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07Y1 -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 Google Patents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07Y1
KR200419307Y1 KR2020060006169U KR20060006169U KR200419307Y1 KR 200419307 Y1 KR200419307 Y1 KR 200419307Y1 KR 2020060006169 U KR2020060006169 U KR 2020060006169U KR 20060006169 U KR20060006169 U KR 20060006169U KR 200419307 Y1 KR200419307 Y1 KR 200419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luorescent lamp
luminaire
annular fluorescent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택
Original Assignee
주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택 filed Critical 주원택
Priority to KR2020060006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표적 조명 기구의 하나인 환형 형광 램프(11)형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등기구 본체(20, 20a, 20b, 20c, 20d, 20e)에 요철의 입체적인 공간(30)을 만들어 그 공간 내부(본체 윗면)에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전기적 구성물(22, 26, 27)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이 공간(30) 내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를 내장하여 선택 스위치(27)를 사용하여 환형 형광 램프(11)와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를 선택적으로 점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환형 형광 등기구에는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의 구성물(22, 23, 24, 25, 26, 27)이 등기구 본체(20) 밑면에 설치 되고 불투명 커버(10)가 이러한 구성물과 형광 램프(11)를 함께 덮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형광 램프(11)의 방사 광속을 전부 이용할 수 없어 이로 인한 조도 손실이 그대로 에너지를 낭비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적 구성물(21, 22, 26, 27)이 등기구 본체(20a, 20b, 20c, 20d, 20e)의 공간(30)에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불투명 커버(10)가 필요 없게 되어 이에 의한 조도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자원도 절약되며 또한 방열 구멍(24)이 필요 없게 되므로 공정 개선의 효과도 있고, 또한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 형광 램프(11)와의 조합으로 점멸하여 조도 조절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효과도 있다.
형광등, 등기구, 환형 형광 램프, 노출, 조도, 내장, 안정기, 커버

Description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Exposed Circle Type Fluorescent Lamp Lighting Fixture}
도 1a는 종래의 환형 형광 등기구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B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c는 종래의 40W+32W 2 등식 환형 형광 등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B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평면도
도 2d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 본체(20b)의 개략적 측면 단면도
도 2e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 본체(20c)의 개략적 측면 단면도
도 2f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 본체(20d)의 개략적 측면 단면도
도 2g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 본체(20e)의 개략적 평면 단면도
도 2h는 본 고안을 적용한 40W+32W 2등식 환형 형광 등기구 본체의 측면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의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B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d는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와 형광 램프, 선택 스위치의 전기 결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등기구 커버, 11: 환형 형광 램프
12: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 13: 천정 고정 금구(회전형)
14: 등기구 고정 나사 구멍, 15: 천정 고정 나사 구멍
16: 회전축
20, 20a, 20b, 20c, 20d, 20e: 등기구 본체, 21: 안정기 회로
22: 스타터 램프, 23: 형광 램프 연결 4핀 콘넥터
24: 방열 및 나사 고정 구멍, 25, 25(a), 25(b): 형광 램프 지지대
26: 전선, 27: 선택 스위치
30: 본체 3차원 요철 공간, 31: 스타터 램프 설치 구멍,
32: 형광 램프 연결 4핀 콘넥터 전선 구멍, 33: 형광 램프 지지대(25(b)) 고정 구멍,
