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779Y1 -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779Y1
KR200419779Y1 KR2020060008500U KR20060008500U KR200419779Y1 KR 200419779 Y1 KR200419779 Y1 KR 200419779Y1 KR 2020060008500 U KR2020060008500 U KR 2020060008500U KR 20060008500 U KR20060008500 U KR 20060008500U KR 200419779 Y1 KR200419779 Y1 KR 200419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dough
plate
extrus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휘
윤장수
Original Assignee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8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by fluid pressure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e.g. using vacuum,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5/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Industrial outlines or plan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06Forcing the material through scree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2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heating or cooling, e.g. steam jackets, by means of treating agents acting directly on the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 사이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그릇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내로 미리 만들어진 흙반죽이 자동적으로 압출·주입되도록 하여 도자기그릇을 성형토록 하고, 상부성형틀이 상승된 후 별도의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도자기그릇을 들어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활형의 도자기그릇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자기그릇 성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받침대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레일받침대상에는 고정레일이 설치된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작업대와; 저면에 상기 제1작업대상의 고정레일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고정레일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이동레일이 설치된 정해진 크기의 장착판과;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정해진 그릇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상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성형틀과; 상기 제1작업대상의 레일받침대 사이에 실린더몸체의 후단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장착판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장착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하부성형틀이 위치이동 되도록 하는 제1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업대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양측면에 이동판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태의 경사턱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제2작업대의 상면 앞쪽에 실린더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이동판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제2작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판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어 이동판의 이동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앞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압출노즐이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면에는 개방된 형태의 흙반죽투입구가 형성된 흙반죽압출튜브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뒷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뒷쪽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압의 작동에 따라 길이변화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내의 흙반죽이 압출노즐을 통하여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피스톤이 구비된 압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판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제2작업대상에 설치되어 가이드판상의 경사턱을 받쳐주고, 외력의 작용방향에 의하여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작동되면서 가이드판의 높낮이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하부성형틀의 높이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와;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앞부분 내부와 호스(Hose)를 매개로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흙반죽이 압출되기 전에 진공압을 인가하여 흙반죽압출튜브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진공펌프와; 그릇 성형위치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상면의 네모서리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며, 저면에는 그 하강끝점에서 하부성형틀내의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공간부와의 사이에 그릇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상부성형틀과; 상기 상부성형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유체압의 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부성형틀을 아랫쪽으로 밀어주거나 윗쪽으로 당겨주는 제3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업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구동되면서 준비된 흙반죽을 흙반죽압출튜브상의 흙반죽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흙반죽이송컨베어와; 상기 제1작업대의 상면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방향 길이조정되면서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그릇을 흡착한 후 들어올려 취출하는 다수의 그릇취출부재와; 상기 제2작업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순환구동되면서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취출된 그릇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이송컨베어를 포함한다.
도자기그릇, 하부성형틀, 흙반죽압출튜브, 그릇취출부재

Description

도자기그릇 성형장치{AN APPARATUS FOR FORMING POTTERY VESSE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1작업대상의 고정레일과 하부성형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서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하부성형틀과 흙반죽압출튜브의 작동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와 압출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1(a), 도 11(b)는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서 그릇취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와 하부성형틀 및 그릇취출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서 하부성형틀이 그릇성형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고안에서 그릇성형위치에 도달된 하부성형틀에 대하여 흙반죽압출튜브가 이동 및 이동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서 캐비티의 형성을 위하여 하부성형틀에 대하여 상부성형틀이 하강하여 끼워진 후 캐비티내로 흙반죽을 압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9는 본 고안에서 그릇성형 후 상부성형틀이 상승된 후 그릇취출부재가 하부성형틀내로 이동되어 성형된 그릇을 흡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본 고안에서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흡착된 그릇이 바깥쪽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작업대 14 : 제2작업대
16 : 레일받침대 16a : 고정레일
17 : 스톱퍼 18 : 장착판
18a : 이동레일 20 : 하부성형틀
22 : 제1작동실린더 32 : 흙반죽압출튜브
32a: 압출노즐 34 : 압출실린더
35 :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
35a : 승강안내블럭 35b : 리드스크류
35c : 샤프트 35d : 조정핸들
42 : 상부성형틀 50 : 그릇취출부재
52 : 높이조정실린더 58 : 그릇흡착부.
