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739Y1 -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739Y1
KR200418739Y1 KR2020060008487U KR20060008487U KR200418739Y1 KR 200418739 Y1 KR200418739 Y1 KR 200418739Y1 KR 2020060008487 U KR2020060008487 U KR 2020060008487U KR 20060008487 U KR20060008487 U KR 20060008487U KR 200418739 Y1 KR200418739 Y1 KR 200418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acilities
substation
vario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성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to KR2020060008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설비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들과; 각종 설비의 아날로그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A/D 변환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아날로그 상태정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정보나 이력정보 또는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정보를 제어부로 출력시켜 주는 상태정보 기억부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 및 이상정보를 문자나 도표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각종 메뉴 및 데이타를 표시해 주는 터치형 LCD 모니터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이상상태 발생시 해당 설비의 고장 정도(예를 들어 경고장 또는 중고장)에 대응하는 특수음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경보음 선택부와;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경보음 선택부를 통해 선택한 경보음으로 경보기가 구동되게 하는 경보기 구동부와; 해당 설비들에 대한 중고장 및 경고장을 구분하여 벨소리나 부져 또는 특수음으로 발생시키는 경보기로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기 입력된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예정된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SMS모듈과;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워치도그 유니트(watchdog unit)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한다.
따라서, 변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변전 관련 설비들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상태변화발생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시해줌과 동시에 벨/부져 또는 관리자가 선택한 특수음으로 알려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관리자 휴대폰으로 해당 경보 메시지를 문자로 발신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각종 변전 관련 설비의 상태를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변전소, 상태변화 감지수단, 터치형 LCD 모니터, 문자메시지, 경보기

Description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Alarm system for substation equipment abnormalit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 시스템의 전체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시스템의 메뉴셋팅상태를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력을 확인할 때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이력화면의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자를 등록할 때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관리자 등록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시스템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SOE 포인트 지정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 시스템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운전경보 발생화면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태변화 감지수단 2 : 데이터 입력부
3 : A/D 변환기 4 : 제어부
5 : 상태정보 기억부 6 : 터치형 LCD 모니터
7 : 경보음 선택부 8 : 경보기 구동부
9 : 경보기 10 : SMS모듈
11 : 워치도그 유니트 12 : 휴대폰
본 고안은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변전 관련 설비들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상태변화발생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시해줌과 동시에 벨/부져 또는 관리자가 선택한 특수음으로 알려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관리자 휴대폰으로 해당 경보 메시지를 문자로 발신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각종 변전 관련 설비의 상태를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는 각종 변전 관련 설비 및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설비에는 자체의 상태변화를 검출하는 상태변화 검출수단과 이들 상태변화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경보수단(램프 및 경보기를 포함함)이 1:1 대응방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각종 변전 관련 설비들 중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 변화가 이루어졌을시 해당 설비에 대응되는 경보수단이 구동하게 되므로 변전소 설비 관리자는 각각의 설비에 해당하는 경보수단들의 구동 또는 비 구동상태를 육안 또는 청각을 통해 확인하여 상태변화 경보가 발생된 해당 변전 관련 설비를 점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은 변전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변전 관련 설비 중 어느 한 설비에서 이상상태 변화가 발생되어 해당 경보수단이 작동하게 되면, 관리자는 감시망 전체를 보면서 각각의 변전 관련 설비에 1:1로 대응하는 경보수단인 램프들의 구동상태나 경보기의 경보음을 일일이 육안 또는 청각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어느 설비에서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인식한 다음 해당 설비를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기록을 남겨야만 하므로 큰 판넬상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경보수단들 중 이상상태가 발생된 해당 설비를 즉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보내용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관리자의 오 조작으로 경보창구가 소멸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총괄관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설비에 대한 상태변화 검출수단과 경보수단들이 1:1 방식으로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케이블의 수량이 많고 결선이 복잡하여 감시 시스템의 설치 경비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감시 