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56Y1 - wheel assembly in a car - Google Patents

wheel assembly in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56Y1
KR200419056Y1 KR2020060007355U KR20060007355U KR200419056Y1 KR 200419056 Y1 KR200419056 Y1 KR 200419056Y1 KR 2020060007355 U KR2020060007355 U KR 2020060007355U KR 20060007355 U KR20060007355 U KR 20060007355U KR 200419056 Y1 KR200419056 Y1 KR 200419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hub
spoke
departure
wh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35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홍균
Original Assignee
정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균 filed Critical 정홍균
Priority to KR2020060007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02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 B60B9/0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using springs resiliently mounted bicycle rims in hel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바퀴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행시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운전자 및 승객이 느끼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며, 소음을 최대한 감소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 바퀴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wheel,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riding comfort of the vehicle, and to minimize vibrations felt by the driver and passenger, and to reduce the noise as much as possible. Relates to a wheel assembly.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주면을 따라 타이어가 장착되며, 내부가 빈 상태의 림; 상기 림의 내측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차축이 결합되는 허브; 일단은 상기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림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코일 형상을 이루면서 완충이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의 스포크;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림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 방지부; 그리고,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허브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가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ire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im of the interior empty; A hub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rim and having an axle coupled thereto; A plurality of spokes having one end coupl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and spirally wound to form a coil shape and capable of buffering; 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preventing departure from the coupling site between each spoke and the rim; And, there is provided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each spoke and the hub.

차량, 바퀴, 휠 어셈블리, 스포크 Vehicle, wheels, wheel assembly, spokes

Description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wheel assembly in a car}Wheel assembly in a car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림 111. 테두리부110. Rim 111. Border

112. 안착부 120. 허브112. Seating 120. Hub

122. 안착부 130. 스포크122. Resting part 130. Spoke

140. 제1이탈 방지부 150. 제2이탈 방지부140.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150.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160. 안착부160. Seat

본 고안은 차량 바퀴용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량의 주행시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운전자 및 승객이 느끼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며, 소음을 최대한 감소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wheel,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riding comfort of the vehicle while minimizing the vibration felt by the driver and passengers, and to a wheel assembly of the vehicle wheel of the new structure to minimize the noise as possib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바퀴는 노면에 접촉되는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가 결합되는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wheels used in a vehicle include a tire in contact with a road surface and a wheel assembly to which the tire is coupled.

이때, 상기 타이어는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제동과 구동 및 선회시에 노면과의 적절한 마찰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tire is configured to not only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but also to prevent slipping due to proper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during braking, driving and turning.

또한, 상기 휠 어셈블리는 차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wheel assembly is configured to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axle to perform the role of rotating the tire.

특히, 상기한 휠 어셈블리는 림과, 허브 및 다수의 스포크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wheel assembly described above consists of a rim, a hub and a number of spokes.

상기 림은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타이어가 장착되는 부위로써, 외측 둘레부위가 외부로 돌출됨과 더불어 중앙부위는 상대적으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im is a portion in which the tire is mounted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in a relatively concave shape.

그리고, 상기 허브는 상기 림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차량의 차축과 축결합 되는 부위이다.In addition, the hub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m, and is a portion that is axially coupled with the axle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각 스포크는 상기 림과 상기 허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상기 림에 가해지는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Each spoke serves to connect the rim with the hub and to support the weight applied to the rim.

이때, 상기 각 스포크는 상기 림과 허브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된다.In this case, each spoke is radially installed between the rim and the hub.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 어셈블리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타이어에 의해 일차적으로 흡수된다고는 하지만 상기 타이어에 의해 미처 완화되지 못한 충격 진동은 림으로 제공된다.However, the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primarily absorbed by the tire, the shock vibration that is not mitigated by the tire is provided to the rim.

특히, 스포크는 상기 림 및 상기 허브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림을 통해 타이어로부터 전달된 진동은 상기 스포크 및 허브를 순차적으로 전달된 후 차축을 통해 차체로 제공될 수밖에 없다.In particular, since the spok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m and the hub,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ire through the rim may be provid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axle after the spokes and the hub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따라서, 종래에는 차체로 제공되는 충격 진동이 큼에 따라 승차감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s the impact vibr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body becomes large,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더구나, 상기한 진동으로 인해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소음 역시 클 수밖에 없고, 운전자의 피로도 역시 크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due to the vibration is also inevitably high, and the fatigue of the driver is also large.

