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712B1 -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712B1 KR101194712B1 KR1020100040936A KR20100040936A KR101194712B1 KR 101194712 B1 KR101194712 B1 KR 101194712B1 KR 1020100040936 A KR1020100040936 A KR 1020100040936A KR 20100040936 A KR20100040936 A KR 20100040936A KR 101194712 B1 KR101194712 B1 KR 101194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tank
- water
- vortex
- rotational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2—Casings
- F03B11/025—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4—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경사면은 물론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의 지형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코리올리 효과(coriolis effect)를 통해 와류의 회전을 가속하여 그 회전력을 통해 발전하며, 이에 따라 기존의 소수력 발전과 달리 낙차에 크게 구애되지 않아 설치 장소의 확보가 비교적 자유로운 동시에 비교적 근거리의 범위 내에 다수 설치하여 비교적 큰 발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기 위해 일측에 편중된 상태로 연결되는 물 유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 수조와, 고정 수조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름 동작하는 회전용 롤러와, 회전용 롤러에 바닥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고정 수조의 제1 배수구와 대응되는 제2 배수구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날개지지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 수조와, 일단이 제1, 제2 배수구에 삽입되어 고정 수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이 고정되는 내측 직선 날개부와, 내측 직선 날개부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는 외측 곡선 날개부를 포함하여 흐르는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제 1 날개 및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며, 고정 수조의 물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제 1 날개에 전달하는 제 2 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경사면은 물론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의 지형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코리올리 효과(coriolis effect)를 통해 와류의 회전을 가속하여 그 회전력을 통해 발전하며, 이에 따라 기존의 소수력 발전과 달리 낙차에 크게 구애되지 않아 설치 장소의 확보가 비교적 자유로운 동시에 비교적 근거리의 범위 내에 다수 설치하여 비교적 큰 발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수력발전은 산간벽지의 작은 하천이나 폭포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일으키는 발전시설로 그 시설용량이 10,000kw 이하의 수력발전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을 예로 들면, 소수력발전은 82년 이후 정부의 지원으로 여러 지역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2006년을 기준으로 연간전력생산량이 약 1kwh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소수력발전은 전력의 생산 외에도 농업용 저수지, 농업용 보, 하수처리장, 정수장 및 다목적 댐의 용수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의 개발 잠재량은 풍부하며, 또한 청정 자원으로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수력발전은 설비용량, 낙차, 발전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발전 방식에 따라 수로식, 댐식, 터널식으로 분류된다. 수로식은 하천을 따라 완만한 경사의 수로를 결정하고, 하천의 급경사 또는 굴곡이 있는 지형을 이용하여 수로에 의한 낙차를 얻는 방식이며, 이에 따라 하천의 경사가 큰 상류나 중류에 적합한 방식이다. 댐식은 댐에 의해서 낙차를 얻는 형식으로서, 발전 설비는 댐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하천의 경사가 작고 유량이 풍부한 중하류에 설치하면 유리한 방식이다. 터널식은 댐식과 수로식이 혼합된 방식으로 지형상 지하터널로 수로를 만들어 큰 낙차를 얻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로식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건설되는 대부분의 소수력발전 시설은 건설 비용의 부담 등을 이유로 터널식보다는 기존의 농사용 댐을 사용할 수 있는 댐식을 주로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즉, 댐식은 농업용 저수지, 농업용 보를 건설하여 이용하게 되므로, 물을 저수할 수 있어 가뭄이나 집중 호우시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수력발전은 물의 낙차를 이용하는 발전 방식이므로, 발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는 소정의 낙차가 있는 지형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발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의 소수력발전은 상기와 같이 설치 장소에 제약이 따르는 관계로 비교적 근거리의 범위 내에 복수의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다량의 전기를 확보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소수력발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10,000kw 내외의 전기를 발생시키는 정도여서 발전용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경사면은 물론이고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의 지형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켜 그 회전력을 통해 발전을 하며, 이에 따라 설치 장소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비교적 근거리의 범위 내에 다수 설치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와류의 회전력에 물의 하중을 더해 더 큰 회전력을 발생시켜 비교적 대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발전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비교적 대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기 위해 일측에 편중된 상태로 연결되는 물 유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 수조와, 고정 수조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름 동작하는 회전용 롤러와, 회전용 롤러에 바닥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고정 수조의 제1 배수구와 대응되는 제2 배수구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날개지지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 수조와, 일단이 제1, 제2 배수구에 삽입되어 고정 수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이 고정되는 내측 직선 날개부와, 내측 직선 날개부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는 외측 곡선 날개부를 포함하여 흐르는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제 1 날개 및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며, 