창구의 설치에 따른 수용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감시 시스템의 판넬 크기가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각의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된 상태변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포집하여 A/D 변환시킨 후 제어부로 전달하여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에 따른 경보내용을 기억부에 자동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해당 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표를 판넬 상에 설치된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제공함은 물론, 해당 설비의 이상상태를 벨/부져 또는 관리자가 선택한 특수음으로 알려 관리자들이 변전 관련 설비 등에 대한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관리자의 오 조작으로 인한 경보내용의 소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관리자 휴대폰 등으로 해당 설비의 경보 메시지를 문자로 발신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부재중인 상태라도 특정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당 설비에 대한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된 상태변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RS-485 통신방식 등을 통해 데이터 입력부로 통괄 입력받아 A/D 변환시킨 후 제어부로 전달하여 터치형 LCD 모니터 등에 해당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태변화 수신수단과 경보수단과의 사이에 1:1로 연결되던 케이블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감시 창구의 판넬 크기도 크게 줄일 수 있고 감시 창구의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보 시스템의 설치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보 시스템은, 각종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되어 각각의 설비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부로 전달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들과;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각종 설비의 아날로그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A/D 변환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아날로그 상태정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상태정보 기억부에 저장시켜 줌은 물론 각각의 설비들에 대한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경보기 구동부를 통해 출력시켜 줌과 동시에 터치형 LCD 모니터에 이를 표시해 주는 등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정보나 이력정보 또는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정보를 제어부로 출력시켜 주는 상태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 및 이상정보를 문자나 도표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각종 메뉴 및 데이타를 표시해 주는 터치형 LCD 모니터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이상상태 발생시 해당 설비의 고장 정도(예를 들어 경고장 또는 중고장)에 대응하는 특수음이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경보음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경보음 선택부를 통해 선택한 경보음으로 경보기가 구동되게 하는 경보기 구동부와; 상기 경 보기 구동부의 제어를 받아 해당 설비들에 대한 중고장 및 경고장을 구분하여 벨소리나 부져 또는 특수음으로 발생시키는 경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 입력된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예정된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SMS(Short Messaging System 또는 Short Message Service)모듈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제어부에서 자체내의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워치도그 유니트(watchdog unit)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 정보신호를 입력 받은 결과 긴급복구 및 조치를 요구하는 설비의 이상상태 정보로 인식된 경우 다른 이상상태 정보보다 이를 우선하여 터치형 LCD 모니터에 표시해 줌과 동시에 경보기를 통해 해당 이상정보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 시스템의 전체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시스템의 메뉴셋팅상태를 예시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 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력을 확인할 때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이력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자를 등록할 때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관리자 등록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 시스템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SOE 포인트 지정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 시스템의 터치형 LCD 모니터상에 운전경보 발생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경보 시스템은 크게 다수개의 상태변화 감지수단(1)과, 데이터 입력부(2), A/D 변환기(3), 제어부(4), 상태정보 기억부(5), 터치형 LCD 모니터(6), 경보음 선택부(7), 경보기 구동부(8) 및 경보기(9)로 구성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에 필요에 따라서는 SMS모듈(10) 및 워치도그 유니트(11)를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1)들은 각종 변전 관련 설비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설비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지(즉, 각각의 설비가 예정된 상태로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데이터 입력부(2)로 송신하게 된다.
또, 상기 데이터 입력부(2)는 RS-485 통신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한 각각의 상태변화 감지수단(1)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아날로그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A/D 변환기(3)로 전달하게 되고, 이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2)를 통해 각종 설비들에 대한 아날로그 상태정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A/D 변환기(3)에서는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에서는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디지털의 상태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태정보 기억부(5)에 저장시켜 줌은 물론 각각의 설비들에 대한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경보기 구동부(8)를 통해 출력시켜 줌과 동시에 터치형 LCD 모니터(6)에 표시해 주는 등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기억부(5)에서는 상기 제어부(4)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 또는 제어부(4)에 의해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정보나 이력정보 또는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정보를 제어부(4)로 출력시켜 준다.