본 고안은 도자기그릇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 사이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그릇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내로 미리 만들어진 흙반죽이 자동적으로 압출·주입되도록 하여 도자기그릇을 성형토록하며, 상부성형틀이 상승된 후 별도의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도자기그릇을 들어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활형의 도자기그릇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자기그릇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그릇 대신에 음식물을 담았을 경우 온도와 맛이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되면서도 품격이 높은 도자기그릇을 점차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도자기그릇은 흙반죽을 그릇형태로 성형한 후 가마에 넣어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종래에는 물레의 상부판상에 흙반죽을 가래로 만들어 원통형으로 쌓아올리고, 물레를 회전시켜가면서 쌓아올린 흙가래를 손으로 빚어 원하는 형태의 그릇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하나의 도자기그릇을 만드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매우 저조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물레를 이용한 도자기그릇의 성형방법에서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성형된 그릇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량발생률이 매우 높고, 제품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석고를 이용하여 원하는 그릇형상의 성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석고재의 성형틀내에 흙반죽을 주입한 후 외부로터 압력을 가하여 그릇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석고재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도자기그릇의 성형하는 경우에 그릇을 성형하기 까지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석고재의 성형틀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깨지거나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며,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매우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릇형상에 맞추어 설계되는 하부금형과 상부 금형을 마련하고, 하부금형에 흙반죽을 주입한 후 상부금형을 하부금형에 대하여 프레스하는 방식으로 도자기그릇을 성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또한 하부금형에 대하여 상부금형이 프레스될 때 하부금형내의 흙반죽이 상부금형에 달라붙기 때문에 원하는 도자기그릇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금형형성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 사이에서 성형하고자 하는 그릇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내로 미리 만들어진 흙반죽이 자동적으로 압출·주입되도록 하여 도자기그릇을 성형토록하며, 상부성형틀이 상승된 후 별도의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도자기그릇을 들어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활형의 도자기그릇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갖는 도자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는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받침대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레일받침대상에는 고정레일이 설치된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작업대와; 저면에 상기 제1작업대상의 고정레일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고정레일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이동레일이 설치된 정해진 크기의 장착판과;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정 해진 그릇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상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성형틀과; 상기 제1작업대상의 레일받침대 사이에 실린더몸체의 후단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장착판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장착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하부성형틀이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제1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업대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양측면에 이동판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태의 경사턱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제2작업대의 상면 앞쪽에 실린더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이동판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제2작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판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어 이동판의 이동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앞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압출노즐이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면에는 개방된 형태의 흙반죽투입구가 형성된 흙반죽압출튜브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뒷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뒷쪽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압의 작동에 따라 길이변화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내의 흙반죽이 압출노즐을 통하여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피스톤이 구비된 압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판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제2작업대상에 설치되어 가이드판상의 경사턱을 받쳐주고, 외력의 작용방향에 의하여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작동되면서 가이드판의 높낮이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하부성형틀의 높이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와;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앞부분 내부와 호스(Hose)를 매개로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흙반죽이 압출되기 전에 진공압을 인가하여 흙반죽압출튜브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진공펌프와; 그릇 성형위치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상면의 네모서리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며, 저면에는 그 하강끝점에서 하부성형틀내의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공간부와의 사이에 그릇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상부성형틀과; 상기 상부성형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유체압의 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부성형틀을 아랫쪽으로 밀어주거나 윗쪽으로 당겨주는 제3작동실린더와; 상기 제2작업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구동되면서 준비된 흙반죽을 흙반죽압출튜브상의 흙반죽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흙반죽이송컨베어와; 상기 제1작업대의 상면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방향 길이조정되면서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그릇을 흡착한 후 들어올려 취출하는 다수의 그릇취출부재와; 상기 제2작업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순환구동되면서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취출된 그릇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이송컨베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압출노즐은 흙반죽압출튜브의 선단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 게 결합되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의 몸체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면서 성형되는 그릇을 가열시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히터가 내장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는 이동판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 아랫쪽의 제2작업대 상에서 길이방향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부에는 가이드판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턱의 