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511Y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511Y1
KR200420511Y1 KR2020060001271U KR20060001271U KR200420511Y1 KR 200420511 Y1 KR200420511 Y1 KR 200420511Y1 KR 2020060001271 U KR2020060001271 U KR 2020060001271U KR 20060001271 U KR20060001271 U KR 20060001271U KR 200420511 Y1 KR200420511 Y1 KR 200420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circular
bristles
toothbrush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우
Original Assignee
박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우 filed Critical 박대우
Priority to KR2020060001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46B5/0083Mechanical joint allowing adjustment in at least one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치아의 앞니와 아랫니 뒷면에 남아있는 프라그나 또는 각 치아의 높이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치면 또는 치아 사이에 형성된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칫솔모(1)가 하향되어 효과적으로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칫솔 손잡이(6) 부분에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하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절막대(4)와 칫솔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 체결 홈(3)과 결합이 가능한 원형 지지대(5)로 구성되어 있다.
칫솔모는 조절막대와 체결 가능한 사각형 구조로 된 체결 홈(2)이 있으며 또한 원형지지대와 체결이 가능한 원형 체결 홈의 구조로 되어 있어 칫솔모나 칫솔손잡이를 교체할 시 착 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칫솔모, 원형 체결 홈, 원형 지지대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toothbrush}
도 1: 칫솔모와 칫솔손잡이가 체결된 도이다.
도 2: 칫솔모와 칫솔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칫솔모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칫솔모의 후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 칫솔 손잡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칫솔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칫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 칫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 칫솔모 체결 부와 칫솔 손잡이가 체결된 후 면도이다.
<세부명칭>
(1)칫솔모(2)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3)원형 홈(4)조절막대(5)원형 지지대
(6)칫솔 손잡이(7) 사각형 모양의 지지대 (8) 조절핀 (9) 원형 볼
앞니와 아랫니 뒷면에 있는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을 높이 세워서 칫솔질을 해야 하며 또한 각 치아의 높이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치면 또는 치아 사이에 있는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해 손을 여러 형태의 각도로 움직이거나 많은 움직임을 통해 프라그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칫솔모가 하향 이동하여 알맞은 각도를 형성하고 고정되어 있어야 양치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는데 칫솔모 또는 칫솔 전체가 지나치게 많은 각도로 움직이거나 칫솔모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없다면 칫솔모가 자유자재로 이동되어 양치를 할 때 제대로 프라그가 제거되는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칫솔모가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고 칫솔모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의 뒷면이나 각 치아 사이에 형성된 프라그를 칫솔모가 칫솔질을 할 때 하향 되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조절막대와 체결 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칫솔모의 변형이나 칫솔손잡이의 교체를 위해 착 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칫솔모와 칫솔손잡이가 체결된 도이다. 도1에 의하면 칫솔모(1)와 칫솔 손잡이(6)가 하나의 형태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써. 칫솔모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2)안에 칫솔손잡이의 조절막대(4)가 체결홈 상단에 조절핀(8)이 하단에 안착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칫솔모에 형성된 원형 홈(3)에 원형 지지대(5)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칫솔모와 칫솔손잡이가 체결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도이다. 도2에 의하면 칫솔모(1)와 칫솔 손잡이(6)가 하나의 형태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써. 칫솔모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2)안에 칫솔손잡이의 조절막대(4)가 체결홈 상단에 원형 볼에 의하여 안착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칫솔모에 형성된 원형 홈(3)에 원형 지지대(5)가 체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원형볼(9)이 조절막대의 하단과 사각 체결홈의 하단에 맞물려 있으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이 가해질 경우 수축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바람직하게는,고무풍선과 같은 형태의 볼을 삽입하여 칫솔모가 하향 될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는 칫솔모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칫솔모(1) 내부에는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2)이 원형 체결 홈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칫솔손잡이에 형성된 원형지지대와 체결이 가능한 원형 체결 홈(3)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은 칫솔모의 후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사각형 모양의 체결홈(2)이 칫솔모 내부에 좌우로 형성된 원형 체결 홈을 기점으로 중앙에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바람직하게는 조절막대와 조절핀의 밑면이 체결홈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맞닿아 하향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형성하며 마찬가지로 도2의 실시예와 같이 원형 볼을 삽입하여 조절막대가 체결홈 상단에 안착되어 각도가 유지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칫솔모에는 원형지지대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형 체결 홈(3)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는 칫솔 손잡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칫솔손잡이(6) 부분에는 조절막대(4)와 조절핀(8) 및 원형 지지대(5)의 구조로 되어 있다. 조절막대는 칫솔모의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과 체결이 가능하며 원형 지지대는 상기 칫솔모의 원형 체결 홈과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조절막대의 크기는 원형 지지대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조절막대의 하단에 각도를 형성하여 하향되어 있는 조절핀은 칫솔모가 하향되어 유지될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칫솔모가 하향된 상태에서 상향될수 있도록 탄력을 가질수 있도록 하여 조절핀이 0도에서 40도 각도 로 하향될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는 칫솔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의하면 원형지지대(5)와 조절막대(4)를 이어주는 사각형 모양의 지지대(7)및 조절핀(8)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형 모형의 지지대는 양축으로 형성된 원형 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조절막대는 사각형 모형의 지지대 중앙에 형성되며 조절핀은 조절막대와 한면에서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절막대의 크기는 사각형 모형의 지지대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길이는 원형 지지대의 좌우 전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칫솔모 체결 홈과 칫솔 손잡이가 체결된 후면 도이다. 