이 밖에도 상기 상태정보 기억부(5)에서는 제어부(4)에서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관리자 등록 데이터 및 운전경보 발생정보 등 시스템의 운전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도 기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달리 각종 설비들에 대한 경보기를 1:1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경보기(9)와 각종 상태정보 및 변전소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형 LCD 모니터(6)를 감시 창구에 하나를 설치하였는데, 이와 같은 터치형 LCD 모니터(6)는 상기 제어부(4)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 및 이상정보를 전체 모선 그래픽 또는 창구형식의 화면을 통하여 각종 경보메시지를 문자나 도표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각종 메뉴 및 데이타를 표시해 줌으로써 관리자가 상기 터치형 LCD 모니터(6)를 통해 육안으로 각종 설비들에 대한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즉시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메뉴의 선택 및 관리자 등록 등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경보음 선택부(7)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관리자가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될 때 해당 설비의 고장 정도(예를 들어 경고장 또는 중고장) 및 경고장, 중고장에 대응하는 특수음이 발생되도록 선택하여 줄 수 있어 터치형 LCD 모니터(6)에 표시되는 정보를 육안으로 보지 않고도 이상상태를 청각을 통해서도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보음 선택부(7)에 부응하여 본 고안에서는 경보기(9)를 벨이나 부져 또는 각종 특수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경보기 구동부(8)에서 상기 제어부(4)의 제어를 받아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가 경보음 선택부(7)를 통해 선택한 경보음으로 경보기(9)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경보기(9)에서 해당 설비들에 대한 중고장 및 경고장을 구분하여 벨소리나 부져 또는 특수음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의 출력부에는 필요에 따라 SMS모듈(10)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에서 특정 설비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면 기 입력되어 있는 관리자의 휴대폰(12)으로 예정된 문자메시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하여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현장에 없거나 원거리에 있을 때에도 변전소의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 발생 및 상태변화 내용을 즉시 알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어부(4)의 출력부에 워치도그 유니트(11)를 부 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어부(4)에서 자체내의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그 내용을 저장 및 경보할 수 있어 시스템의 관리자가 시스템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조치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4)에서는 각각의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긴급복구 및 조치를 요구하는 설비의 이상상태 정보로 인식된 경우 다른 이상상태 정보보다 이를 우선하여 터치형 LCD 모니터(6)에 표시해 줌과 동시에 경보기(9)를 통해 해당 이상정보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각종 변전 관련 설비들 중에서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시스템의 운영에 따른 긴급성 및 고장 정도 등의 순서에 부응하여 해당 설비를 먼저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부(4) 또는 상태정보 기억부(5)에 탑재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작동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변화신호확인단계(S100)와, 상태변화경보단계(S110), 상태변화정보기록단계(S120), 정상신호확인단계(S130), 정상복귀단계(S140) 및 메뉴셋팅단계(S150)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변화신호확인단계(S100)는 상태변화 감시수단(1)들로부터 상태변화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 입력부(2)와 A/D 변환기(3)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상태변화경보단계(S110)는 만약 상기 상태변화신호확인단계(S100)에서 상태변화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상태변화가 발생된 설비 또는 기기에 해당하는 경보 음 및 고장 정도를 구분하여 경보기(9)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해당 설비의 상태변화발생부분에 해당되는 전체 모선 그래픽 또는 창구형식의 터치형 LCD 모니터(6)의 화면을 통하여 각종 경보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태변화경보단계(S110)에서 경보가 감지된 사고발생위치를 터치형 LCD 모니터(6)상에 전체 모선 그래픽 또는 창구형식의 화면을 통하여 사고발생위치를 표시함으로 인해 관리자가 사고발생위치를 터치하면 해당하는 베이(Bay)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베이(Bay)화면은 일측에 해당되는 베이 화면과 타측에 창구를 나타내는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블은 사고발생위치에 해당하는 칸이 점멸하여 사고발생위치를 나타내는 동시에 점멸되는 칸을 터치하였을 때, 경보발생 시간 및 경보발생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상태변화정보기록단계(S120)는 변전소의 각종 변전 관련 설비별 상태변화발생 사항을 상기 제어부(4)에서 상태정보 기억부(5)에 기록한다.
상기 정상신호확인단계(S130)는 해당 변전소 설비에 대한 정상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정상복귀단계(S140)는 만약 상기 정상신호확인단계(S130)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정상신호가 수신되었다면, 경보기(9)에서 발생되는 해당 설비에 대한 경보음 발생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터치형 LCD 모니터(6)에 표시되는 경보메시지를 제거한다.
상기 메뉴셋팅단계(S150)는 관리자가 운전방식 및 경보음 등을 선택하는 것 으로, 경보음 선택부(7)를 통해 선택하는 경보음선택메뉴(S151)와, 운전방식선택메뉴(S152), 고장설정메뉴(S153), 동작발생이력메뉴(S154), 기기명입력메뉴(S155), 신호복귀확인메뉴(S156), SMS기능메뉴(S157) 및 SOE포인트설정메뉴(S158)를 구비한다.
상기 경보음선택메뉴(S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보음 선택부(7)를 통해 벨이나 부져 메뉴 또는 특수음 메뉴로 구성되는 하위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방식선택메뉴(S152)는 유인운전메뉴와 무인운전메뉴로 구성되는 하위메뉴를 구비한다.
