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341Y1 -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341Y1
KR200418341Y1 KR2020060008331U KR20060008331U KR200418341Y1 KR 200418341 Y1 KR200418341 Y1 KR 200418341Y1 KR 2020060008331 U KR2020060008331 U KR 2020060008331U KR 20060008331 U KR20060008331 U KR 20060008331U KR 200418341 Y1 KR200418341 Y1 KR 200418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tructure
flow rate
prevent
presen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8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3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하여 설치한 측구구조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측구구조물의 쇄굴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고,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여 농경지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유속저감장치에 관한 고안으로서, 측구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측구구조물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고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사이에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회동하며, 다수의 회전익이 형성된 유속저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측구구조물이 경사져 유속의 흐름이 빨라짐에도 불구하고, 유속저감장치에 의해 유속이 저감되면서 측구구조물의 쇄굴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며, 측구구조물 주변의 농경지 및 도로와 인접한 시설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측구구조물, 쇄굴, 유속저감장치, 지지구, 회전축

Description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a flow speed reduc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길이방향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횡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종방향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측구구조물 20 : 유속저감장치
21 : 지지구 22 : 회전축
23 : 회전저감부 24 : 회전익
본 고안은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하여 설치한 측구구조물의 유속을 저감시켜 측구구조물의 쇄굴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고,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여 농경지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유속저감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U형 또는 V형 측구 등의 측구구조물이 설치되어 비탈면은 물론,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물을 신속히 배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구구조물은 도로의 형태에 따라 종단경사가 급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측구구조물에 흐르는 유속이 빨라지면서 쇄굴이 발생함으로써, 측구구조물을 파손시키고 유수가 범람되어 농경지 및 도로 주변의 시설에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고안으로서, 측구구조물의 유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측구구조물의 쇄굴방지 및 주변의 시설물을 보호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측구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측구구조물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고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사이에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회동하며, 다수의 회전익이 형성된 유속저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길이방향 일부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횡 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속저감장치가 설치된 측구구조물의 종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유속저감장치(20)는 측구구조물(10)에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되는 바, 상기 유속저감장치(20)는 지지구(21)와 회전축(22), 그리고 유속저감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21)는 측구구조물(10)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볼트 등에 의해 견고히 고착되어 위치한다.
상기 회전축(22)은 지지구(21)의 사이에 베어링 결합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회전축(22)에는 측구구조물(10)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소정 직경의 유속저감부(23)가 일체로 결합되며, 유속저감부(23)의 외주연에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태의 회전익(24)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측구구조물(10)의 바닥 또는 새로 구축하는 측구구조물(10)의 바닥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지구(21)를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고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1)의 사이에는 유속저감부(23)가 구비된 회전축(22)을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축설한다.
상기와 같이 유속저감장치(20)가 설치된 측구구조물(10)에 유수가 흐르게 되면, 유수의 힘에 의해 유속저감부(23)의 회전익(24)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속저감부(23)는 지지구(21)에 축설된 상태로 자유 회전하며, 회전익(24)의 회전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면서 유속을 저감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측구구조물이 경사져 유속의 흐름이 빨라짐에도 불구하고, 유속저감장치에 의해 유속이 저감되면서 측구구조물의 쇄굴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며, 측구구조물 주변의 농경지 및 도로와 인접한 시설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측구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측구구조물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고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사이에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회동하며, 다수의 회전익이 형성된 유속저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KR2020060008331U 2006-03-29 2006-03-29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KR200418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31U KR200418341Y1 (ko) 2006-03-29 2006-03-29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31U KR200418341Y1 (ko) 2006-03-29 2006-03-29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341Y1 true KR200418341Y1 (ko) 2006-06-13

Family

ID=4176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31U KR200418341Y1 (ko) 2006-03-29 2006-03-29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756B1 (ko) 2007-05-16 2007-08-2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756B1 (ko) 2007-05-16 2007-08-2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26804B8 (en) Rotor for wind turbine
KR20090027798A (ko)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0948283B1 (ko) 배수 촉진 장치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12431295B (zh) 一种螺旋式市政排水用防堵窨井盖
KR200418341Y1 (ko) 도로 측구구조물의 유속저감장치
KR101194712B1 (ko)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04746808B (zh) 屋顶地漏盖板
KR102026980B1 (ko) 풍력터빈발전기 바람 모음 장치
KR101242787B1 (ko) 에너지 토출을 극대화한 유수력 발전장치
KR100583368B1 (ko) 교각기초 세굴방지대
KR100591195B1 (ko) 교량 우물통 기초의 세굴방지대
KR20160147537A (ko) 지하수 유량을 증가시키는 u형 측구
JP5890707B2 (ja) 波力発電装置
KR20030034658A (ko) 수차 회전 증가장치
KR100751756B1 (ko) 공동주택의 경사지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하수속도저감장치
JP4791206B2 (ja) 水域の柱状構造物
KR101123128B1 (ko) 교량 배수관의 회전분사 배수장치
KR101325687B1 (ko) 빗물 유입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JPH01208574A (ja) 風車及び灌漑用ポンプ
JP4628969B2 (ja) 水車式駆動装置
CN210766900U (zh) 一种具有抗震消音功能的园林井盖
JP2009127427A (ja) 発電用水車および発電装置
KR100935244B1 (ko) 풍력발전기용 임펠러
RU216928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по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