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860Y1 - 봉걸레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봉걸레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860Y1
KR200417860Y1 KR2020060005956U KR20060005956U KR200417860Y1 KR 200417860 Y1 KR200417860 Y1 KR 200417860Y1 KR 2020060005956 U KR2020060005956 U KR 2020060005956U KR 20060005956 U KR20060005956 U KR 20060005956U KR 200417860 Y1 KR200417860 Y1 KR 200417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washing
rod
bearing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근
Original Assignee
정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근 filed Critical 정인근
Priority to KR2020060005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걸레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세척조를 구비한 세척용기에 봉걸레를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걸레를 자동으로 세척은 물론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봉걸레용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통상의 세척조(11)와 회전세척판(12)을 구비하면서 그 상부에 장착구(15)를 구비하는 세척용기(10)와; 상기 세척용기(10)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에 결합부재(23)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22)을 구비하여 봉걸레(1)의 봉(1-1)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상부지지대(20)와; 상기 세척용기(10)에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전후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결합부재(33)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32)을 구비하여 봉걸레(1)의 봉(1-1)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하부지지대(3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지지대(20,30)를 이용하여 봉걸레(1)의 봉(1-1)을 수직상태로 상기 세척용기(10)내에 거치시키면서 걸레(1-2)의 세척 및 탈수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기를 제공하게 된다.
봉걸레, 세척기

Description

봉걸레용 세척기{WASHING APPARATUS FOR MOP }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봉걸레 1-1: 봉 1-2: 걸레 10: 세척용기 11: 세척조 12: 회전세척판 15: 장착구 20: 상부지지대 21: 힌지축 22: 베어링블록 23: 결합부재 30: 하부지지대 31: 힌지축 32: 베어링블록 33: 결합부재 40: 신축베어링밴드
본 고안은 봉걸레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세척조를 구비한 세척용기에 봉걸레를 수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걸레를 자동으로 세척은 물론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봉걸레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걸레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에 걸레를 장착하여 실내의 넓은 바닥을 청소하는 데에 사용되는 청소도구인데, 흐르는 물이나 용기에 담겨진 물 에 걸레를 담근 상태에서 수동으로 세척하게 된다.
최근에는 봉걸레의 세척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봉걸레의 세척기술은 세척용기에 담겨진 물에 봉걸레를 세척한 후, 걸레를 2개의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물기를 짜내는 정도의 기술이다.
결국, 이러한 종래의 봉걸레 세척기술은 여전히 걸레세척작업이 수작업에 의한 것이고, 다만 걸레의 탈수작업이 손쉽다는 것 외에는 종래와 다를 것이 없어 실용화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통상의 세척조를 구비한 세척용기에 봉걸레를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걸레를 자동으로 세척은 물론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봉걸레용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통상의 세척조와 회전세척판을 구비하면서 그 상부에 장착구를 구비하는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에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을 구비하여 봉걸레의 봉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세척용기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전후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을 구비하여 봉걸레의 봉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하부지지대;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지지대를 이용하여 봉걸레의 봉을 수직상태로 상기 세척용기내에 거치시키면서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용 세척기는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세척조(11)를 구비한 세척용기(10)와, 세척용기(10)의 상부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봉걸레(1)를 수직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거치시키는 상하부지지대(20,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세척용기(10)는 그 내부에 통상의 세척조(11)가 구비되어 있고, 이 세척조(11)의 바닥면 중앙에 통상적인 회전세척판(12)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 중앙에 마련된 장착구(15)를 통해 봉걸레(1)를 세척조(11)에 넣으면서 걸레(1-2)를 회전세척판(12)위에 올려 놓으면 회전세척판이 회전되면서 걸레를 세척한 후, 세척조가 회전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척용기(10)는 통상적인 세척기 구조를 갖게 되지만 봉걸레(1)의 전용세척기로서 상당히 작은 크기로 제작되고, 사각체 또는 원통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세척용기(10)의 상부측에 구비된 봉걸레지지수단은 세척용기내에서 봉걸레(1)의 세척시 봉걸레가 수직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걸레(1-1)가 세척시 회전세척판(12)에 의해, 또는 탈수시 세척조(11)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봉(1-1)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봉이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제자리에서 회전하지 않고 일정반경으로 선회 회전함으로써 걸레(1-2)의 세척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선회하는 봉에 의해 장착구(15)를 비롯하여 세척용기(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봉걸레지지수단으로서 서로 직교상태로 봉(1-1)을 지지하는 상하부지지대(20,30)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부지지대(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면서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상부지지대(20)는 곡면을 이루면서 그 상단에 반원통형의 베어링블록(22)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베어링블록(22)이 봉걸레(1)의 봉(1-1)을 감싸면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지지대(20)의 베어링블록(22)은 결합부재(23)에 의해 서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원통형의 체결상태에서 봉(1-1)을 수직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한쌍의 하부지지대(30)는 평면을 이루면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전후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내측단에 반원통형의 베어링블 록(32)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블록(32)이 봉걸레(1)의 봉(1-1)을 감싸면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하부지지대(30)의 베어링블록(32)은 결합부재(33)에 의해 서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원통형의 체결상태에서 봉(1-1)을 수직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하부지지대(20,30)는 봉걸레(1)의 봉(1-1)이 정확히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하측에서 잡아줌으로써 걸레(1-2)가 회전세척판(12)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봉도 함께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신축베어링밴드(40)를 봉(1-1)에 끼워 베어링블록(22,32)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봉의 원활한 회전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봉걸레의 세척 및 탈수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을 높이 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그 내부에 통상의 세척조(11)와 회전세척판(12)을 구비하면서 그 상부에 장착구(15)를 구비하는 세척용기(10)와;
    상기 세척용기(10)에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에 결합부재(23)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22)을 구비하여 봉걸레(1)의 봉(1-1)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상부지지대(20)와;
    상기 세척용기(10)에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면서 서로 전후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결합부재(33)에 의해 체결되는 베어링블록(32)을 구비하여 봉걸레(1)의 봉(1-1) 상부측을 회전가능하도록 감싸는 하부지지대(3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지지대(20,30)를 이용하여 봉걸레(1)의 봉(1-1)을 수직상태로 상기 세척용기(10)내에 거치시키면서 걸레(1-2)의 세척 및 탈수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1-1)중 상기 베어링블록(22,32)이 감싸는 위치에 각각 통상의 신축베어링밴드(40)를 장착하여 상기 봉(1-1)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용 세척기.
KR2020060005956U 2006-03-06 2006-03-06 봉걸레용 세척기 KR200417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56U KR200417860Y1 (ko) 2006-03-06 2006-03-06 봉걸레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56U KR200417860Y1 (ko) 2006-03-06 2006-03-06 봉걸레용 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851A Division KR100752444B1 (ko) 2006-03-06 2006-03-06 봉걸레용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860Y1 true KR200417860Y1 (ko) 2006-06-05

