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620Y1 -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 Google Patents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620Y1
KR200418620Y1 KR2020060002326U KR20060002326U KR200418620Y1 KR 200418620 Y1 KR200418620 Y1 KR 200418620Y1 KR 2020060002326 U KR2020060002326 U KR 2020060002326U KR 20060002326 U KR20060002326 U KR 20060002326U KR 200418620 Y1 KR200418620 Y1 KR 200418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lightning
arrester
condu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사균
정광태
Original Assignee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2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4Adaptation for built-in safety spark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뢰접지의 피뢰도선과 타접지선과의 상호접속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낙뢰로 인한 운용장비의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장비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통체로 형성된 단로기함(10)과; 상기 단로기함(10)의 내측면에 볼트결합되는 도체의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과;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피뢰도선고정구(30)와; 상기 제1전극판(20)과 제2전극판(24)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의 연결나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로기함, 전극판, 절연체, 피뢰도선고정구, 연결나사

Description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FOR A CHECK ON LIGHTNIG ARRESTER}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의 단로기함 내부를 보인 상태도,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극판에 끼움결합되는 피뢰도선고정구 및 연결나사의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점검시 제1피뢰도선과 제2피뢰도선이 단락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로기함 12: 캡
20: 제1전극판 21: 제1피뢰도선
24: 제2전극판 25: 제2피뢰도선
28: 절연체 30: 피뢰도선고정구
40: 연결나사
본 고안은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뢰접지의 피뢰도선과 타접지선과의 상호접속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낙뢰로 인한 운용장비의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장비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고압 전력계통에서 낙뢰 또는 회로 개폐에 의한 과전압을 제한하여 속류를 차단하는 보호 장치로서 피뢰기를 사용한다.
상기 피뢰기가 사용되는 시설물 중 이동통신기지국이 설치된 시설물(철탑)에 사용되는 경우, 통상 피뢰기의 피뢰접지와 철탑접지를 함께 연결되어 지하에서 공통으로 접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기지국의 장비 중 주장비 및 분전함 등이 케이블랙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랙이 철탑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피뢰기의 피뢰접지와 케이블랙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동통신기지국이 설치된 시설물의 경우, 접지저항 측정과 단자 및 접지선 연결상태 및 배선의 부식상태 등의 점검외에 기능접지(뇌 보호용 접지, 기기접지, TOWER 접지 등)간의 분리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나, 별도의 점검용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시 점검을 할 수 없으며, 설령 점검을 하더라도 철탑으로부터 케이블랙을 완전히 분리하기 전에는 점검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방전되어야 할 뇌전류가 기지국 장비로 스며들어 기지국의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등의 기 지국의 안정적 운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평상시 간단한 사전점검으로 기지국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별도의 점검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뢰접지와 기능접지간의 상호접속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낙뢰로 인한 운용장비의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장비운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통체로 형성된 단로기함과; 상기 단로기함의 내측면에 볼트결합되는 도체의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과;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과 제2피뢰도선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피뢰도선고정구와; 상기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과 제2피뢰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의 연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단로기함과의 결합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를 상세히 설 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의 단로기함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극판에 끼움결합되는 피뢰도선고정구 및 연결나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점검시 제1피뢰도선과 제2피뢰도선이 단락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통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덮개가 구비된 단로기함(10)과, 상기 단로기함(10)의 내측면에 볼트결합되는 도체의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과,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피뢰도선고정구(30)와, 상기 제1전극판(20)과 제2전극판(24)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의 연결나사(40)로 구성된다.
즉, 피뢰기의 피뢰도선 사이에 본 고안의 단로기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전극판(20)으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21)과 제2전극판(20)으로 삽입되는 제2피뢰도선(25)를 연결나사(40)로 연결시켜 피뢰도선을 지하에 접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피뢰도선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단 락시에는 상기 연결나사(40)를 해체함으로써 손쉽게 단락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하부면에는 상기 단로기함(10)과의 결합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28)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연체(28)는 상기 연결나사(40)의 해체시 상기 제1피뢰도선(21)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단로기함(10) 등의 별도의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제2피뢰도선(25)으로 흐르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단로기함(10)의 측면 즉, 상기 제1피뢰도선(21) 및 제2피뢰도선(25)의 삽입부위에 캡(12)을 구비하여 상기 제1피뢰도선(21) 및 제2피뢰도선(25)이 유동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단로기함(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철탑의 하측에 본 고안의 단로기를 장착시킨 후 지하로 접지되는 피뢰도선을 절단하여 상측에 구비되는 제1피뢰도선(21)을 단로기함(10)의 상측에서 투입시켜 제1전극판(2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킨 다음 피뢰도선고정구(30)를 상기 제1전극판(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21)이 인출되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단로기함(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피뢰도선(25)을 단로기함(10)의 하측에서 투입시켜 상기 제2전극판(2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킨 다음 피뢰도선고정구(30)를 상기 제2전극판(24)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켜 상기 제2피뢰도선(25)이 인출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면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전극판(20)과 제2전극판(24)을 연결나사(40)로 연결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상기 단로기함(10)의 상,하측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21) 및 제2피뢰도선(25)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단로기함(10)의 상,하측에 캡(12)을 구비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피뢰접지와 기능접지와의 점검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나사(40)를 해체하여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단락시킨 상태에서 절연저항측정기의 일측 단자를 제1피뢰도선(21)에 연결하고, 타측 단자를 혼촉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지점에 연결한 후 절연상태를 확인하면 된다.
절연상태의 확인후에는 상기 연결나사(40)를 다시 연결하여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원상복귀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상태의 확인시 전기적 절연기준치에 부적합할 경우에는 기기의 절연상태를 다시 확인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절연상태의 확인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전에 미리 점검할 수 있어 기기의 파손 또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피뢰접지와 기능접지간의 상호접속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낙뢰로 인한 운용장비의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장비운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통체로 형성된 단로기함(10)과;
    상기 단로기함(10)의 내측면에 볼트결합되는 도체의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과;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피뢰도선고정구(30)와;
    상기 제1전극판(20)과 제2전극판(24)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제1피뢰도선(21)과 제2피뢰도선(2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의 연결나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20) 및 제2전극판(24)의 하부면에는 상기 단로기함(10)과의 결합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KR2020060002326U 2006-01-25 2006-01-25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KR200418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26U KR200418620Y1 (ko) 2006-01-25 2006-01-25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26U KR200418620Y1 (ko) 2006-01-25 2006-01-25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620Y1 true KR200418620Y1 (ko) 2006-06-13