고정 수조의 물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제 1 날개에 전달하는 제 2 날개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 수조는 물 유입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 수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 수조는 물 유입부에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고정 수조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 수조의 내측을 외부와 차단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수조의 외측면 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고정 수조의 제1 배수구와 연결되는 제3 배수구와,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수조의 외측면 간 틈새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보조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경사면은 물론이고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의 지형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켜 그 회전력을 통해 발전을 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전장치를 설치 장소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비교적 근거리의 범위 내에 다수 설치하여 발전을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와류의 회전력에 물의 하중을 더해 더 큰 회전력을 발생시켜 비교적 대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길이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발전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비교적 대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경사진 지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경사진 지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이하, 발전장치라 약칭 함)는 고정 수조(100), 회전축(200), 제 1 날개(300), 제 2 날개(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는 회전 수조(500), 물막이 부재(600), 유량 조절수단(160), 차단망(700), 덮개(8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수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저수 공간을 구비하고, 저수 공간의 상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물 유입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물 유입부(110)는 저수 공간에 저수되는 물이 와류 현상을 잘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각도로 고정 수조(100)의 상부에 연결되며, 또한 물 유입부(110)의 폭이나 깊이도 저수 공간에 저수되는 물이 와류 현상을 잘 일으키게 하는 조건을 충족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수조(100)는 하부 중앙에 배수구(120)가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 수조(100)의 하부에 배수부(130)가 형성되고, 배수부(130)에 구비되는 배수로(140)가 고정 수조(100)의 배수구(120)와 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30)에 상기 배수로(140)를 개폐하도록 수문(미도시)이 설치되고, 이러한 수문이 상기 배수로(140)를 폐쇄하여 상기 고정 수조(100)의 내부에 물을 가두게 되는 구성일 수 있다.
회전축(200)은 일단이 고정 수조(100)의 배수구(120)에 삽입되는 상태로 고정 수조(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도 1을 기준으로, 회전축(200)의 하단은 고정 수조(100)의 배수구(120) 및 배수부(130)의 배수구(130a)를 차례로 통과하여 배수로(14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옹벽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200)의 상단은 저수 공간의 상부를 통해 고정 수조(100)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0)이 배수로(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옹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200)은 배수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 등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0)의 하단이 배수로(140) 바닥면의 옹벽에 베어링(21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200)은 그 밖의 다른 구성을 통해 배수로(140) 바닥면의 옹벽이나 고정 수조(100)의 배수부(130) 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날개(300)는 내측 직선 날개부(310)와 외측 곡선 날개부(320)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수조(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저수공간을 기준으로, 내측 직선 날개부(310)는 그 일단이 회전축(200)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동시에 그 타단에 외측 곡선 날개부(320)의 일단이 연결되며, 여기서 내측 직선 날개부(310)의 타단은 고정 수조(200)의 배수구(120) 내면까지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외측 곡선 날개부(320)는 내측 직선 날개부(310)의 타단으로부터 고정 수조(100)의 저수공간에서 형성되는 와류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 2 날개(400)는 회전축(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날개(3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외측 곡선 날개부(320)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된다. 즉, 제 2 날개(400)는 고정 수조(100)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 2 날개(400)는 고정 수조(100) 하부의 와류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그 회전력을 제 1 날개(300)의 외측 곡선 날개부(420)에 전달한다.
회전 수조(500)는 제 1 날개(300)와 제 2 날개(400)가 내측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회전 수조(500)는 제 1 날개(300)와 제 2 날개(400)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회전 수조(500)는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것이므로,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 속도가 더 가속되고, 이러한 회전 수조(500)의 가속력이 제 1 날개(300) 및 제 2 날개(400)에 전달되므로, 제 1 날개(300)와 제 2 날개(400) 및 회전 수조(500)의 회전 속도는 고정 수조(100) 내부의 와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시 계속 가속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수조(500)의 내측에 날개 지지틀(510)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 지지틀(510)은 원통형 구조로써 회전 수조(50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날개 지지틀(510)의 내측면에 외측 곡선 날개부(320)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날개 지지틀(510)의 외측면과 회전 수조(500)의 내측면에 제 2 날개(40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 2 날개(400)는 날개 지지틀(510)을 매개로 제 1 날개(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 수조(500)는 그 외측 바닥면이 고정 수조(100)의 내측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 수조(500)의 외측 바닥면에 회전용 롤러(53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용 롤러(530)는 회전 수조(500)의 하부가 고정 수조(10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름 동작을 한다. 