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34Y1 - 전시용 진열장 - Google Patents

전시용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34Y1
KR200422034Y1 KR2020060011501U KR20060011501U KR200422034Y1 KR 200422034 Y1 KR200422034 Y1 KR 200422034Y1 KR 2020060011501 U KR2020060011501 U KR 2020060011501U KR 20060011501 U KR20060011501 U KR 20060011501U KR 200422034 Y1 KR200422034 Y1 KR 200422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rotating drum
gear
exhibi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곤
Original Assignee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곤 filed Critical 김태곤
Priority to KR2020060011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2Removable walls, scaffolding or the like; Pillars; Special curt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2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the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열장의 전시실을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시실의 개방시에는 전시실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시품을 용이하게 진열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전시품을 전시 및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 누구나 쉽게 작동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수의 진열장의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외부로 불필요한 구조물이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깔끔한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지지실, 전시실, 승강수단, 회전드럼, 개폐

Description

전시용 진열장{DISPLAY CA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작동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지실 110: 도어
120: 전시판 130: 가이드봉
140: 관통공 150: 설치바
200: 전시실 210: 프레임
220: 투명케이스 211: 승강봉
212: 작동판 212a: 가이드공
310: 회전드럼 320: 지지브라켓
330: 회전축 331: 능동기어
340: 레버 350: 피동기어
360; 래칫기어 370: 스토퍼
S: 스프링 R: 롤러
W: 와이어 M: 구동모터
본 고안은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열장의 전시실을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시실의 개방시에는 전시실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시품을 용이하게 진열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전시품을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는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이나 전시관 등에 전시되는 도자기, 골동품 및 고문서 등과 같은 전시품은 햇빛, 온도, 습도 등의 자연적 요인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시용 진열장을 이용하여 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시용 진열장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로 된 전시부를 통해 밀폐시켜 전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전시부에 설치된 유리가 고정식 또는 개폐식 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고정식의 경우는 전시품을 전시 및 교체하고자 할 때, 고정 설치된 유리를 해체한 후 전시품를 전시 및 교체한 다음, 해체했던 유리를 재차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전시품의 전시 및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며, 개폐식의 경우는 전시부의 일면이 경첩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되어 전시부의 개폐가 용이하지만, 개방된 유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방된 유리를 붙잡고 있어야되므로 전시품의 전시 및 교체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5339호에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전시부의 전면 유리를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식 개폐하는 전시용 진열장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전시용 진열장은 개폐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잦으며, 전면 유리가 측면으로 개폐되기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므로 진열장을 효율적으로 설치하지 못하며, 투명 유리로 된 전시부의 외부로 개폐수단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진열장의 전시실을 상하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시실의 개방시에는 전시실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 고 폐쇄시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시품을 용이하게 진열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전시품을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는 전시용 진열장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져 누구나 쉽게 작동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수의 진열장의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로 불필요한 구조물이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깔끔한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은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게 도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전시품을 놓아 둘 수 있게 전시판이 설치되며, 내부 양측에는 수직되게 가이드봉이 설치된 지지실; 상기 지지실의 상부에 설치되되, 프레임 상에 전시품을 투시할 수 있게 투명케이스가 조립된 구조를 갖고, 프레임의 저면 양측에는 승강봉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승강봉의 하단에는 작동판이 연결되고, 작동판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전시실; 및 상기 지지실 내에 설치되되, 와이어의 일단은 작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드럼에 권치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작동판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내부에 상기 회전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브라켓의 공간 내로 위치하게 능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간부분과 그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분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 단부의 나산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능동기어에 치합되면서 능동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능동기어 사이에 회전축에 끼워지는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래칫기어와 능동기어 사이에서 회전축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은 지지실(100), 전시실(200),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지지실(100)은 직육면체의 상자형으로 마련되고, 전방에는 지지실(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1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10)의 양단 일부분과 지지실(100)의 양단 일부분은 연결부재(A)로 연결되어, 도어(110)를 열었을때 도어가 바닥에 닿지않고 적당히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실(100)의 상면으로는 전시품이 안착되어 전시되는 전시판(120)이 설치되며, 내부의 양측으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작동판이 가이드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130)이 설치되며, 상부의 양단에는 후술할 승강봉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관통공(140)이 형성된다.
