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15Y1 -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15Y1
KR200418015Y1 KR2020060006682U KR20060006682U KR200418015Y1 KR 200418015 Y1 KR200418015 Y1 KR 200418015Y1 KR 2020060006682 U KR2020060006682 U KR 2020060006682U KR 20060006682 U KR20060006682 U KR 20060006682U KR 200418015 Y1 KR200418015 Y1 KR 200418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wire
water
hea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순
Original Assignee
강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순 filed Critical 강장순
Priority to KR2020060006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formed by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열선 난방장치 내의 수온이 올라감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파이프를 막고 있는 마개가 분리되어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것으로 난방을 하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에 길게 묻히게 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전열선이 내삽되어 있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밀폐시키게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전열선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는 마개와;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어 파이프 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통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공기빼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따라 파이프내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수압에 의해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열선 난방 패킹 압력 공기빼기밸브

Description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structure of heating apparatus}
도1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열선 난방 장치에서 분배기측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 파이프 20 : 마개
22 : 연결부재 24 : 패킹부재
26 : 덮개부재 28 : 와셔
30 : 물통 40 : 공기빼기밸브
42 : '+'자 배관 44 : 'T'자 배관
50 : 전선
본 고안은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말단에 물통과 공기빼기밸브를 부설하여 파이프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한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가인상등으로 난방비가 증가하게되어 저렴한 심야전기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심야전기를 이용한 난방방법으로는 전기보일러에 물을 끓여 보관한 후 방에 설치된 파이프내로 가열된 물을 흘려보내 난방하는 방법과 파이프내에 전열선을 삽입하여 파이프내의 물을 직접 가열하는 전열선 난방방식등이 있다. 이중 전열선을 사용하는 방법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열선을 이용하는 방법은 밀봉된 파이프내에서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열된 물의 부피가 증가하여 압력이 올라가면 밀봉한 부분이 터져나가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물이 누출되게되면 상기 전열선의 열에의해 파이프가 녹아 재시공을 하여야 하는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내의 수압에 의해 마개가 분리되어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열에의해 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난방을 하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에 길게 묻히게 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전열선이 내삽되어 있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밀폐시키게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전열선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는 마개와;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어 파이프 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결합되어 상 기 파이프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통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공기빼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는 다수개의 방에 각각 묻히게 되며 말단이 실내의 일측에 모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파이프는 "T"자연결부재와 "+"자 연결부재를 결합한 결합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마개는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는 내부가 빈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내주면에 단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양측말단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단을 이루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단에 걸려 고정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열선이 통과하게되는 패킹부재와;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일측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을 고정하게 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부재와 덮개부재사이에는 원판형상을 이루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셔가 하나 이상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연결부재의 단측으로 밀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는 크게 파이프(10)와 마개(20)와 물통(30)과 공기빼기밸브(40)로 구성된다.
먼저 파이프(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이프(10)는 난방을 하고자하는 실내의 각 방 바닥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10)는 방 바닥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방바닥 전체를 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방에 각각 파이프(1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에 사용되는 온수분배기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금속제파이프(10) 또는 'T'자형 배관(44)과 '+'자형 배관(42)을 조합하여 도1에 도시된 형태로 결합하여 다수개의 파이프(10)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파이프(10)를 모두 모아 결합시키게되면 하기의 물통(30)이나 공기빼기밸브(40)를 하나만 사용하여도 되므로 편리하다.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전열선을 삽입하게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상기 전열선에 전기가 통전되어 발열하게되면 상기 물이 가열되어 파이프(10)내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다음으로 마개(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개(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와 패킹부재(24)와 덮개부재(26) 그리고 와셔(28)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20)는 내부가 빈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내주면에 단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양측말단에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24)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단을 이루어 상기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22) 의 단에 걸려 고정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열선 또는 파이프(10) 내부의 전열선에 결합되는 전선(50)이 통과하게된다. 이때 상기 통공은 전열선과의 틈으로 물이 세지 않도록 전열선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덮개부재(26)는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일측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2)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24)를 고정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26)와 패킹부재(24)사이에는 와셔(28)가 구비된다. 상기 와셔(28)는 덮개부재(26)를 연결부재(22)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패킹부재(24)를 연결부재(22)측으로 밀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개(20)가 덮개부재(26)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위해 상기 와셔(28)는 원판형상을 이루게되며 전선(50) 또는 전열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마개(20)는 상기 파이프(10)의 말단에 결합되어 파이프(10)를 밀봉하게되고 이에따라 파이프(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다음으로 물통(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통(30)은 상기 파이프(10)의 말단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어 상기 파이프(10)내의 물이 부족하게되면 상기 물통(30)내의 물을 파이프(10)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통(30)은 파이프(1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부설하여 위치에너지의 차에 의해 파이프(10)측으로 용이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공기빼기밸브(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빼기밸브(40)는 상기 물통(30)의 상측에 부설되어 상기 물통(30)내의 압력이 증가하게되면 상기 물통(30)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된다. 