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150Y1 - 집게가위 - Google Patents

집게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150Y1
KR200419150Y1 KR2020060004170U KR20060004170U KR200419150Y1 KR 200419150 Y1 KR200419150 Y1 KR 200419150Y1 KR 2020060004170 U KR2020060004170 U KR 2020060004170U KR 20060004170 U KR20060004170 U KR 20060004170U KR 200419150 Y1 KR200419150 Y1 KR 200419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tweezers
cutting
cut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철
Original Assignee
최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철 filed Critical 최형철
Priority to KR2020060004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2003/02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with means for grasping or collecting the cut obj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Ec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용 기계기구와 절단부분을 떨어뜨리지 않도록하는 기계기구를 합성한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핀셋기능과 가위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기계기구이다.
이는 외과 수술 후 수술부위의 실밥을 제거할 때 실밥을 잡고 절단하여 실밥을 상처부위에서 빼내거나 환부를 제거하기위해서 환부를 미리 잡고 그부분만 떼어내 밖으로 제거할 때나.
미장원에서 머리를 자를 때 머리끝부분을 잡고 절단하여 머리의 비산을 방지하거나,
과일을 수확할 때 과일을 손으로 잡지않고 꼭지부분을 잡고 과일을 따서 보관그릇에 직접 넣을 수 있도록 하거나,
사진관에서 사진을 재단할 때에 판에 부착된 작두로 사진을 절단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집게부위로 절단부분을 미리 잡고 절단함으로써 절단 및 보관시에 시간과 동작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보다 완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가위에 집게용 핀셋의 양날을 가위의 상하 날에 부착하여 가위의 각도에 따라서 가위의 상하 날의 절단부분보다 바로 앞서서 절단물건을 잡아줄 필요가 있으며 가위를 다시 펼 경우 자동적으로 집게부분도 펴져야 한 다.
그러기 위해 집게에는 스프링을 부착하여 자를 물건을 잡아주는 동작이 끝나고 물건을 자른 다음에는 집게의 모양은 다시 벌린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가위를 절단 후에 집게를 펴지않고 잡고 있는 경우 절단된 물체는 집게부분이 잡고 있게 된다. 또 가위의 운동각도범위내에서 집게부위가 움직여야 한다. 본 고안은 가위의 절단운동과 집게부분의 잡어주는 운동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1.리벳 2.잠금나사 3.핀셋판스프링 4.위핀셋 5.아래핀셋 6.가위열림판스프링 7.가위열림판스프링리벳 8.아래가위 9.위가위 10.절단물체 11.가위열린상태 12.가위잠금상태

