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49B1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s for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6049B1 KR102356049B1 KR1020190098234A KR20190098234A KR102356049B1 KR 102356049 B1 KR102356049 B1 KR 102356049B1 KR 1020190098234 A KR1020190098234 A KR 1020190098234A KR 20190098234 A KR20190098234 A KR 20190098234A KR 102356049 B1 KR102356049 B1 KR 102356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inger
- plate
- bridge
- fix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핑거플레이트를 고정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고, 교량 상부구조물의 철근에 간섭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교량 상부구조물이나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저하가 없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선단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전단에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후면판이 연장 형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공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의 전방에 복수의 핑거부와 요홈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타측의 핑거부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몸체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핑거부를 관통하여 고정브래킷에 체결되는 제1제어볼트;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후면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의 삽입공 내에 단순 삽입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제2제어볼트; 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ixing bolts fixing the finger plate to the fixing brackets from loosening due to vibra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etc., so as to smoothly accommodate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It relates to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that does not deteriorate the durability of the superstructure or expansion join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djacent to each other, a front plate bent downwardly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rear plate bent upwardly at the rear end is extended to form a pair of fixings fix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bracket;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and groove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an insertion hole having no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rear en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other fing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a pair of finger plates that become;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body of the finger plate to the fixing bracket; a first control bolt that penetrates the finger portion of the finger plate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control bolt screw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ar plate of the fixing bracket and sim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inger plate to suppres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inger plate. is composed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핑거플레이트를 고정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고, 교량 상부구조물의 철근에 간섭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교량 상부구조물이나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저하가 없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ixing bolts fixing the finger plate to the fixing brackets from loosening due to vibra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etc., smoothly accommodates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It is about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s that does not deteriorate the durability of the superstructure or expansion joint device.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크리프나 건조수축에 의한 수축, 차량하중 등의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교량의 변형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로와 교량 상부구조물이 접하는 접도 위치나 교량 상부구조물이 분리되는 위치 등 불연속부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In order to accommodate the deformation of the bridge caused by live load such as new construction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shrinkage due to concrete creep or drying shrinkage, vehicle load, etc.,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road and the bridge superstructure or the An expansion joint device is installed in the discontinuous part such as the separated position.
이에 따라 통행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차량이 교량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impact of passing vehicles is minimized so that the vehicle can safely drive on the bridge.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로는 노면상 안정적인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온도 변화 등에 의한 변형 흡수 능력이 뛰어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등록실용신안 제20-0369564호 등).As such expansion joints, the most used 'finger-type expansion joints', which are excellent in absorbing deform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while ensuring stable driving performance on the road surfac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9564, etc.).
종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불연속부 양측의 교량 상부구조물 단부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고 하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브래킷 사이에 이물질 방지판을 결합하고, 고정브래킷 상부에 핑거플레이트를 고정볼트로 조임 체결하여 고정하였다.In the conventional finger-type expansion joint device, fixing brackets are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discontinuous part and fixed by pouring non-shrinkable mortar at the bottom, and then a foreign material prevention plate is combin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and a finger pla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xing bracket. It was fixed by tightening it with a fixing bolt.
그러나 이러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 등에 의한 진동이나 반복된 편하중의 누적으로 인해 체결이 헐거워지거나 풀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finger-type expansion joint device, the fixing bolt for fixing the finger plate often becomes loose or loosened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load of a vehicle running on the bridge or the accumulation of repeated eccentric loads.
이로 인해 신축이음 부위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온도 변화와 처짐 현상에 의한 변형을 수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가 파손되거나 핑거플레이트의 이탈로 인해 주행 중 차량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As a result, not only cannot accommodate the deformation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and defle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t the expansion joint, but also the expansion joint device may be damaged or an accident may occur to the vehicle while driving due to the disengagement of the finger plate.
한편, 핑거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은 앵커부재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 단부에 고정되는데,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에는 철근이 노출되어 있어 앵커부재가 철근과 간섭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finger plate is fixed to the end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by an anchor member, and since the reinforcing bar is exposed at the end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the anchor member interferes with the reinforcing bar in many cases.
