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896Y1 - 핸드폰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896Y1
KR200422896Y1 KR2020060013832U KR20060013832U KR200422896Y1 KR 200422896 Y1 KR200422896 Y1 KR 200422896Y1 KR 2020060013832 U KR2020060013832 U KR 2020060013832U KR 20060013832 U KR20060013832 U KR 20060013832U KR 200422896 Y1 KR200422896 Y1 KR 200422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ixed
housing
main body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치욱
Original Assignee
(주)태성합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합금 filed Critical (주)태성합금
Priority to KR2020060013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쉴딩케이스가 구비된 본체와 폴더사이의 일단에 힌지장치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플렉시블케이블로 전류 및 전자적인 신호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핸드폰에 있어서, 힌지장치(4)는 본체(2)에 일단이 삽입되며, 평면이 형성된 고정단부(12)의 타단으로 캠(14)이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고정캠(10)과, 상기 고정캠(10)의 관통공(16)에 삽입되어 일단이 걸림되는 걸림홈(22)이 형성되고, 타단으로 폴더(3)에 위치되며, 끝단부에 걸림홈(24)이 형성되는 고정축(20)과, 상기 고정축(2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32)이 형성되며, 일단에 고정캠(10)의 캠(14)과 상호 대응되는 캠(34)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가동캠(30)과, 상기 가동캠(30)과 동일한 외주연을 가지면, 내부에 가동캠(30)을 수용하며, 타단으로 고정축(20)에 삽입되게 통공(42)이 구비되는 지지부(44)로 형성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지지부(44)와 가동캠(30)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하우징(40)의 끝단에 밀착되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밀림됨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고정축(20)의 걸림홈(24)에 걸림되는 단속부재(60)로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캔타입 힌지장치, 통전수단, 쉴딩

Description

핸드폰의 힌지장치{Hinge system of Hand-phone}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핸드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힌지장치 10 : 고정캠
12 : 고정단부 14, 34 : 캠
16 : 관통공 20 : 고정축
22 : 단턱 24 : 걸림홈
30 : 가동캠 32 : 삽입공
40 : 하우징 44 : 지지부
50 : 스프링 60 : 단속부재
본 고안은 핸드폰의 힌지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캔타입 힌지장치의 고정축과 하우징 및 단속부재를 금속재로 형성하여, 본체와 폴더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져, 폴더에 잔류하는 전류를 본체로 재 공급하여, 통화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을 위한 무선단말기는 무선 호출기를 거쳐 직접 실시간으로 통화가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소위 휴대폰 또는 핸드폰(이하 '핸드폰'이라 함)으로 발전되었고, 이러한 핸드폰은 개폐상태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립형 등으로 나눠진다.
아울러, 본 고안은 폴더형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폴더형 핸드폰은 크기가 거의 비슷한 본체와 폴더가 상호 마주 접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거나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된다.
도 1은 폴더형 핸드폰의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핸드폰(1)은 몸체 역할을 하며, 숫자버튼과 통화 및 파워버튼등이 다수 형성된 조작부와 충전지가 결합되는 본체(2)와, 커버역할을 하며 액정화면이 설치되는 폴더(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에는 발신부인 마이크가 마련되고, 폴더(3)에는 수신부인 스피커가 마련되는 것으로, 이는 핸드폰(1) 사용에 따른 일반적인 구성이다.
여기에서 본체(2)와 폴더(3)사이의 일단에는 힌지장치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본체(2)에 결합된 충전지의 전류와, 조작부의 전자적인 신호를 폴더(3)에 공급하는 플랙시블 케이블이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장치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닫힌상태 즉, 클로즈(close)상태를 유지하여 본체(2)의 조작부에 구비된 버튼들이 임의로 눌림되는 등의 오작동 및 상기 본체(2)와 폴더(3)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기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부의 조작을 위해 본체(2)에서 폴더(3)를 힌지장치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방되어 사용 가능케 된다.
이때, 상기 폴더는 대략 0 ~ 150°정도의 범위내에서 개폐된다.
