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99Y1 - Elastomeric bearing - Google Patents
Elastomeric bea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8599Y1 KR200418599Y1 KR2020060008369U KR20060008369U KR200418599Y1 KR 200418599 Y1 KR200418599 Y1 KR 200418599Y1 KR 2020060008369 U KR2020060008369 U KR 2020060008369U KR 20060008369 U KR20060008369 U KR 20060008369U KR 200418599 Y1 KR200418599 Y1 KR 2004185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astening
- elastic pad
- fastening plat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교량 지지용 구조물과, 교량 사이에 배치되어, 교량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하부 체결판(33) 또는 상부 체결판(34)에 굴절부(33a ; 34a)가 구비되어, 굴절부(33a ; 34a)가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측면 또는 상판 본체(21)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탄성패드를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손쉽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탄성패드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며, 하판과 탄성패드, 또는 탄성패드와 상판 간의 결속력과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upporting bridges such as bridges and bridges, and an integral seismic resilient bearing disposed between the bridges to support the bridges flexibly, and refracted by the lower fastening plate 33 or the upper fastening plate 34. The parts 33a and 34a are provided so that the refracting portions 33a and 34a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lower plate main body 11 or the side of the upper plate main body 21 via the fastening members 51 and 52. Therefore, the elastic pad can be easily positioned on the lower plate body or the upper plate body, and the elastic pad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late body or the upper plate body safely and conveniently, an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elastic pad or the elastic pad and the upper plate 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aring capacity is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탄성받침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1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chable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탄성받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etachable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gral seismic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gral seismic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5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tegral seismic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6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tegral seismic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Figure 7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10 ; 하판, 11 ; 본체,10; Bottom plate, 11; main body,
12 ; 앵커, 20 ; 상판,12; Anchor, 20; Top View,
21 ; 본체, 22 ; 앵커,21; Main body, 22; anchor,
30 ; 탄성패드, 31 ; 탄성중합체,30; Elastic pad, 31; Elastomer,
32 ; 금속 평판, 32a ; 최하부 금속 평판,32; Metal plate, 32a; Bottom metal plate,
32b ; 최상부 금속 평판, 33 ; 하부 체결판,32b; Top metal plate, 33; Bottom fastening plate,
33a ; 굴절부, 34 ; 상부 체결판,33a; Refractive portions, 34; Upper fastening plate,
34a ; 굴절부, 35 ; 충격흡수재,34a; Refractive portions, 35; Shock Absorber,
51,52,53,54 ; 체결부재, 100 ; 교량 지지용 구조물,51,52,53,54; Fastening member, 100; Bridge support structures,
200 ; 교량.200; Bridges.
본 고안은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교량 지지용 구조물과, 교량 사이에 배치되어, 교량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패드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판과 상판에 고정되는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upport structure, such as a bridge or bridge, and a bridge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bridges to support the bridges flexibly, and in particular, an elastic pad dis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mediates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eismic elastic support fix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주지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은 패드의 형태에 따라서,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Elastomeric Bearing)과 구형 교량받침(Spherical Bearing), 단일 포트형 교량 받침(Monopot-Type Bearing) 및 다중 포트형 교량받침(Multipot-Type Bearing)으로 구분된다.As is well known, the bridge bearings can be formed of elastomeric bridge bearings and spherical bearings, monopot-type bearings and multipot bridge bearing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d. -Type Bearing).
이들 중에서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m, the use of an elastomeric bridge bearing is increasing due to its simple structure, easy manufacture, and low cost.