34: 본체 둘레 말단 윗면으로 접음 부위, 35: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36: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 지지대
본 고안은 주거용 공간의 대표적 조명 기구의 하나인 환형 형광 램프(11)를 사용하는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등기구 본체(20a, 20b, 20c, 20d, 20e)에 요철의 3차원 입체적 공간(30)을 가지는 구조로 하여 그 공간 내부(본체 윗면)에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전기적 구성물(22, 26, 27)을 설치하는 구조로 하고 형광 램프 연결 4핀 콘넥터(23)과 형광 램프 지지대(25)는 최대한 눈에 띄지 않는 구조로 하여 이러한 구성물(21, 22, 23, 24, 25, 26, 27)들이 불투명 커버(10)가 없이도 본체 하부 방향에서 시야에 들어 오지 않는 구조로 하고, 또한 이 공간(30) 내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를 설치하여 선택 스위치(27)를 이용하여 환형 형광 램프(11)와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 삼파장 EL램프, 크립톤 램프, 백열 전구)를 선택적으로 점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주택의 실내 조명은 PL, ML, EL 램프 등의 광원이 점차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형광 램프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주택의 방의 조명에는 환형 형광 등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PL, ML, EL 램프는 형광등과 동일한 발광 원리를 가진 형광등의 일종이나 일반 형광등보다 발광부 길이가 짧아 발열이 많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 광속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1등기구에 PL 36W x 3, 또는 PL 55W x 2 이 내장되는 에너지 고소비형으로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형광등의 상세한 전기적 결선 및 내부 구성은 본 고안과 무관하고 이미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이 가능한 기술이므로 저항, 콘덴서 및 상세 결선도는 생략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이는 도 2, 3에서도 동일하다.)한 바와 같이 기존의 환형 형광 등기구에는 40W 1등식과 40+32W(또는 30W) 2등식 두 가지가 있으며, 두 방식 모두 등기구 본체(20)와 이를 덮는 커버(10) 및 천정 부착 고정 금구(13)로 구성되고, 등기구 본체 밑면에는 안정기 회로(21)와 스타터 램프(22. 전자식 형광등의 경우는 불필요), 형광 램프(11), 램프 선택 스위치(27) 및 상기 부품 간의 연결 전선(26)이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안정기 회로(21)와 선택 스위치(27)는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스타터 램프(22)는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며, 안정기 회로(21)와 스타터 램프(22), 환형 형광 램프(11), 램프 선택 스위치(27), AC 220V 전원 상호 간은 전선(26)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주파 노이즈 억제용 콘덴서도 환형 형광 램프(11)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본체(20) 둘레에 장식적 효과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의 등기구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환형 형광 등기구는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전기 및 기계적 구성물(22, 23, 24, 25, 26, 27)과 환형 형광 램프(11)가 2차원 평면 구조의 등기구 본체(20)의 밑면(등기구가 천정에 고정되므로 천정쪽을 윗면, 바닥쪽을 밑면으로 칭한다.)에 설치, 고정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등기구 본체(20)를 유백색 아크릴 커버 또는 이와 유사한 불투명 재질의 커버(10)가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드물게 투명 재질에 반투명 무늬를 넣거나 등기구 형태에 따라 부분적으로 노출의 형태를 띄는 구조로 되어 있는 등기구도 있다. 또한 조도 조절은 주택 벽부의 스위치나 등기구 부착 선택 스위치(27)를 통하여 소등, 40W, 72W(또는 70W)의 3가지 선택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가끔 5W정도의 백열 전구(무드 램프) 사용하는 방식도 있으나 현재는 잘 쓰이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종래의 환형 형광 등기구는 이러한 불투명 커버(10) 사용으로 인하여 형광 램프(11)의 조도를 전부 사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낭비 하고 있고 또한 부분 노출형 등기구나 부분 투명 커버 사용 등기구의 경우도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구성물(22, 23, 24, 25, 26, 27)이 시야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미관상 개선의 여지 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조도 조절의 폭도 전체 소등, 40W, 40+32W(또는 30W)의 3가지로 제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등기구 본체에 1개소 또는 그 이상의 요철의 3차원 