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881Y1 -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881Y1
KR200420881Y1 KR2020060011391U KR20060011391U KR200420881Y1 KR 200420881 Y1 KR200420881 Y1 KR 200420881Y1 KR 2020060011391 U KR2020060011391 U KR 2020060011391U KR 20060011391 U KR20060011391 U KR 20060011391U KR 200420881 Y1 KR200420881 Y1 KR 200420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frame
assembl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주)세림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림메탈 filed Critical (주)세림메탈
Priority to KR2020060011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21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벽체 시공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벽면에 각종 요철부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벽체를 성형할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한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는, 다수개가 평면의 상태로 배열되면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분할된 성형면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계의 판넬들과, 상기 각 판넬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성형면을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변을 형성하고 이 테두리변들이 상기 성형면으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변을 연결하면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 이격 설치되는 보강용 리브들 그리고, 상기 분할된 성형면 사이로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된 성형면이 걸림 돌기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평면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벽체 시공 작업, 내벽 거푸집체 및 외벽 거푸집체, 유로폼, 스테인레스계의 판넬, 프레임, 연결바, 걸림 돌기, 성형 품질 향상

Description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concrete form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로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강용 리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의 연결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바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연결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연결바의 양단부를 제거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 시공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벽면에 각종 요철부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 로 벽체를 성형할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은, 다수개의 유로폼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평면의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를 각각 형성하고 이 2개의 거푸집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 유로폼들은 상기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분할된 성형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둘레를 따라 테두리를 형성하는 금속 프레임과, 성형면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일측면을 덮는 상태로 각 테두리변 내측에 끼워져서 위치하는 판넬로 구성되며, 이 판넬은 주로 목재류 합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로폼들은, 성형면을 가지는 판넬이 목재 합판으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타설 후 타설된 원료 중에 포함된 수분이 쉽게 스며들 뿐만 아니라, 합판 표면에 무수하게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틈새들은 원료가 양생될 때 접척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벽체의 양생 후 판넬들이 벽체면에 달라붙아서 유로폼들을 분리하는 작업을 어렵게 하고, 이와 같이 벽면과 판넬이 서로 달라붙은 상태에서 이들을 강제로 분리하면 벽체 표면 일부가 떨어져 나가서 불규칙한 벽면이 형성되는 한 요인이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벽체 시공 후 벽면에 파여진 부분이 발생하면 모르타르 등으로 벽면의 파인 부분을 되메우는 방식으로 추가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각 거푸집체의 분할된 성형면의 경계 지점을 따라 벽면에 단차면 이 발생하는데, 이 단차면이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상기 각 유로폼들의 판넬들이 사각의 프레임의 테두리변 내측에 끼워질 때 이들의 끼움 결합 지점에 단차가 발생된 상태로 성형면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벽면에 발생된 단차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그라인더(grinder)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서 단차면을 갈아내는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종래의 유로폼 구조로는 작업 능률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유로폼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판넬 표면에 합성수지류 필름을 부착하거나 페놀계 오일을 도포하면서 이형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매번 여러 개의 유로폼 판넬에 필름을 부착하거나 오일을 도포하는 추가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판넬 표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작업시 예를들어, 필름과 판넬 표면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오일 도포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은 상태로 벽체를 시공하면 벽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 시공 작업시 유로폼들의 연결 지점에서 단차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과 시공 품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평면의 상태로 배열되면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분할된 성형면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계의 판넬들과,
상기 각 판넬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성형면을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변을 형성하고 이 테두리변들이 상기 성형면으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변을 연결하면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 이격 설치되는 보강용 리브들과,
상기 분할된 성형면 사이로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된 성형면이 걸림 돌기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평면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유로폼들을 지칭한다.