물론,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0-0007780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26375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865호 등과 같이 스포크의 내부에 별도의 완충 구조를 제공하는 내용이 제시되고 있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 역시 스포크가 림 및 허브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충격 흡수 효과가 미미하다.Of course, the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0-0007780, the 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326375, the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1-000865, such as to provide a separate buffer structure inside the spoke Although the contents have been suggested,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lso have a slight impact absorption effect because the spoke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m and the hub.

뿐만 아니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44673호에서는 스포크 자체 를 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상기 스프링의 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구성임에 따라 급회전이나 급 제동시 타이어의 이탈에 따른 차량의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although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44673 has been made to form the spokes themselves as a spring to improve the ride comfort,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does not effectively prevent the bending of the spring, the rapid rotation 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overturning of the vehicle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tire during braking.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이어의 이탈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차량의 운행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이 허브를 통해 차축으로 전달됨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의 향상을 얻을 수 있고, 소음을 줄이며, 운전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separation of the tire and the impact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o the hub It is to provide a wheel assembly of a new structure of the vehicle wheel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to the axle through which can improve the ride comfort, reduce noise, and reduce the fatigue of the dri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에 따르면 외주면을 따라 타이어가 장착되며, 내부가 빈 상태의 림; 상기 림의 내측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차축이 결합되는 허브; 일단은 상기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림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코일 형상을 이루면서 완충이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의 스포크;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림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 방지부; 그리고,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허브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ire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im of the empty state; A hub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rim and having an axle coupled thereto; A plurality of spokes having one end coupl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and spirally wound to form a coil shape and capable of buffering; 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preventing departure from the coupling site between each spoke and the rim;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each spoke and the hub.

여기서, 상기 스포크는 그 권취 간격이 0.01㎜∼5.0㎜ 사이의 범위를 이루도 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pok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interval is configured to form a range between 0.01mm to 5.0mm.

또한, 상기 스포크는 그 각각이 승객을 포함한 해당 차량의 허용 최대 하중에 대하여 1/32 이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개수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okes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m is determined by the number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of 1/32 or more with respect to the maximum allowable loa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passenger.

또한, 상기 제1이탈 방지부는 상기 림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이탈 방지부의 일부는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by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ri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이때, 상기 제1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1/5∼1/3 정도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poke is preferably about 1/5 to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또한, 상기 제2이탈 방지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이탈 방지부의 일부는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by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hub, a portion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이때, 상기 제2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1/5∼1/3 정도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poke is preferably about 1/5 to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또한, 상기 제1이탈 방지부는 상기 림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 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탈 방지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이탈 방지부 및 제2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의 합은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2/3∼1/3 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elease preventing part is formed of a fastening bolt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rim, and a part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up to the inside of the spoke, and the second release preventing part is fastened through the hub. It is formed of a fastening bolt that is fixed and a part of which is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escape prevention portion and the second escape prevention portion protrudes into the spok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form about 2/3 to 1/3 of the distance.

이하,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크게 림(110)과, 허브(120)와, 다수의 스포크(130)와, 제1이탈 방지부(140)와, 제2이탈 방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rim 110, a hub 120, a plurality of spokes 130, and 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140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unit 150 is configured.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림(1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rim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림(110)은 외주면을 따라 타이어(1)가 장착되는 부위이다.The rim 110 is a portion on which the tire 1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상기 림(110)의 외주면 둘레는 상기 림(110)의 외주면 중앙측 부위에 타이어(1)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테두리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111)와 상기 림(110)은 서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서로 개별적 구성으로 제조된 후 일체형을 이루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m 110 is formed with a rim 111 protrud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tire 1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m 110. In this case, the rim 111 and the rim 110 may be manufactured in one piece with each other, or may be manufactur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each other and then processed to form a single piece.

즉, 상기 림(110)의 외주면 중앙측 부위는 외주면 끝단 둘레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110 is formed in a relatively concave shape compar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nd.

다음으로, 상기 허브(12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hub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허브(120)는 상기 림(110)의 내측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차량의 차축(도시는 생략됨)이 결합되는 부위이다.The hub 120 is installed at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rim 110 and is a portion to which the axle (not shown) of the vehicle is coupled.

이때, 상기한 허브(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hub 1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다음으로, 상기 각 스포크(13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spokes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각 스포크(130)는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를 서로 연결하는 역 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림(110)에 가해지는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Each spoke 130 plays a role of connecting the rim 110 and the hub 120 with each other and supports the weight applied to the rim 110.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스포크(130)는 타이어(1)로부터 제공되는 충격 진동이 림(110)을 통해 상기 허브(120)로 전달되는 도중 그 감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each spok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ttenuate while the shock vibration provided from the tire 1 is transmitted to the hub 120 through the rim 110. Do this.

