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070B1 -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 Google Patents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070B1
KR101825070B1 KR1020110103081A KR20110103081A KR101825070B1 KR 101825070 B1 KR101825070 B1 KR 101825070B1 KR 1020110103081 A KR1020110103081 A KR 1020110103081A KR 20110103081 A KR20110103081 A KR 20110103081A KR 101825070 B1 KR101825070 B1 KR 10182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ction
pipe
supply pipe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37A (ko
Inventor
민승기
민선영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선영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1010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2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8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water energy converters, e.g. a wate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천수가 유수되면서 흐르는 동안에 급격히 낮아짐으로서 형성하는 낙차차역에서의 하천수에 대한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는 수로관에서의 동력을 공급하면서 제어하기 위하는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지면서 낙차구간이 형성되는 하천에서, 본류하천(13)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지천(14)의 하단에서 형성되면서 본류하천(13)의 수중으로 하천수가 이송하도록 경사지는 측면경사부(23)의 일측인 지천(14)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도록 보(21)가 구축되고, 상기 보(21)을 관통되면서 측면경사부(23) 구간을 수로관(10)으로 구비되는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서, 본류하천(13)으로 하천수가 흐르도록 제공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측면경사부(23)의 경사구간의 기소(21')에서 연결로 매설된 저수블럭(11)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관(55)으로 관통되는 회전축(15)을 구비시켜 주되, 상,하측 단부사이의 구간에는 각각의 입,출구 차단문(35')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는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문(35)과 회전방아(19)을 각각 구비시켜 주되, 상기 차단문(35)와 회전방아(19)의 축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걸림척(41)을 제어장치(45)의 구동에 의하여 수로관(10)의 차단문(35)가 일정시간차로 교호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장치(37)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축(15)의 구간에는 걸림척(41)과 제어장치(45)를 구비하고, 상기 수로관(10)와 물공급관(55) 사이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급구(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블럭(11)은 저수공간(24)이 관통시켜 주는 벽체(34)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벽체(34)에는 이송구(36)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송구(36)를 서로 관통되도록 벽체(34)를 적층으로 고정되도록 구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1)의 양측단부에는 고정벽체(21")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보(21)의 구간에는 수로관(10')을 다수개로 더 배열함으로서, 지천(14)으로부터 배수능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제어장치(45)에는 풍력발전장치(27)와 태양광발전장치(25)에 구비된 축전장치(58)에 연결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공급관(55)의 회전방아(19)의 설치구간에서 흐르는 물살에 대한 유도대(31)을 회전익(26)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수력발전터빈(70)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수력발전터빈(70)에 회전날개(66)의 회전력을 연결부재(62)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구간에는 가요대(60)을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되되, 수문(22)을 관통으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으로서, 수문(22)의 개폐공정에서도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Figure 112017500077810-pat00013
낙차지역, 저수블럭, 수로관, 차단문, 회전방아

Description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omitted}
본 발명은 낙차지역의 보강 및 낙차지역의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천수가 유수되면서 흐르는 동안에 하상이 급격히 낮아짐으로서 형성하는 낙차차역에서의 보강 및 하천수에 대한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짜기나 주로 소형 하천 등에서 흐르는 지형에 의한 낙차지역이나 굴곡지역에서의 흐르는 하천수는 지형의 형성에 따르는 낙차를 하면서 흘러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낙차지역에서는 흐르는 물의 이동력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침하가 되거나 어류의 이동에 따른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골짜기나 지천에서 가뭄으로 인해 용수가 부족하거나, 홍수로 인해 물이 범람하여 마을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저수지에는 보나 제방을 쌓아 물의 흐르는 수량을 조절하고 있다.