Family

ID=4176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56U KR200417860Y1 (ko) 2006-03-06 2006-03-06 봉걸레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8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76B1 (ko) 2009-12-30 2010-10-04 안정섭 대걸레의 세척수단과 탈수수단이 구비된 세척통
KR101032774B1 (ko) 2009-11-09 2011-05-06 지앤 천 탈수세탁장치
KR101154281B1 (ko) 2011-11-18 2012-06-13 (주)신성테크 봉걸레 세척장치
KR101196744B1 (ko) 2011-11-18 2012-11-07 (주)신성테크 봉걸레 세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74B1 (ko) 2009-11-09 2011-05-06 지앤 천 탈수세탁장치
KR100985376B1 (ko) 2009-12-30 2010-10-04 안정섭 대걸레의 세척수단과 탈수수단이 구비된 세척통
KR101154281B1 (ko) 2011-11-18 2012-06-13 (주)신성테크 봉걸레 세척장치
KR101196744B1 (ko) 2011-11-18 2012-11-07 (주)신성테크 봉걸레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860Y1 (ko) 봉걸레용 세척기
KR101622010B1 (ko) 세탁기
KR100752444B1 (ko) 봉걸레용 세척기
CN103603168A (zh) 一种滚球式洗衣机
WO2019056997A1 (zh) 拖把清洗系统
JP3148379U (ja) 水中不純物濾過構造
CN211511687U (zh) 拖把净污分离清洗系统
JP2004047714A5 (ko)
KR200268623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JP2012081209A (ja) 清掃用具
KR20100084312A (ko) 세탁기
CN203602911U (zh) 一种滚球式洗衣机
KR101098364B1 (ko) 걸레 세척장치
KR101360477B1 (ko) 봉걸레용 세척기
KR101281509B1 (ko) 걸레 세척장치
KR101154281B1 (ko) 봉걸레 세척장치
KR100599843B1 (ko) 밀걸레 세탁기 및 이동식 밀걸레 세탁 장치
KR200232770Y1 (ko) 탈수기
CN108049107B (zh) 一种鱼鳞式内筒洗衣机
CN203263332U (zh) 拖把的脱水器
JPH025994A (ja) 脱水洗濯機
KR20130005606U (ko) 두드리고 비벼빠는 걸레 세척기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CN207446811U (zh) 一种渔网高效清洗晾晒架
KR960000153A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