상기한 각 스포크(130)는 상기 림(110)과 허브(120)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허브(120)의 외측 둘레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림(110)의 내측 둘레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스포크(130)는 상기 허브(120) 및 상기 림(110)은 별도의 구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밀착된 상태로만 결합할 수도 있다.The spokes 130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radially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spoke 130 is rim 110. )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the spokes 130, the hub 120 and the rim 110 may be combined only in a close contact, rather than using a separate configuration.

이와 함께, 상기 각 스포크(130)는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코일 형상을 이루면서 완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스포크(130)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여 형성함에 따라 진동이 전달되는 거리가 상기 림(110)과 허브(120) 사이의 거리에 비해 월등히 멀기 때문에 상기 진동이 상기 허브(120)로 곧장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포크(130)를 따라 전달되는 도중 감쇠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spoke 130 is wound in a spiral to form a coil shape while being capable of buffering. That is, as the spokes 130 are wound and formed in a coil shape, the vibration is far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so that the vibration is straight to the hub 120. Instead of being provided, attenuation can be achieved during delivery along the spoke 130.

특히, 상기 각 스포크(130)의 권취 간격은 0.01㎜∼5.0㎜ 사이의 범위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winding interval of each spoke 1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a range between 0.01mm to 5.0mm.

이는, 상기 각 스포크(130)의 권취 간격이 0.01㎜ 이하일 경우 각 권취된 부위 간이 실질적인 밀착 상태를 이룸에 따라 진동의 전달 거리를 멀게 하는 효과가 극히 미미하게 되고, 상기 각 스포크(130)의 권취 간격이 0.5㎜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각 스포크(13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쉽게 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급속한 회전시 림(110)과 허브(120) 간이 이탈되어 차량이 전복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이다.When the winding interval of each spoke 130 is less than or equal to 0.01 mm, the effect of making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vibration far apart becomes extremely small as the space between each wound portion is substantially in close contact, and the winding of each spoke 130 If the distance is 0.5mm or more, since the spokes can be easily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kes 130, the vehicle may be overturned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during rapid rotation of the vehicle. Because it has a problem.

물론, 상기 스포크(130)를 림(110) 및 허브(1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권취 간격이 전술한 범위에 비해 넓으며, 상기 스포크(130)를 림(110) 및 허브(120) 사이에 결합하였을 경우 전술한 범위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the state in which the spokes 130 are separated from the rim 110 and the hub 120, the winding interval is wider than the aforementioned range, and the spokes 130 are disposed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When combined, it is desirabl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range.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포크(130)는 적정한 개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okes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referably provided in an appropriate number.

즉, 상기 스포크(130)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제조단가가 증가됨과 더불어 조립 작업의 공수가 증가되고 또한, 림(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이 대부분 허브(120)로 전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상기 스포크(13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에는 차량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함과 더불어 허브(120)와 림(110) 간의 탈거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That is, when the number of the spokes 130 is excessively large,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the number of labor for assembly work is increased, and the vibration provided from the rim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120 mostly.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the spokes 130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vehicle may 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and detachment may occur between the hub 120 and the rim 110.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스포크(130)의 개수가 해당 차량의 최대 허용 하중에 대하여 1/36∼1/40 사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개수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spokes 130 is determined as the number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between 1/36 and 1/40 with respect to the maximum allowable load of the vehicle.

즉, 바퀴마다 각각 6개 내지 10개 사이의 개수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wheels to be provided in a number of 6 to 10 each.

특히, 상기 각 스포크(130)의 개수는 바퀴마다 각각 8개씩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차량의 운행 중 휠 어셈블리 상태가 지표면과 수직 상태를 원활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며, 이의 경우 상기 스포크(130) 각각이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은 승용차를 기준으로 대략 30kgf∼50kgf로 결정된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each spoke 13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to each of the eight wheels is most preferable because the state of the wheel assembly can be smoothly maintai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spokes 130 The load each can support i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30 kgf to 50 kgf based on the passenger car.

다음으로,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unit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는 상기 각 스포크(130)와 상기 림(110)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unit 140 serve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pokes 130 and the rim 110.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가 상기 림(110)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130)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림(11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구성됨을 제시한다.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140 penetrates the rim 110 and a part thereof protrudes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130. It is proposed to consist of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fixed.