도 7에 의하면 칫솔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원형 지지대(5)가 상기 칫솔모의 원형 체결 홈에 체결되어 있으며 사격형 모양의 조절막대(4)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체결 홈(2)에 체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칫솔모가 하향 되기 위해서는 칫솔모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 좌우 측면과 하단은 조절막대와 체결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며 특히 상단은 각도 조절을 위해 조절막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하향 각도는 0도에서 40도까지 바람직하며 조절막대는 알맞은 각도가 되면 상기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 상단에 각을 이루어 안착 되어 칫솔모가 하향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치아의 뒷면에 있는 프라그를 제거하거나 각 치아의 높이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칫솔을 높이 세우거나 손목을 여러각도로 움직여 프라그를 제거하지 않고 칫솔모가 자동으로 하향 되어 일정한 방향이나 왕복을 통해서도 효과적으로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칫솔모가 하향 된 후 조절막대가 칫솔모가 지나치게 많은 각도로 하향 되거나 자유자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힘에 의해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칫솔모나 칫솔손잡이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비용의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5)

  1. 칫솔모와 칫솔손잡이에 있어서,
    칫솔모와 칫솔 손잡이가 동일한 형태의 체결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는 칫솔모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 안에 칫솔손잡이의 조절막대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써 칫솔모에 형성된 원형 홈에 칫솔 손잡이의 원형지지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칫솔모 내부에는 사각형 모양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칫솔 손잡이에 형성된 원형지지대와 체결이 가능한 원형 체결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은 칫솔모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칫솔 손잡이 원형 지지대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형 체결 홈은 칫솔모 바깥쪽에 위치한 것이 특징인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칫솔 손잡이는 조절막대와 조절핀 및 원형 지지대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조절막대와 조절핀은 칫솔모의 사각형 체결홈과 체결이 가능하며 원형 지지대는 상기 칫솔모의 원형 체결홈과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절막대는 양축으로 형성된 원형 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칫솔 손잡이는 조절막대와 원형 지지대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칫솔모의 사각형 체결홈과 체결이 가능하며 체결홈에는 탄성을 가진 원형볼이 삽이되어 조절막대의 하단과 사각 체결홈의 하단에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절막대는 양축으로 형성된 원형 지지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칫솔
  5. 제 1항 에 있어서,
    칫솔모의 하향을 위해 칫솔모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체결홈 좌우 측면과 하단은 조절막대와 체결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고, 상단은 각도 조절을 위해 조절막대보다 크게 형성하되 하향 각도는 0도에서 40도까지이고; 조절막대는 조절핀 또는 원형볼에 의해 이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사각형 모양의 체결 홈 상단에 각도를 이루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20060001271U 2006-01-16 2006-01-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0420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71U KR200420511Y1 (ko) 2006-01-16 2006-01-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71U KR200420511Y1 (ko) 2006-01-16 2006-01-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511Y1 true KR200420511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271U KR200420511Y1 (ko) 2006-01-16 2006-01-1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5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027B2 (en) 2004-12-31 2011-10-25 Kmw Inc. Apparatus fo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 comm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027B2 (en) 2004-12-31 2011-10-25 Kmw Inc. Apparatus fo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 comm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38206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和包括此类头部的套件
CA2626333C (en) Oral care implement
US20070277339A1 (en) Toothbrushing system for specialized cleaning
RU2369305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которая обеспечивает улучшенную очистку и комфортность
MY150079A (en) Oral care implement
JP3200749U (ja) 歯ブラシヘッド
US20110289709A1 (en) U-shape disposable toothbrush head
KR20110111436A (ko) 교체가능한 강모 필드를 갖는 치아 세척용 마우스피스
RU2006101568A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20120047669A1 (en) Oral-care brushing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4968239A (zh) 正畸牙刷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KR20042051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0406036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90122276A (ko)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이차적인 도구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
JP2008522780A (ja) 歯ブラシ
KR100733721B1 (ko) 칫솔모와 칫솔손잡이
US20070143944A1 (en) Toothbrush
KR200422446Y1 (ko) 기능성 칫솔
CN112638207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和包括此类头部的套件
KR200364176Y1 (ko) 아래위로 닦기가 편리한 가로형 칫솔
KR20200025299A (ko)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효율이 향상된 칫솔
US20180352944A1 (en) Dental hygeine device utilizing axial forces and related methods
KR20090022744A (ko) 가변형 칫솔
JP2005046164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