토목 기술의 발달과 같이 중장비로 하천 바닥을 과도하게 준설을 함으로서, 본류와 지천간의 합류지점에서는 보를 설치하여 주게 되는데, 대부분 낙차구간의 형성이 됨이며, 지천을 흐르는 물살이 빨라짐으로서, 특히 지천에서 구축되는 비탈면이나 하상에 대한 침식현상 및 쇄골현상의 원인으로서 지천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된 둑의 무너짐의 발생으로서, 막대한 재해의 발생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본류에 대한 과도한 준설로 인하여 깊어지는 강바닥면에 형성되는 수위와 낙차가 커지는 구간으로 부터 지천에 대한, 둑의 옹벽이나 바닥면에 대한 역행침식(지천의 하류로부터 점차적으로 침식하는 형상)파괴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특히 장마로 인한 홍수나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 급물살의 형성으로 침식의 피해 발생의 강도가 더 커지는 것이다.
즉 상기 흐름이 갑자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구간에서는 자연적으로 바닥면에 대한 침식이나, 하천의 상,하측 구간을 보존을 위한 생태를 위하여 이동이 어렵게 되거나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낙차하는 구간에 대하여서는, 어류의 이동을 위하여 어류의 설치는 경사지는 구릉지 등을 경유하여 설치를 하며, 또한 지면에서 노출로 형성하여 구축하기 때문에 생태계의 위험에 노출되는 위험이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제0809996호에 의하면, 저수지용 제방에서 관통으로 구비되는 배수관에서 배수와 아울러 어류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의 구간마다 차단벽을 설치하여 주되, 상기 각각의 차단벽을 순차적으로 교호상으로 개폐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는 하천의 본류와 지천 사이의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하천수 의 이동에 대한 유량을 조절을 함이며, 이는 종래에서는 수면의 차이로 형성하는 낙차지점이나 수심이 심한지역에서는, 본류인 강으로 유입되는 물이 속도가 빨라지고, 낙하되는 하천수를 통해 이동하는 하류의 어류에게도 영향이 미치게 되어 전진을 하지 못하고 하천수인 흐르는 물과 함께 다시 밀려나게 된다.
또한 하천 등지에서 형성되는 낙차구간은 대부분 넓은 들판에 형성이 되어있는 바, 인위적으로 관리를 하려는 문제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하천의 낙차구간을 주로 들판이나 골짜기 등에 설치가 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유수량 조절용 수로관에 대한 동력은 신재생에너지와 같이 결합으로서 사용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이나 풍력의 발전을 위한 풍력의 불어주는 강도는 수시로 변화를 수반하게 되는데, 여기서 갑자기 강풍이 불어주면, 이에 대한 안정적으로 잉여의 바람을 분리하여 주는 구조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선 발명 출원된 발명 등록출원 제2011년 18275호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즉 넓은 공간에서 형성되는 풍력이나 햇볕은 가능한 서로 번갈아가면서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또한 수로관을 흐르는 물의 이동력을 이용하여서 발전을 보강시켜 주도록 한다.
