하게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폐쇄판(7)이 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구(30)의 상부에는 안전노브(40)가 설치되는바, 상기 안전노브(40)는 수평공(14a)과 연통되어 형성된 수직공(15)에 설치되고,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구(30)의 상측 일부를 절결하여 고정홈(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31)과 대응하는 고정돌기(42)를 안전노브(40)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공(15)의 외주연에는 홈 형상의 회전홈(15a)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15a)과 각각 대응하는 회전돌기(41)가 안전노브(40)에 형성되어 안전노브(40)가 설치위치를 유지하며 90°정·역회전 하게 된다.
즉,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노브의 회전동작을 보인 평단면도 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노브의 록킹동작을 보인 평단면도로서, 도 4a와 같이, 상기 안전노브(4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돌기(41)는 몸체(10)의 수직공(15) 양측에 형성된 회전홈(15a)에 설치되어, 도 4b와 같이 90°정·역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노브(40)의 회전에 따라 도 5a와 같이 누름구(30)의 고정홈(31)에 안전노브(40)의 고정돌기(42)가 위치하며 누름구(30)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가, 도 4b와 같이 안전노브(40)가 회전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누름구(30)의 고정홈(31)에서 안전노브(40)의 고정돌기(42)가 외측으로 빠지며 누름구(30)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전장치가 풀리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노브(40)의 상부에는 널링부(40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전노브(4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안전노브(40)의 상측부 형상을 간편하게 잡고 돌릴 수 있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십자가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노브(40)의 회전방향을 몸체(10)의 상면에 도시하여 사용자가 긴급상황 발생시 도시된 형상을 보고 신속하게 안전노브(40)를 회전시켜 구명구(1)를 부풀릴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름구(3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31)과 고정돌기(42) 및 안전노브(4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돌기(41)와 회전홈(15a)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 및 구조를 이용하여 누름구(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 구명구 팽창구조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안전노브(40)를 잡고 도 4b와 같이 90°회전시키게 되면, 누름구(30)의 이동에 따른 안전장치가 풀리게 되는 것이고, 이에 사용자는 누름구(30)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상기 누름구(30)의 경사면(33)에 의해 작동구(20)가 하강하며 공이(21)가 압축공기탱크(5)의 폐쇄판(7)을 타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탱크(5)가 타통되면, 압축된 공기는 공급유로(13)를 따라 구명구(1)의 공기유로(2)로 공급되어, 공기유로(2)를 팽창시키며 구명구(1)를 부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구명구(1)를 완전히 부풀리는데 필요한 양보다 약간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압축공기탱크(5)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명구(1)의 형상 및 필요한 공기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압축공기탱크(5)를 결합할 수 있고, 압축공기탱크(5)가 결합된 몸체(10)를 구명구(1)에 두 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구명구의 팽창구조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구명구를 평상시에 작게 접어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긴급상황 발생시 구명구를 펼침과 동시에 압축공기가 내장된 압축공기탱크를 타통하여 구명구를 신속하게 부풀려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안전노브의 잠금에 의해 압축공기탱크의 폐쇄판이 타통되지 않으므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현재 산악구조에 사용되는 매트를 본 고안 구명구 팽창구조를 결합한 매트로 사용하게 되면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현재 산악구조에서 사용하는 매트는 일정크기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여러 개소에 손잡이가 구비된 형상으로, 작게 접어서 휴대할 수 없는 크기이므로, 이를 가지고 산악구조를 하기가 매우 힘들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매트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들도 있으나, 이 또한 무게가 줄어들지 않고 펼쳤을 때의 무게 그대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를 들고 산행을 해야 함에 따라 매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구명구 팽창구조를 결합한 매트를 사용하게 되면, 그 무게와 부피가 매우 축소되어 간편하게 휴대하고 산행을 할 수 있어, 빠른 산악구조를 할 수 있으며, 산악구조 요원들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에 의해 구명구가 부풀게 되므로, 구조 자를 매트에 눕혔을 때 구조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자를 매트에 눕히고 하산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충격이 구조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구조자의 신체를 더욱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또한 한 번 사용한 매트는 배출구를 이용하여 공기를 빼고, 새로운 압축공기탱크만 결합하면 또다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매트가 되므로,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구명구(1)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명구(1)의 공기유로(2)와 연통되는 공급유로(13)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압축공기탱크(5)의 결합부(6)와 대응함과 동시에 공급유로(13)와 연통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결합공(11)과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동작공(12)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5)의 폐쇄판(7)을 타통하는 공이(221)가 하부에 구비된 작동구(20)와;