좌우측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아랫부분에는 내주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끼움공이 마련된 다수쌍의 승강안내블럭과; 상기 각쌍의 승강안내블럭상의 스크류끼움공에 끼워지며, 한쪽 외측단에 베벨기어가 결합되어 외력의 작용에 따라 좌우 회전되면서 승강안내블럭이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다수의 리드스크류(Lead screw)와; 상기 승간안내블럭의 일측 바깥쪽에서 리드스크류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좌우회전되게 설치되며, 정해진 위치에 상기 각 리드스크류상의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또 다른 베벨기어가 고정·설치된 샤프트와; 중심부가 상기 샤프트의 한쪽 끝에 고정·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샤프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정핸들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그릇취출부재는 제1작업대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흡인 또 는 돌출되도록 하는 높이조정실린더와; 상기 높이조정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정·역구동되면서 실린더몸체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구동모터부와; 상기 높이조정실린더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최소한 하부성형틀의 중심부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수평지지간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중심부와 일치하는 수평지지간의 외측단부에서 아랫쪽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부에 흡착판이 결합되어 호스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공압의 작용에 의하여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그릇을 흡착하는 그릇흡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작업대상에 설치된 레일받침대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고정레일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완충홈이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홈의 내부에는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부성형틀의 하강시 그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완충스프링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고정레일은 그 저면이 완충스프링의 상단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완충홈의 내외로 상하 유동되게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레일받침대 사이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 상면에는 상부성형틀의 하강에 따른 하부성형틀의 아랫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가 장착판(18)의 저면과 5∼20mm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對向)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1작업대상의 안내레일과 하부성형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서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본 고안에서 하부성형틀과 흙반죽압출튜브의 작동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와 압출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10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a), 도 11(b)는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12는 본 고안에서 그릇취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서 흙반죽압출튜브와 하부성형틀 및 그릇취출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14는 본 고안에서 하부성형틀이 그릇성형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와 도 16은 본 고안에서 그릇성형위치에 도달된 하부성형틀에 대하여 흙반죽압출튜브가 이동 및 이동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17은 본 고안에서 캐비티의 형성을 위하여 하부성형틀에 대하여 상부성형틀이 하강하여 끼워진 후 캐비티내로 흙반죽을 압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19는 본 고안에서 그릇성형 후 상부성형틀이 상승된 후 그릇취출부재가 하부성형틀내로 이동되어 성형된 그릇을 흡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고안에서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흡착된 그릇이 바깥쪽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10)는 준비된 흙반죽이 흙반죽압출튜브와 압출노즐을 통하여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내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도자기그릇을 성형한 후 별도로 마련되는 그릇취출부재를 이용하여 성형된 도자기그릇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생활형 도자기그릇을 짧은 시간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그릇 성형장치(10)에서는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정해진 높이와 길이 및 너비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1작업대(12)와, 상기 제1작업대(12)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작업대(12)와 비슷한 크기를 갖는 제2작업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1작업대(12)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받침대(16)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받침대(16)의 상부면에는 고정레일(16a)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레일(16a)상에서는 정해진 크기를 갖는 장착판(18)이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장착판(18)의 저면에는 고정레일(16a)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고정레일(16a)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이동레일(18a)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작업대(12)상에 설치된 레일받침대(16)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고정레일(16a)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완충홈(16b)이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홈(16b)의 내부에는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수직방향의 작용힘이 인가되는 경우 그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완충스프링(16c)이 끼워져 설치된다.
또, 상기 고정레일(16a)은 그 저면이 완충스프링(16c)의 상단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완충홈(16b)의 내외로 상하 유동되게 스크류(16d)에 의해 결합된다(도 6(a) 및 도 6(b)참조).
상기 장착판(18)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하부성형틀(20)이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각 하부성형틀(20)의 상부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성형하고자 하는 그릇형상의 공간부(2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42)의 몸체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면서 성형되는 그릇을 가열시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다수의 히터(20b)(42b)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작업대(12)상의 안내레일(16)사이에는 장착판(18)을 밀어주거나 당겨주어 하부성형틀(20)이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제1작동실린더(2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작동실린더(22)는 실린더몸체(22a)와 피스톤로드(22b)로 구성되는데, 상기 실린더몸체(22a)는 안내레일(16)사이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12)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22a)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22b)의 외측단은 상기 장착판(18)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몸체(22a)의 내부에 대한 공압이나 유압 등의 유체압의 제어에 의하여 피스톤로드(22b)가 실린더몸체(22a)내로 흡인되거나 외부로 돌출작용함에 따라 장착판(18)이 안내레일(16)을 따라서 당겨지거나 밀려나면서 하부성형틀(20)이 정해진 그릇성형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작업대(14)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이동판(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작업대(14)의 앞부분과 이동판(24)의 선단부 사이에는 이동판(24)에 이동에 필요한 작용힘을 부여하는 제2작동실린더(26)가 설치된다.