여기서, 회전용 롤러(530)는 구름 동작하는 통상의 구성이면 된다. 다시 말해, 회전용 롤러(530)는 회전 수조(500)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 및 이러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상세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 수조(500)는 그 외측면이 고정 수조(100)의 내측면과 소정의 틈새를 형성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는 회전 수조(500)의 외측면과 고정 수조(100)의 내측면 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회전 수조(500)의 회전력이 물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회전 수조(500)의 상부에는 회전 수조(500)의 외측면과 고정 수조(100)의 내측면 간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 부재(6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물막이 부재(600)는 통상의 구성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고정 수조(100)의 하부에는 회전 수조(500)의 외측면과 고정 수조(100)의 내측면 사이에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보조배수구(150)가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배수구(150)는 고정 수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120)의 배수로(140)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고정 수조(100)는 물 유입부(110)의 내측에 물의 유입되는 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수단(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조절 수단(16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유량 조절 수단(160)은 물 유입부(110)의 내측면에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물 유입부(110)를 종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물 유입부(110)의 단면 넓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고정 수조(100)에 대한 물의 유입되는 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량 조절 수단(160)은 통상의 기술에 대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고정 수조(100)의 물 유입부(110)에는 이물질의 차단을 위한 차단망(7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망(700)은 물 유입부(110)를 통해 고정 수조(100)의 내측에 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이 제 1 날개(300)의 회전축(200)과 연결되는 부분 또는 회전 수조(500)의 배수구(520) 등에 끼이면서 제 1 날개(300)와 제 2 날개(400) 그리고 회전 수조(500)의 회전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수조(100)의 상부에 덮개(8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800)는 고정 수조(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날개(300)와 제 2 날개(400) 및 회전 수조(500) 등을 외부로부터 가려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덮개(800)는 바람 등에 날리면서 고정 수조(100)의 내부로 삽입되려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더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는 계곡, 능선 등 비탈면에 설치되어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발전 장치는 물 유입부(110)를 통해서 고정 수조(100)에 유입되는 물의 와류 현상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 방식이므로, 설치되는 비탈면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도 회전력을 얻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게 된다. 다시 말해, 발전장치는 기존의 소수력 발전장치처럼 물의 낙차 크기에 크게 구애받는 형태가 아니므로, 설치 장소의 확보에 필요한 제약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발전장치는 고정 수조(100)의 배수구(120) 또는 회전 수조(500)의 배수구(520)(이하의 설명에서 고정 수조의 배수구로 기재)로 인해 고정 수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와류의 가속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고정 수조(100)의 배수구(120) 주변에 위치한 제 1 날개(300)의 내측 직선 날개부(310)가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가속되는 와류로 인해 그 회전 속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제 1 날개(300)와 연결된 회전축(200)의 회전 속도가 가속된다. 이에 더하여, 고정 수조(100) 하부의 외곽 측에 설치되는 제 2 날개(400)가 고정 수조(100) 하부의 외곽에서 회전하는 와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을 제 1 날개(3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 1 날개(100)는 그 회전력이 가속될 수 있고, 그 결과 제 1 날개(100)가 고정된 회전축(200)의 회전력이 더 커진다.
또한, 회전 수조(500)가 내측에 고정된 제 1 날개(300) 및 제 2 날개(400)의 회전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때 회전 수조(500)는 내측에 수용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가속 현상을 발생하며, 이렇게 가속되는 회전 수조(500)의 회전력이 제 1 날개(300) 및 제 2 날개(400)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제 1 날개(300)와 고정된 회전축(200)의 회전력이 매우 커질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가 경사면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발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의 낙차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완만한 경사면 또는 급격한 경사면을 따라 복수 개 설치하고, 최상단의 발전장치를 통과한 물이 하부에 위치하는 발전장치로 순차적으로 유입되면서 매 발전장치마다 발전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경사면이 긴 지형에서는 발전장치를 비교적 다수 설치하여 매우 큰 발전용량을 얻을 수 있고, 비교적 경사면이 짧은 지형에서도 기존의 소수력발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큰 발전용량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고정 수조 110 : 물 유입부
120 : 배수구 130 : 배수부
130a : 배수구 130b : 보조배수구
140 : 배수로 150 : 보조배수구
160 : 유량 조절 수단 200 : 회전축
210 : 베어링 300 : 제 1 날개
310 : 내측 직선 날개부 320: 외측 곡선 날개부
400 : 제 2 날개 500 : 회전 수조
510 : 날개 지지틀 520 : 배수구
530 : 회전용 롤러 600 : 물막이 부재
700 : 차단망 800 : 덮개
120 : 배수구 130 : 배수부