이 경우 신축이음장치 설치를 위해 현장에서 간섭되는 철근이나 앵커부재의 절단이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교량 상부구조물이나 신축이음장치의 강도 및 내구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inevitable to cut interfering reinforcing bars or anchor members in the field to install the expansion joint, and this may cause a decrease in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or expansion joint.
또한, 이러한 절단 작업 및 절단된 부위의 보강 작업이 추가되므로, 공사기간 및 비용이 증가된다.In addition, since this cutting operation and reinforcement operation of the cut portion are added,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are increa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smoothly accommodating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by preventing the fixing bolts from loosening due to vib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철근과 간섭 없이 설치할 수 있어 교량 상부구조물이나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저하가 없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or the durability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or expansion joint devic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선단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단에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후면판이 연장 형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공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의 전방에 복수의 핑거부와 요홈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타측의 핑거부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몸체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핑거부를 관통하여 고정브래킷에 체결되는 제1제어볼트;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후면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의 삽입공 내에 단순 삽입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제2제어볼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relates to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that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a bridge superstructu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a front plate bent downwardly at the front end is formed, and a rear surface bent upwardly at the rear end. a pair of fixing brackets that are formed with an extended plate and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and groove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an insertion hole without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rea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so that the other fing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a pair of finger plates;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body of the finger plate to the fixing bracket; a first control bolt that penetrates the finger portion of the finger plate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control bolt screw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ar plate of the fixing bracket and sim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inger plate to suppres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inger plate. It provides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면에는 앵커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앵커부재는 적어도 2 이상의 링크부재가 연결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chor membe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anchor member is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link members are connected and configured to be bendable. to provid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면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앵커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to a position where the fixing bolt is fastened, and an anchor member having a fastening hole to which the fixing bolt is fasten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A join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는 핑거플레이트의 핑거부를 서로 엇갈리게 한 쌍 배치함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형을 원활하게 흡수하면서도 주행 중 차량의 주행성을 보호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irst,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that can smoothly absorb the deforma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protect the drivability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by arranging a pair of fingers of the finger plat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fix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can provide
둘째, 제1제어볼트와 고정볼트가 핑거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핑거부와 몸체부를 각각 고정브래킷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핑거플레이트의 평면상 진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핑거플레이트의 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교량 상부구조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Second, the first control bolt and the fixing bolt fix the finger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inger plate to the fixing bracket,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planar vibration of the finger plate and prevent lifting of the finger plate, so that the fixing bolt is prevented from loosening due to vib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etc. .
셋째, 고정볼트와 제1제어볼트에 더하여 제2제어볼트가 고정브래킷의 후단에 형성된 후면판을 관통하여 핑거플레이트의 몸체부 후단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3점에서 핑거플레이트의 상대 변위 발생을 억제하여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in addition to the fixing bolt and the first control bolt, the second control bolt penetrates the rear plat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bracket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of the finger plate.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relative displacement, loosening of the fixing bolt can be prevented.
넷째, 고정브래킷의 하면에 2 이상의 링크부재가 연결된 절곡형 앵커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앵커부재를 절곡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에서 노출되는 철근과의 간섭 없이 고정브래킷을 하부의 콘크리트나 무수축 모르타르 등에 정착할 수 있다. Fourth, when a bent anchor member connected to two or more link members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lower concrete or non-shrinkable mortar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ing bars exposed in the bridge superstructure by bending the anchor member. can do.
도 1은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부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핑거플레이트와 고정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핑거플레이트와 고정브래킷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절곡형 앵커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철근 상부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고정볼트와 앵커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삽입공 내에 가압스프링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ger plate and the fixing bracket are coupl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nger plate and a fixing bracke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shrinkage mortar is poured under the expansion joint devic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t anchor member.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xing bolt and an anchor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ssure spring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hole.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부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핑거플레이트와 고정브래킷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핑거플레이트와 고정브래킷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무수축 모르타르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ridge superstructur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ger plate and the fixing bracket are coup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nger plate and the fixing bracket, and FIG. 5 is a non-shrinkable mortar placed under the expansion joi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state.