공간을 만들어 이 공간 내부(본체 윗면)에 안정기 회로 및 전기적 구성물을 내장하여 이러한 구성물들이 시야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되게 하여 커버 자체가 필요가 없는 구조로 하여 형광 램프가 방사 하는 광속을 전부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이에 따른 조도 개선 및 에너지 절감에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이 요철의 본체 공간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를 내장할 수도 있어 26mm 전구형 소켓 램프(삼파장 EL램프, 크립톤 램프, 백열 전구)를 부가적으로 설치 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이를 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형광 램프와의 조합으로 점멸이 가능하게 하여 조도 조절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열 구멍이 필요치 않아 공정 단순화 및 자원의 절감의 효과도 있으며, 등기구 구조에 따라 완전 투명 커버 및 투명/불투명 혼합형 커버, 국부 커버, 평면 커버 등 다양한 커버의 혼합 사용이 가능하므로 조도 개선을 염두에 둔 미적 효과 개선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는, 2차원 평면 구조의 등기구 본체(20)를 요철의 1개소 혹은 그 이상의 3차원 입체적 공간(30)을 가진 형태(20a, 20b, 20c, 20d, 20e)로 만들어 이 공간 내부(본체 윗면)에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전기적인 구성물(22, 26, 27)이 내장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는, 상기 본체(20a, 20b, 20c, 20d, 20e)의 공간(30)에 가장 범용성이 있는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를 내장하여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 삼파장 EL램프, 크립톤 램프, 백열 전구)를 선택 스위치(27)를 이용하여 환형 형광 램프(11)와 선택적으로 점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a부터 도 3d까지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제1 실시 예로 도 2a는 전체적 개념을 보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B면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본체(20a)는 도 1의 2차원 평면 형태의 기존의 등기구 본체(20)와는 달리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3차원의 공간(30)을 가지고 있고 이 공간 내부(본체의 윗면)에 안정기 회로(21) 및 그 외 전기적인 구성물(22, 26, 27)이 내장 된다. 이러한 공간(30)을 가지는 등기구 본체(20a)는 한 개의 조각으로 만드는 것이 제일 효율적이나 필요에 따라 공간을 직접 구성하는 부분(도 2b의 점선 부분)과 그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등 몇 개의 조각을 이용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형광등 연결 4핀 콘넥터(23)는 도 2b, 도 2c에서 보듯이 본체 윗면을 지나 본체 밑면으로 빠지는 연결구(32)를 통해 형광 램프 지지대(25(b))의 내부에서 형광 램프(11)에 접속되며, 스타터 램프(22.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 불필요)는 연결구(31)를 통하여 회로에 연결 된다.
형광 램프 지지대 25(b)는 환형 형광 램프(11)의 4핀 연결 부위가 미관상 좋지가 않고 발광부도 아니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하여 길이가 형광등의 4핀 연결 부위보다 양쪽으로 5mm정도 길게 하여 커버 기능을 가지게 하여 4 개소의 고정구(33)를 통하여 본체(20a)에 쐐기 형식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했다. 다른 2개의 형광 램프 지지대 25(a)는 발광부를 지지하므로 아크릴등의 투명 재질로 하여 본체(20a)에 고정되는 구조로 한다.
안정기 회로 설치 공간(30)의 위쪽이 열려 있는 구조이므로 방열구(24)는 없고 단 지 본체(20a)를 천정 고정 금구(13)에 고정하는 나사 구멍 2개만 있으면 된다. 이 고정 나사 구멍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관을 고려하여 형광 램프 지지대 25(b)의 내부와 맞은편 반대 방향의 형광 램프 상부가 바람직한 위치의 한 예이다.
본체 둘레 말단 윗면으로 접음 부위(34)는 형광등 연결 4핀 콘넥터(23) 전선과 형광 램프 지지대 25(b)의 쐐기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약 5mm정도 높이로 만들었으며 본체 주위에 장식용 프라스틱 프레임이 끼워져 비슷한 크기 이상의 공간이 제공되는 경우는 필요가 없다.
도 2d, 도 2e, 도 2f는 본 고안을 적용한 다른 형태의 환형 형광 램프 등기구 본체(20b, 20c, 20d)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2g는 사각형 형태의 등기구인 경우 4개소의 귀퉁이에 다수의 공간(30)을 만들어 본 고안을 구성하는 예를 평면적으로 보이는 개념도이며, 도시 되어지는 바와 같이 본체(20a)의 요철의 3차원 공간(30)은 그 개수와 구성 방법 및 형상이 원통형 외에도 미적 혹은 공간적 필요성이나 등기구 제조자의 창의적 의지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2h에서는 40W와 32W 램프를 함께 사용하는 2등식 환형 형광 등기구에 본 고안을 적용한 실시예의 측 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형광 램프 지지대 25(a)와 25(b)에 공간과 구성에 맞게끔 약간의 변형이 있을 뿐 나머지는 도 2c의 예를 따르고 있다.