이때,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가 상기 스포크(13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L1)는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H)의 1/5∼1/3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L1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140 protruding into the spoke 130 is 1/5 to 1/3 of the distance H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degree.

이는,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의 돌출 길이(L1)가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H)의 1/3 이상일 경우 후술되는 제2이탈 방지부(150)와의 접촉 발생이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의 1/5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스포크(130)의 휨 발생시 상기 스포크(130)의 과도한 휨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rotruding length L1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140 is 1/3 or more of the distance H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When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may be caused, and when less than 1/5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when the bending of the spoke 130 occurs, excessive bending of the spoke 130 may not be prevented. This can be caused.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이탈 방지부(140)는 상기 림(1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상기 스포크(130)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110, o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spoke 130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have.

다음으로,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unit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는 상기 각 스포크(130)와 상기 허브(120)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unit 150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pokes 130 and the hub 120.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가 상기 허브(120)를 관통하여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130)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림(11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구성됨을 제시한다.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150 penetrates through the hub 120 and a part thereof protrudes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130. It is proposed to consist of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fixed.

이때,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가 상기 스포크(13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L2)는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H)의 1/5∼1/3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L2 at which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150 protrudes into the spoke 130 is 1/5 to 1/3 of the distance H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degree.

이는,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의 돌출 길이가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의 1/3 이상일 경우 전술한 제1이탈 방지부(140)와의 접촉 발생이 야기될 수 있고,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의 1/5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스포크(130)의 휨 발생시 상기 스포크(130)의 과도한 휨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may occur wh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150 is one third or mor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If less than 1/5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excessive bending of the spoke 130 can not be prevented when the spoke 130 is bent. to be.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이탈 방지부(150)는 상기 허브(12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상기 스포크(130)의 끝단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120, o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spoke 130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have.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이탈 방지부(140) 및 제2이탈 방지부(150)가 스포크(13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의 합이 상기 림(110)과 상기 허브(120) 사이 거리의 2/3∼1/3 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140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150 protruding into the spoke 130 is equal to the rim 110 and the hub. It is proposed to form between 2/3 and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120.

이러한 구성은, 차량의 급회전시 상기 스포크(130)의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노면이 불규칙한 부위를 주행하더라도 각 이탈 방지부(140,150) 간이 서로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uch a configuration is to minimiz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pokes 130 during the rapid rotation of the vehicle and to prevent the contact between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s 140 and 150 even when the road surface is irregular.

또한, 전술한 제1이탈 방지부(140) 및 제2이탈 방지부(150)는 상기 스포크(13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스포크(13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140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15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ke 130 as well as the spoke 130 It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 어셈블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operation as described below.

즉,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타이어(1)에서 노면과의 일차적인 진동 저감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타이어(1)에 의해 완전히 완화되지 못한 진동은 림(110)을 통해 각 스포크(130)로 전달된다.That is,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first vibration of the tire 1 with the road surface is reduced, and vibrations that are not completely alleviated by the tire 1 are transferred to each spoke 130 through the rim 110. Delivered.

하지만, 상기 스포크(130)는 그 전체적인 길이(권취되지 않은 상태의 전체 길이)가 림(110)과 허브(120) 사이의 거리에 비해 월등히 긴 상태로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진동은 상기 스포크(130)를 따라 전달되는 도중 대부분 완충된다. 즉, 진동은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따라 이동되는 도중 외기나 기타 외부 환경에 의해 감쇠되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spoke 130 is wound in a state in which the overall length (total length of the unwound state) i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the vibration is the spoke ( It is mostly buffered during delivery along 130). That is, vibrations are attenuated by outside air or other external conditions while traveling along a relatively long distance.

또한, 상기 각 스포크(130)는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스프링의 동작 즉, 압축 변형 및 복원 변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스포크(130)를 따라 제공되는 진동은 더욱 원활히 감쇠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each spoke 130 is wound in a coil shape, the vibration provided along the spoke 130 is attenuated more smoothly because the spokes 130 repeatedly perform substantial spring operation, that is, compressive deformation and restoring deformation. .

이로 인해, 상기 허브(120)로는 상대적으로 감쇠된 상태의 진동만이 제공되며, 이렇게 제공된 진동은 상기 허브(120)에 축결합된 차축(도시는 생략됨)으로 전달된 후 상기 차축과 차체 간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각종 감쇠 기구(도시는 생략됨)들에 의해 재차적으로 감쇠되어 실제 운전자 등의 차량 탑승자가 느끼게 되는 진동은 미미하게 되며, 상기 진동의 저감으로 인해 핸들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only the vibration in a relatively attenuated state is provided to the hub 120, and the vibration thus provided is transmitted to the axle coupled to the hub 120 (not shown), and then additionally between the axle and the body. The vibration damped again by various attenuation mechanisms (not shown) provided therein may result in a slight vibration felt by a vehicle occupant such as an actual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may be easily operat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vibration.