또, 상기 이동판(24)의 저면에는 이동판의 미끄럼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판(25)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판(25)의 양측면에는 이동판(24)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홈(25a)이 마련되고, 가이드판(25)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태의 경사턱(25b)이 아랫쪽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작동실린더(26)는 제1작동실린더(22)와 마찬가지로 실린더몸체(26a)와 피스톤로드(26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실린더몸체(26a)는 제2작업대(26)의 상면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26a)의 내부에 끼워지는 피스톤로드(26b)의 외측단은 상기 이동판(24)의 선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유체압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로드(26b)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이동판(24)이 제1작업대(12)쪽으로 당겨지거나 제1작업대(12)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24)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고정판(28)이 고정·설치되어 이동판(24)과 함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8)의 상부면 앞부분에는 준비된 흙반죽(30)을 압출·공급하기 위한 흙반죽압출튜브(32)가 설치되고, 고정판(28)의 상부면 뒷부분에는 상기 흙반죽압출튜브(32)내로 투입된 흙반죽(30)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실린더(34)가 설치된다.
상기 흙반죽압출튜브(3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선단부에는 압출노즐(32a)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 상부면에는 개방된 형태의 흙반죽투입구(32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노즐(32a)은 흙반죽압출튜브(3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나사결합방식 등에 의하여 흙반죽압출튜브(32)의 선단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압출실린더(34)는 그 선단부에 흙반죽압출튜브(32)의 뒷쪽 내부로 끼워지는 압출피스톤(34a)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압출실린더(34)에 인가되는 유체압의 제어작용에 의하여 압출피스톤(34a)이 길이변화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32)내로 투입된 흙반죽(30)을 앞쪽으로 압착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압출실린더(34)상의 압출피스톤(34a)의 작용에 의하여 압착된 흙반죽(30)은 흙반죽압출튜브(32)의 선단에 마련된 압출노즐(32a)을 통하여 외부로 압출된다.
한편, 상기 흙반죽압출튜브(32)는 하부성형틀(20)의 높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판(24)의 저면에 배치되는 가이드판(25)의 아랫쪽에는 별도의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가 설치된다.
상기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는 가이드판의 하부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다수쌍의 승강안내블럭(35a)과, 상기 각 쌍의 승강안내블럭(35a)을 가로질러 끼워진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다수의 리드스크류(35b)와, 샤프트(35c)와, 상기 샤프트의 한쪽 끝에 고정·결합되는 조정핸들(35d)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안내블럭(35c)는 이동판(24)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5) 아랫쪽의 제2작업대(14) 상에서 길이방향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마주하는 면의 상부에는 가이드판(25)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턱(25b)의 좌우측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진 안내면(35e)이 형성되고, 아랫부분에는 내주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끼움공(35f)이 마련된다
또, 상기 각 리드스크류(35b)는 각 쌍의 승강안내블럭(35a)상의 스크류끼움공(35f)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방향에 따라 제자리 회동되게 구성되며, 그 한쪽 외측단에는 베벨기어(35g)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35b)가 스크류끼움공(35f)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자리 회전되면 상기 마주하는 승강안내블럭(35a)상의 스크류끼움공(35f)상의 나사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쌍의 승강안내블럭(35a)는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샤프트(35c)는 승간안내블럭(35a)의 일측 바깥쪽에서 리드스크류(35b)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좌우회전되게 설치되며,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각 리드스크류(35b)상의 베벨기어(35g)와 맞물리는 또 다른 베벨기어(35g')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를 구성하는 리드스크류(35b)상의 베벨기어(35g) 대신에 웜기어가, 샤프트(35c)상의 베벨기어(35g') 대신에 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정핸들(35d)은 그 중심부에 샤프트(35c)의 한쪽 끝이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손잡이(35h)를 잡고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샤프트(35c)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작업대(14)의 아랫쪽 정해진 위치에는 흙반죽(30)을 압출하기 전에 흙반죽압출튜브(32)의 앞부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진공펌프(36)가 설치되는데, 상기 흙반죽압출튜브(32)의 앞부분 내부와 진공펌프(36)는 호스(38)를 매개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그릇 성형위치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12)상면의 네모서리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는 가이드봉(40)이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40) 에는 외력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는 상부성형틀(42)이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상부성형틀(42)의 저면에는 그 하강끝점에서 하부성형틀(20)내의 공간부(20a)와 끼워지면서 공간부(20a)와의 사이에 