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56Y1 -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 Google Patents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56Y1
KR200418056Y1 KR2020060007166U KR20060007166U KR200418056Y1 KR 200418056 Y1 KR200418056 Y1 KR 200418056Y1 KR 2020060007166 U KR2020060007166 U KR 2020060007166U KR 20060007166 U KR20060007166 U KR 20060007166U KR 200418056 Y1 KR200418056 Y1 KR 200418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heating
electr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2020060007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은방에 알맞게 이용되게 구성한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가스보일러, 경유보일러 및 연탄보일러 등이 실외부에 설치 이용하게 된 것이어서, 농어촌의 작은방에는 부적당하고 또 심야전기를 이용한 전기가열식 대형온수탱크를 설치이용하고 있었으나 또한 시설비용이 크고 전기소모비가 커지므로 이용가치가 없는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온돌방의 벽면에 부착사용하게 된 온수조의 케이스 내부바닥의 받침대 일측위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온수조 하부를 고정하고 상부는 케이스 상면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뚜껑을 외부에서 덮게하고 타원형 코일부를 이룬 전기히이타봉을 온수조 내에 삽입 설치하여 코일부에 형성된 타원형공이 온수배출관 및 환수관에 근접위치되게 하고 케이스내부에 통상의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온수조의 온수를 온돌방의 난방호오스에 순환하도록 한 구조이다.