이 유로폼(2)들은 통상의 고정용핀(P)들로 체결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평면의 배열을 가지며 벽체(W) 시공을 위한 내벽 거푸집체(F1)와 외벽 거푸집체(F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각 유로폼(2)은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4)과, 이 프레임(4) 일측을 위치하는 판넬(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4)은 일정한 판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이 사용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판넬(6) 둘레를 따라 대략 직사각형의 테두리변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4)을 형성하는 각 테두리변 외측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파여져서 전체 테두리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H1)이 형성되고, 이 홈(H1)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뚫려진 복수개의 고정용 홀(H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용 홀(H2)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한 유로폼(2)들의 프레임(4)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P)들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각 테두리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홈(H3)이 1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된다. 이 지지홈(H3)들은 상기 내벽 거푸집체(F1)와 외벽 거푸집체(F2)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체결되는 연결부재가 끼워지기 위한 통로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각 프레임(4)의 일측면에는 벽체(W) 시공시 내벽면과 외벽면의 성형 면적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된 성형면(8)을 가지는 판넬(6)이 부착된다.
상기 판넬(6)은 각종 수분 침투의 차단이 가능하고, 표면 정밀도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금속류 중에서 스테인레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기와 같은 각종 주방 용품 제작에 널리 사용하는 24종 계열의 스테인레스가 사용된다.
이 24종 계열의 스테인레스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표면 정밀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고안의 판넬(6) 제작을 위한 재질로 적합하다.
상기 판넬(6)은 대략 0.8mm 내지 1.5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판을 사용한다. 이 판넬(6) 두께가 상기 치수 범위보다 두꺼우면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한 두께보다 얇으면 성형면(8) 표면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얻기가 어렵다.
상기 판넬(6)은 상기 프레임(4)에 부착될 때 이 프레임(4) 일측면 전체를 가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판넬(6)이 상기 프레임(4)의 각 테두리변을 가릴 수 있는 크기의 성형면(8)을 가지며 이 성형면(8)의 반대면이 상기 프레임(4)의 일측면에서 각 테두리변을 덮는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성형면(8)으로부터 상기 프레임(4)의 각 테두리변이 가려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판넬(6)은 상기 프레임(4)의 각 테두리변과 접촉된 상태에서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용접봉을 이용한 통상의 이산화탄소 용접에 의해 상기 프레임(4)측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한 판넬(6)은 상기 프레임(4)의 일측면에서 각 테두리변들이 상기 성형면(8)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부착되므로 다수개의 유로폼(2)을 연결하여 벽체(W) 시공을 위한 거푸집체(F1, F2)를 만들 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유로폼(2)들의 성형면(8)들에 의해서만 벽체(W) 시공을 위한 전체 성형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일측에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판넬(6)이 부착된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 두께(T)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로폼(2)의 두께 규격( 63.5mm)을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상기한 판넬(6) 구조는 벽체(W) 시공시 상기 각 유로폼(2)들의 성형면(8)들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프레임(4)의 테두리변들에 의해 단차면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프레임 테두리 내측에 판넬의 테두리 둘레가 끼워져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변 면적이 포함된 상태로 성형면을 형성하는 종래의 유로폼에 비하여 한층 향상된 성형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종래의 유로폼은 프레임 테두리변 내측에 판넬이 끼워진 후 이들의 끼움 결합부에 발생된 단차에 의해 벽면에 단차면이 그대로 성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4) 내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테두리변들과 연결되는 보강용 리브(10)들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용 리브(10)는 비틀림이나 각종 충격으로부터 상기 프레임(4)의 내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유로폼(2)의 운반시 손잡이 역할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용 리브(10)가 상기 프레임(4)의 마주하는 테두리변 사이를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연결하여 이 보강용 리브(10)들에 의해 상기 프레임(4)의 내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손잡이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각 보강용 리브(1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상의 금속판을 사용하고,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4)의 마주하는 테두리변과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는, 도 1에서와 같이 위치된 내벽 거푸집체(F1)와 외벽 거푸집체(F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연결부재는 마주하는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고정함과 아울러 각 거푸집체(F1, F2)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폼(2)들이 서로 인접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양단부에 걸림 돌기(14)가 형성된 연결바(12)를 사용하고, 이 연결바(12)의 양단부가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에서 인접 배치된 유로폼(2)의 지지홈(H3)이 서로 마주하면서 형성되는 지지홀(16) 내부에 끼워진 후 상기 걸림 돌기(14)들에 의해 상기 지지홀(16)의 양측 끝단면이 각각 걸려지면서 인접한 유로폼(2)이 평면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림 돌기(14)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지지홀(16) 통로를 사이에 두고 도면에서와 같이 4군데 지점에서 2개가 1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걸림 