한편, 힌지장치는 본체(2)의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으로 캠선도가 구비된 고정캠과 상기 고정캠을 관통 삽입되며, 일단부가 폴더(3)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축과, 상기 폴더(3)의 공간부에 형성되며, 고정캠의 캠선도와 상호 대응되는 캠선도를 가지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가동캠과 상기 가동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이 탄성력에 위해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일단에 결합된 단속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장치는 별도의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고, 구성되는 것을 누드(nude)타입이라 하며, 고정캠과 가동캠이 맞물림되는 부분부터 일단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부분까지 하우징이 형성되는 것을 캔(can)타입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2)와 폴더(3)사이의 힌지장치에 의해 개폐되며,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해 전류 및 전자적인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핸드폰 (1)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폴더(3)에 전량 소비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잔류하는 전류에 의해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형상이 발생되고, 특히 통화시 폴더에 형성된 스피커에 전자파장해 현상으로 잡음이 생성되어 통화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쉴딩(shielding)케이스 즉, 금속성의 전도체 물질을 본체(2)와 폴더(3)에 사용되는 케이스에 도금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형성하여, 폴더(3)에 잔류하는 전류가 본체(2)로 재 공급되도록 하여, 잔류하는 전류에 의한 전자파장해를 예방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하지만, 단순히 본체와 폴더의 케이스를 전도체 물질로 도금하는 방법등으로 형성하여, 이에 본체와 폴더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을 통해 잔류하는 전류가 재 공급되는 구성으로, 이 경우 장시간 개폐동작에 의해 결합부위의 도금부위가 벗겨저, 본체와 폴더가 상호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쉴딩케이스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결국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일단이 삽입되는 축과 타단으로 단속부재에 의해 단속되며, 폴더에 삽입되는 하우징을 전도체인 금속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전자파장해에 의해 통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쉴딩케이스가 구비된 본체와 폴더사이의 일단에 힌지장치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힌지축과 플렉시블케이블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핸드폰에 있어서, 힌지장치는 본체에 일단이 삽입되며, 평 면이 형성된 고정단부의 타단으로 캠이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캠과, 이 고정캠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일단이 걸림되고, 타단으로 폴더에 위치되며, 끝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며, 일단에 고정캠의 캠과 상호 대응되는 캠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가동캠과, 이 가동캠과 동일한 외주연을 가지면, 내부에 가동캠을 수용하며, 타단으로 고정축에 삽입되게 통공이 구비되는 지지부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지지부와 가동캠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밀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림됨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고정축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단속부재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축과 하우징 및 단속부재는 전도체인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캠의 고정단부에는 본체의 삽입 고정을 견고하도록 고정단부의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단속부재는 이링(e-ring)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힌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5는 힌지장치를 통한 통전 흐름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핸드폰(1)은 조작부와 마이크가 구비된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커버하며, 액정화면등과 같은 표시부 및 스피커가 구비된 폴더(3)로 구성되며, 상기 본 체(2)와 폴더(3) 사이의 일단에는 폴더(3)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힌지장치(4)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힌지축 및 플렉시블케이블이 설치되어, 본체(2)의 전류 및 전자적인 신호를 폴더(3)에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2)와 폴더(3)에는 금속재와 같은 전도체 물질로 도금 또는 기타 방법을 통해 전자파장해를 차단하도록 하는 쉴딩(shielding)케이스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장치(4)는 본체(1)에 고정되는 고정캠(10)과 상기 고정캠(10)을 관통하는 고정축(20)과 상기 고정축(20)에 삽입되는 가동캠(30)과, 상기 가동캠(30)의 후방에 마련되며, 케이싱 처리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과 가동캠(30)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하우징(40)이 스프링(50)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60)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캠(10)은 본체(2)에 일단이 삽입되며, 평면이 형성된 고정단부(12)의 타단으로 캠(14)이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단부(12)의 외주연에는 걸림돌기(12a)가 더 형성되어, 본체(2)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임의의 회동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축(20)은 고정캠(10)의 관통공(16)에 삽입되어 일단이 걸림되는 단턱(22)이 형성되고, 타단으로 폴더(3)에 위치되며, 끝단부에 걸림홈(24)을 형성한다.
