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52Y1 -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52Y1
KR200419252Y1 KR2020060008661U KR20060008661U KR200419252Y1 KR 200419252 Y1 KR200419252 Y1 KR 200419252Y1 KR 2020060008661 U KR2020060008661 U KR 2020060008661U KR 20060008661 U KR20060008661 U KR 20060008661U KR 200419252 Y1 KR200419252 Y1 KR 20041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uilding
receiving portion
plate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충묵
Original Assignee
강충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충묵 filed Critical 강충묵
Priority to KR2020060008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장 작업용 안전 깔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인트통이 뒤집힌 상태로 수용되며, 그의 전방측 저부에는 상기 페인트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페인트를 유출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페인트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페인트 충진부;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건물의 옥상에 고정된 로우프와 연결되는 연결 로우프;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이 제공된다.
건물 외벽, 도장 작업, 안전 깔판, 수용부, 페인트 충진부, 앉음판

Description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safety seat for painting outer wall of a constru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깔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깔판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깔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용부 101. 유출구
110. 전면 120. 저면
130. 측면 200. 페인트 충진부
210. 저면판 220. 전면판
230. 측면판 300. 연결 로우프
310. 고정부 400. 앉음판
410. 테두리부
본 고안은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장 작업용 안전 깔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 등의 건물 외벽에 페인트를 도장하거나 혹은, 청소를 하는 일련의 과정은 자동화 기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건물 외벽에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단이 해당 건물의 옥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건물 밑으로 내려진 로우프에 깔판을 매달은 상태에서 상기 깔판 위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로 상기 깔판을 하강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깔판의 양측에는 페인트통이 각각 매달린다.
전술한 종래의 도장 작업은 안전 구조의 미비로 인해 많은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페인트통의 경우 로우프에 매달린 깔판에 작업자가 앉은 후 여타의 보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작업자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페인트통의 무게가 대략 15∼17㎏ 정도임을 고려할 때 페인트통을 전달받는 도중 혹은, 상기 전달받은 페인트통을 상기 깔판의 어느 한 측에 장착된 걸고리에 거는 도중 무게 중심이 해당 측(페인트통을 거는 측)으로 쏠려 상기 깔판이 기울어지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페인트통을 전달받아 깔판에 거는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건물 외벽에 사용되는 페인트칠용 롤러는 긴 장대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이에 따라, 도장 작업 도중 상기 롤러에 페인트를 묻히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롤러를 상기 장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롤러만을 페인트통 내의 페인트에 담가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롤러에 페인트를 묻히는 과정에서 깔판의 흔들림이 발생되어 안전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깔판의 양측에 매달리는 페인트통의 무게는 항상 서로 동일한 정도로 유지되어야만 상기 깔판의 중심 유지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도장 작업시에는 양측에 위치되는 페인트통 내의 페인트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장 작업용 깔판은 단순히 단일의 판자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시 쉬고자 하더라도 몸을 움직이거나, 다리를 상기 깔판 위에 얹는 행동을 할 수 없다.
이는, 조금의 움직임에 의해 깔판이 심하게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장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휴식을 취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에게 위해를 끼치는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며, 작업자의 휴식도 가능한 새로운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 깔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인트통이 뒤집힌 상태로 수용되며, 그의 전방측 저부에는 상기 페인트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페인트를 유출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페인트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페인트 충진부;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건물의 옥상에 고정된 로우프와 연결되는 연결 로우프;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는 상기 수용부의 전면 하부 및 저면의 전방측 전 부위를 개구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충진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면과, 상기 저면 및 상기 전면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페인트 충진부의 저면은 그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페인트 충진부의 전면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페인트 충진부의 전면 상부와 측면 상부는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에 비해 높되 상기 앉음판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로우프는 상기 앉음판의 네 모서리 부위 및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 저부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매듭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 로우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 및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앉음판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앉음판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 둘레를 깜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두리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안전 깔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크게 수용부(100)와, 페인트 충진부(200)와, 연결 로우프(300) 및 앉음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용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인트통(1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상기한 수용부(100)는 상부가 완전 개구되면서 그 내부는 두 개의 페인트통(10)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는 박스(box)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 부 폭은 상기 페인트통(10)의 폭과 대략 동일함과 더불어 내부 공간의 깊이는 상기 페인트통(1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페인트통(10)을 상기 수용부(100) 내에 안착하였을 경우 상기 페인트통(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00)의 전방측 저부에는 상기 페인트통(10)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페인트를 유출하도록 유출구(1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구(101)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수용부(100)의 전면(110) 하부 및 저면(120)의 전방측 전 부위를 개구시켜 형성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120) 전방측 부위에 대한 개구폭은 상기 페인트통(10)이 뒤집혀진 상태로 수용부(100)에 장착될 경우 상기 페인트통(10)의 페인트 유출구(11)가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에 의해 폐쇄되지 않을 정도에까지 이르도록 개구된다.