Description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Electric heating hotwell for hot water heating}
도 1은 본 고안을 방벽에 부착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기가열의 온수조를 분리하여 확대표시한 사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돌방 2 : 벽면 3 : 케이스
4 : 받침대 5 : 온수조 6 : 뚜껑
8 : 온수배출관 8' : 환수관 9 : 난방호오스
10 : 순환펌프 12 : 전기히이타봉 12' : 코일부
18 : 타원형공
본 고안은 주로 농어촌의 작은방에 적합하게 이용될수 있도록 구성한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히는 니크롬선(nichrome wire)이 내장되어진 전기히이타봉을 수직원통형 온수조내에 삽입설치하여 온수조의 물을 연속가열 할수 있게 하고 또 온수조내에서 가열된 적은량의 온수는 곧 순환펌프로서 연속적으로 난방호오스에 보내지고 또 환수가열되게하여 온수난방용으로 설비를 저가로 이용되게 할 뿐더러 난방의 전기소모비를 최소화 하도록 하고 또 간단히 방벽면에 부착 이용될수 있도록 구성한 간단한 구조의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를 제공할 목적에 있다.
일반적으로 온수난방은 방바닥에 온수순환의 난방호오스를 깔고 가스보일러, 경유보일러, 연탄보일러 등에서 가열시켜 얻은 온수를 난방호오스에 순환펌프로 순환시켜 온돌난방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보일러가 실외부에 시설된다. 그뿐아니라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대형온수조에 대량으로 물을 심야에 데웠다가 난방용으로 낮에 순환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이용되고 있는 온수난방의 가열수단은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고가의 시설을 요구하므로 온수난방 이용에 고가의 비용을 요하는 문제점 때문에 농어촌의 작은방의 난방에는 부적당하고 난방의 시설비 뿐아니라 연료소모비가 크므로 부대시설이 빈약한 농촌 및 어촌용으로는 부적당한 결함이 있었으며 또 비용절감을 위한 온수난방용의 가열기구들이 없는 관계로 농어촌에서의 온수난방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작은방에 낮은연료비로 이용되게 하며 온돌방의 벽면에 부착사용하므로 온수조내에서 물을 전기가열하여 난방호오스를 통해 방바닥을 더웁게 할 뿐아니라 전기가열의 온수조 및 케이스에서 발산되는 열은 방실내의 공기를 덮여주므로 외풍이 적어져서 온화한 실내가 되어 작은방의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 전기가열의 온수조는 소형구조로 되어 누구나 손쉽게 방바닥의 난방호오스에 연결 사용할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온수조의 전기가열을 실내에서 온,오프 할수 있어 이용에 편리하고 작은방에 유효한 전기가열 온수조를 제공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돌방의 벽면에 부착사용하게 된 케이스 내부바닥의 받침대 일측 위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온수조 하부를 고정시키고 상부는 케이스 상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뚜껑을 외부에서 덮게하고 타원형 코일부를 이룬 전기히이타봉을 온수조내에 삽입 설치하여 코일부에 형성된 타원형공이 온수배출관 및 환수관에 근접 위치되게 하고 케이스 내부에 순환펌프를 연결설치하여 온수조의 온수를 온돌방의 난방호오스에 순환하도록 구성하므로 농어촌의 작은방에 유효하고 저가로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개선한 구조이다.
온돌방(1)의 벽면(2)에 부착사용하게 된 6면체를 이룬 사각통형의 케이스(3) 내부바닥에 받침대(4)를 수평 고정한 일측상부로 원통형 온수조(5)를 길게 수직으로 설치하되 하단은 받침대(4) 위에 고정하고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케이스(3)의 상면 위로 노출되게 고정 설치하여 뚜껑(6)을 덮도록 하였다. 뚜껑(6)에는 배증공(7)이 적은크기로 뚫여 있고 온수조(5)에 물보충시에 뚜껑(6)을 외부에서 열고 닫도록 하였다.
또한 온수조(5) 하부측에는 온수배출관(8)과 환수관(8/)을 상,하부에 설치하여 온수배출관(8)은 순환펌프(10)의 흡입관(11)에 연결하여 흡입된 온수가 토출관(11')을 통해 온돌방(1)의 난방호오스(9)에 유통되게 연결 설치하고 또 환수관(8')에 난방호오스(9)에 유입관(9')를 연결 설치하여 환수되게 하였다.
또한 온수조(5)내에는 중간을 타원형태의 코일부(12')를 형성시킨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전기히이타봉(12)을 삽입 설치하여 양측의 상단부(12a) (12a')는 온수조(5) 외부로 노출고정시켜서 온도조절기(14) 및 전기코오드(15)와 연결구성하여 전기가열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온수조(5)에는 유량계(16)를 설치하여 케이스(3)의 투시공(17)으로 유량계(16)의 유량을 볼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본 고안에 있어 전기히이타봉(12) 하부 코일부(12')로 이루어진 타원형공(18)은 온수조(5)의 온수배출관(8) 및 환수관(8')과 같은 위치에 근접 설치하여 온수가 온수배출관(8) 및 환수관(8')을 통해 온수의 배출과 환수할시 타원형공(18)을 통과 유통되어져서 물의 마찰이 적어 소음이 없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벽면(2)에 부착 사용되고 케이스(3) 상면의 뚜껑(6)을 열어 온수조(5)에 물공급과 보충수를 주입하게 된다.
또 전기코오드(15)를 전기콘센트에 꽂으므로서 전기히이터봉(12)과 코일부 (12')에서 전기발열에 의거한 열교환을 하게 되므로 용적이 비교적 적은 온수조(5) 내의 물은 단시간에 가열되어지고 또 통상의 순환펌프(10) 가동에 의하여 온돌방(1) 내의 난방호오스(9)에 순환유통하게 되므로 난방이 쉽게 되는 구조가 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기히이타봉(12)를 2개 삽입 설치사용할 수도 있는 구조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비교적 소형으로서 온돌방(1)의 벽면(2)에 부착사용되므로 손쉽게 설치이용 될수 있는 것으로서 이용이 간편하고 온수조(5) 내에 삽입 설치된 전기히이터봉(12)과 코일부(12')에 의거한 전기발열로 열교환을 적은부피의 온수조(5)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단시간에 온수를 얻어서 온수가열에 의거한 난방을 할수 있을뿐 아니라 온수조(5) 및 케이스(3) 외부로 발산되는 간접열은 온돌방(1) 실내의 공기를 데여주는 역활을 동시하므로 방의 외풍이 없는 안전한 난방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조(5) 내에 삽입 설치된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진 전기히이터봉(12)은 하단에 타원형태의 코일부(12')를 형성한 구조일 뿐아니라 코일부(12')의 타원형공(18)이 온수배출관(8) 및 환수관(8')에 근접설치되어서 온수가 타원형공(18)으로 유통되어 접촉마찰을 받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어서 소음이 없어 이용에 안전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온수조(5)와 전기히이타봉(12) 및 순환펌프(10)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 내의 구성품이므로 비교적 소형이며 간단한 제품으로 제작비가 저가로 되어 농어촌에서 저가로 많이 이용될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전기소모량이 적어 적은전기료로 난방을 할수 있어 유효하게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온수조(5)의 물을 전기히이타봉(12)으로 가열하게 된 전기가열 온수조에 있어서,
    온돌방(1)의 벽면(2)에 부착사용하게 된 케이스(3) 내부바닥의 받침대(4) 일측 위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온수조(5) 하부를 고정하고 상부는 케이스(3) 상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뚜껑(6)을 외부에서 덮게하고 타원형 코일부(12')를 이룬 전기히이타봉(12)을 온수조(5) 내에 삽입 설치하여 코일부(12')에 형성된 타원형공(18)이 온수배출관(8) 및 환수관(8')에 근접 위치되게 하고 케이스(3) 내부에 통상의 순환펌프(10)를 설치하여 온수조(5)의 온수를 온돌방(1)의 난방호오스(9)에 순환하도록 한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KR2020060007166U 2006-03-17 2006-03-17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KR200418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66U KR200418056Y1 (ko) 2006-03-17 2006-03-17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66U KR200418056Y1 (ko) 2006-03-17 2006-03-17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56Y1 true KR200418056Y1 (ko) 2006-06-09

Family

ID=417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166U KR200418056Y1 (ko) 2006-03-17 2006-03-17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897B1 (ja)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KR101568372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0663967B1 (ko) 온수매트용 온수가열장치
CN104515300A (zh) 热水垫用热水器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KR20090008174A (ko) 3 웨이 캠핑 보일러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100865081B1 (ko) 저탕식 전기보일러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100961937B1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200418056Y1 (ko) 온수난방용 전기가열 온수조
KR20130027607A (ko) 가스와 전기겸용 미니보일러
KR200434072Y1 (ko) 매트용 보일러
KR101243865B1 (ko) 온수공급장치
KR101033268B1 (ko) 간접 가열방식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히터
KR20010008335A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090082986A (ko) 온수매트장치
KR100861776B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90025738A (ko) 온수 자연 순환 난방장치
KR200456859Y1 (ko) 안전 캡이 구비된 난방장치
KR200385896Y1 (ko) 온수 매트용 입형(立形) 온수 가열장치
KR200179637Y1 (ko) 온수가열순환장치
KR100865083B1 (ko) 저탕식 전기보일러
KR200174696Y1 (ko) 축사용 전기보일러
CN216364870U (zh) 一种烘干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