전시실(200)은 상기 지지실(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시실은 프레임(210)과 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투명케이스(22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10)은 중앙이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되고, 저면 양측에는 승강봉(211)이 수직되게 형성되며, 이 승강봉(211)의 하단에는 작동판(212)이 연결된다. 그리고 작동판(212)은 중앙에 가이드공(212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실의 가이드봉(130)에 끼워져 가이드되면서 상하 승강운동한다. 즉, 상기 승강봉(211)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210)의 저면에 일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판(2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작동판(212)의 승강 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을 지지실(100)에서 승강 운동시켜 전시실(200)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킨다. 여기서, 승강 봉(211)은 상기 프레임(210)의 좌측과 우측에 2개씩 결합하여 프레임(210)이 균형적으로 지지되면서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케이스(220)는 유리재질로 마련되어 진열된 전시품을 밀폐하고 용이하게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실(100) 내에 설치되며, 일단은 작동판(212)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드럼(310)에 권치되는 와이어(W)를 통해 회전드럼(310)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와이어(W)가 회전드럼(31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작동판(212)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전시실(200)을 개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지지실(10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바(150)에 설치된 롤러(R)를 통해 회전드럼과 작동판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실(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드럼(31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320)이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드럼(310)은 지지브라켓(320)에 볼트(B)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W)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결합되는 회전축(330)이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축상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공간 내로 위치하게 능동기어(33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간부분과 그 단부에는 나사산(332,3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30)의 지지브라켓 외부로 노출되는 중간부분의 나사산(332)에는 레버(340)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30) 단부에는 스프링(S)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 스프링(S)은 상기 회전축 단부의 나사산(333))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레버(340)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310)의 일측에는 피동기어(3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능동기어(331)에 치합되면서 능동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드럼(31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드럼(310)에 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과 능동기어(331) 사이에서 회전축(330)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래칫기어(360)와 이 래칫기어(360)를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제한하는 스토퍼(370)가 마련된다. 여기서 스토퍼(370)는 지지브라켓(320)에 볼트(B)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래칫기어(360)와 능동기어(331) 사이에서 회전축(330)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가압판(380)이 구비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시판(120)에 전시품을 전시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회전축(330)에 결합된 레버(3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340)가 래칫기어(360)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능동기어(331)와 래칫기어(360) 사이에 구비된 가압판(380)이 능동기어(331)와 래칫기어(36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래칫기 어(360)는 회전축(360)과 일체로 회전되며, 동시에 회전축(330)에 일체로 형성된 능동기어(331)도 회전하게 되고, 이 능동기어(331)에 치합된 피동기어(350)도 능동기어(3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피동기어(350)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310)에 와이어(W)가 감기게 되고, 이때 와이어(W) 타단이 당겨지면서 와이어(W)에 연결된 작동판(212)이 가이드봉(130)를 따라 상승되며, 작동판(212)에 연결된 전시실(200)이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전시실(200)이 일정한 위치까지 상승되면, 스토퍼(370)에 의해 래칫기어(36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고, 가압판에 의해 래칫기어(360)에 밀착되어 래칫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30)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실(200)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용이하게 전시판에 전시품을 전시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3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330)에 형성된 나사산(332)을 타고 레버(340)가 약간 풀리면서 래칫기어(360)를 가압하는 힘이 풀리게 되고, 이때 능동기어(331)와 래칫기어(360) 사이에 마련된 가압판(380)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레칫기어(360)와는 무관하게 회전축(3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능동기어(331)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드럼에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350)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회전드럼(310)에 감겨있는 와이어(W)가 풀리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W)가 풀려게 되면 작동판(212)이 하강되고, 이에 연동하여 전시실(200)이 하강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실(200)이 지지실(100)의 상단에 안착되면 전시실(200) 내부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은 진열장의 전시실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시품을 용이하게 진열 및 교체할 수 있으며, 전시실을 상하측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다수의 진열장을 나란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진열장을 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시실의 개방시에는 전시실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폐쇄시에는 지지실과 밀착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시품을 안전하게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시실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등의 불필요한 구조물이 