이는 날씨가 맑은 날에는 햇볕에 의하여 태양광발전을 수행을 하며, 또한 흐리거나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풍력발전을 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낙차로 경사지는 구간에다 유수를 위한 수로관의 입구 및 출구에 차단문을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설명되는 본류와 지천간의 수위와 낙차가 더 켜지는 현상을, 흐르는 유속을 조절을 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지천에서의 침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낙차로 경서지는 구간에서의 유속에 대한 침하로 이루어짐으로서 연속적으로 역행침하의 문제가 계속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낙차지역을 연결하는 수로관에 흐르는 물에 대한 유속을 순연으로 느리게 조정을 차단판(35)을 구비하도록 제공함으로서 침식이나 붕괴의 발생을 해결하도록 제공함이며, 또한 낙차지역에서의 어류에 대한 이동이, 수로관의 내측구간을 이동하는 어류가 배수되는 물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차단문에 대한 구동은, 별도의 보조 송수관을 흐르는 물의 유속에 의하여 각각 회전시켜 주도록 회전익을 구비시켜 주되, 이의 회전을 태양광이나 풍력에 의하여 회전력에 대한 단속을 제공시켜 주도록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경사지면서 낙차구간이 형성되는 하천에서, 본류하천(13)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지천(14)의 하단에서 형성되면서 본류하천(13)의 수중으로 하천수가 이송하도록 경사지는 측면경사부(23)의 일측인 지천(14)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도록 보(20)가 구축되고, 상기 보(20)을 관통되면서 측면경사부(23) 구간을 수로관(10)으로 구비되는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서, 본류하천(13)으로 하천수가 흐르도록 제공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측면경사부(23)의 경사구간의 기소(21')에서 연결로 매설된 저수블럭(11)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관(55)으로 관통되는 회전축(15)을 구비시켜 주되, 상,하측 단부사이의 구간에는 각각의 입,출구 차단문(35')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는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문(35)과 회전방아(19)을 각각 구비시켜 주되, 상기 차단문(35)와 회전방아(19)의 축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걸림척(41)을 제어장치(45)의 구동에 의하여 수로관(10)의 차단문(35)가 일정시간차로 교호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장치(37)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축(15)의 구간에는 걸림척(41)과 제어장치(45)를 구비하고, 상기 수로관(10)와 물공급관(55) 사이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급구(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저수블럭(11)은 저수공간(24)이 관통시켜 주는 벽체(34)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벽체(34)에 구비되는 이송구(36)와, 상기 이송구(36)가 서로 관통되도록 벽체(34)를 적층으로 고정되도록 구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1)의 양측단부에는 고정벽체(21")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보(21)의 구간에는 수로관(10')을 다수개로 더 배열함으로서, 지천(14)으로부터 배수능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제어장치(45)에는 풍력발전장치(27)와 태양광발전장치(25)에 구비된 축 전장치(58)에 연결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공급관(55)의 회전방아(19)의 설치구간에서 흐르는 물살에 대한 유도대(31)을 회전익(26)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수력발전터빈(70)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수력발전터빈(70)에 회전날개(66)의 회전력을 연결부재(62)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구간에는 가요대(60)을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되되, 수문(22)을 관통으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으로서, 수문(22)의 개폐공정에서도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본류하천의 물의 수위가 지천하천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도 수로관을 흐르는 물에 대한 유속을 다수개로 각각 설치된 차단문의 구동에 의하여 유속을 완화로 지연시켜 줌으로서 수로관 내부에 항상 물이 공급되므로 어류가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낙차구간에 대한 지반을 저수공간이 형성된 저수블럭을 매설함으로서 견고성을 보강시켜 주며, 또한 상기 수로관에 대한 유속의 조절을 위한 차단문에 대한 회전속도의 조절과 아울러, 제어장치를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의하여 친환경적인 제어로 구성을 함으로서, 들판이나 산골짜기와 같은 인가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도 역행침식과 같은 파손을 방지시켜 주며, 하천에 저수된 물의 유속을 조정함으로서 자연친화적인 낙차지역의 수로관에 대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발명으로서, 본류 하천의 물이, 지천의 물 높이보다 낮은 장소의 낙차구간에서의 하상에 매설되는 저수블럭과 이에 설치되는 보를 관통으로 구비되면서 제공되는 수로관의 구간 사이사이에 차단문을 설치하여서 어도구간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차단된 어도의 이동구간 마다 일정량의 물이 흐르도록 하여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차단문의 