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316Y1 -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316Y1
KR200418316Y1 KR2020060006993U KR20060006993U KR200418316Y1 KR 200418316 Y1 KR200418316 Y1 KR 200418316Y1 KR 2020060006993 U KR2020060006993 U KR 2020060006993U KR 20060006993 U KR20060006993 U KR 20060006993U KR 200418316 Y1 KR200418316 Y1 KR 200418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re
passage
touch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진
Original Assignee
시ㆍ화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ㆍ화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앤씨 filed Critical 시ㆍ화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6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3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3Feed stopping equipment
    • B29C45/234Valves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29C45/281Drive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가압축(11)을 구비한 가압부(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 하부에는 통로(21)가 형성된 코어(22)를 구비한 노즐코어(2)와, 상기 노즐코어(2)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작동공간(31)이 형성된 노즐하우징(3)과, 상기 작동공간(31)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통로(2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도입통로(41)를 형성시킨 터치노즐(4)과, 상기 노즐코어(2)와 터치노즐(4)사이에 탄입 설치된 탄성부재(5)로 구성되어,
금형과의 접촉에 의해 노즐(N)이 개폐되므로, 노즐(N)개폐를 위한 기구적 구성의 단순화와 유지보수의 용이함 및 작동신뢰성 확보가 가능하고, 용융수지의 사출대기중 용융의 누출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 재료손실 최소화와 후공정 삭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압부, 노즐코어, 노즐하우징, 터치노즐, 탄성부재, 고정볼트, 통로, 코어,작동공간, 도입통로, 수납홈, 노즐팁, 노즐.

Description

사출성형장치용 노즐{The nozzle for an injection molder}
도 1은 종래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노즐의 사출대기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노즐의 사출진행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압부 2,8 : 노즐코어
3, 3a : 노즐하우징 4 : 터치노즐
5 : 탄성부재 6 : 고정볼트
21, 81 : 통로 22 : 코어
31 : 작동공간 41 : 도입통로
43 : 수납홈 44, 71 : 노즐팁
N, N' : 노즐
본 고안은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팁이 금형과 접촉될 경우 그 가압력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어 사출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기구적 구 성의 단순화와 작동신뢰성 확보 및 수지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은 적량 계량된 합성수지 칩 또는 분말을 용융시켜 금형내에 적정압으로 사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량 계량되어 공급되는 수지소재를 가압축(11)의 회전력에 의해 하향가압하는 가압부(1)와, 상기 가압부(1)의 하부에 설치된 노즐하우징(3a)과, 상기 노즐하우징(3a)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볼트(6)에 의해 노즐하우징(3a)과 함께 가압부(1)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헤드(7)와, 상기 노즐하우징(3a)과 노즐헤드(7)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수지액이 이동하는 통로(81)가 형성된 노즐코어(8)와, 상기 노즐코어(8)를 승강 작동시키도록 노즐하우징(3a)의 외면에 힌지(91)로 고정설치된 작동레버(9a)와, 상기 작동레버(9a)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작동간(9b)과, 상기 노즐헤드(7)의 하면에 나사결합되어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노즐팁(71)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우징(3a)과 노즐헤드(7)의 외면에 수지소재를 용융시켜 액상으로 유지시키는 히터(H)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사출성형장치용 노즐(N)은 승강 작동하는 작동간(9b)이 힌지(91)에 고정된 작동레버(9a)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노즐코어(8)가 승강이동하며 통로(8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가압축(11)에 의해 가압된 용융수지를 노즐팁(71)을 통해 금형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노즐코어(8)를 승강 작동 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작동간(9b)을 승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동수단이 요구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 주기, 시간 등을 금형의 사출공정에 맞추어 주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쎈서 등의 주변기기들이 요구되어 전체적인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여 잦은 고장을 유발하게 되며, 특히 사출대기 상태에서 용융수지의 누출이 발생되어 사출품의 품질을 지하 시키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단순한 기구적 구성으로 작동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용융수지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사출성형장치용 노즐은, 가압부의 하부에 노즐코어와 노즐하우징을 고정볼트로 체결고정시키고,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부에는 노즐팁이 하향 돌출된 터치노즐을 하향인장력이 부여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노즐팁이 금형과 접촉된 경우, 터치노즐이 상승하여 노즐코어의 통로를 개방시켜 용융수지가 금형내로 사출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사출성형장치용 노즐(N)의 사출대기상태 단면도로서, 도 3에서는 사출진행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고안 사출성형장치용 노즐(N)은, 가압축(11)을 구비한 가압부(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 하부에는 통로(21)가 형성된 코어(22)를 구비한 노즐코 어(2)와, 상기 노즐코어(2)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작동공간(31)이 형성된 노즐하우징(3)과, 상기 작동공간(31)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통로(2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도입통로(41)를 형성시킨 터치노즐(4)과, 상기 노즐코어(2)와 터치노즐(4)사이에 탄입 설치된 탄성부재(5)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코어(2)는 코어(22)의 하단 양측으로 개방된 통로(21)가 형성되어 가압부(1)의 가압축(11)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액상수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고정볼트(6)에 의해 노즐하우징(3)과 함께 가압부(1)의 하면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노즐하우징(3)의 작동공간(31)에 설치되는 터치노즐(4)은 그 외면에 걸림턱(42)이 형성되어 하향이동 제한 및 분리 방지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수납홈(43)이 형성되어 상단이 노즐코어(2)의 하면과 접촉되는 탄성부재(5)가 터치노즐(4)에 하향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터치노즐(4)의 내부에는 상기 코어(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도입통로(41)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노즐팁(44)이 체결되어 금형과 접촉하여 액상수지를 주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H)는 수지소재를 용융시켜 액상으로 유지시키는 히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사출성형장치용 노즐(N)은, 사출대기 상태에서는 탄성부재(5)의 탄발력에 의해 터치노즐(4)은 최대 하강한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노즐코어(2)의 코어(22) 하단 양측에 개구된 통로(21)는 터치노즐(4)의 내벽과 긴 밀히 접촉되어 폐쇄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사출대기상태에서 사출을 진행하기 위해 노즐(N) 전체가 하강하여 노즐팁(44)이 금형의 게이드(도시되지않음)와 접촉하게 되면, 터치노즐(4)은 정지된 상태에서 노즐코어(2)가 탄성부재(5)를 압축시키며 계속 하강하여 도 3에서와 같이 터치노즐(4)의 수납홈(43) 상단이 노즐코어(2)의 하면과 근접한 상태에서 노즐(N)의 하강이 완료된다.
이 경우에는 노즐코어(2)의 코어(22) 하부측 외면에 형성된 통로(21)가 터치노즐(4)의 도입통로(41)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압부(1)에서 가압되는 액상수지는 노즐코어(2)의 통로(21)를 지나 도입통로(41)로 유출된 후 노즐팁(44)을 통해 금형의 게이트로 사출된다.
이후, 계량된 액상수지가 사출되고 노즐(N)이 상승하게 되면, 이때에는 탄성부재(5)의 복귀력에 의해 터치노즐(4)이 하향이동하여 도 2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노즐코어(2)의 코어(22)에 형성된 통로(21)는 패쇄되어 용융수지의 유출은 방지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은 용융수지의 사출상태에서 노즐(N)이 상승하게 되면, 코어(22)의 통로(21)로부터 유출되어 도입통로(41)의 하부에 충진되어 있던 용융수지는 더 이상 외부누출 즉, 노즐팁(44) 하부로의 누출이 방지되는데, 이는 도 2와 같이 터치노즐(4)이 하강되어 있는 경우 도입통로(41)의 체적이 도 3에 비해 커지게 됨에 기인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사출성형장치용 노즐(N)은, 금형과의 접촉에 의해 노즐(N)이 개폐되므로, 노즐(N)개폐를 위한 기구적 구성의 단순화와 유지보수의 용이함 및 작동신뢰성 확보가 가능하고, 용융수지의 사출대기중 용융의 누출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 재료손실 최소화와 후공정 삭제를 구현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압축(11)을 구비한 가압부(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 하부에는 통로(21)가 형성된 코어(22)를 구비하여, 고정볼트(6)에 의해 가압부(1)의 하면에 체결 고정노즐코어(2)와;
    상기 노즐코어(2)의 하면에 고정볼트(6)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작동공간(31)이 형성된 노즐하우징(3)과;
    그 외면에 걸림턱(4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납홈(43)이 형성되어 하향이동 제한 및 분리 방지되도록 상기 작동공간(31)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통로(2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도입통로(41)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금형과 접촉하여 액상수지를 주입시키는 노즐팁(44)을 체결시킨 터치노즐(4)과;
    상기 노즐코어(2)와 터치노즐(4) 사이에 탄입 설치되어 터치노즐(4)에 하향인장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KR2020060006993U 2006-03-15 2006-03-15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KR200418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993U KR200418316Y1 (ko) 2006-03-15 2006-03-15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993U KR200418316Y1 (ko) 2006-03-15 2006-03-15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316Y1 true KR200418316Y1 (ko) 2006-06-09