그릇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42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성형틀(42)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제3작동실린더(44)가 설치되어 상부성형틀(42)의 승강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작동실린더(44)는 실린더몸체(44a)와 피스톤로드(44b)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몸체(44a)에 인가되는 유체압의 제어에 의한 피스톤로드(44b)의 길이변화를 이용하여 상부성형틀(44)을 아랫쪽으로 밀어주거나 윗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레일받침대(16) 사이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12) 상면에는 상부성형틀(42)의 하강에 따른 하부성형틀(20)의 아랫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Stopper:17)가 장착판(18)의 저면과 5∼20mm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對向)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작업대(14)의 한쪽 측면에는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순환구동되면서 준비된 흙반죽(30)을 흙반죽압출튜브(32)상의 흙반죽투입구(32b)로 이송시키는 흙반죽이송컨베어(46)가 제1작업대(12)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제1작업대(12)의 상면 바깥쪽에는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방향 길이조정되면서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0a)내에서 성형된 그릇(48)을 흡착한 후 들어올려 취출하는 다수의 그릇취출부재(50)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그릇취출부재(50)는 상하방향의 높이조정을 위한 높이조정실린더(52)와 수평방향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부(54)와 수평지지간(56) 및 그릇흡착부(58)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릇추출부재(50)를 구성하는 높이조정실린더(52)는 제1작업대(12)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몸체(52a)와, 상기 실린더몸체(52a)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흡인 또는 돌출되면서 길이변화되는 피스톤로드(52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그릇추출부재(5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부(54)는 높이조정실린더(52)를 구성하는 실린더몸체(52a)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실린더몸체(52a)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그릇취출부재(50)를 구성하는 수평지지간(56)은 높이조정실린더(52)상의 피스톤로드(52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부성형틀(20)상의 공간부(20a) 중심부까지 도달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그릇추출부재(50)를 구성하는 그릇흡착부(58)은 하부성형틀(20)상의 공간부(20a)의 중심부와 일치하는 수평지지간(56)의 외측단부에서 아랫쪽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부에 흡착판(58a)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릇추출부재(50)의 내부로는 호스(58b)가 끼워져 외부로부터 진공압이 인가되면, 그 작용에 의하여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0a)내에서 성형된 그릇(48)을 흡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작업대(14)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순환구동되면서 상기 그릇취출부재(50)에 의하여 취출된 그릇(48)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이송컨베어(60)가 제1작업대(12)와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제1작업대(12) 또는 제2작업대(14)상의 정해진 위치에는 본 고안 장치전체에 인가되는 전원과 유체압의 제어 등 제반 운전상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통상의 제어판이 마련되며, 작업자가 운전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면, 미리 프로그램된 자동제어작용에 의하여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가 서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유기적으로 반복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가 운전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제1작동실린더(22)를 구성하는 실린더몸체(22a)에 인가되는 유체압이 제어되면서 피스톤로드(22b)가 흡인 또는 돌출됨에 따라 장착판(18)의 저면에 설치된 이동레일(18a)이 레일받침대(16)상에 설치된 고정레일(16a)을 따라 이동되며, 이와 같은 장착판(18)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그 장착판(18)상에 고정·설치된 하부성형틀(20)이 정해진 그릇성형위치에 해당되는 상부성형틀(42)의 수직하방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미리 준비한 흙반죽(30)이 흙반죽이송컨베어(46)위에 올려지면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순환구동되는 흙반죽이송컨베어(46)의 이송작용에 의하여 흙 반죽(30)이 정해진 위치까진 이송된 후 제2작업대(14)상에 마련된 흙반죽압출튜브(32)상의 흙반죽투입구(32b)내로 떨어져 투입된다.
상기 흙반죽(30)이 흙반죽압출튜브(32) 뒷쪽의 흙반죽투입구(32b)내로 투입됨과 동시에 진공펌프(36)의 구동에 따른 진공압의 인가에 의하여 흙반죽압출튜브(32)의 앞부분 내부의 공기가 호스(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 15참조).
이와 동시에 제2작동실린더(26)에 인가되는 유체압의 제어작용에 의하여 제2작동실린더(26)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26b)가 실린더몸체(26a)내로 흡입되면서 이동판(24)이 가이드판(25)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고정판(28)이 제1작업대(12)쪽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32)의 선단에 형성된 압출노즐(32a)이 그릇성형위치로 이동된 하부성형틀(2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밀착된다(도 16참조).
이 상태에서 제3작동실린더(44)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44a)의 돌출작용에 의하여 상부성형틀(42)이 가이드봉(40)을 따라 수직방향 아랫쪽으로 하강된 후 상부성형틀(42)의 저면에 마련된 돌출부(42a)가 하부성형틀(20)상의 공간부(20a)내로 진입하면,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0a)와 상부성형틀(42) 저면의 돌출부(42a)사이에 정해진 그릇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된다(도 17참조).
