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264Y1 - 이쑤시개 - Google Patents

이쑤시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264Y1
KR200420264Y1 KR2020060010036U KR20060010036U KR200420264Y1 KR 200420264 Y1 KR200420264 Y1 KR 200420264Y1 KR 2020060010036 U KR2020060010036 U KR 2020060010036U KR 20060010036 U KR20060010036 U KR 20060010036U KR 200420264 Y1 KR200420264 Y1 KR 200420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insertion rod
toothpick
rod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건태
Original Assignee
양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태 filed Critical 양건태
Priority to KR2020060010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다양한 치간의 사이간극에 맞추어 치간삽입봉이 작용토록 하고, 치간삽입봉을 보조하는 제거돌기를 통해 치간내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는 이쑤시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치간삽입봉으로 단차지는 두께를 갖는 이쑤시개를 통해 좁은 치간과 넓은 치간에 서로 다르게 작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차진 치간삽입봉의 경계에는 단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테이퍼부가 매개되며, 치간삽입봉에는 이것을 보조하여 그 외주에 제거돌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는 서로 단차진 치간삽입봉에서 두께가 두꺼운 치간삽입봉의 부드러운 유도를 수행하는 가이드면으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Description

이쑤시개{A toothpick}
도 1 은 종래 이쑤시개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리형상의 제거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치간삽입봉, 12 - 보조치간삽입봉,
14 - 지지치간삽입봉, 16 - 테이퍼부,
18 - 제거돌기, 20 - 곡면부,
본 고안은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치간의 사이간극에 맞추어 치간삽입봉이 작용토록 하고, 치간삽입봉을 보조하는 제거돌기를 통해 치간내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는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쑤시개는 예시도면 도 1a 와 같이, 치간으로의 침투와 치간내 의 음식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첨예단(1)이 형성되고, 이 첨예단을 조작하기 위하여 파지봉(손잡이,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파지봉(2)의 양단으로 첨예단이 형성되며, 첨예단과 손잡이의 두께 차이을 극복하기 위하여 첨예단은 테이퍼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이쑤시개는 나무 또는 곡물수지로 성형되며, 그 일선상의 성형은 간단한 제조구조를 제공하여 일회용으로 널리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첨예단(1)은 치간내로 침투되기 위한 부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못하고, 첨예단과 테이퍼를 이루는 부분은 치간내로 침투될 때, 치간을 벌여놓게 되어 치아배열에 좋지 못하다.
또한, 그 일선상의 형상은 어금니 부분 등 후방에 배열된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치 못하고 있다.
이에 종래 첨예단인 치간삽입부와 이 치간삽입부의 침입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별도로 형성한 다수의 개량된 이쑤시개가 안출되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량 이쑤시개(출원번호2019880000358)나 탄성끈을 장착시킨 이쑤시개(출원번호2019850014867), 실을 이용하는 이쑤시개(출원번호2019860012921) 등은 치간의 소제로서 치실을 사용하고 이 치실의 양단을 고정시킬 손잡이를 형성하여 치간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실과 손잡이의 별도 제작과 치실과 손잡이 결합공정 등은 일회용으로 공급되는 이쑤시개로는 적합치 못하며, 반복사용을 위한 개인 용도물품 으로 공급된다.
한편, 예를 들어 개량 이쑤시개(출원번호2020010024469)나 이쑤시개(출원번호1020020011141), 이쑤시개(출원번호1020010074051) 등은 파지봉으로부터의 첨예단 형성에 있어서, 어느 일측면을 첨예단과 일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첨예단의 두께를 균일하게 확보하거나 별도의 두께를 갖는 첨예단을 일체로 성형하여 테이퍼에 의한 침투거리를 극복하고 한 것이며, 부품을 일체화 하여 일회용으로 공급되는 이쑤시개를 제공한다.