Description

집게가위{pincette scissor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집게가위의 각부분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2는 각 부분을 전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제 절단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집게가위를 보관하는 경우 집게가위를 잠그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 각 부분의 명칭및 상황설명)
1: 리벳
2: 잠금나사 2-1: 잠금나사머리 2-2: 잠금나사몸체
3: 핀셋판스프링 3-1: 판스프링끼움부위 3-2: 판스프링돌출부위
4: 위핀셋 4-1: 가위리벳구멍 4-2: 위핀셋잠금나사구멍 4-3: 검지손
가락걸개
5: 아래핀셋 5-1: 고정축구멍 5-2: 리벳구멍 5-3: 판스프링
끼움부위의 인입구멍 5-4: 아래핀셋잠금나사구멍
6: 가위열림판스프링 6-1: 판스프링의 아래 가위쪽 접촉부 6-2 : 판스
프링과 위가위 연결접착부
7: 가위열림판스프링 리벳
8: 위 가위 8-1; 위가위리벳구멍 8-2 : 위가위잠금나사구멍 8-3 :가위
열림판스프링리벳구멍
9: 아래 가위 9-1: 아래가위고정축 9-2: 리벳구멍
10: 자르고자 하는 물체 10-1: 핀셋에 잡혀지는 부분
10-a: 핀셋이 물체를 잡은 모양
10-b: 가위가 물체를 자르기 직전상황
10-c: 가위가 물체를 자른 직후의 상황
10-d: 가위는 최초의 상태로 돌아오고 물체는 핀셋에 잡혀있는 상황
11: 가위 열린상태 11-1: 잠금나사가 위로 솟구처있는 상태
12: 가위 잠금상태 12-1: 잠금나사가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
가위의 고안에 있어서 금속의 강도나 가위외관의 모양과 각 날의 각도등에 관해서 연구가 있어왔다. 특히 가위의 기능에 다른 기능을 복합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최근에는 가위가 식탁의 필수품이 되어 있기도 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가위가 필수품이 되어있으며 가위질을 보다 잘함으로써 학생의 두뇌활동에도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다. 가위는 의료기구로도 많은 기여를 해왔으며 미용이나 이용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필수품이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위에 관한 모든 기 술들은 대상물을 짤라버리는 단계까지만 고려되었을 뿐 짜른다음에 나오는 부산물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이 없어왔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공작숙제를 한후에는 많은 쓰레기들이 무질서하게 방치되기도 하고 미장원이나 이용원 등에서도 짤라낸 머리카락의 관리에 또다른 배려를 해야 하였다. 또 병원에서 수술부위를 가위로 잘라내는 동작에 있어서 실밥을 잘라내고 다음에 핀셋으로 실밥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2중의 동작을 하기도 했다. 또 사진관에서 인화된 사진을 일직선으로 자르기 위해서는 가위가 아니라 작두를 사용해야 했다. 또한 정원에서 전지를 하는 경우에도 잘라낸 나무들이 정원수위에 그대로 방치되기도 하였다. 또한 과일을 가위로 딸 경우에도 따는 동작과 잡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써 양손을 다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중 잘라진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잡아주는 집게를 설치함으로써 수술부위의 실밥제거와 실밥을 잡아서 상처부위에서 빼어내는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했으며 신체내부에서 수술을 할 경우 환부를 먼저 핀셋으로 잡고 다음에 그 부분을 잘라주는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했으며 미장원이나 이용원에서 잘라진 머리카락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인화지나 신문등을 자를 경우 비뚤어지지않고 일직선으로 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잘라진 정원수나 과일등도 핀셋으로 잡아주어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잘라진 물건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써 보다 작업의 능율과 효율성 그리고 위생성을 개선한 것을 특 징으로 한 고안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가위의 상하날의 사이에 핀 V처럼 동작하는 판넬을 부착하여 핀셋의 양날이 물체를 절단하기 직전에 그 물체를 잡아주도록 하여 자른 부분이 핀셋에 물려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잡은 물건을 필요한 시기에 놓을 수도 있도록 한 고안이다. 이 동작을 위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첫째 도 1은 각부품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2에서 1(리벳)은 각부품의 고정 및 회전을 위한 것이다. 이는 가위와 핀셋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축이다. 핀셋부분과 가위부분의 회전은 서로 용이 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야 한다.따라서 각 부분의 리벳구멍의 내경이 가위부분리벳구멍(8-1,9-2)의 경우와 핀셋부분의 리벳구멍(4-1,5-2)이 차이가 있어야 한다. 가위부분의 경우는 꽉 차는 느낌으로 움직여야 하기에 오차가 적어야 하며 집게부분의 경우는 윗 집게가 충분히 회전 윤활이 가능토록 내경의 오차가 0.3mm 이상이어야 한다. 