도 1은 가장 일반적인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구조물(100)에 설치되는 하판(10)과 ;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기둥 형태를 이루는 탄성중합체(31)와, 탄성중합체(31)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내설되는 다수의 금속 평판(32)으로 이루어져서, 하판 본체(11)에 얹혀지는 탄성패드(30) 및; 교량(200)에 설치되어, 탄성패드(30)에 얹혀져서 탄발지지되는 상판(2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의 경우에는, 탄성패드(30)의 위치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탄성패드(30)가 외부와의 간섭으로 인해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의 중심부분에 정위치되지 못하고 위치 이탈되거나,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 설치 후에 탄성패드(30)가 상판(20)의 수평 변위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정위치로부터 위치 이탈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상기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 설치 후에 탄성패드(30)가 상판(20)의 수평 변위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탄성패드(30)를 구성하는 탄성중합체(31)가 변형되어서 탄성패드(30)와 하판(10) 사이, 또는 탄성패드(30)와 상판(2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 는 문제가 초래되는데, 이처럼 탄성패드(30)와 하판(10) 사이, 또는 탄성패드(30)와 상판(2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면, 이들 간의 접지면적이 감소되어 탄성패드(30)의 위치 이탈이 더욱 크게 유발된다.Figure 1 shows the most common elastomeric bridge support, according to the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에 체결되어 탄성패드(30)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브래킷(40)이 보강 설치되어진 탄성중합체형 교량받침이 제안되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탄성패드(30)가 하판 본체(11)에 설치되어진 브래킷(50)에 의해 위치이탈이 방지되므로, 탄성패드(3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는 초래되지 않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the
그러나,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30)가 하판(10)과 상판(20) 사이에 단순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분리형 탄성받침은, 탄성패드(30)가 하판(10)에 얹혀져 지지되고, 상판(20)이 탄성패드(30)에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즉 하판(10)과 탄성패드(30) 및 상판(20)이 상호 고정되어 있지 못하므로, 전후좌우 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면, 하판(10)과 탄성패드(30) 및 상판(20)이 서로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내진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Howev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etachable elastic support to which the
이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0)과 탄성패드(30) 및 상판(20)이 상호 순차적으로 고정되어진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이 제안되었는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support in which the
도 3에 도시된 종래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은,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기둥 형태를 이루는 탄성중합체(31)와, 탄성중합체(31)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내설되는 다수의 금속 평판(32)으로 이루어진 탄성패드(30)의 하면과 상면에,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이들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3,54)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상면과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패드(30)가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 및 별도의 체결부재(51,52,53,54)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므로, 탄성패드(30)의 위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탄성패드(30)를 구성하는 탄성중합체(31)에 의해서 내진 기능이 발휘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을 이용해서 탄성패드(30)를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체결부재(51,52,53,54)를 이용해서 각 구성요소들을 일일이 체결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동 부하가 크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위협되는 문제가 초래된다.The conventional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bearing shown in FIG. 3 is composed of an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이 제안되었다. 이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은, 다수의 금속 평판(32)이 탄성중합체(31)에 일체 성형되되, 최하부 금속 평판(32a)과 최상부 금속 평판(32b)이 탄성중합체(31) 외부로 노출되고,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철판 접착재를 매개로 최하부 금속 평판(32a)과 최상부 금속 평판(32b)에 각각 접 착되며, 이들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3,54)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상면과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철판 접착재를 매개로 탄성중합체(31) 외부로 노출되어진 최하부 금속 평판(32a)과 최상부 금속 평판(32b)에 각각 접착 고정되므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을 시공할 때, 현장에서의 탄성패드(30) 고정작업이 단순화되는 잇점이 있다{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체결부재(53,54)를 매개로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을 탄성패드(30)의 하면과 상면에 체결 고정할 필요가 없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tegral seismic resilient bearing as shown in FIG. 4 has been proposed. As a result of the integrated seismic resilient bearing, a plurality of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경우,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을 하판 본체(11)의 상면에 맞댄 후, 별도의 체결부재(51)를 매개로 하부 체결판(33)을 하판 본체(11)의 상면에 체결 고정하고, 평판 형태의 상부 체결판(34)을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맞댄 후, 별도의 체결부재(52)를 매개로 상부 체결판(34)을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체결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탄성패드(30)를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에 정위치시켜서 이들 간의 체결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bearing, the
더욱이, 종래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경우에는, 체결부재(51,52)를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 사이로 밀어넣어서 수직방향으로 체결해야 하므로, 사실상 하부 체결판(33)과 하판 본체(11) 간의 체결구멍이 일치되는지를 파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결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크게 위협되는 문제가 초래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bearing, the