돌기(14)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홀(16) 통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 배치된 유로폼(2)의 일측이 각각 결려지면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바(12)의 양단부 지점에는 체결홀(H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유로폼(2)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P)들이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바(12)의 양단부가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지지홀(16) 내측에서 걸림 작용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연결바(12)는 도 7에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2개의 거푸집체(F1, F2) 간격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각 고정 지점에서 상기 걸림 돌기(14)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유로폼(2)들의 연결 자세나 위치 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 돌기(14)들 중에서 1개 이상의 돌기(14)는 상기 판넬(6)의 성형면(8) 일측과 직접 접촉된 걸림 상태로 지지가 가능하므로 상기 판넬(6)들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2)는 서로 마주하는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F1, F2)의 전체 성형 면적 크기에 따라 이들의 간격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이격 설 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2)의 양단부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절단용 홈(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절단용 홈(18)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이용하여 벽체(W)를 시공 한 후, 벽체(W)로부터 상기 연결바(12)의 양단부측이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절단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단용 홈(18)은 벽체(W) 시공후 도 9에서와 같이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바(12)의 단부를 망치나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상기 벽체(W) 표면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 시공을 위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을 형성할 때 이들 거푸집체의 전체 성형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각 거푸집체의 성형면이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한층 향상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벽체 성형 작업시 작업 능률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양질의 성형 품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다수개가 평면의 상태로 배열되면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분할된 성형면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계의 판넬들;
    상기 각 판넬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성형면을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변을 형성하고 이 테두리변들이 상기 성형면으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각 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변을 연결하면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에 이격 설치되는 보강용 리브들;
    상기 분할된 성형면 사이로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된 성형면이 걸림 돌기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평면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들은, 스테인레스계 중에서 24종의 스테인레스판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들은, 상기 각 프레임의 테두리변 외곽 둘레와 동일한 크기의 성형면을 가지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연결바의 양단부가 상기 성형면 사이의 홈부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된 유로폼과 적어도 1군데 이상이 걸림 상태로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KR2020060011391U 2006-04-27 2006-04-27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KR200420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91U KR200420881Y1 (ko) 2006-04-27 2006-04-27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91U KR200420881Y1 (ko) 2006-04-27 2006-04-27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952 Division 200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881Y1 true KR200420881Y1 (ko) 2006-07-05

Family

ID=4176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91U KR200420881Y1 (ko) 2006-04-27 2006-04-27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8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199A (en) Reinforcing frame wor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H08100510A (ja) フロアー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420881Y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어셈블리
US6874749B2 (en) Construction form system
KR100579702B1 (ko) 건축용 구조부재
KR100615037B1 (ko) 건축용 구조부재의 제작방법
KR20060108481A (ko) 건축물의 장식패널 시공장치
KR100662815B1 (ko) 콘크리트 수직 구조물용 기둥폼
EP2641713B1 (en) Concrete casting mold system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JP2006521477A (ja) 再利用可能な非金属製構造物形成システム
CN115298404A (zh) 框架模板元件和模板系统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200415010Y1 (ko) 거푸집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101886120B1 (ko) 자기 클러치식 고정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0190076Y1 (ko) 보도블럭
CA2100986A1 (en) System for building a structural deck
KR200482779Y1 (ko)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JP2015001104A (ja) 建物外壁におけるタイル支持方法及び建物
KR200420852Y1 (ko) 건축용 거푸집널
US20030217742A1 (en) Stone slab with fasteners
JP2007016546A (ja) 建具および建具の製造方法
KR200415009Y1 (ko) 거푸집 결속장치
KR102004601B1 (ko) 연결부가 구비된 분할 매트리스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의 경사지지다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