도 1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1)의 선단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전단에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22)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후면판(21)이 연장 형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 상기 고정브래킷(2)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공(34)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31)의 전방에 복수의 핑거부(32)와 요홈부(33)가 교대로 형성되어 타측의 핑거부(32)가 상기 요홈부(3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3);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 및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핑거부(32)를 관통하여 고정브래킷(2)에 체결되는 제1제어볼트(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S. 1 to 5 , the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물(1)의 진동 등으로 인해 핑거플레이트(3)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 신축에 의한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고, 교량 상부구조물(1)의 철근(11)과의 간섭 없이 설치할 수 있어 교량 상부구조물(1)이나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저하가 없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본 발명은 신축 교량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oth to the case of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on an expansion bridge or replacing an existing expansion joint device.
본 발명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는 고정브래킷(2), 핑거플레이트(3), 고정볼트(4) 및 제1제어볼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racket (2), a finger plate (3), a fixing bolt (4) and a first control bolt (5).
상기 고정브래킷(2)은 교량 상부구조물(1)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나중에 핑거플레이트(3)가 고정되는 부분이다.The fixing bracket (2) is to be fixed to the end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1), the finger plate (3) is fixed later.
상기 고정브래킷(2)은 한 쌍이 상호 인접하는 교량 상부구조물(1)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A pair of the
상기 고정브래킷(2)의 전단에는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전면판(22) 사이에는 누수 및 이물질 낙하 방지 등을 위한 신축부재(9)가 구비될 수 있다. A
기존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고정브래킷(2)과 교량 상부구조물(1) 사이에 무수축 모르타르(12)를 현장 타설한다.In the case of replacing the existing expansion joint device, the non-shrinkage mortar (12) is poured on-site between the fixing bracket (2) and the bridge superstructure (1).
상기 핑거플레이트(3)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 쌍 구비된다.A pair of the
상기 핑거플레이트(3)는 고정브래킷(2)의 상면에 고정되는 몸체부(31)와 몸체부(31)의 전방에 교대로 형성되는 복수의 핑거부(32)와 요홈부(33)로 구성된다.The
일측 핑거플레이트(3)의 요홈부(33)에는 타측 핑거플레이트(3)의 핑거부(32)가 삽입되도록 설치된다.The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3)는 핑거부(32)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불연속부에서 교량 상부구조물(1)의 변형을 원활하게 흡수하면서도 주행 중 차량의 주행성을 보호한다.The pair of
상기 고정볼트(4)는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한다.The fixing bolt (4) fixes the body portion (31) of the finger plate (3) to the fixing bracket (2).