가위부분 또한 가위의 아랫날과 집게의 아랫부분은 항상 고정된 상태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아래집게의 끝부분(5-2)에 구멍을 내서 아래가위고정축(9-1)을 끼워서 서로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였다.또한 아래가위(9)의 칼날선과 아래 핀셋(5)의 날의 선은 위 가위 날을 사이에 끼고 수직 상방에서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그래야만 물체를 잡기 전에 물건을 절단하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핀셋판스프링(3)은 판스프링끼움부위(3-1)가 판스프링끼움부위의 인입구멍(5-3)에 끼워져 있어서 고정되어있으며 판스프링돌출부위(3-2)가 위핀셋(4)의 몸체에 걸려서 위핀셋을 밖으로 밀쳐내고 있다. 만약 오른손 검지 손가락으로 4-3(검지손가락걸개)의 "ㄴ"자 부분을 잡아당기면 위핀셋(4)부분이 아래핀셋(5)부분과 밀착되게 되는데 그때에 물체는 잡힌다. 그리고 잡아놓은 물체(10)를 자르기 위해서는 중지와 약지 그리고 새끼손가락으로 위가위(8)의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물체를 베면 된다. 그리고 물체를 지정된 위치에 갖다놓기 위해서는 검지에서 힘을 빼고 중지와 그 이하의 손가락은 아래가위(9)와 위가위(8)를 벌리는 동작을 하면 핀셋판스프링(3)이 위핀셋(4)을 밖으로 밀어내서 핀셋을 벌리는 동작을 하게 되며 이때 물건은 핀셋에서 분리된다.
이때 집게가 벌어지는 각도는 최대 각도를 약 30도로 본다. 이 각도는 가위의 최대각도와 같도록 했다. 이를 위해 아래핀셋(5)의 축 부분의 원 주위에 약간 튀어나온(5-3 판스프링끼움 부분의 대각선방향의 삼각형 모양) 부분을 만들어서 위 집게가 더 이상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였다.
도 3의 10-a, 10-b, 10-c, 10-d는 본 고안의 집게가위로 물건을 절단하는 순서를 표시한 그림이다.
도 10-a는 가위가 열린 상태에서 두 집게 사이가 열린 그림이다. 가위가 열린 상태에서 양날의 각도는 최대 60도까지도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그처럼 가위를 벌릴 필요는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30도 정도 벌리는 것으로 했다. 아래쪽핀셋(5)는 아래가위(9) 날 면에 일직선을 이루면서 리벳을 축으로 회전을 항상 같이 하도록 되어있다. 위핀셋(4)의 회전은 아래핀셋(5)이나 위가위(8)및 아래가위(9)와는 별개로 움직인다. 위핀셋의 고리부분(4-3)에 오른손의 검지를 끼워서 검지를 잡아 당기면 집게가 닫히는데 이때 자를 물건이 집게 사이에 위치하면 아래가위(9)손잡이에 들어있는 엄지의 누름에 의해 아래가위는 눌려지고 그 끝(9-1)과 고정되어있는 아래핀셋(5)도 눌려지게 되며 이때 검지쪽의 위핀셋(4)도 자동으로 눌려져서 아래핀셋과 위핀셋이 그 물건(10)을 잡아주게 된다.
자르고 싶은 물건을 가위 사위에 넣은 상태가 도 10-b의 그림이다.
따라서 10-b 는 위핀셋(4)의 고리부분(4-3)에 엄지손가락 중 검지 부분을 끼우고 위핀셋(4)을 회전시켜서 대상물이 잡혀있는 상태이다. 이때는 아직 가위부분이 움직이지 않고있는 상태이다.
도 10-c는 오른손의 검지를 고정시켜서 물체를 잡고 있으면서 오른손 검지를 뺀 나머지 중지 약지 손가락을 움직여서 아래가위(9)을 회전시켜서 목적물을 자른 후의 그림이다.
10-d는 물건은 잘라졌으나 잘라진 윗쪽부분(10-1)은 집게가 잡고 있는 그림이다. 이때 검지에서는 힘을 빼서는 안된다. 오른손 검지와 엄지는 물건을 파지했을 경우처럼 서로 꽉 잡고 있어야 한다. 다음에는 필요한 장소에 이동해서 물건을 놓을 경우 검지에서 힘을 빼면 위핀셋(4)은 자동으로 열려서 잘린 물건을 내려놓게 된다.
집게와 가위의 회전운동의 윤활도의 차등을 두기 위해서 집게부분의 축구멍과 가위부문의 축구멍은 서로 내경이 다르게 해야한다. 또한 가위의 손잡이부분은 상하의 모양이 서로 달라야 한다. 우측의 위가위(8)의 손잡이 부분은 아래가위(9)의 손잡이와 모양이 동일해서는 안 된다.위가위의 손잡이는 위핀셋(4)의 고리부분 (4-3)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여백을 확보해주기 위해서 "ㄴ"모양(1도의7)으로 해야 한다.
도 4에서는 가위의 보관형태에 관해서 표현한 그림이다. 11의 모양은 평상시에 가위를 사용할 때의 모양이며 12의 모양은 가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관하는 모양이다. 평상시에는 11-1의 모양에서 보이는 잠금나사(2)를 위로 돌려 올려서 놓고 사용한다. 이때 잠금나사는 빠져있는 상태이다. 가위를 보관하고자 할때는 위핀셋(4)과 위가위(8)를 당겨 가위를 오무려서 누른상태에서 잠금나사의 아랫부분(2-1)을 4-2(위핀셋잠금나사구멍),5-4(아래핀셋잠금나사구멍),8-2(위가위잠금나사구멍)의 세 구멍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나사를 회전시켜 나사를 조여주면 가위와 집게는 접혀져서 도 4의 12-1의 모양이 되어 보관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수술시나 수술후 실밥제거시 효율적으로 잘라진 부분을 제거 할 수 있으며 미용실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간단 간단히 머리의 컷팅을 할 수도 있으며 머리의 컷팅시에 생기는 머리의 비산을 막아 위생에도 효율적이며 또한 아이들의 공작시 컷팅을 일직선으로 할 수 있으므로서 보다 효율적인 학습능율을 올릴 수도 있다. 또한 과일의 채취시에는 딸기등을 손으로 따지 않음으로써 딸기등이 사람손에 닿아 쉽게 무르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정원수를 가지치기 할때 처낸 가지들이 정원수 특히 도장나무나 향나무등의 위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청결한 정원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보호측면에서도 본고안이 일정부분 역할을 할수 있다.