도 3a, 도 3b, 도 3c에서는 상기 본체(20a, 20b, 20c, 20d, 20e)의 공간(30)에 범용성이 있는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를 부착한 예를 보이고 있으며, 도 3a에서는 1개의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에 26mm 전구형 소켓 램프(12)가 부착된 실시 예의 개략적 사시도를 보이고 있고, 도 3b는 3개의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를 가진 실시 예의 평면도를, 도 3c는 도 3b의 A-B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26mm 전구형 소켓 램프(12)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하여 본체 공간(30)의 형상이 바뀌었을 뿐 그 기본적 구성은 도 2와 같다. 이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를 부가적으로 설치 할 수 있으므로 선택 스위치(27)를 이용하여 환형 형광 램프(11)와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점멸 할 수 있으므로 조도 조절의 폭 넓은 선택이 가능하여 진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로는 삼파장 EL램프(3W, 5W, 8W,11W, 13W, 14W, 15W, 20W, 23W, 25W, 30W, 35W, 45W, 55W, 65W)와 크립톤 램프(25W, 40W, 60W, 75W, 100W), 백열 전구(30W, 40W, 60W, 100W) 등이 있다. 또한 이 중에서 크립톤과 백열 램프는 그 부피와 무게가 문제가 되지 않으나 30W 이상의 삼파장 EL램프의 경우는 도 3처럼 횡으로 설치하는 경우 베이스(30) 한곳에서만 고정하면 밑으로 쳐짐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투명 재질의 지지대(36)를 설치 한다. 도 3a의 점선 안의 그림에서 이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 지지대(36)의 개략적 측면 단면도를 보이고 있으며, 형광 램프 지지대 25(b)와 같이 쐐기 형식으로 본체(20a, 20b, 20c, 20d, 20e)에 2개소의 고정구에서 고정하되 삼파장 EL램프의 외경이 와트(W)수에 따라 42mm부터 76mm정도까지 변하기 때문에 쐐기 톱니를 연속으로 만들어 고정 위치를 조절하게끔 만들었으며 이 역시 등기구 제조자의 의지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환형 40W 형광 램프(11)의 내경 지름이 300mm정도이고 65W 삼파장 EL램프 길이가 245mm, 두께가 76mm이므로 이론적으로 65W 삼파장 EL램프까지 설치가 가능하나 현재 실제의 주거용 공간 조명에 65W EL램프까지는 잘 쓰이지 않는다. 또한 전술 한 바와 같이 이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의 배열 및 설치 응용의 예는 미적 또는 공간 구성의 필요성 및 제조자의 창작 의지에 따라 도 3에서 도시된 예 외에도 역시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d에서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환형 형광 등기구의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와 환형 형광 램프(11), 선택 스위치(27)의 전기 결선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정기 회로(21)와 선택 스위치(27)는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스타터 램프(22)는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안정기 회로(21)와 스타터 램프(22), 환형 형광 램프(11), 램프 선택 스위치(27), AC 220V 전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 상호 간은 전선(26)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3d에서 특별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주파 노이즈 억제용 콘덴서도 환형 형광 램프(11)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필요와 선택에 의해 일반적 형태의 3차원 커버(10)뿐만이 아니라 옆면은 트인 2차원의 커버 및 투명, 불투명의 부분적 결합(예:도넛형) 또는 (환형 형광 램프는 발광부가 길게 퍼져 있어 노출되어도 그리 눈이 부시지 않으나 삼파장 EL램프 및 크립톤 램프는 발광부가 모아져 있어 노출로 하면 눈이 부실 수 있으므로) 이 부분만을 가리는 국부적인 불투명 커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펜던트식 외의 다른 형태의 선택 스위치(27) 사용이 가능하다. 별도의 도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범용성이 높은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장식 조명의 효과가 있는 할로겐, LED램프의 부가적인 설치도 선택적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본 고안에 의한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에 의하면, 등기구 본체 밑면에 부착되어 미관을 해치던 안정기 회로등의 전기적 구성물들이 등기구 본체의 윗면 요철 공간에 내장 되어 이러한 구성물들이 시야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커버 자체가 필요 없는 구조로 되므로 형광 램프의 방사 조도를 전부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조도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를 등기구 본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를 부가적으로 설치 할 수 있어 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와 형광 램프와의 조합으로 조도 조절의 선택의 폭을 훨씬 넓게 할 수 있는 장점과 전구색 EL램프 및 백열 전구, 크립톤 전구 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조화로운 색감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방열 구멍이 필요치 않아 공정 단순화의 효과 및 자원의 절감의 효과도 있으며, 등기구 구조에 따라 완전 투명 커버 및 부분 투명 커버, 국부 커버 및 옆은 트인 2차원 평면 구조의 다양한 커버의 혼합 사용이 가능하므로 미적 개선의 효과도 있다.