즉, 상기 핑거플레이트(3)는 고정볼트(4)에 의해 고정브래킷(2)에 고정된다.That is, the finger plate (3)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2) by the fixing bolt (4).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4)는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를 관통하여 하부의 고정브래킷(2)에 체결된다.To this end, the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에는 고정볼트(4)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고정볼트(4)의 볼트헤드가 핑거플레이트(3)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311)은 상단을 확공하여 고정볼트(4)의 볼트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through
상기 제1제어볼트(5)는 핑거플레이트(3)의 핑거부(32)를 관통하여 고정브래킷(2)에 체결된다. The
상기 제1제어볼트(5)는 고정볼트(4)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체결되므로, 핑거플레이트(3)의 평면상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제어볼트(5)는 핑거플레이트(3)의 전방 측에 위치한 핑거부(32)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하므로, 핑거플레이트(3)의 들림을 방지한다.Since the
이에 따라 고정볼트(4)에 작용하는 진동이나 편심 하중을 최소화하여 고정볼트(4)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osening of the fixing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핑거부(32)에는 제1제어볼트(5)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관통공(321)의 상단 역시 확공되어 제1제어볼트(5)의 볼트헤드가 수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의 후면판(21)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나사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3)의 삽입공(34) 내에 단순 삽입됨으로써 핑거플레이트(3)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제2제어볼트(6)가 구비될 수 있다. 3, 4, etc., by being screwed into the through
상기 고정볼트(4)와 제1제어볼트(5)가 관통되는 관통공(311, 312)들은 관통되는 각 볼트(4, 5)와의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수평 방향 진동 발생시 핑거플레이트(3)가 고정브래킷(2)과 상대 변위를 일으키면서 고정볼트(4)가 풀릴 우려가 있다.A predetermined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through
또한, 상기 제1제어볼트(5)에 의해 핑거플레이트(3)의 전방이 고정된다 하더라도 핑거부(32)에 하중이 작용하여 핑거플레이트(3) 후방에 반복적으로 들림이 발생하면 고정볼트(4)의 풀림 현상이 적게나마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ront of the
따라서 무수축 모르타르(12) 타설시 마구리 거푸집 역할을 하도록 고정브래킷(2)의 후단에 형성된 후면판(21)을 활용하여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 후단을 고정브래킷(2)의 후단에 제2제어볼트(6)로 고정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제2제어볼트(6)는 횡방향, 즉 교량의 폭 방향으로 핑거플레이트(3)의 상대 변위 발생을 억제하여 고정볼트(4)의 풀림을 방지한다. The
아울러 제1제어볼트(5)와 제2제어볼트(6)에 의해 핑거플레이트(3)의 전단과 후단이 동시에 고정되므로, 수직 방향으로도 상대 변위 발생을 억제하여 고정볼트(4)의 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즉, 3점에서 핑거플레이트(3)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하되, 제1제어볼트(5)와 제2제어볼트(6)의 체결 방향을 서로 직교가 되게 구성함으로써 전 방향으로 상대 변위 발생을 억제하여 고정볼트(4)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후면판(21)의 외측에는 무수축 모르타르(12)가 현장 타설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제2제어볼트(6)는 무수축 모르타르(12) 타설 전 미리 설치할 수 있으며, 무수축 모르타르(12) 경화 후에 핑거플레이트(3)를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제2제어볼트(6)는 회전하여 체결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제2제어볼트(6)가 삽입되는 삽입공(34)의 내주면은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제2제어볼트(6)가 삽입공(34) 내에 단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to rotate and fasten the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2)의 타설 또는 핑거플레이트(3)의 설치 중 제2제어볼트(6)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제어볼트(6)는 후면판(21)의 관통공(21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The
도 6은 절곡형 앵커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철근 상부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t anchor member, and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joint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도 6,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의 하면에는 앵커부재(23)가 구비되되, 상기 앵커부재(23)는 적어도 2 이상의 링크부재(23a, 23b, 23c)가 연결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6 and 7, an
상기 고정브래킷(2)은 하면에 구비되는 앵커부재(23)에 의해 하부의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12)에 정착할 수 있다.The fixing
이 경우 교량 상부구조물(1)에서 노출되는 철근(11)에 상기 앵커부재(23)가 간섭되지 않도록 앵커부재(23)를 절곡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즉, 상기 앵커부재(23)는 복수의 링크부재(23a, 23b, 23c)를 핀으로 힌지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절곡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6은 이러한 절곡형 앵커부재(23)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의 (a)와 (b)는 각각 절곡형 앵커부재(23)가 직선 상태인 경우와 절곡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FIG. 6 is a view showing such a
상기 앵커부재(23)는 주로 인장력을 지지하기 때문에, 앵커부재(23)가 절곡되어도 고정브래킷(2)을 고정하는데에 전혀 지장이 없다.Since the
상기 앵커부재(23)는 고정브래킷(2)의 하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아울러 상기 고정브래킷(2)을 2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 하부의 전방 측에는 보조앵커부재(2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상기 보조앵커부재(24)는 고정브래킷(2)의 전방 측에 가깝게 구비되므로 철근(11)의 간섭이 없어 절곡형인 아닌 직선형의 일반적인 앵커부재를 사용 가능하다. Since the