지지실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깔끔한 전시용 진열장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은 상기 일실시예와 비교할 때 승강수단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의 차이만 있을 뿐, 목적,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서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일실시예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승강수단을 제외한 구성은 상기 일시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수단은 지지실(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 에 회전드럼(31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320)이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드럼(310)은 지지브라켓(320)에 볼트(B)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어(W)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결합되는 회전축(330)이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축상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공간 내로 위치하게 능동기어(33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330)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미도시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310)의 일측에는 피동기어(3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능동기어(331)에 치합되면서 능동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드럼(310)이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은 상기 일실시예와 비교할 때 랫치기어, 스토퍼 등이 필요없어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전시실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일실시예의 효과와 더불어 자동으로 전시실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진열장의 전시실을 상하로 전체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시실의 개방시에는 전시실이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시품을 용이하게 진열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시품을 안전하게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가져 누구나 쉽게 작동할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외부로 불필요한 구조물이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깔끔한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게 도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전시품을 놓아 둘 수 있게 전시판이 설치되며, 내부 양측에는 수직되게 가이드봉이 설치된 지지실;
    상기 지지실의 상부에 설치되되, 프레임 상에 전시품을 투시할 수 있게 투명케이스가 조립된 구조를 갖고, 프레임의 저면 양측에는 승강봉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승강봉의 하단에는 작동판이 연결되고, 작동판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전시실; 및
    상기 지지실 내에 설치되되, 와이어의 일단은 작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드럼에 권치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작동판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내부에 상기 회전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브라켓의 공간 내로 위치하게 능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간부분과 그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분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 단부의 나산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능동기어에 치합되면서 능동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능동기어 사이에 회전축에 끼워지는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래칫기어와 능동기어 사이에서 회전축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내부에 상기 회전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브라켓의 공간 내로 위치하게 능동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능동기어에 치합되면서 능동 기어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
KR2020060011501U 2006-04-28 2006-04-28 전시용 진열장 KR200422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01U KR200422034Y1 (ko) 2006-04-28 2006-04-28 전시용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01U KR200422034Y1 (ko) 2006-04-28 2006-04-28 전시용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34Y1 true KR200422034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01U KR200422034Y1 (ko) 2006-04-28 2006-04-28 전시용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479B1 (ko) * 2007-09-20 2009-06-11 김종기 물품 진열 장치
KR101452100B1 (ko) 2013-04-02 2014-10-16 김철수 무선 전동 개폐 장치를 갖는 전시용 진열장
KR20210048119A (ko) * 2019-10-23 2021-05-03 이상준 금고형 자동 진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479B1 (ko) * 2007-09-20 2009-06-11 김종기 물품 진열 장치
KR101452100B1 (ko) 2013-04-02 2014-10-16 김철수 무선 전동 개폐 장치를 갖는 전시용 진열장
KR20210048119A (ko) * 2019-10-23 2021-05-03 이상준 금고형 자동 진열장치
KR102387781B1 (ko) 2019-10-23 2022-04-18 이상준 금고형 자동 진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100B1 (ko) 무선 전동 개폐 장치를 갖는 전시용 진열장
KR200422034Y1 (ko) 전시용 진열장
US20040154243A1 (en) Automatic blinder-type display assembly
KR102025733B1 (ko) 쇼케이스의 승강장치
US7681618B2 (en) System for operating a plain blind
CN114901108A (zh) 掩蔽或日光保护装置的机动驱动装置、掩蔽或日光保护装置及相关联的设备
KR10101126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EP3272252B1 (en) Bell-type museum showcase, having pantograph lifting mechanisms
KR10106955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AU2007209443A1 (en) Device for obscuring apertures in buildings
JPH11318652A (ja) 昇降開閉式展示ケース
CN113781886A (zh) 一种房地产销售用可多方位展示户型的沙盘
JPH11318651A (ja) 昇降式展示ケース
CN219249720U (zh) 可伸缩的城市规划用展台
JP2010222928A (ja) ブラインド内蔵型多重ガラスサッシの動力伝達装置
KR20040103697A (ko) 신발장
JP2002054368A (ja) 電動巻取式開閉装置の構造
ITMC20070005U1 (it) Bancone frigorifero convertibile.
HRP20180908A2 (hr) Primjena fleksibilnih užadi na mehanizmima za sprječavanje od neovlaštenog uzimanja na izložbenim stalcima i postoljima za izlaganje naočala
CN213524649U (zh) 一种通讯器材展示柜
KR200308436Y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의 전면스크린장치
CN213605581U (zh) 一种药房用避光货架
KR200197983Y1 (ko) 회전 진열장
KR20190002272U (ko) 물품 진열장치
CN211154891U (zh) 智能升降展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