이와 같이 상부성형틀(42)이 하부성형틀(20)의 상면에 충격에 가해지면, 하부성형틀(20)은 수직하방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된 후 하부의 장착판(18)이 스톱퍼(17)의 상부면에 닿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작용힘에 의하여 고정레일(16a)이완충스프링(16c)를 압축하면서 레일받침대(16)상의 완충홈(16b)내로 진입됨에 따라 상부성형틀(42)의 하강작용에 따른 충격력이 흡수된다(도 6(a)참조).
이 상태에서 압출실린더(34)에 유체압이 인가되면, 압출피스톤(34a)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32)내에 투입된 흙반죽(30)을 압착하여 밀어주면 흙반죽이 압출노즐(32a)을 통하여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42)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내로 공급된다.
흙반죽이 캐비티내로 압출된 후 10∼20초 유지하면 그릇형태로 성형되며, 이 과정에서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42)의 몸체 내부에 내장된 히터(20b)(42b)가 70∼100℃로 발열되면서 성형된 그릇(48)을 순간적으로 가열함에 따라 성형된 그릇의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단단해지면서 변형되지 않게 된다(도 18참조).
그릇의 성형 후, 제3작동실린더(44)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면 상부성형틀(42)은 가이드봉(40)을 따라 수직상방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제2작동실린더(26) 역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32)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대기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상부성형틀(42)의 하강에 따른 하부성형틀(20)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레일받침대(16)상의 완충홈(16b)내에 진입되어 있던 고정레일(16a)이 완충스프링(16c)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윗쪽으로 상승됨에 따라 하부성형틀(20) 또한 본래의 높이로 복귀된다(도 6(b) 참조).
이와 같이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0a)내에서의 그릇성형과정이 완료되면, 그릇취출부재(5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부(54)가 작동되면서 높이조정실린더(5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회전됨에 따라 높이조정실린더(52)를 구성하는 피스톤로 드(52b)의 상단에 결합된 수평지지간(56)이 상기 하부성형틀(20)의 캐비티(20a) 중심쪽으로 놓여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지지간(56)에서 아랫쪽으로 설치된 그릇흡착부(58)가 캐비티(20a)의 중심에 위치되는데, 이 상태에서 높이조정실린더(52)로 인가되는 유체압을 조정하여 피스톤로드(52b)가 실린더몸체(52a) 내로 흡인되게 하면, 상기 그릇흡착부(58)가 아랫쪽으로 이동되면서 흡착판(58a)이 성형된 그릇(48)의 바닥면에 밀착된다(도 19참조).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그릇흡착부(58)에 끼워진 호스(58b)를 통하여 진공압을 인가하면, 성형된 그릇(48)이 흡착판(58a)에 흡착되며, 다시 높이조정실린더(52)에 인가되는 유체압을 제어하여 피스톤로드(52b)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하면, 그릇흡착부(58) 및 흡착판(58a)에 흡착된 그릇(48) 또한 하부성형틀(20)의 상면 외측으로 상승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그릇취출부재(5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부(54)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동시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실린더(52) 또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성형된 그릇(48)을 흡착하고 있는 그릇흡착부(58) 또한 하부성형틀(20)을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성형된 그릇(48)을 흡착하고 있는 그릇흡착부(58)가 그릇이송컨베어(60)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높이조정실린더(52)를 제어하여 피스톤로드(52b)가 실린더몸체(52a)내로 흡인되도록 하면, 상기 그릇흡착부(58)가 그릇이송컨베어(60)의 상부면에 도달되고,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 공압을 제거하면 흡착판(58a)에 흡착되어 있던 그릇(48)이 그릇이송컨베어(60)의 상부면에 놓여진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미리 프로그램된 자동제어방식에 의하여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반복된다.
한편, 성형하고자 하는 그릇의 크기나 깊이에 따라 하부성형틀(20)의 높이가 달라지며, 이와 같이 하부성형틀(20)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흙반죽압출튜브(32)의 높이 또한 조정되어야 한다.
필요에 의하여 흙반죽압출튜브(32)의 높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작업대(14)상에서 이동판(24)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판(25)의 저면에 설치되는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를 조작하면 된다.
하부성형틀(20)의 높이에 맞추어 흙반죽압출튜브(32)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를 구성하는 조정핸들(35d)의 손잡이(35h)를 잡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조정핸들(35d)의 중심부에 고정·결합된 샤프트(35c)가 조정핸들(35d)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샤프트(35c)의 회전력은 베벨기어(35g')(35g) 또는 상기 베벨기어와 대체될 수 있는 웜 및 웜기어를 통하여 리드스크류(35b)로 전달되어 리드스크류(35b)가 제자리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35b)상에서 마주보게 나사결합된 한쌍의 승강안내블럭(35a)이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이동된다.