또한, 종래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체결부재(51,52)에 전단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grated shockproof elastic bear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shear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성패드를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손쉽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탄성패드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며, 하판과 탄성패드, 또는 탄성패드와 상판 간의 결속력과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pad can be easily positioned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and the elastic pad can be fastened and secured to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one-piece, seismic elastic support that is convenient for construction so that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elastic pad or the elastic pad and the upper plate is impr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판과 ;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기둥 형태를 이루는 탄성중합체와, 탄성중합체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내설되는 다수의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져서, 하판 본체에 얹혀지는 탄성패드 및; 교량에 설치되어, 탄성패드에 얹혀져서 탄발지지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되,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과 상부 체결판이 탄성패드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구비되어, 이들 하부 체결판과 상부 체결판이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판 본체와 상판 본체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체결판 또는 상부 체결판에 굴절부가 구비되어, 굴절부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판 본체의 측면 또는 상판 본체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in the bridge support structure, such as shifts and piers; An elastic pad form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and a plurality of metal plat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elastomer, the elastic pad being mounted on the lower plate body; It is installed on the bridge, it is made of an upper plate mounted on the elastic pad and elastically supported, the lower fastening plate and the upper fastening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ad, respectively, these lower fastening plate and the upper fastening plate is a separate fastening In the integrated seismic elastic support tha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late body and the upper plate body via a member, the lower fastening plate or the upper fastening plate is provided with a refraction portion, the refraction portion of the side or upper plate body of the lower plate body via the fastening member Th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fixed to the sid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to 7 is a view showing the integrated seismic elastic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in Fig. 1 to 4 showing the prior art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구조물(100)에 설치되는 하판(10)과 ;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다각형 기둥 형태를 이루는 탄성중합체(31)와, 탄성중합체(31)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내설되는 다수의 금속 평판(32)으로 이루어져서, 하판 본체(11)에 얹혀지는 탄성패드(30) 및; 교량(200)에 설치되어, 탄성패드(30)에 얹혀져서 탄발지지되는 상판(20)으로 이루어지되,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탄성패드(3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구비되어, 이들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에 굴절부(33a ; 34a)가 구비되어, 굴절부(33a ; 34a)가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측면 또는 상판 본체(21)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5 to 7, the integrated seismic resilient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가 굴절부(33a ; 34a)를 갖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에 안착시키면, 탄성패드(30)가 하 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에 자연스럽게 정위치되면서, 하부 체결판 굴절부(33a)와 하판 본체(11) 측면의 체결구멍, 상부 체결판 굴절부(34a)와 상판 본체(21) 측면의 체결구멍이 자동으로 일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굴절부(33a ; 34a)를 별도의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측면과 상판 본체(21)의 측면에 체결 고정함에 있어서, 체결부재(51,52)의 체결방향이 수평방향이므로, 하부 체결판 굴절부(33a)와 하판 본체(11) 측면의 체결구멍, 상부 체결판 굴절부(34a)와 상판 본체(21) 측면의 체결구멍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우에도 작업자의 신체를 하판 본체(11)와 상판 본체(21) 사이에 넣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고, 체결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fastening and fixing the refracting portion (33a; 34a) to the side of the lower plate
또한, 본 고안의 경우, 상기 하판(10)과 탄성패드(30), 탄성패드(30)와 상판(20) 간의 결속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이 하부 체결판 굴절부(33a)와 상부 체결판 굴절부(34a)의 전체 접촉면으로 분산되므로, 수평방향으로의 지지력이 또한 크게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에 본 고안이 적용되어진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탄성패드(30)의 하면과 상면에,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이들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3,54)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상면과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tegrated seismic resilient bearing shown in FIG. 3. The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에 본 고안이 적용되어진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금속 평판(32)이 탄성중합체(31)에 일체 성형되되, 최하부 금속 평판(32a)과 최상부 금속 평판(32b)이 탄성중합체(31) 외부로 노출되고, 평판 형태의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철판 접착재를 매개로 최하부 금속 평판(32a)과 최상부 금속 평판(32b)에 각각 접착되며, 이들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별도의 체결부재(53,54)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상면과 상판 본체(21)의 저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tegrated seismic resilient bearing shown in FIG. 4, wherein