특히, 상기 차량이 상당히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도 지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위치되는 스포크(130)는 압축 변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규칙한 노면으로 인한 충격이 허브(120)로 곧장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완충된 상태로써 제공된다.In particular, even when the vehicle travels on a fairly irregular road surface, the spokes 130 positioned at a portion contacting with the ground are cushioned and deformed, so that the impact due to the irregular road surface is not provided directly to the hub 120, but is buffered. Provided as a state.

결국, 전술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장시간 운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느끼게 되는 피로도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한 차량을 운전하였을 때에 비해 월등히 저감된다.As a result, the fatigue degree substantially felt by a passenger, such as a driver, even for a long time b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operation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when driving a vehicle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더욱이, 상기 각 스포크(130)에 의한 진동의 완화에 의해 차축을 통해 차체로 제공되는 진동이 최대한 저감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진동에 의한 소음 역시 저감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axle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relaxation of the vibrations by the spokes 130, and the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is also reduced.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스포크의 양끝단이 평면을 이루는데 반해 상기 림의 내주면 및 허브의 외주면은 곡면을 이룬다.On the other hand, in the wheel assembly of the vehicle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spoke form a flat surface, where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form a curved surface.

이로 인해, 상기 스포크(130)를 상기 림(110) 및 허브(120) 사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결합 부위에 위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포크(130)를 상기 림(110) 및 허브(120) 사이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스포크(130)와 상기 림(110) 및 허브(120) 간의 접촉 부위가 극히 적으므로 인해 상기 스포크(13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한 이탈 발생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poke 130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may b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e located at the correct coupling site. That is, even when the spoke 130 is coupled between the rim 110 and the hub 120, the spoke 130 is extremely small because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poke 130 and the rim 110 and the hub 120 is extremely small. ) May cause deviations caused by self-resilience.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허브(120)의 외주면과 상기 림(110)의 내주면 중 상기 스포크(130)가 밀착되는 부위에 평면을 이루는 안착부(112,122)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and 6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ub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110 of the seating portion forming a plane on the contact area (112, 122) is further formed.

이때, 상기 안착부(112,122)의 크기(폭)는 대략 상기 스포크(130)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ize (width) of the seating portion (112, 122) is most preferably formed to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spoke (13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로 인해, 스포크(130)의 조립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eries of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ing work of the spoke 130 can be made smoothly.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described below.

첫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스포크를 코일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이 허브를 통해 차축으로 전달됨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의 향상을 얻을 수 있고, 소음을 줄이며, 운전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irst,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the spoke coiled to minimize the shock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to the axle through the hub to obtain an improved ride comfort, noise It reduces the fatigue and reduces the driver's fatigue.

둘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스포크의 각 권취 간격과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포크에 의한 완충이 더욱 원 활히 수행될 수 있게 되어 승차감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number of windings and the number of the spokes appropriately can be more smoothly performed by the spokes can be carried ou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iding comfort Has

셋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제1이탈 방지부 및 제2이탈 방지부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차량이 급속히 방향 전환되더라도 상기 스포크의 휨을 최소화함으로써 주행 중 림과 허브 간의 탈거가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Third,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ehicle is rapidly turn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by minimizing the bending of the spokes between the rim and the hub while driving Removal is prevented has the effect that a more stable running can be achieved.

넷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는 스포크를 림과 허브 사이에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림 및 허브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ourth, the wheel assembly of the wheel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assemble because the coupling is made in the sta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rim and the hub in coupling the spok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done.

Claims (9)