Family

ID=4176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993U KR200418316Y1 (ko) 2006-03-15 2006-03-15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3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28B1 (ko) 2006-11-14 2008-04-30 노동현 실리콘 충진구
KR101290549B1 (ko) 2011-01-31 2013-07-29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511337B1 (ko) 2013-09-02 2015-04-13 이승훈 하트러너 타입의 사출성형금형
WO2022203135A1 (ko) * 2021-03-25 2022-09-29 김혁중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28B1 (ko) 2006-11-14 2008-04-30 노동현 실리콘 충진구
KR101290549B1 (ko) 2011-01-31 2013-07-29 김혁중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511337B1 (ko) 2013-09-02 2015-04-13 이승훈 하트러너 타입의 사출성형금형
WO2022203135A1 (ko) * 2021-03-25 2022-09-29 김혁중 사출압 개폐 제어형 핫런너 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572A (en) Self-regulating gate valve assembly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200418316Y1 (ko) 사출성형장치용 노즐
JP4252337B2 (ja) 中空部品の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US20080031991A1 (en) Injection mold for glass encapsulation
JP4591692B2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型
CA2566939A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101678280B1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951790B1 (ko) 핫런너 밸브장치
CA3050201A1 (en) Hot runner device having an overload protection device
KR101901282B1 (ko) 타이바레스 사출성형기
KR101619887B1 (ko)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CA1251913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small-sized articles
KR101428937B1 (ko) 수직형 사출성형기
KR101290550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081470B1 (ko)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100659730B1 (ko) 사출성형기의 주입노즐 개폐장치
JP3035892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S6325141Y2 (ko)
KR102240758B1 (ko) 사출기의 노즐장치
KR100500017B1 (ko) 수동식 분사펌프
KR100583770B1 (ko) 스프루 방지를 위한 사출성형기용 밸브장치
JPH01118421A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90094597A (ko) 사출 성형용 게이트 밸브
CN110625069A (zh) 一种冒口用加压装置
KR101422075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