Family

ID=4176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326U KR200418620Y1 (ko) 2006-01-25 2006-01-25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31B1 (ko) * 2022-08-29 2022-10-31 유한회사 대영글로벌 154kV 이상의 케이블 헤드철탑용 피뢰기 상시진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31B1 (ko) * 2022-08-29 2022-10-31 유한회사 대영글로벌 154kV 이상의 케이블 헤드철탑용 피뢰기 상시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52536B (zh) 气体绝缘金属封闭中性点成套装置
CN102128983B (zh) 输配电线路相位测定方法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US20140197958A1 (en) 7-Way Crab Joint
CN207366687U (zh) 一种电缆t型头现场耐压检测装置
WO2016190823A1 (en) Link box with built-in partial discharge sensor
MX2011000138A (es) Bloque de terminal de poste frontal/posterior universal y enlace de prueba.
KR102367798B1 (ko) 내장형 부분방전 집합반을 갖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087297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0418620Y1 (ko) 피뢰기 점검용 단로기
WO2004102594A3 (en) Method and testing equipment for checking the operation of a lightning arrester
CN103743978B (zh) 一种充气式开关柜用的多功能测试装置
RU181891U1 (ru) Адаптер изолированный
KR102146972B1 (ko) 지하 전력 케이블의 부분 방전 모니터링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CN217034048U (zh) 一种宝塔结构电气设备绝缘性能在线监测装置
CN210926855U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中性点成套装置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KR20140049211A (ko) 변전설비의 내부 절연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308799B (zh) 一种与gis连接的电缆线路参数测量的设备及方法
CN208479156U (zh) 一种用于高压房中高压线路的欧式前接头
CN103050905B (zh) 开关柜交流耐压绝缘附件
CN112332119A (zh) 一种电力设备移动式接地装置
CN211318522U (zh) Gis断路器回路电阻多功能测试接头
CN114258617A (zh) 用于至少两件式的过压保护装置的基础元件和相应的过压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