상기 한쌍의 승강안내블럭(35a)이 동시에 중심쪽으로 이동되면, 승강안내블럭(35a)의 마주하는 면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면(35e)에 얹혀진 가이드판(25)상의 경사턱(25b)이 안내면(35e)을 따라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됨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32)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한쌍의 승강안내블럭(35a)이 동시에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이동되면, 승강안내블럭(35a)의 마주하는 면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진 안내면(35e)에 얹혀진 가이드판(25)상의 경사턱(25b)이 안내면(35e)을 따라 아랫쪽으로 미끄럼 이동됨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32)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하부성형틀이 상부성형틀 수직하방의 그릇성형위치로 이송되는 과정과, 흙반죽이 흙반죽압출튜브내로 투입된 후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내로 압출되어 그릇이 성형되는 과정과, 그릇의 성형 후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과, 성형된 그릇이 그릇취출부재의 작용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취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 등 전체 시스템의 제반 공정이 미리 설정된 자동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순서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활형 도자기그릇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어 불량발생율이 지극히 낮기 때문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받침대(16)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레일받침대상에는 고정레일(16a)이 설치된 제1작업대(12)와;
    상기 제1작업대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작업대와(14);
    저면에 상기 제1작업대상의 고정레일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고정레일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이동레일(18a)이 설치된 정해진 크기의 장착판(18)과;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정해진 그릇 형상의 공간부(20a)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상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성형틀(20)과;
    상기 제1작업대상의 레일받침대 사이에 실린더몸체의 후단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장착판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장착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하부성형틀이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제1작동실린더(22)와;
    상기 제2작업대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거리만큼 왕복이동되는 이동판(24)과;
    상기 이동판의 저면에 배치되며, 양측면에 이동판의 양측 가장자리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태의 경사턱이 형성된 가이드판(25)과;
    상기 제2작업대의 상면 앞쪽에 실린더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이동판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제2작동실린더(26)와;
    상기 이동판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어 이동판의 이동동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고정판(28)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앞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압출노즐이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면에는 개방된 형태의 흙반죽투입구가 형성된 흙반죽압출튜브(32)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 뒷부분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뒷쪽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압의 작동에 따라 길이변화되면서 흙반죽압출튜브내의 흙반죽이 압출노즐을 통하여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피스톤이 구비된 압출실린더(34)와;
    상기 가이드판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제2작업대상에 설치되어 가이드판상의 경사턱을 받쳐주고, 외력의 작용방향에 의하여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작동되면서 가이드판의 높낮이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하부성형틀의 높이에 따라 흙반죽압출튜브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35)와;
    상기 흙반죽압출튜브의 앞부분 내부와 호스(Hose)를 매개로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흙반죽이 압출되기 전에 진공압을 인가하여 흙반죽압출튜브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진공펌프(36)와;
    그릇 성형위치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상면의 네모서리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봉(40)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며, 저면에는 그 하강끝점에서 하부성형틀내의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공간부와의 사이에 그릇 형상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상부성형틀(42)과;
    상기 상부성형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유체압의 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부성형틀을 아랫쪽으로 밀어주거나 윗쪽으로 당겨주는 제3작동실린더(44)와;
    상기 제2작업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구동되면서 준비된 흙반죽을 흙반죽압출튜브상의 흙반죽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흙반죽이송컨베어(46)와;
    상기 제1작업대의 상면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방향 길이조정되면서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그릇을 흡착한 후 들어올려 취출하는 다수의 그릇취출부재(50)와;
    상기 제2작업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순환구동되면서 그릇취출부재에 의하여 취출된 그릇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그릇이송컨베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노즐은 흙반죽압출튜브의 선단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의 몸체 내부에는 각각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면서 성형되는 그릇을 가열시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히터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는 이동판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 아랫쪽의 제2작업대 상에서 길이방향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부에는 가이드판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턱의 좌우측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아랫부분에는 내주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끼움공이 마련된 다수쌍의 승강안내블럭(35a)과;