외주면을 따라 타이어가 장착되며, 내부가 빈 상태의 림;A rim in which the tire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terior of which is empty; 상기 림의 내측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차축이 결합되는 허브;A hub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rim and having an axle coupled thereto; 일단은 상기 허브의 둘레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림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코일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다수의 스포크;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ub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the plurality of spokes are formed spirally wound to form a coil shape;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림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1이탈 방지부; 그리고,A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preventing departure from the coupling site between each spoke and the rim; And, 상기 제1이탈 방지부와는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각 스포크와 상기 허브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And a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pokes and the hu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포크는The spokes 그 권취 간격이 0.01㎜∼5.0㎜ 사이의 범위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interval is configured to range between 0.01mm to 5.0m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포크는The spokes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에서 등간격을 이루도록 각각 설치되고,Install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rim and the hub, 그 각각이 승객을 포함한 해당 차량의 최대 허용 하중에 대하여 1/36∼1/40 사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개수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A wheel assembly of a wheel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m is determined to b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between 1/36 and 1/40 with respect to the maximum allowable loa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passe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탈 방지부는 상기 림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되고,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of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rim, 상기 제1이탈 방지부의 일부는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Part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a 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는The length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poke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1/5∼1/3 정도의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about 1/5 to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이탈 방지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되고,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of a fastening bolt that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hub, 상기 제2이탈 방지부의 일부는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Part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a 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는The length of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spoke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1/5∼1/3 정도의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Wheel assembly of a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about 1/5 to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탈 방지부는 상기 림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 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part is formed with a fastening bolt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rim, and a part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상기 제2이탈 방지부는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 볼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일부가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The second departure prevention part is formed of a fastening bolt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hub and a part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poke, 상기 제1이탈 방지부 및 제2이탈 방지부가 스포크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의 합은 상기 림과 상기 허브 사이 거리의 2/3∼1/3 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art and the second departure preventing part protruding into the spokes is formed to form about 2/3 to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and the hub.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림의 내주면 중 상기 스포크가 밀착되는 부위는 평면을 이루는 안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퀴의 휠 어셈블리.The wheel assembly of the vehicl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in close contact with the spoke is further formed.
KR2020060007355U 2006-03-20 2006-03-20 wheel assembly in a car KR2004190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55U KR200419056Y1 (en) 2006-03-20 2006-03-20 wheel assembly in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55U KR200419056Y1 (en) 2006-03-20 2006-03-20 wheel assembly in a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56Y1 true KR200419056Y1 (en) 2006-06-16

Family

ID=4176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355U KR200419056Y1 (en) 2006-03-20 2006-03-20 wheel assembly in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56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058A (en) * 2018-12-18 2019-03-26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type wheel rim
KR20190103853A (en)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vertible wheel device for vehicles
KR102060420B1 (en) 2018-02-27 2019-12-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Impact absortion structure of wheel
CN113978179A (en) * 2021-11-15 2022-01-28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All-terrain locomotive moving system with puncture-proof protection
CN109515058B (en) * 2018-12-18 2024-05-17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djustable ri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420B1 (en) 2018-02-27 2019-12-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Impact absortion structure of wheel
KR20190103853A (en)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vertible wheel device for vehicles
KR102107597B1 (en) 2018-02-28 2020-05-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vertible wheel device for vehicles
CN109515058A (en) * 2018-12-18 2019-03-26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type wheel rim
CN109515058B (en) * 2018-12-18 2024-05-17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djustable rim
CN113978179A (en) * 2021-11-15 2022-01-28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All-terrain locomotive moving system with puncture-proof protection
CN113978179B (en) * 2021-11-15 2023-07-28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All-terrain locomotive moving system with puncture-proof prote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8019B2 (en) Automobile
JP4820525B2 (en) Motorcycle tires equipped with vibration isolation means
US8714572B1 (en) System and method to lower axle/spindles for golf cars, personal transportation vehicles and low speed vehicles
KR200419056Y1 (en) wheel assembly in a car
US20110085848A1 (en)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KR102183211B1 (en) Non-pneumatic tire
JP4316642B2 (en) Tires for vehicles
JP2000142053A (en) Vehicular suspension system
CN211000806U (en) Automobile swing arm limiting structure and automobile suspension
KR101231516B1 (en) Bush structure of stabilizer bar in vehicle
KR102472955B1 (en) Rolling module of vertical and horizontal load integrated automobile shock absorber mount
JP6937083B2 (en) Vehicle structure
JPH10181645A (en) Crawler, crawler vehicle and car
KR200167540Y1 (en) Rear coil spring and frame connecting structure for a car
KR20090015686A (en) Strut bearing
KR102359428B1 (en) Mounting apparatus for lower arm
JP3982798B2 (en) Coil spring for strut type shock absorber
JP4593995B2 (en) Elastic wheel
JPS6242820Y2 (en)
CN113246651A (en) Shock attenuation wheel hub, tire and vehicle thereof
KR0148658B1 (en) Structure of rear axle in a car
JP2004066854A (en) Support and pneumatic run-flat tire
KR100552065B1 (en) Guard pipe for vehicles
KR200198940Y1 (en) Fixed bush
KR100862267B1 (en) Trailing arm bush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