또, 상기 고장설정메뉴(S153)는 경고장 메뉴와, 중고장 메뉴로 구성되는 하위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발생이력메뉴(S154)는 도 4와 같이 기기별 이력 메뉴와, 전체동작 이력 메뉴로 구성되며, 이력 사항을 프린트할 수 있는 하위메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기명입력메뉴(S155)는 설비의 기기명 입력메뉴와, 전압별 선택메뉴로 구성되는 하위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복귀확인메뉴(S156)는 각각의 기기별로 임의동작 후 동작복귀가 이상 없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하위메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SMS기능메뉴(S157)는 휴대폰으로 경보내용을 문자로 자동 발송할 수 있는 하위메뉴를 구비하고, 상기 SOE포인트설정메뉴(S158)는 도 6과 같이 중요포인트 경보발생시 pop-up창으로 경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하위메뉴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상기 메뉴셋팅단계(S150)를 통하여 상태변화 신호별 해당메시지의 작성 및 결합, 경보방식, 운전방식, SMS기능선택 등등 경 보시스템의 제반적인 설정을 완료한 후 실행함으로써 변전소의 각종 변전 관련 설비들의 상태변화 발생시 그 상태변화 발생을 알림은 물론 상태변화의 구체적인 내용도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가 각종 상태변화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 조치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원거리에 있더라도 지정된 관리자의 휴대폰(12)으로 구체적인 경보 메세지를 송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상태변화발생에 따른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형 LCD 모니터(6) 상에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을 운용하는 관리자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가 구비되어 있고, 또 도 7과 같은 운전경보 발생 메뉴도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화면 색상 조정 메뉴 등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보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각각의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된 상태변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포집하여 A/D 변환시킨 후 제어부로 전달하여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에 따른 경보내용을 기억부에 자동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해당 설비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 및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표를 판넬 상에 설치된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제공함은 물론 해당 설비의 이상상태를 벨/부져 또는 관리자가 선택한 특수음으로 알려줌으로써 관리자들이 변전 관련 설비 등에 대한 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조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관리자의 오 조작으로 인한 경보내용의 소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지의 관리자 휴대폰 등으로 해당 설비의 경보 메시지를 문자로 발신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부재중인 상태라도 특정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당 설비에 대한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각각의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된 상태변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RS-485 통신방식 등을 통해 데이터 입력부로 통괄 입력받아 A/D 변환시킨 후 제어부로 전달하여 터치형 LCD 모니터 등에 해당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태변화 수신수단과 경보수단과의 사이에 1:1로 연결되던 케이블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감시 창구의 판넬 크기도 크게 줄일 수 있고 감시 창구의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경보 시스템의 설치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각종 변전 관련 설비에 설치되어 각각의 설비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데이터 입력부로 전달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들과;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각종 설비의 아날로그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A/D 변환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아날로그 상태정보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신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설비에 대한 이상상태정보나 이력정보 또는 전체 설비들에 대한 동작상황 집계정보를 제어부로 출력시켜 주는 상태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종 설비들에 대한 상태 및 이상정보를 문자나 도표로 표시해 줌과 동시에 각종 메뉴 및 데이타를 표시해 주는 터치형 LCD 모니터와;
    각종 설비들에 대한 이상상태 발생시 해당 설비의 경고장 또는 중고장 정도에 대응하는 특수음이 발생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경보음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특정 설비에서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 가 경보음 선택부를 통해 선택한 경보음으로 경보기가 구동되게 하는 경보기 구동부와;
    상기 경보기 구동부의 제어를 받아 해당 설비들에 대한 중고장 및 경고장을 구분하여 벨소리나 부져 또는 특수음으로 발생시키는 경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 입력된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예정된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SMS모듈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부에는 제어부에서 자체내의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워치도그 유니트(watchdog unit)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설비들에 대한 상태변화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긴급복구 및 조치를 요구하는 설비의 이상상태 정보로 인식된 경우 다른 이상상태 정보보다 이를 우선하여 터치형 LCD 모니터에 표시해 줌과 동시에 경보기를 통해 해당 이상정보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RS-485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KR2020060008487U 2006-03-30 2006-03-30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KR200418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87U KR200418739Y1 (ko) 2006-03-30 2006-03-30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87U KR200418739Y1 (ko) 2006-03-30 2006-03-30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898A Division KR100834929B1 (ko) 2007-03-06 2007-03-06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739Y1 true KR200418739Y1 (ko) 2006-06-13

Family

ID=4176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487U KR200418739Y1 (ko) 2006-03-30 2006-03-30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59B1 (ko) * 2006-06-14 2008-05-06 대웅전기공업(주)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59B1 (ko) * 2006-06-14 2008-05-06 대웅전기공업(주)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929B1 (ko)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US4823914A (en) Status 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JP5759340B2 (ja) 監視制御Webシステム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200418739Y1 (ko) 변전소의 설비이상 경보 시스템
KR102083167B1 (ko)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JP2572482B2 (ja) 乗客コンベアの遠隔監視装置
KR20140057443A (ko) 선박의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감시 방법
JP2012141075A (ja) 給湯機および給湯機用リモコン
JP5755076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145742A (ja) プレス機械システム
KR100978101B1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KR20140057442A (ko) 선박의 가스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경보 감시 방법
CN103326878B (zh) Hart通信对应设备
KR10234861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626737B1 (ko) 디젤발전 분산제어시스템용 원격단말장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이중화 제어장치
KR100620108B1 (ko) 분산 제어 시스템의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분산 제어 시스템
JP2008087899A (ja)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CN217213497U (zh) 一种故障消音复位电路及电子设备
JP4455781B2 (ja) 警報通報装置
JP2000259201A (ja) アナログ出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KR100862608B1 (ko) 경고 메시지 전송장치
JP2006036431A (ja) エレベータの異常通報システム
JP6690799B1 (ja) 鉛蓄電池監視装置及び鉛蓄電池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