a plurality of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 체결판(33)와 상부 체결판(34)이 탄성중합체(31)와 일체 성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7 illustrates a thir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seismic resilient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상기 탄성패드(30)의 탄성중합체(31)를 가황처리할 때,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을 다수의 금속 평판(32)과 함께 탄성중합체(31)에 내설하면,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다수의 금속 평판(32)과 함께 탄성중합체(31)와 일체 성형된다.When the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체결판(33) 또는 상부 체결판(34)이 탄성중합체(31)와 일체 성형되어진 단순한 구조를 이루므로, 하부 체결판(33) 또는 상부 체결판(34)을 탄성패드(30)에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체결부재(53,54)나 철판 접착재 와 같은 접착물질을 다루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을 손쉽게 설치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바람직하기로는, 도 5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중합체(31)와 접하는 하부 체결판(33)의 접촉면과 상부 체결판(34)의 접촉면을 거칠게 표면 처리하여, 하부 체결판(33)과 탄성중합체(31), 상부 체결판(34)과 탄성중합체(31) 간의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한다.Preferably, as shown in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5, the contact surface of th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일예로,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이 구조적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 체결판(33)과 상부 체결판(34)을 서로 달리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한쪽의 것은 종래 기술과 같이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5 to 11,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30)에 납과 같은 충격흡수재(35)를 충진하여, 일체형 내진탄성받침의 내진기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by filling the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 체결판(33) 또는 상부 체결 판(34)에 굴절부(33a ; 34a)가 구비되어, 굴절부(33a ; 34a)가 체결부재(51,52)를 매개로 하판 본체(11)의 측면 또는 상판 본체(21)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탄성패드를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손쉽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탄성패드를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하판 본체 또는 상판 본체에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며, 하판과 탄성패드, 또는 탄성패드와 상판 간의 결속력과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8369U KR200418599Y1 (en) | 2006-03-29 | 2006-03-29 | Elastomeric bea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8369U KR200418599Y1 (en) | 2006-03-29 | 2006-03-29 | Elastomeric bearing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2327 Division | 2006-03-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8599Y1 true KR200418599Y1 (en) | 2006-06-12 |
Family
ID=4176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8369U KR200418599Y1 (en) | 2006-03-29 | 2006-03-29 | Elastomeric bea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859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340B1 (en) * | 2007-04-10 | 2007-08-17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A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
KR101216177B1 (en) | 2012-06-04 | 2012-12-27 | (주)은성이앤씨 | Elastomeric bearing pa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2006
- 2006-03-29 KR KR2020060008369U patent/KR20041859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340B1 (en) * | 2007-04-10 | 2007-08-17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A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
KR101216177B1 (en) | 2012-06-04 | 2012-12-27 | (주)은성이앤씨 | Elastomeric bearing pa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4474A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effect of vibrations between a structure and its foundation | |
KR100680180B1 (en) | Bridge bearing apparatus | |
JP4549586B2 (en) | Steel bearings and bridge bearing devices | |
KR101699464B1 (en) | A cantilever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vibration proofing shock absorber | |
KR101062220B1 (en) | A rubber bearing damper shoe structure for bridge | |
KR101955574B1 (en) | footbridge | |
KR200418599Y1 (en) | Elastomeric bearing | |
KR101331489B1 (en) |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 isolation | |
JP4274557B2 (en) | Horizontal load elastic support device | |
KR102356049B1 (en)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
KR100939183B1 (en) | Improve elastomeric bearing with high-stiffness in horizontal direction under earthquake | |
JP7312422B2 (en) | bridge displacement limiter | |
KR100731788B1 (en) | Elastic Rubber Bearing as One body, made the most of Magnetic attraction key | |
KR200418598Y1 (en) | Elastomeric bearing | |
KR102167032B1 (en) | Bridge support for easy replacement | |
KR20190102475A (en) | Elastomeric bearing assembled connecting bar and replacement method therewith | |
KR100448486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bridge structures | |
KR200384918Y1 (en) | A form memory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 |
KR100393418B1 (en) | Bridge elasticity supporter with earthquake-resistant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 |
KR20030075361A (en) | Complex bridge bearing for reinforcement and earthquake-resistant | |
KR20070016367A (en) | Bearing of bridge | |
KR200256833Y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bridge structures | |
KR200420477Y1 (en) | Stud Anchor Structure for a Elasticity Support | |
KR200245130Y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bridge structures | |
KR100834847B1 (en) | Bridge bearing apparatus having earthquake-proof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