구동과 제어를 신 재생에너지와 같은 친환경적으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현장 시공으로 사용을 위하는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조절용 수로관이 형성된 낙차지역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a,b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및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a,b는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C-C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D-D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상태도이며, 도 10는 도 9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은 들판 지역이나 넓은 산간지역의 골짜기에서 하천 중에서 본류와 지천이 서로 연결하도록 만나는 지역에서 사용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류의 하천에서 하상(바닥면)을 환경보존이나 물의 치수관리를 위하여 과도한 준설이나 수심의 차이로 측면경사부 구간의 일측에서 지천이 연결된 부위가 낙차구간의 형성한 지점에서, 흐르는 유속의 빠르기를 지연시켜서 지천의 하상이나 둑 부위의 침식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조절을 위한 수로관에 대한 설명은, 상기 측면경사부(23)의 경사구간에서의 유속의 낙차로 증가하는 흐름에 대하여 지반의 침하에 대한 붕괴를 방지시켜 주기 위하여, 측면경사부(23)에 구축되는 보(21)의 기소(21')을 연장으로 매설시켜 주되, 상기 기소(21')에서 연결로 매설되도록 소정의 구간(m)에 매설된 저수블럭(11)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기소부위에 대한 견고성과 아울러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저수블럭(11)을 매설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저수블럭(11)에 대한 매설된 깊이는 하상(18')에 맞추어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저수블럭(11)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블럭(11)에 대한 구조는 저수공간(24)이 관통시켜 주도록 단면이 원주형이거나 다각형이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벽체(34)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벽체(34)에는 간헐적으로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이송구(36)를 구비시켜 준다. 또한 상기 벽체(34)을 설치하려는 시공현장의 저수구간에 맞추어 주기 위하도록, 다수개의 층수를 적층으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송구(36)가 서로 관통되도록 연속적으로 벽체(34)를 적층으로 고정되면서 소정의 구간(m)에 매설되도록 구성시켜 주는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의 고정벽체(21")로 고정시켜 줌으로서 상기 저수블럭(11) 구간의 저수공간(24)에는 하천수가 저장이 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벽체(34) 사이의 고정은 미도시된 고정핀이나 볼트 등으로 조립으로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설명되는 저수블럭(11)의 구조는 단면이 소정의 크기인 저수공간(24)으로 적층되는, 즉 격자형으로 구성된 발명으로서, 이는 하상(18')에 맞추어서 지중으로 매설됨으로서, 하상의 침하, 붕괴 등의 현상에서도 완벽하게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도2a,b)
또한 경사지는 본류하천(13)의 측면경사부(23)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낙차구간이 형성되는 지천(14)에서, 본류하천(13)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지천(14)의 하단에서 연결되는 본류하천(13)의 측경사부(23)에서 하천수가 이송하도록 경사지는 수로관(10)가 형성하여 주되, 상기 수로관(10)의 입,출구인 단부는 각각의 본류하천과 지천에서의 하천수에 잠기도록 구성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수로관(10)의 구조는, 합성수지제나 철근콘크리트재 등으로 제조되며, 단면이 원주형이거나 사각형의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단면이 원주형으로 구성되는 수로관(10)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고로 상기 수로관(10)의 전체 구간에서는, 일측으로 소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공급관(55)을 구비시켜 주되, 소정의 구간 차이에는 서로 관통되는 공급구(17)를 천공시켜서 제공함으로서, 후술로 설명되는 차단문(35) 사이사이의 구간에 대한 물을 공급함으로서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로관(10)의 상,하측 단부사이의 구간에는 각각의 입,출구를 위한 차단문(35)(35')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차단문(35)(35')은 수로관(10)의 전체 구간을 다수 구간으로 분리를 하여 주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각 분리된 구간에는 차단문(35)을 구비하면서 회전을 제어시켜 주기위하여, 수로관(10)과 일측으로 고정된 공급관(55)을 서로 관통으로 조립되는 회전축(15)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회전축(15)이 관통되는 수로관(10) 구간에는 상기 회전축(15)으로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차단문(35)을 고정함으로서, 상기 차단문(35)이 회전축(15)과 같이 회전함으로서, 상기 수로관(10)의 내측구간을 차단하여 주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측면경사부(23)에 형성되는 수로관(10)의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차단문(35)에 대한 회전구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10)의 양측 가장자리인 단부 사이의 전체 길이구간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관통으로 구비되는 회전축(15)에서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 맞추어서 회전방아(19)을 결합시켜 준다. 