130a : 배수구 130b : 보조배수구
140 : 배수로 150 : 보조배수구
160 : 유량 조절 수단 200 : 회전축
210 : 베어링 300 : 제 1 날개
310 : 내측 직선 날개부 320: 외측 곡선 날개부
400 : 제 2 날개 500 : 회전 수조
510 : 날개 지지틀 520 : 배수구
530 : 회전용 롤러 600 : 물막이 부재
700 : 차단망 800 : 덮개
Claims (8)
- 흐르는 물을 와류로 변환시키기 위해 일측에 편중된 상태로 연결되는 물 유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 수조;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름 동작하는 회전용 롤러;
상기 회전용 롤러에 바닥면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상기 고정 수조의 제1 배수구와 대응되는 제2 배수구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날개지지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 수조;
일단이 상기 제1, 제2 배수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이 고정되는 내측 직선 날개부와, 상기 내측 직선 날개부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는 외측 곡선 날개부를 포함하여 흐르는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제 1 날개; 및
상기 회전 수조의 날개지지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수조의 물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한 와류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날개에 전달하는 제 2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조가,
상기 물 유입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 수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조가,
상기 물 유입부에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상기 고정 수조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을 외부와 차단하는 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수조의 외측면 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상기 고정 수조의 제1 배수구와 연결되는 제3 배수구와, 상기 고정 수조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수조의 외측면 간 틈새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보조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936A KR101194712B1 (ko) | 2010-04-30 | 2010-04-30 |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936A KR101194712B1 (ko) | 2010-04-30 | 2010-04-30 |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368A KR20110121368A (ko) | 2011-11-07 |
KR101194712B1 true KR101194712B1 (ko) | 2012-10-25 |
Family
ID=4539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0936A KR101194712B1 (ko) | 2010-04-30 | 2010-04-30 |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47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850B1 (ko) | 2018-07-19 | 2019-03-20 | 김현준 | 모듈화된 소수력 발전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880B1 (ko) * | 2013-01-08 | 2014-01-08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향력에 대한 태풍 모의실험 장치 |
KR101423535B1 (ko) * | 2013-04-18 | 2014-08-01 | 이상하 | 저낙차를 이용한 수평식 수력발전장치 |
TWI624589B (zh) * | 2016-07-21 | 2018-05-21 | Lai Rong Yi | Low head large flow channel turbine |
CN112081706A (zh) * | 2020-09-17 | 2020-12-15 | 郑丹丹 | 一种城市河流用水流发电装置 |
KR102373476B1 (ko) * | 2020-11-05 | 2022-03-11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 보텍스를 이용한 마이크로 수력 발전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56975A (en) | 1979-10-16 | 1981-05-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Spiral casing for water turbine |
KR101001056B1 (ko) | 2010-02-19 | 2010-12-14 | 송길봉 | 구심력 동작형 수차 |
-
2010
- 2010-04-30 KR KR1020100040936A patent/KR1011947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56975A (en) | 1979-10-16 | 1981-05-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Spiral casing for water turbine |
KR101001056B1 (ko) | 2010-02-19 | 2010-12-14 | 송길봉 | 구심력 동작형 수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850B1 (ko) | 2018-07-19 | 2019-03-20 | 김현준 | 모듈화된 소수력 발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368A (ko) | 2011-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4712B1 (ko) |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 |
US8648487B2 (en) | Shaft power plant | |
KR101197360B1 (ko) | 수정 날개 접이식 수차 | |
US6792753B2 (en) | System for generating power | |
KR101389433B1 (ko) | 수력 양수발전 시스템 | |
KR101692166B1 (ko) | 수력발전장치 | |
Okedu et al. | Harnessing Hydropower Potential in Desert Regions: The Case of Wadi Dayqah Dam, Quriyat, Oman | |
JP2013068196A (ja) | 水力発電装置 | |
KR101171014B1 (ko) | 소수력 발전 기능을 갖는 사방댐 | |
KR200418822Y1 (ko) | 수력발전 장치 | |
KR100642333B1 (ko) | 소수력을 이용한 발전시설 | |
KR101341860B1 (ko) |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 |
KR101260605B1 (ko) | 양방향 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물레식 조력 발전 장치 | |
KR20200002084A (ko) |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 |
KR20070016744A (ko) | 수력 발전방법 및 장치 | |
KR100961733B1 (ko) | 터널형 저수 설비를 갖는 다단계 수력 발전 시스템 | |
KR20070093225A (ko) | 수력발전 방법 및 장치 | |
KR101211321B1 (ko) |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 |
KR101825070B1 (ko) |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 |
KR101278534B1 (ko) | 소수력 발전시스템 | |
JP3160002U (ja) | 自然河川を利用した水力発電装置 | |
JP2010174874A (ja) | 自然河川発電システム | |
KR101352382B1 (ko) |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 |
KR20120104913A (ko) |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 |
KR100985803B1 (ko) | 조류발전 장치 및 그의 설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