    상기 각쌍의 승강안내블럭상의 스크류끼움공에 끼워지며, 한쪽 외측단에 베벨기어가 결합되어 외력의 작용에 따라 좌우 회전되면서 승강안내블럭이 동시에 중심쪽으로 모아지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다수의 리드스크류(Lead screw:35b)와;
    상기 승간안내블럭의 일측 바깥쪽에서 리드스크류의 설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좌우회전되게 설치되며, 정해진 위치에 상기 각 리드스크류상의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또 다른 베벨기어가 고정·설치된 샤프트(35c)와;
    중심부가 상기 샤프트의 한쪽 끝에 고정·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샤프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정핸들(3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흙반죽압출튜브 높이조정부재를 구성하는 리드스크류의 외측단에는 베벨기어 대신 웜기어가 결합되고, 이에 맞추어 샤프트상에는 베벨기어 대신에 웜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취출부재(50)는 제1작업대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체압의 인가여부에 따라 내부에 끼워진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흡인 또는 돌출되도록 하는 높이조정실린더(52)와;
    상기 높이조정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정·역구동되면서 실린더몸체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구동모터부(54)와;
    상기 높이조정실린더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최소한 하부성형틀의 중심부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수평지지간(56)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중심부와 일치하는 수평지지간의 외측단부에서 아랫쪽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부에 흡착판이 결합되어 호스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공압의 작용에 의하여 하부성형틀내에서 성형된 그릇을 흡착하는 그릇흡착부(58)를 포함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대상에 설치된 레일받침대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고정레일(16a)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완충홈(62b)이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홈의 내부에는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상부성형틀의 하강시 그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완충스프링(16c)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고정레일은 그 저면이 완충스프링의 상단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완충홈의 내외로 상하 유동되게 스크류(16d)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받침대 사이에 해당되는 제1작업대 상면에는 상부성형틀의 하강에 따른 하부성형틀의 아랫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7)가 장착판(18)의 저면과 5∼20mm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對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그릇 성형장치.
KR2020060008500U 2006-03-30 2006-03-30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KR200419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0U KR200419779Y1 (ko) 2006-03-30 2006-03-30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0U KR200419779Y1 (ko) 2006-03-30 2006-03-30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046A Division KR100715221B1 (ko) 2006-03-30 2006-03-30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779Y1 true KR200419779Y1 (ko) 2006-06-26

Family

ID=4448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00U KR200419779Y1 (ko) 2006-03-30 2006-03-30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7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40B1 (ko) * 2007-09-03 2008-07-21 (주)홍주콘텍 블록성형장치
CN110640890A (zh) * 2019-09-29 2020-01-03 唐山森兰瓷科技有限公司 陶瓷注浆成型生产的整线设备
CN114311228A (zh) * 2021-04-28 2022-04-12 江西帮企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胚体成型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40B1 (ko) * 2007-09-03 2008-07-21 (주)홍주콘텍 블록성형장치
CN110640890A (zh) * 2019-09-29 2020-01-03 唐山森兰瓷科技有限公司 陶瓷注浆成型生产的整线设备
CN114311228A (zh) * 2021-04-28 2022-04-12 江西帮企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胚体成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21B1 (ko)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CN106042165B (zh) 一种透水砖制造设备
KR200419779Y1 (ko) 도자기그릇 성형장치
US10603817B2 (en) Fully automated mold change with product height change
KR101641341B1 (ko) 건축용 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9760193B (zh) 石英石板材自动生产线
EP1273408B1 (en) Method for loading ceramic tile forming moulds, relative means for its implementation, and tiles obtained thereby
CN208388992U (zh) 一种自贴式艾柱成型装配设备
CN112647695B (zh) 一种可自动涂抹水泥的地砖铺贴装置
CN107188396B (zh) 一种玻璃马赛克自动生产线
CN208891575U (zh) 一种芝麻饼成型机
CN108582422A (zh) 一种保温砖成型装置
US20090273114A1 (en) Block Making Mold Apparatus and Methods
CN115257050A (zh) 一种碳素阳极成型设备
CN114180351A (zh) 一种环保透水砖压铸成型用辅助设备
CN113696433A (zh) 一种注塑机注塑产品脱模机构
CN109108287B (zh) 一种3d打印金属熔炼装置
KR102249048B1 (ko) 플레이트 제조장치
CN220052200U (zh) 一种瓷砖砖坯自动校正输送装置
CN220348649U (zh) 一种仿石材砖成型设备
CN110920088A (zh) 一种石英合成石板材的制备生产线
CN209999591U (zh) 一种便于上料的注塑机
CN215250459U (zh) 一种水泥生料挤压成型装置
CN213784144U (zh) 麻山药田间打孔填料机
CN108214827B (zh) 一种双层制块压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