Claims (1)

  1. 본 고안 집게가위는 가위의 아래가위고정축(9-1)을 아래 핀셋의 고정축구멍(5-1)에 뀌어 아래가위와 아래핀셋이 동일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고 또 그 위에는 위핀셋(4)이 가위의 축과 같이 리벳(1)에 뀌어져서 독자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물건(10)을 짜르기 직전에 물건(도 3의10)을 잡아주는 장치를 한 구조이며,
    아래가위(9) 날의 날 면과 아래핀셋(5)의 한쪽 날개 부분(도 1의 5부분중 분홍색부분)은 서로 평행한상태이며, 그리고 그것과 마주보고 회전하는 또 다른 쪽 핀셋(4)의 회전부분(4-1)은 오른손 검지걸이(4-3)로 조절되고 검지에서 힘을 빼면 판스프링(3)의 장력에 의해 저절로 집게는 열리는 형태를 갖고 있으며,
    가위및 집게를 최대각도 이상 벌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대(5-3부분의 대각선방향의 삼각형모양)도 설치하며,
    가위의 회전력과 집게의 회전력에 차등을 주기 위하여 핀셋 부분의 축구멍(4-1,5-2)은 가위부분의 축의 구멍(8-1,9-2)보다 내경을 약간 크게 하고,
    위가위(8)의 손잡이 부분에 위핀셋(4)의 고리부분(4-3)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백을 확보해주기 위해서 우측 부분(8)의 손잡이와 날 부분의 연결부분(도 1의 7부분)을 "ㄴ"자 모양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해서 위가위(8)의 손잡이 부분이 위핀셋(4)의 고리부분(4-3)과 상충이 없도록 하는 구조로서,
    집게의 회전축과 가위의 회전축이 동시에 한 개의 축(1 리벳)에 연결되어야 하며,
    가위를 보관하기 위해서 가위를 오므려 둘 경우에 대비해 잠금나사(2)를 위 핀셋잠금나사구멍(4-2)에 설치하고,
    평상시에는 4-2의 구멍에만 잠금나사가 걸려있다가, 가위와 핀셋을 오므려 보관시에는 위가위(8)와 위핀셋(4)을 오므려서(도 4의 11-2처럼) 2-2의 잠금나사의 나사부분을 회전시켜 아래로 내려서 5-4와 8-2의 구멍에 관통토록 하고,
    핀셋판스프링(3)에서의 3-1의 끼움부분은 아래핀셋(5)의 5-3의 "ㄴ"자 부분에 끼워넣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가위 열림판스프링(6)이 가위열림판스프링리벳구멍(8-3)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들 구조들 모두를 청구항에 포함한다.
KR2020060004170U 2006-02-15 2006-02-15 집게가위 KR200419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70U KR200419150Y1 (ko) 2006-02-15 2006-02-15 집게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70U KR200419150Y1 (ko) 2006-02-15 2006-02-15 집게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150Y1 true KR200419150Y1 (ko) 2006-06-16

Family

ID=4176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70U KR200419150Y1 (ko) 2006-02-15 2006-02-15 집게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1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4B1 (ko) 2011-03-03 2013-07-12 오대훈 집게가위
KR200477338Y1 (ko) * 2013-04-11 2015-06-03 김진홍 신경감압술용 수술 가위
CN112908135A (zh) * 2021-02-02 2021-06-04 浙江大学 一种用于建立大鼠神经损伤模型的可调节实验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4B1 (ko) 2011-03-03 2013-07-12 오대훈 집게가위
KR200477338Y1 (ko) * 2013-04-11 2015-06-03 김진홍 신경감압술용 수술 가위
CN112908135A (zh) * 2021-02-02 2021-06-04 浙江大学 一种用于建立大鼠神经损伤模型的可调节实验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397A (en) Lawn rakes
KR200419150Y1 (ko) 집게가위
US7261347B2 (en) Waste collection devices
US20060243299A1 (en) Scissor-Like Flossing Device
US5554161A (en) Tick removal tool
US6298645B1 (en) Universal fruit-picking tool
US6715209B2 (en) Folding tool
JP2019535279A (ja) 糞取り器
ES2248653T3 (es) Prensa ajos.
CA2664002A1 (en) Weed removal tool
US6199285B1 (en) Camping flatware
US5058314A (en) Folding adhesive insect catcher
CA2448649A1 (en) Folding rake
KR20100003441U (ko) 밤 수거장치
US4730864A (en) Arm mounted hand operated leaf and trash grabber
US20220096086A1 (en) Hair Grasping Device
US20050132639A1 (en) Article Retrieving Tool
US11369379B2 (en) Hair grasping device
US6877273B2 (en) Article retrieving tool
KR20170108628A (ko) 집게 가위
CN216314053U (zh) 花椒采摘器
JP2005224203A (ja) 摘果器
JP3078518U (ja) ゴミつかみ器
KR200207914Y1 (ko) 과수용 가위
CN215688607U (zh) 一种口腔医疗用骨膜打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