도 8은 고정볼트와 앵커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xing bolt and an anchor member.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의 하면에는 고정볼트(4)가 체결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4)가 체결되는 체결공(231)이 형성된 앵커부재(23)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6 and 8,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상기 핑거플레이트(3)에 작용하는 하중은 고정볼트(4)에 의해 하부에 고정되므로, 고정볼트(4)가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Since the load acting on the
그러나 고정브래킷(2)은 강판을 절곡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앵커부재(23)를 충분히 정착하기에는 두께가 부족하다.However, since the fixing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2)을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12) 내부에 정착시키는 앵커부재(23)를 고정볼트(4)의 위치에 위치시켜 고정볼트(4)가 앵커부재(23)에 직접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이를 위해 상기 앵커부재(23)의 상단에는 고정볼트(4)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231)을 소정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xing
상기 앵커부재(23)가 복수의 링크부재(23a, 23b, 23c)로 구성되는 절곡형 앵커부재(23)인 경우에는 최상단의 링크부재(23a)에 고정볼트(4) 체결을 위한 체결공(231)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도 9는 삽입공 내에 가압스프링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ssure spring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hole.
차량 통행 등에 의해 진동 발생 시 핑거플레이트(3)와 후면판(21)이 만나는 부분에서 반복적으로 충격이 발생하거나, 제2제어볼트(6)가 핑거플레이트(3)의 삽입공(34) 내부에서 진동하면서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34) 내부에 제2제어볼트(6)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61)을 설치하여 이 부분에서 소음을 억제하고 마찰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vibration occurs due to vehicle traffic, an impact is repeatedly generated at the point where the
1: 상부구조물 11: 철근
12: 무수축 모르타르 2: 고정브래킷
21: 후면판 211: 관통공
22: 전면판 23: 앵커부재
23a, 23b, 23c: 링크부재 231: 체결공
24: 보조앵커부재 3: 핑거플레이트
31: 몸체부 311: 관통공
32: 핑거부 321: 관통공
33: 요홈부 34: 삽입공
4: 고정볼트 5: 제1제어볼트
6: 제2제어볼트 61: 가압스프링
9: 신축부재1: Superstructure 11: Rebar
12: non-shrink mortar 2: fixing bracket
21: rear plate 211: through hole
22: front plate 23: anchor member
23a, 23b, 23c: link member 231: fastening hole
24: auxiliary anchor member 3: finger plate
31: body 311: through hole
32: finger portion 321: through hole
33: groove 34: insertion hole
4: fixing bolt 5: first control bolt
6: second control bolt 61: pressure spring
9: Stretch member
Claims (4)
전단에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22)이 형성되고, 후단에 상부로 절곡 형성된 후면판(21)이 연장 형성되어 교량 상부구조물(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
상기 고정브래킷(2)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삽입공(34)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31)의 전방에 복수의 핑거부(32)와 요홈부(33)가 교대로 형성되어 타측의 핑거부(32)가 상기 요홈부(3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3);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몸체부(31)를 고정브래킷(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
상기 핑거플레이트(3)의 핑거부(32)를 관통하여 고정브래킷(2)에 체결되는 제1제어볼트(5); 및
상기 고정브래킷(2)의 후면판(21)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나사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3)의 삽입공(34) 내에 단순 삽입됨으로써 핑거플레이트(3)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제2제어볼트(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It relates to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that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1)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fixing brackets (2) having a front plate bent downwardly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rear plate bent upwardly formed at the rear end extended to be fix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1);
A plurality of fingers 32 and a recessed portion ( 33) a pair of finger plates (3) which are alternately formed so that the other finger part (3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part (33);
a fixing bolt (4) for fixing the body portion (31) of the finger plate (3) to the fixing bracket (2);
a first control bolt 5 passing through the finger portion 32 of the finger plate 3 and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2; and
It is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211 formed in the rear plate 21 of the fixing bracket 2 and is simp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nger plate 3 to suppres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inger plate 3 second control bolt (6);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preventing loosening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상기 고정브래킷(2)의 하면에는 앵커부재(23)가 구비되되, 상기 앵커부재(23)는 적어도 2 이상의 링크부재(23a, 23b, 23c)가 연결되어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In claim 1,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member 2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2), and the anchor member 23 is configured to be bendable by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link members (23a, 23b, 23c).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상기 고정브래킷(2)의 하면에는 고정볼트(4)가 체결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4)가 체결되는 체결공(231)이 형성된 앵커부재(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In claim 1,