    상기 몸체(10)의 동작공(12) 상부와 연통되어 수평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수평공(14a)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공(14a)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구(20)를 하부로 밀어 공이(21)로 폐쇄판(7)을 타통하도록 하는 누름구(30)와;
    상기 누름구(30)가 설치되는 몸체(10)의 수평공(14a) 상부측에 연통되어 수직상으로 형성된 수직공(15)에 설치되고, 정·역회전하며 누름구(3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구(20)을 하부로 밀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20)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돌부(23)와;
    상기 원형돌부(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누름구(30)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홈부(32)와;
    상기 원형홈부(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누름구(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작동구(20)를 하부로 밀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20)의 상부가 누름구(30)의 하부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구(20)의 원형돌부(23)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22)와;
    상기 동작공(12)과 수평공(14a) 사이에 동작공(12)보다 더 넓은 구경으로 형성되어 단턱(12b)이 구비되도록 하는 설치공(12a)과;
    상기 설치공(12a)의 단턱(12b)과 작동구(20)의 플랜지(2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구(3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안전노브(4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15)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누름구(30)의 상부에 일부 절결되어 형성되는 홈 형상의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과 대응하고, 90°정·역회전하였을 때 고정홈(31)과의 고정력을 상실하도록 안전노브(40)의 양측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돌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노브(40)가 90°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수직공(15) 외주연 양측에, 마주보며 직각을 이루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홈(15a)과;
    상기 회전홈(15a)에 각각 대응 결합되며 회전홈(15a) 내에서 회전하는 안전노브(40)의 외주연에 형성된 회전돌기(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21)에 의해 폐쇄판(7)이 타통되었을 때 압축공기가 공급유로(13) 로 공급되지 않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탱크(5)의 결합부(6)와 몸체(10)의 결합공(11)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패킹(61)과;
    상기 작동구(2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작동구(20)와 동작공(12)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2패킹(6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노브(40)를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전노브(40)의 상측 외주연에 널링부(40a)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구의 팽창구조.
KR2020060014046U 2006-05-25 2006-05-25 구명구의 팽창구조 KR200423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46U KR200423013Y1 (ko) 2006-05-25 2006-05-25 구명구의 팽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46U KR200423013Y1 (ko) 2006-05-25 2006-05-25 구명구의 팽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134A Division KR100772445B1 (ko) 2006-09-22 2006-09-22 구명구의 팽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013Y1 true KR200423013Y1 (ko) 2006-08-02

Family

ID=4177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46U KR200423013Y1 (ko) 2006-05-25 2006-05-25 구명구의 팽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0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22B1 (ko) 2007-11-07 2009-04-24 국제구명구 주식회사 오토바이 에이튜브형 상체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22B1 (ko) 2007-11-07 2009-04-24 국제구명구 주식회사 오토바이 에이튜브형 상체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6725B1 (en) Water actuated pressurized gas release device
US9273937B2 (en) Radar reflector operating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position
KR20190131322A (ko)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KR100772445B1 (ko) 구명구의 팽창구조
KR200423013Y1 (ko) 구명구의 팽창구조
CN219584450U (zh) 落水自救手环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CN110697004A (zh) 一种便携式落水自救装置
KR200260119Y1 (ko) 인명구조용 에어조끼
KR101460040B1 (ko) 가스주입장치
CN205440815U (zh) 游泳自动充气救生两用项圈
KR10145707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CN201769997U (zh) 一种快捷充气式救生装置
KR102153627B1 (ko) 투척용 팽창 구명볼
CN2628416Y (zh) 自动充气式便携救生圈
KR101999587B1 (ko) 구명부체 자동 팽창 장치
CN105644741A (zh) 游泳自动充气救生两用项圈
CN220640198U (zh) 一种救生装置
KR100763511B1 (ko) 수상 구명용 격발 장치
CN101920773B (zh) 一种快捷充气式救生装置
CN110539859B (zh) 一种船用应急逃生装置
CN215436864U (zh) 一种气囊充气触发装置
CN220640199U (zh) 开关控制的充气系统及防溺水自救装置
CN211642556U (zh) 一种新型救生圈
GB2333024A (en) Inflatable swimming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