또한 상기 회전방아(19)의 외측면 구간에서는 다수개의 경사지는 회전익(26)이 등 간격으로 돌출됨으로서, 상기 공급관(55)을 흐르는 물의 이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방아(19)에 회전을 유발함으로서, 상기 차단문(35)의 회전구동을 제공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서 상기 회전방아(19)의 설치구간에서 흐르는 물살에 대한 유도대(31)을 회전익(26)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각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면서 원통형의 드럼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아(19)에 대한 회전력의 보강과 동시에 상기 차단문(35)의 설치 구간 사이의 유휴간격인 정체구간이 형성함으로서, 상기 차단문(35)의 회전석도에 따라 수로관(10)을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인 측면경사부(23)에서의 하천수 유입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상기 유도대(31)에 대한 경사지는 구조에 대한 조정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수로관(10)의 정체구간에서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차단문(35) 사이사이의 정체구간에서 일정시간 차이로 서로 교호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함으로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장체구간을 연속적으로 개폐와 차단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하는 구조로서, 이의 구동을 위하는 제어장치로서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10)의 구간사이에는 일정간격 마다 개폐장치(37)와 리미트 스위치 등이 구비된 제어장치(45)을 구비시켜 준다.
고로 상기 수로관(10)의 구간사이에는 일정간격 마다 제어장치(45)을 구비시켜서, 어류의 종류에 따른 이동시간에 맞추어서 개폐를 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제어장치(45)를 구비시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차단문(35)과 제어장치(45)의 구동 시간의 조정으로서, 상기 낙하지역을 흐르도록 구비된 수로관(10)에서의 흐르는 수량을 조정을 하여 줌으로서, 과도한 준설로 발생하는 지천(14)에서의 역행침식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로관(10)과 아울러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관(55)으로 관통되는 회전축(15)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수로관(10)의 내측구간에는 차단문(35)을 구비시켜 주되, 공급관(55)의 구간에는 회전방아(19)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차단문(35)와 회전방아(19)의 축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걸림척(41)을 제어장치(45)의 구동에 의하여 수로관(10)의 차단문(35)가 일정시간차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장치(37)를 제공하고,
상기 수로관(10)의 일측면에는 수로관(10)보다 작은 크기의 물공급관(55)을 나란하게 연설하고,
상기 물공급관(55)의 양측 끝단에는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로관(10)와 물공급관(55) 사이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급구(17)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정체구간에 물을 공급으로서, 이동하는 어류에 대한 안전한 이동로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걸림척(41)에 대한 일실시예로서는 클러치 또는 기타 리미트 스위치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회전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주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본류하천(13)의 크기와 높이에 대한 종류는 매우 다양한 규모의 크기로 분류가 되는 바, 본류하천(13)의 크기가 대형인 강의 규모인 경우, 이에 따른 측면경사부(23)에서 흘러들어오는 지천(14)의 크기가 대형으로 분류가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대형의 본류하천(13)의 측면경사부(23)에서 연결되는 지천(14)의 하측 단부에 설치되는 보(21)의 크기가 넓은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21)의 면적에다 다수개의 수로관(10)(10')...을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관통으로 고정되도록 배열을 함으로서, 상기 대규모의 지천(14)으로부터 홍수 등으로 내려오는 물을 서로 분산시켜서 본류하천(13)으로 이송을 하도록 제공을 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연속 반복적으로 각각 배열된 수로관(10)은 흐르는 물의 량에 맞추어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차단문(35)을 제어장치(45)의 구동에 따라 개폐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천(14)의 깊이에 따라 상기 보(21)의 크기와 높이를 더 확대시켜 주되, 상기 수로관(10)(10')을 소정의 이격이 형성하도록 2층의 구조의 적층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홍수나 폭우 등으로 갑자기 불어나는 물에 대한 배수를 순연적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도 6 내지 도7)
따라서 상기 측면경사부(23)의 크기가 바닥면의 과도한 준설 등으로 깊이가 깊으면서 대형으로 배열된 경우, 난차구간에 대한 깊이의 차이로 지천과 본류하천의 높이차이로 흐르는 물살이 빠르게 흐름현상의 발생으로서 침식 및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목적이다.