즉, 상기 수용부(100)에 상기 페인트통(10)을 뒤집어 안착하였을 경우 상기 페인트통(10)의 페인트 유출구(11)를 통해 상기 수용부(100)의 유출구(101)로 페인트가 원활히 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유출구(101)를 통해 유출되는 페인트를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 부위이다.
상기한 페인트 충진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유출구(101)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120) 끝단으로부 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저면판(210)과, 상기 저면판(210)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면판(220)과, 상기 저면판(210) 및 상기 전면판(220)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판(23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저면판(210)은 그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220)은 그 상부로 갈수록 점차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 중 저면판(210)의 구성은 페인트의 충분한 충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전면판(220)의 구성은 페인트의 충분한 충진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롤러(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롤러(20)는 긴 장대(21)에 연결됨을 고려할 때 수직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페인트에 적시는 과정보다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 기울여 페인트를 적시도록 하는 과정이 작업에 더욱 편리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전면판(220)의 내벽면은 롤러(20)에 과도하게 적셔진 페인트의 일부를 닦아 내는데 사용됨에 따라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페인트 충진부(200)의 저면판(210)과 측면판(230) 및 전면판(220)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 공간은 페인트칠을 위해 사용되는 롤러(20)가 원활히 잠길 수 있을 정도의 깊이와 폭 및 길이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페인트 충진부(200)의 전면판(220)과 측면판(230)의 상면 높이는 상기 수용부(100)의 유출구(101)에 비해 높되 후술되는 앉음판(400)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페인트의 충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되, 상기 전면판(220)과 측 면판(230)의 상면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면판(220)과 측면판(230)의 상면에 발을 얹은 상태로 휴식을 취함에 따라 작업자의 경직된 다리 근육이 풀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 로우프(300)는 상기 수용부(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건물의 옥상에 고정된 로우프(30)와 연결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연결 로우프(300)는 단일의 로우프로 상기 수용부(100)의 둘레측 부위(바람직하게는 양측면)(130) 및 저면(120)을 감싸면서 감도록 구성되며, 양 끝단은 서로 매듭지어져 고정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로우프(300)가 후술되는 앉음판(400)의 네 모서리 부위 및 상기 수용부(100)의 양 측면(130) 저부 모서리 부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120)을 감싸도록 연결됨을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로우프(300)를 상기 수용부(100)의 양 측면(130) 및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120)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31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10)는 상기 연결 로우프(300)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100)의 각 벽면(120,13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부(310)는 상기 연결 로우프(300)가 처짐에 따라 도장 작업에 간섭받게 되는 문제점(예컨대, 롤러와의 엉킴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앉음판(400)은 상기 수용부(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으면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부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앉음판(400)은 평판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100)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앉음판(400)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두리부(410)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앉음판(400)이 상기 수용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어긋남 등과 같은 유동됨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41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 둘레 중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 전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깔판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페인트 유출구(11)가 개방된 페인트통(10)을 수용부(100) 내에 뒤집은 상태로 장착한다.
이때, 상기 페인트통(10)을 하나만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100) 내의 중앙 부위에 상기 페인트통(10)이 위치되도록 하고, 두 개의 페인트통(10)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100) 내의 양측에 상기 페인트통(10)을 각각 장착한다.
특히, 상기 페인트통(10)을 상기 수용부(100) 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페인트통(10)의 페인트 유출구(11)는 상기 수용부(100)의 유출구(101)가 형성된 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100) 내에 페인트통(10)이 장착되면, 상기 페인트통(10) 내에 저장된 페인트가 페인트 유출구(11)를 통해 유출되고, 계속해서 상기 유출된 페인트는 수용부(100)에 형성된 유출구(101)를 통과한 후 페인트 충진부(200) 내에 충진된다.