An anchor member 23 having a fastening hole 231 to which the fixing bolt 4 is fastene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2 to be coupled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bolt 4 is fastened. An anti-loosening expansion joint for bridg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8234A KR102356049B1 (en) | 2019-08-12 | 2019-08-12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8234A KR102356049B1 (en) | 2019-08-12 | 2019-08-12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264A KR20210019264A (en) | 2021-02-22 |
KR102356049B1 true KR102356049B1 (en) | 2022-01-26 |
Family
ID=7468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8234A KR102356049B1 (en) | 2019-08-12 | 2019-08-12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60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517B1 (en) * | 2021-10-15 | 2022-05-24 | 주식회사 삼우산업 |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
CN115198577A (en) * | 2022-06-01 | 2022-10-18 |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 Straddle type monorail finger-shaped plat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562B1 (en) * | 2014-03-27 | 2014-12-11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Supporting apparatus with link type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880084B1 (en) * | 2017-11-11 | 2018-07-19 | (주)유안개발 |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2778B1 (en) * | 2001-06-28 | 2003-12-31 | (주)엠피기술산업 | Expansion joint for connecting slabs of a bridge structure |
KR101607531B1 (en) * | 2013-12-04 | 2016-04-05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Bridge expansion joint with shear type bolt |
KR101811824B1 (en) * | 2017-09-28 | 2017-12-22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Expansion joint for bridge having leakage protection sturcture |
-
2019
- 2019-08-12 KR KR1020190098234A patent/KR1023560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562B1 (en) * | 2014-03-27 | 2014-12-11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Supporting apparatus with link type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880084B1 (en) * | 2017-11-11 | 2018-07-19 | (주)유안개발 |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9264A (en) | 2021-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4329B1 (en) | Structure of bracket | |
KR102356049B1 (en) | Expansion joints for bridge | |
JP5787965B2 (en) | Fittings for bridge decks | |
KR101720211B1 (en) | A lateral load supporting flexible joint for bridge | |
KR102256356B1 (en) | Deck assembly | |
KR102253508B1 (en) | Expansion joint apparatus | |
KR100888210B1 (en) |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bridge support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07996B1 (en) | Block Out lowering depth can type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 |
KR20120015847A (en) | Exposed plinth and plinth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1607531B1 (en) | Bridge expansion joint with shear type bolt | |
JP7312422B2 (en) | bridge displacement limiter | |
JP5111194B2 (en) | Telescopic device for bridge and telescopic structure for bridge | |
KR20040084030A (en) | Rubber bearing having the pin | |
JP4680877B2 (en) | Horizontal bearing device | |
KR102167032B1 (en) | Bridge support for easy replacement | |
KR100942989B1 (en) | Elastic gum support of a bridge | |
JP3164031U (en) | Fixing structure of telescopic device | |
JP2019199731A (en) | Cutoff device for road bridge elongation/contraction device | |
JP6269928B2 (en) | Abutment reinforcement structure | |
JP4480664B2 (en) | Fall bridge prevention device by elastic connecting member | |
KR200418599Y1 (en) | Integral seismic resilient bearing for easy construction | |
JP7192246B2 (en) | Water stoppage device for road bridg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 |
KR200272166Y1 (en) | A connection equipment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 bridge | |
KR102771748B1 (en) | Segmental expansion joint with reinforced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30075361A (en) | Complex bridge bearing for reinforcement and earthquake-resist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