또한 상기 공급관(55)의 회전방아(19)의 설치구간에서 흐르는 물살에 대한 유도대(31)을 회전익(26)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비시켜 줌으로서, 가능한 상기 공급관(55)의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살을 가능한 강력하게 보강으로 회전방아(19)의 회전력을 보강시켜 줌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는 지천(14)의 규모가 대형이면서 측면경사부(23)의 높이가 높은 구간의 수로관(10)에서는, 효 과적인 경제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수력발전터빈(70)을 구비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수로관(10)의 전체 길이구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방아(19)와 회전축(15)에 각각 제공되는 회전력을 집합함으로서, 상기 수력발전터빈(70)에 집중적으로 제공되도록, 미도시된 회전봉과 기어 등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수력발전터빈(70)의 구동력 보강함으로서 발전력의 경제성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다.(도3b, 도8)
또한 상기 설명되는 회전축(15)의 일측에 상기 수력발전터빈(70)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공급관(55)을 흐르는 물이 회전방아(19)의 회전익(26) 구간으로 분사하여 주도록 설치되는 유도대(31)의 설치로 인하여 발전을 하도록 제공되었으나, 이는 지천(14)을 흐르는 소량의 물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을 함으로서, 충분한 발전을 위한 회전력의 부족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풍력발전장치(27)에 구비된 회전날개(66)의 회전력을 지지기둥(12)을 통과하면서 회전력을 연결하도록 미도시된 연결봉, 기어, 클러치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56)으로 공급을 시켜 주면, 미도시된 회전력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력발전터빈(70)의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물래방아(19)의 균일한 회전력은 상기 불균일하게 불어주는 풍력에 회전날개(66)의 회전력을 균일하게 조정을 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서, 양질의 발전을 제공하는 발명이다.(도4,5)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태양광발전판(50)에서 구비되는 모듈(49)에 대한 태양광발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모듈(49)이 구비된 구간에 냉풍을 뿜어 줌으로서, 냉각된 모듈(49)의 발전력의 보강이 됨으로, 이를 이용하여서 상기 발전력의 보강과 아울러 미풍인 경우에서도, 상기 풍력발전을 위한 회전날개(66)에 대한 풍력을 공급하기 위하는 본 발명의 현장 시공을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으로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50)의 전체구간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는 공급관(55')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관(55')에는 분출구(57)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됨으로서, 상기 뿜어진 냉각공기가 모듈을 냉각함과 동시에 유도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는 무풍이거나 미풍인 경우, 상기 분출구(57)을 통하여 미도시된 냉각장치에 의하여 냉각된 냉풍을 뿜어주면, 상기 태양광발전판(50)의 표면온도를 냉각시켜 줌으로서, 상기 모듈(49)의 냉각효과로서 발전효율을 보강시켜 주며, 또한 뿜어준 냉풍은 상기 회전날개(66)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서, 미풍인 경우에서도 풍력발전을 보강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25)에서 유도되는 풍력은 주로 지지기둥(12)의 중간측 부위에서 불어주는 풍력을 유도함으로서, 원래의 풍력발전장치(27)에 구비된 회전날개(66)로 불어주는 풍력은 지지기둥(12)의 상측부위로 불어주는 풍력으로 발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차단문(35)에 대한 구동을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으로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제어장치(45)에 구비된 축전장치(58)를 풍력발전장치(27)와 태양광발전장치(25)에 구비된 발전장치에 연결로 구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풍력발전장치(27)용 지지기둥(12)에 회전수단(40)과 프레임(29)으로 결합되면서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됨으로서 태양광발전장치(25)에서 햇볕의 수임의 효과로 발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한 경사각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풍력의 부는 방향에 맞추어서 회전구동을 위한 회전수단(40)이 구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하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풍력발전장치(27)용 지지기둥(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67)의 회전축에서 회전날개(66)가 회전함으로서 풍력발전을 제공하는 지지기둥(12)의 상,하측구간에서 각각 고정되는 고정링구(34)의 외측면으로 반원형베아링(33)에 결합되는 반원형하우징(32)에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기둥(12)의 외측구간에 결합함으로서 태양광 수임을 위하도록 구성한, 태양광발전장치(25)의 배면에 구비된 상,하측의 고정캡(30)에 