그러나, 첨예단과 파지봉의 두께 단차는 그 경계에서의 파손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이쑤시개가 쉽게 부러지는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치간 사이로의 부드러운 삽입과 치간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일회용으로서의 제작이 가능한 이쑤시개(출원번호2020050011398) 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예시도면 도 1b 와 같이, 치간에 삽입될 직경을 갖는 단부가 일선상으로 유지된 형상의 탄성체로 치간삽입봉(3)이 마련되고, 이 치간삽입봉(3)에 일체로 연장되어 치간삽입봉의 탄성변형을 유지시키는 탄성유지부(4)가 형성되며, 상기 치간삽입봉(3)의 단부는 이와 접촉되는 잇몸을 보호하면서도 치간삽입봉과 탄성유지부의 탄성 구부러짐을 유도하기 위하여 곡면부(5)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유지부(4)에는 이를 파지하기 위한 두께를 갖는 손잡이(2)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여기서, 탄성유지부(4)에는 손잡이(2)와의 경계부에 하중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해하기 위하여 테이퍼 보강연결면(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치간삽입봉(3)에는 치간내의 삽입시 탄성유지부로부터의 구부러짐과 복귀를 더욱 보조함과 아울러 치간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성유도홈(7)이 반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쑤시개는 치간삽입봉이 치간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고, 이것이 실험적으로 결정된 치수를 갖지만, 이 결정에 의하여 다양한 치간크기에 맞추어 지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예시도면 도 1a 에 도시된 종래의 이쑤시개는 전기된 문제점이 있지만, 첨예단(1)으로부터 손잡이(2)까지 테이퍼면으로 연속되게 연결됨에 의해, 연속적인 직경이 이웃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치간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이쑤시개의 몸체가 치간사이에 충만되며, 이것은 치간 사이의 크기를 초과하는 손잡이와의 테이퍼면에 의한 연계이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치간삽입봉을 갖는 이쑤시개는 그 크기가 치간 삽입을 위하여 최소한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마련되므로, 이것을 초과하는 치간을 갖는 사람이 사용하게 되면, 치간삽입봉이 헐렁하게 되어 치간 사이의 소제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치간 사이의 간격이 치간삽입봉보다 좁은 경우에도 그 소제가 불편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치간 의 사이간극에 맞추어 치간삽입봉이 작용토록 하고, 치간삽입봉을 보조하는 제거돌기를 통해 치간내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는 이쑤시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치간삽입봉으로 단차지는 두께를 갖는 이쑤시개를 통해 좁은 치간과 넓은 치간에 서로 다르게 작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차진 치간삽입봉의 경계에는 단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테이퍼부가 매개되며, 치간삽입봉에는 이것을 보조하여 그 외주에 제거돌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는 서로 단차진 치간삽입봉에서 두께가 두꺼운 치간삽입봉의 부드러운 유도를 수행하는 가이드면으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설명도이다.
그리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쑤시개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리형상의 제거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치간에 삽입될 직경을 갖는 단부가 일선상으로 유지된 형상의 탄 성체로 치간삽입봉이 마련되고, 이 치간삽입봉에 이를 파지하기 위한 두께를 갖는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된 이쑤시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으로 치간삽입봉(10)이 형성되어지되, 손잡이 방향으로 두꺼운 직경을 갖게 배치되어, 치간내로 초입되는 치간삽입봉은 협소한 치간내의 소제를 위한 보조치간삽입봉(12)으로 형성되고, 이에 이웃되는 치간삽입봉은 상기 치간삽입봉의 탄성변형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넓은 치간내의 소제를 수행하는 지지치간삽입봉(14)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의 경계에는 단차에 따른 치간내로의 상기 지지치간삽입봉(14)의 삽입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단차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게 테이퍼부(1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치간삽입봉(16)에는 그 외주에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를 보조하는 제거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이다.
여기서, 상기 제거돌기(18)는 삽입방향에 대하여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리형상의 제거돌기(18)는 그 외주와 고리단부에 곡면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치간의 사이간극에 맞추어 치간삽입봉(10)이 작용토록 하고, 치간삽입봉(10)을 보조하는 제거돌기(18)를 통해 치간내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는 이쑤시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치간삽입봉(10)으로 단차지는 두께를 갖는 이쑤시개를 통해 좁은 치간과 넓은 치간에 서로 다르게 작용하 도록 한다.
즉, 손잡이에 치간에 삽입될 직경을 갖는 단부가 일선상으로 유지된 형상의 탄성체로 치간삽입봉이 마련되고, 이 치간삽입봉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그 이웃된 경계에 테이퍼부(1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간삽입봉(10)은 2단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방향으로 두꺼운 직경을 갖게 배치되며, 예를 들어 치간내 초입되는 보조치간삽입봉(12)은 약 0.5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그 다음으로 이웃되는 지지치간삽입봉(14)은 약 1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치간삽입봉의 길이는 보조치간삽입봉(12)이 10mm 정도로 형성되며, 지지치간삽입봉(14)은 18~25mm 정도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치간삽입봉(10)에서 보조치간삽입봉(12)은 협소한 치간내의 소제를 수행하며, 지지치간삽입봉(14)은 넓은 치간내의 소제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치간삽입봉(14)은 종래의 탄성유지부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보조치간삽입봉(12)의 치간내 삽입시 함께 구부러져 그 탄성변형을 유지 또는 보조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의 경계에는 그 직경의 차이에 따른 단차를 극복하기 위해 테이퍼부(16)가 매개된다.