또한 형광 램프 교체 시 커버를 벗기지 않아도 되고 주변에 장애물이 없어 유지 보수가 쉽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안정기 회로(21)와 선택 스위치(27) 및 환형 형광 램프(11)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스타터 램프(22) 및 안정기 회로(21)와 스타터 램프(22), 환형 형광 램프(11), 램프 선택 스위치(27), AC 220V 전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 상호 간을 연결하는 전선(26)으로 구성된 전기적 연결을 가지는 환형 형광 램프(11)를 사용하는 등기구에 있어서, 등기구 본체(20a, 20b, 20c, 20d, 20e)가 1개 혹은 다수의 요철의 3차원 입체적 공간(30)을 가지고 있고 이 공간 내부(본체 윗면)에 안정기 회로(21) 및 스타터 램프(22), 전선(26), 램프 선택 스위치(27)가 내장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환형 형광 등기구
  2. 항 1에 있어서, 등기구 본체(20a, 20b, 20c, 20d, 20e)에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 램프(12)가 설치될 수 있게끔 등기구 본체(20a, 20b, 20c, 20d, 20e)의 3차원 입체적 공간(30)을 구성하고 이 3차원 입체적 공간(30) 내에 1개 또는 다수의 26mm 전구형 소켓 베이스(35)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형광 등기구
KR2020060006169U 2006-03-08 2006-03-08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KR200419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69U KR200419307Y1 (ko) 2006-03-08 2006-03-08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69U KR200419307Y1 (ko) 2006-03-08 2006-03-08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07Y1 true KR200419307Y1 (ko) 2006-06-20

Family

ID=4176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69U KR200419307Y1 (ko) 2006-03-08 2006-03-08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157B1 (en) Multi-function luminaire
WO2004016983A1 (fr) Reflecteur a diode electroluminescente
US7506994B1 (en) Fluorescent lamp luminaire
KR100844501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KR20010069867A (ko) 발광다이오드(led)램프 광원 조명체의 형성방법
US20100002452A1 (en) Luminaire housing with separated lamp and ballast compartments
KR101015257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조명장치용 등기구
WO2012024980A1 (zh) 两相对平面式led光源的灯罩式灯
KR100962372B1 (ko) 조명용 헤드램프
JP2003123505A (ja) 照明器具
KR200419307Y1 (ko)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KR20130032416A (ko) 엣지다운 라이트
KR200419751Y1 (ko) 노출형 환형 형광 등기구
KR101225367B1 (ko) 바 타입의 엘이디조명등 각도조절용 소켓
JP2011165506A (ja) Ledランプおよびled照明器具
JP2006127885A (ja) 照明器具
US9814116B2 (en) LED lamp with integral control receptacle
JP5780073B2 (ja) 街路灯
KR200426103Y1 (ko)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실내용 조명기구
KR20150052493A (ko) 매입형 led 조명장치
KR20090002454U (ko) 면발광 조명 램프
KR200411204Y1 (ko) 조명등용 엘이디 전구
KR101207355B1 (ko) 조도 개선과 인테리어적인 조명 연출이 가능한 꽃모양 형상의 입체적 반사커버
KR101468326B1 (ko) 다기능 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621

Effective date: 20080229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