아울러, 가동캠(30)은 고정축(20)에 삽입되도록 중앙으로 삽입공(32)이 형성되며, 일단에 고정캠(10)의 캠(14)과 상호 대응되는 캠(34)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경우 양측면이 평면을 이루는 장방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40)은 가동캠(30)과 동일한 외주연을 가지며, 내부에 가동캠(30)을 수용하고, 타단으로 고정축(20)에 삽입되게 통공(42)이 구비되는 지지부(44)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가동캠(30)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으로 폴더(3)에 삽입시 회동력이 방해됨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속부재(60)는 하우징(40)의 끝단에 밀착되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밀림됨을 방지하도록 고정축(20)의 걸림홈(24)에 걸림되는 것으로, 이 경우 하우징(40)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축(20)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가령, 평와셔나 멈춤링 또는 분할핀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의 단속부재(60)는 이링(e-ring)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축(20)과 하우징(40) 및 단속부재(60)인 이링은 전도체인 금속재로 형성하여, 본체(2)의 일단에는 고정캠(10)에 삽입된 고정축(20)의 일단이 접촉되고, 폴더(3)는 하우징(40)과 접촉되며, 상기 고정축(20)과 하우징(40)에는 이링이 구비되어, 상호 통전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드폰의 힌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는 종래와 동일한 작동상태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드폰(1)을 이용하여, 통화시 본체(2)에서 폴더(3)를 개방시키면, 상기 본체(2)의 충전지 전류가 플렉시블케이블을 따라 폴 더(3)에 공급되어, 액정화면을 밝히는 등의 전류로 사용되며, 비 소모량 전류는 폴더의 쉴딩케이스를 따라 힌지장치의 하우징에 유도되고, 이 경우 하우징과 밀착된 이링을 통해 고정축에 유도되어 결국, 본체로 회수된다.
특히, 통화시 스프커에 전자파장해를 유발했던 미 소모량 전류가 상술한 방법으로 본체에 회수되게 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의한 전자파장해 현상이 유발되지 않아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체에 일단이 삽입되는 축과 타단으로 단속부재에 의해 단속되며, 폴더에 삽입되는 하우징을 전도체인 금속재로 형성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전자파장해에 의해 통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가령, 합성수지재의 고정캠과 금속재의 고정축을 인서트 사출에 의한 방식으로 이종(異種) 사출물로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쉴딩케이스가 구비된 본체와 폴더사이의 일단에 힌지장치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플렉시블케이블로 전류 및 전자적인 신호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4)는
    본체(2)에 일단이 삽입되며, 평면이 형성된 고정단부(12)의 타단으로 캠(14)이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고정캠(10);
    상기 고정캠(10)의 관통공(16)에 삽입되어 일단이 걸림되는 걸림홈(22)이 형성되고, 타단으로 폴더(3)에 위치되며, 끝단부에 걸림홈(24)이 형성되는 고정축(20);
    상기 고정축(2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32)이 형성되며, 일단에 고정캠(10)의 캠(14)과 상호 대응되는 캠(34)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가동캠(30);
    상기 가동캠(30)과 동일한 외주연을 가지면, 내부에 가동캠(30)을 수용하며, 타단으로 고정축(20)에 삽입되게 통공(42)이 구비되는 지지부(44)로 형성되는 하우징(40);
    상기 하우징(40)의 지지부(44)와 가동캠(30)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하우징(40)의 끝단에 밀착되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밀림됨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고정축(20)의 걸림홈(24)에 걸림되는 단속부재(6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20)과 하우징(40) 및 단속부재(60)는 전도체인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10)의 고정단부(12)에는 본체(2)의 삽입 고정을 견고하도록 고정단부(12)의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돌기(12a)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60)는 이링(e-ring)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힌지장치.
KR2020060013832U 2006-05-23 2006-05-23 핸드폰의 힌지장치 KR200422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32U KR200422896Y1 (ko) 2006-05-23 2006-05-23 핸드폰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32U KR200422896Y1 (ko) 2006-05-23 2006-05-23 핸드폰의 힌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179A Division KR20060033199A (ko) 2004-10-14 2004-10-14 핸드폰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896Y1 true KR200422896Y1 (ko) 2006-08-02

Family

ID=4177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32U KR200422896Y1 (ko) 2006-05-23 2006-05-23 핸드폰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74Y1 (ko) 2014-03-19 2015-08-11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콤팩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74Y1 (ko) 2014-03-19 2015-08-11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콤팩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07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239897B2 (en)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46596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911844B1 (ko) 휴대 단말 장치
KR1008192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접지 장치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30021564A (ko)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KR20090118619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KR100910197B1 (ko) 단자 및 휴대 단말 장치
KR2003008172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700002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KR200422896Y1 (ko) 핸드폰의 힌지장치
KR20050059079A (ko) 절첩식 전자 기기
KR20060033199A (ko) 핸드폰의 힌지장치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CN109888546A (zh) 电子产品的连接器及电子设备
JP2007208314A (ja) 携帯電子機器
KR100630090B1 (ko)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
JP3776776B2 (ja) 折り畳み型移動通信装置のヒンジ部構造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1189782A (ja) フリップ型携帯電子機器
KR200267086Y1 (ko) 폴더형 단말기의 광폭 연성평판케이블용 컨넥터구조
KR1004475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5337B1 (ko) 방수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 및 그 방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