상기 테이퍼부(16)는 두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하나는 직경의 단차에 따른 경계에서의 날카로운 단턱을 삭제하기 위함이고, 다른 하나는 직경의 단차에 따른 경계에서의 강성취약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의 직경이 다르고 이것이 경계가 단차지게 마감될 경우, 지지치간삽입봉(14)의 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치간삽입봉의 치간삽입시 지치간삽입봉(14)의 단부가 잇몸을 강하게 자극 또는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에 테이퍼부(16)가 매개되어 이들의 단차가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차에 따른 경계의 날카로운 단턱이 삭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상기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의 두께 차이를 보완시켜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 두께 차이에 의한 경계에서 하중집중에 의한 파손이 용이하며, 그 경계부에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변화를 유도하여 그 단차경계에 의한 하중집중을 경사면으로 분산시키게 되며, 이러한 하중의 분산에 의해 특히 보조치간삽입봉(12)의 급격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서 테이퍼부(16)는 보강구조물로의 역할과 단차를 연결하는 유도면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치간삽입봉(10), 구체적으로 지지치간삽입봉(14)의 외주에는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를 더욱 보조하는 제거돌기(18)가 형성된다.
제거돌기(18)는 지지치간삽입봉(14)에서 협소한 형상, 예를들어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지지치간삽입봉(14)이 치간내로 관통될 때, 치간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거돌기(18)는 치간삽입봉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상은 치간내의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도 4 참조)
다만, 이러한 고리형상은 잇몸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리형상의 제거돌기는 그 외주와 고리단부가 곡면부(20)로 마감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쑤시개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치간삽입봉으로 단차지는 두께를 갖게 형성되어 좁은 치간과 넓은 치간에 모두 작용되고, 이러한 치간삽입봉에는 이를 더욱 보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돌기가 형성되어 치간내 이물질의 제거가 더욱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치간에 삽입될 직경을 갖는 단부가 일선상으로 유지된 형상의 탄성체로 치간삽입봉이 마련되고, 이 치간삽입봉에 이를 파지하기 위한 두께를 갖는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된 이쑤시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으로 치간삽입봉(10)이 형성되어지되, 손잡이 방향으로 두꺼운 직경을 갖게 배치되어, 치간내로 초입되는 치간삽입봉은 협소한 치간내의 소제를 위한 보조치간삽입봉(12)으로 형성되고, 이에 이웃되는 치간삽입봉은 상기 치간삽입봉의 탄성변형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넓은 치간내의 소제를 수행하는 지지치간삽입봉(14)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치간삽입봉(12)과 지지치간삽입봉(14)의 경계에는 단차에 따른 치간내로의 상기 지지치간삽입봉(14)의 삽입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단차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게 테이퍼부(1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치간삽입봉(16)에는 그 외주에 치간내의 이물질 제거를 보조하는 제거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거돌기(18)는 삽입방향에 대하여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3. 제 2 항에 있어서, 고리형상의 제거돌기(18)는 그 외주와 고리단부에 곡면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KR2020060010036U 2006-04-14 2006-04-14 이쑤시개 KR200420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36U KR200420264Y1 (ko) 2006-04-14 2006-04-14 이쑤시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36U KR200420264Y1 (ko) 2006-04-14 2006-04-14 이쑤시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264Y1 true KR200420264Y1 (ko) 2006-06-29

Family

ID=4929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36U KR200420264Y1 (ko) 2006-04-14 2006-04-14 이쑤시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2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floss aid
CN205286573U (zh) 包含成角度的刷子的牙齿的清洁工具
US5069621A (en) Dental appliance
JP3154935U (ja) 歯間ブラシ
EP1219264B1 (en) Dental wedge with handle
US20080076089A1 (en) Non-metallic dental scaler
US20120080049A1 (en) Dental Floss Pick
US20190209277A1 (en) Dental cleaning tool including pivotable brush
US20120111358A1 (en) Floss pick
US20160193021A1 (en) Floss pick
ES2168738T3 (es) Aparato de limpieza de los dientes con una empuñadura.
KR200441684Y1 (ko) 이쑤시개
JP3151190U (ja) デンタルフロスが備えられた歯間ブラシ
JP3124246U (ja) 歯間清掃具
KR200420264Y1 (ko) 이쑤시개
CN210931966U (zh) 一种牙科清洁工具
KR200489501Y1 (ko) 치아위생기구가 구비된 치실구
US20220218453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US20100200015A1 (en) Combination toothpick and flosser for dental care
EP1825831A1 (en) Floss grip
US11266483B2 (en) Mouth piece removal tool
KR20110002319U (ko)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갖는 치간 세정 도구
JP2877772B2 (ja) 歯牙清掃用具
KR200388985Y1 (ko) 이쑤시개
JP3223089U (ja) 歯用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