프레임(29)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으로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풍력이 부는 방향이나 태양광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을 시켜 주는 회전수단(40)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장치(25)에서, 제1발전판(53)을 상,하측구간(a)(b)으로 구분시켜 주면서 배면에는 미도시된 냉각수 공급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축전지를 구비시켜 주는 평면형상의 태양열발전판(50)을 구비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풍력에 대한 유도의 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태양광발전판(50)의 하측구간(b)은 제1발전판(53)의 구간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측구간(a)에는 격벽(44)과 이동구간(43)을 교호상으로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상측구간(a)에 구비함으로서, 하측구간(b)에서 유도된 풍력에 대한 이송을 위하여, 상측구간(a)의 폭 간격에 맞추어서 다수개의 격벽(44)과 이동로(43)을 상측부를 형성함으로서 하측구간(b)에서 유도된 풍력이 풍력발전장치(27)의 회전날개(66)의 회전하는 구간으로 불어주도록 맞추어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로(43)의 구간에다 제2발전판(54)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각각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각각의 제1,2발전판(53)(54)의 앞면에는 모듈(49)이 연속 반복적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제공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조절용 수로관이 형성된 낙차지역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b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및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 3a,b는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D-D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상태도
도 10는 도 9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로관 11 : 저수블럭 12 : 지지기둥 13 : 본류하천
14 : 지천 15 : 회전축 16 : 회전기어 17 : 클러치
18 : 제방 19 : 회전방아 20 : 어도 21 : 보 21' : 기소
21" : 고정벽체 22 : 수문 23 : 측면경사부 24 : 저수공간
25 : 태양광발전장치 26 : 회전익 27 : 풍력발전장치 35 : 차단문
36 : 이송구 37 : 개폐장치 40 : 회전수단 41 : 걸림척
43 : 이동로 44 : 격벽 45 : 제어장치 49 : 모듈
50 : 태양광발전판 51 : 가이드발전판 53,54 : 제1,2발전판
55 : 공급관 56 : 연결부재 57 : 분출구 58 : 축전장치 60 : 가요대
61,62 : 상하측발전판 66 : 회전날개 67 : 발전장치 70 : 수력발전장치

Claims (3)

  1. 경사지면서 낙차구간이 형성되는 하천에서, 본류하천(13)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지천(14)의 하단에서 형성되면서 본류하천(13)의 수중으로 하천수가 이송하도록 경사지는 측면경사부(23)의 일측인 지천(14)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도록 보(21)가 구축되고, 상기 보(21)을 관통되면서 측면경사부(23) 구간을 수로관(10)으로 구비되는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서, 본류하천(13)으로 하천수가 흐르도록 제공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측면경사부(23)의 경사구간의 기소(21')에서 연결로 매설된 저수블럭(11)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급관(55)으로 관통되는 회전축(15)을 구비시켜 주되, 상,하측 단부사이의 구간에는 각각의 입,출구 차단문(35')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내측구간에는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차단문(35)과 회전방아(19)을 각각 구비시켜 주되, 상기 차단문(35)와 회전방아(19)의 축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걸림척(41)을 제어장치(45)의 구동에 의하여 수로관(10)의 차단문(35)가 일정시간차로 교호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개폐장치(37)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축(15)의 구간에는 걸림척(41)과 제어장치(45)를 구비하고, 상기 수로관(10)와 물공급관(55) 사이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공급구(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블럭(11)은 저수공간(24)이 관통시켜 주는 벽체(34)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벽체(34)에는 이송구(36)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송구(36)를 서로 관통되도록 벽체(34)를 적층으로 고정되도록 구성시켜 주고,