이때,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의 충진 공간에 충진되는 페인트의 수위는 대략 페인트통(10)의 페인트 유출구(11)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증가된다. 즉,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 내에 충진되는 페인트의 수위가 상기 페인트 유출구(11)의 높이에까지 도달되면 상기 페인트 유출구(11)가 페인트에 잠겨 더 이상의 페인트 유출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는, 상기 페인트통(10) 내부가 상기 페인트 유출구(11)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수용부(100)의 개구된 상면에 앉음판(40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앉음판(400)은 그 둘레면에 형성된 테두리부(410)에 의해 상기 수용부(1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연결 로우프(300)로 상기 앉음판(400) 및 수용부(100)를 견고하게 감싼 후 옥상에 고정된 로우프(30)에 상기 연결 로우프(300)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안전 깔판을 건물의 외부인 허공에 내리고, 상기 안전 깔판에 작 업자가 내려앉는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로우프(30)를 조작하여 상기 안전 깔판을 하강시키면서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롤러(20)를 장대(2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페인트 충진부(200)에 담가 페인트를 묻히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도장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페인트 충진부(200) 내의 페인트는 점차 줄어들게 되지만, 이렇게 줄어드는 양만큼 페인트통(10) 내의 페인트가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 내에 자동적으로 보충되기 때문에 페인트의 추가 보충을 위한 작업자의 별도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특히,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를 이루는 전면판(220)의 내벽면은 롤러(20)에 과도하게 적셔진 페인트의 일부를 닦아내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롤러(20)로부터 페인트의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작업자가 피로감을 느껴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발을 상기 페인트 충진부(200)의 전면판(220) 및 측면판(230) 상단에 얹음으로써 다리 근육의 피로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페인트통을 미리 수납한 상태로 작업자가 내려앉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페인트통의 설치시 야기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제거 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페인트의 사용량만큼 페인트 충진부에 자동으로 페인트의 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페인트가 충진되는 부위가 작업자의 정면 하방이기 때문에 상기 페인트를 묻히기 위해 롤러를 장대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몸을 뒤틀 필요도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도장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 무게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행동 반경이 넓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 페인트 충진부가 발을 얹을 수 있는 발판의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다리 근육의 피로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본 고안에 따른 안전 깔판은 페인트통을 양측에 매다는 구조가 아니라 내부에 내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측 길이가 상기 두 페인트통의 폭만큼 줄어들고, 높이 역시 상기 페인트통을 깔판에 매달기 위한 기존의 걸고리가 이루는 높이만큼 줄어듦에 따라 전반적인 크기의 축소로 인한 흔들림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인트통이 수용되며, 그의 전방측 저부에는 상기 페인트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페인트를 유출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수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페인트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페인트 충진부;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건물의 옥상에 고정된 로우프와 연결되는 연결 로우프;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앉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는
    상기 수용부의 전면 하부 및 저면의 전방측 전 부위를 개구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충진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저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충진부의 저면판은 그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페인트 충진부의 전면판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측면판의 상면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유출구에 비해 높되 상기 앉음판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우프는
    상기 앉음판의 네 모서리 부위 및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 저부 모서리 부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감싸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우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 및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판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앉음판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두리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KR2020060008661U 2006-03-31 2006-03-31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KR20041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61U KR200419252Y1 (ko) 2006-03-31 2006-03-31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61U KR200419252Y1 (ko) 2006-03-31 2006-03-31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647A Division KR100779203B1 (ko) 2006-11-20 2006-11-20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52Y1 true KR200419252Y1 (ko) 2006-06-16

Family

ID=4176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61U KR200419252Y1 (ko) 2006-03-31 2006-03-31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0008B2 (en) Paint tray and paint tray liner
AU2018210006B2 (en) Nesting paint tray and paint bucket system
EP1742560B1 (en) Disinfecting bucket
RU2589646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или очистки та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US20100140263A1 (en) Portable liquid storage tank
CZ279199B6 (cs) Nádrž s víkem z umělé hmoty
US20180346177A1 (en) Baffled cross-through liquid container
US5531360A (en) Metering pallet
US20210114802A1 (en) Expandable-volume liner for a collapsible liquid holding tank
KR200419252Y1 (ko)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KR100779203B1 (ko) 건물 외벽의 도장 작업을 위한 안전 깔판
US5887708A (en) Paint tray cover
MX2015003618A (es) Recipiente con tarima.
KR200480077Y1 (ko) 페인트칠 작업용 함체
FR2591463A1 (fr) Machine a laver la vaisselle a usage domestique
KR100945830B1 (ko) 미술용 물통
US20060131334A1 (en) Stackable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
JP2005153737A (ja) バン型車両の屋根構造
JPH059121Y2 (ko)
JPS6221276Y2 (ko)
JPH0139806Y2 (ko)
KR200477701Y1 (ko) 액체수납 용기
FR2776632A1 (fr) Conteneur de retention d'un produit susceptible de couler
RU71636U1 (ru) Канистра двуустьевая
JPH05246482A (ja) 環境を危険にさらす物質を運搬し貯蔵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