상기 공기빼기밸브(40)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으나 파이프(10)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의 물의 부피가 증가하여 압력이 증가하게되면 개방되어 공기를 배출시켜 파이프(10)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배관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빼기밸브(40)는 당업자에게는 주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이프(10)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게된다. 상기 전열선을 삽입하기위해서는 모터를 이용하여 전열선을 상기 파이프(10)에 밀어넣어 양측말단으로 전열선이 나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열선의 양측 말단이 파이프(10)의 양측말단으로 각각 나오도록 하는 대신 전열선을 접어 말단이 파이프(10)의 일측으로만 나오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전열선이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10)를 '+'자 배관(42)과 'T'자 배관(44)으로 이루어진 분배기의 하측에 결합하고 마개(20)를 파이프(10)의 상측에 결합하게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10)에는 전선(50)이 결합되며 상기 전선(50)은 전열선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50)과 전열선이 연결되는 부분은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완전히 밀봉하게된다. 상기 전선(50)과 전열선을 마개(20)의 내측에서 결합하는 대신 전열선을 마개(20)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 후 전선(50)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파이프(10)는 방 바닥에 일정간격을 이루면서 전체에 넓 게 펼쳐져 깔리게되고 그 위를 시멘트 등으로 덮게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의 'T'자 배관(44)에 물통(30)을 연결하고 상기 물통(30)의 상부에 공기빼기밸브(40)를 연결하게된다. 이후 상기 물통(30)에 물을 넣어 상기 파이프(10)내로 물이 들어가도록 한다. 여기서 모두 결합한 후 물을 넣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물통(30)등을 결합하기이전에 물을 채우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난방장치는 전원을 넣게되면 전열선이 물을 가열하게되고 이에따라 방바닥의 온도가 올라가 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의 온도가 올라가게되면 물의 부피가 팽창하고 물의 일부는 수증기가 되므로 파이프(10)내의 압력이 증가하게되고 상기 압력은 파이프(10)와 연결된 물통(30) 그리고 마개(20)측에 작용된다. 이때 상기 물통(30)에 걸리는 압력은 물통(30)에 설치된 공기빼기밸브(40)에 의해 물통(30)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해소되므로 파이프(10)와 마개(20) 및 물통(30)내의 압력이 낮아져 마개(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파이프 내부의 압력 증가를 해소하여 파이프나 마개의 손상이 없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따라 난방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난방을 하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에 길게 묻히게 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전열선이 내삽되어 있는 파이프(10)와;
    상기 파이프(10)에 연결되어 파이프(10)를 밀폐시키게되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전열선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하는 마개(20)와;
    상기 파이프(10)와 연결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어 파이프(10) 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30)과;
    상기 물통(30)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10)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통(30)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공기빼기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는
    다수개의 방에 각각 묻히게 되며 말단이 실내의 일측에 모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각 파이프(10)는 "T"자 배관(44)와 "+"자 배관(42)를 결합한 결합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마개(20)는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마개(20)는
    내부가 빈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내주면에 단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양측말단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22)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단을 이루어 상기 연결부재(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22)의 단에 걸려 고정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열선이 통과하게되는 패킹부재(24)와;
    관형상을 이루게되며 일측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2)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을 고정하게 되는 덮개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4)와 덮개부재(26)사이에는 원판형상을 이루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셔(28)가 하나 이상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24)를 연결부재(22)의 단측으로 밀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난방장치의 구조.
KR2020060006682U 2006-03-13 2006-03-13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KR200418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82U KR200418015Y1 (ko) 2006-03-13 2006-03-13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82U KR200418015Y1 (ko) 2006-03-13 2006-03-13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15Y1 true KR200418015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82U KR200418015Y1 (ko) 2006-03-13 2006-03-13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42Y1 (ko) 2009-05-15 2011-04-07 최문경 온수보일러용 호스 연결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42Y1 (ko) 2009-05-15 2011-04-07 최문경 온수보일러용 호스 연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7301A1 (en) Water-heater, a combination of a top cover and bottom tray for a water heater, and a bottom cover
US4136823A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r limitation of water damage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0418015Y1 (ko) 전열선 난방 장치의 구조
DK172362B1 (da) Varmeelement til et gulv
WO2015019632A1 (ja) タンク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給湯システム
US6917756B2 (en) Water heater electrical enclosure insert/foam dam
CN106950014B (zh) 漏水检测与防漏设备
KR100687521B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1812264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KR101739364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KR101208426B1 (ko) 동파방지 장치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JP7347258B2 (ja) 貯湯式給湯機
CN204421298U (zh) 水箱组件及加湿器
KR101627180B1 (ko) 벽체매립형 온수분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19819B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090105511A (ko) 분배형 호스 연결장치
KR100943461B1 (ko) 수도미터기 동파 방지용 보온덮개
USRE30493E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r limitation of water damage
SE505644C2 (sv) Anordning för att förhindra vattenskador beroende på läckor i ledningssystemckor i ledningssystemet i byggnader
CN215172726U (zh) 接驳式电热水龙头
KR102141492B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200462905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FI129267B (fi) Hybridipatte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