    상기 저수블럭(11)의 양측단부에는 고정벽체(21")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보(21)의 구간에는 수로관(10')을 다수개로 더 배열함으로서, 지천(14)으로부터 배수능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제어장치(45)에는 풍력발전장치(27)와 태양광발전장치(25)에 구비된 축전장치(58)에 연결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55)의 회전방아(19)의 설치구간에서 흐르는 물살에 대한 유도대(31)을 회전익(26)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5)의 일측으로는 수력발전터빈(70)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 수력발전터빈(70)에 회전날개(66)의 회전력을 연결부재(62)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수로관(10)와 공급관(55)의 구간에는 가요대(60)을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되, 수문(22)을 관통으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으로서, 수문(22)의 개폐공정에서도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KR1020110103081A 2011-10-07 2011-10-07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KR10182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81A KR101825070B1 (ko) 2011-10-07 2011-10-07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81A KR101825070B1 (ko) 2011-10-07 2011-10-07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13A Division KR20120104913A (ko) 2011-03-14 2011-10-05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37A KR20130037137A (ko) 2013-04-15
KR101825070B1 true KR101825070B1 (ko) 2018-02-02

Family

ID=4843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081A KR101825070B1 (ko) 2011-10-07 2011-10-07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2127C1 (ru) * 2020-02-04 2021-02-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ПИ) имени М.И. Платова" Водопроводящее сооружение из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оверхностных напорных водоводо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0587B (zh) * 2014-07-10 2016-03-09 哈尔滨工程大学 百叶栅压力旋转阀鱼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2127C1 (ru) * 2020-02-04 2021-02-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ПИ) имени М.И. Платова" Водопроводящее сооружение из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оверхностных напорных водовод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37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7313C (en) Shaft power plant
EA014455B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водо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отин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CA2770390C (en) Shaft power plant
KR101047337B1 (ko) 저수용량 증대 및 에너지 순환형 저수지 시공방법
GB2488809A (en) Buoyant weir
KR101825070B1 (ko) 낙차지역의 보강 및 유수 조절을 위한 수로관
WO2022016825A1 (zh) 一种喇叭口水袋式阻流坝发电装置
KR20110121368A (ko) 와류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RU144821U1 (ru)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й водосброс плотины (варианты)
KR20120104913A (ko) 태양광 및 풍력발전장치
WO2019103634A2 (en) Cascading hydroelectric power plant
JP3231805U (ja) 管水路送水システム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US10876265B2 (en) Modular hydropower unit
KR20070111436A (ko) 하천의 제방보다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는 대용량의 다단계저수공간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방법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RU2562205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регулируемого свободно текущего водного по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2145090A (ja) 人工水路式水車発電機による発電方法と海水干満式水車発電機による発電方法と人工水路式水車発電機と海水干満式水車発電機と下掛け水車発電機用の人工水路と人工水路式灌漑用水車。
RU2469148C1 (ru) Деривационная бесплотин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с напорным водоводом
KR100985803B1 (ko) 조류발전 장치 및 그의 설치 방법
CN109281295A (zh) 水电站
RU65509U1 (ru) Селективное водоза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540078B2 (ja) 深層地下河川オ―バ―フロ―マンホ―ル発電構造
BR202013008841U2 (pt) Turbinas hidráulicas em equilíbrio com a natureza
CHALISGAONKAR DESILTING ARRANGEMENT AT HYDRO-POWER PLANTS IN HIMALAY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