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35Y1 -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 Google Patents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35Y1
KR200417435Y1 KR2020060006767U KR20060006767U KR200417435Y1 KR 200417435 Y1 KR200417435 Y1 KR 200417435Y1 KR 2020060006767 U KR2020060006767 U KR 2020060006767U KR 20060006767 U KR20060006767 U KR 20060006767U KR 200417435 Y1 KR200417435 Y1 KR 200417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ct preventing
bed mattress
winding
expos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to KR2020060006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5Spring inlays of speci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47C23/0438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of speci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용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 구조를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닿지 않는 구조로 개선하여, 접촉 소음을 방지함과 함께 마찰 접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강도를 더욱 강화시켜 스프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침대, 매트리스, 스프링, 본체 스프링, 노출회선 스프링, 연결단, 제1접촉방지단, 제2접촉방지단, 접촉 소음 방지

Description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Spring structure for mattress}
도 1a, 1b, 1c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2a, 2b, 2c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4d는 도 4c와 유사하되, 하단 스프링에도 제2접촉방지단이 더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a, 5b, 5c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3실시예로서, 제1실시예 의 스프링과 동일하되, 그 하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4실시예로서, 제2실시예의 스프링과 동일하되, 그 하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5실시예로서, 종래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9a는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부에, 도 9b는 노출회선 스프링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스프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1a, 11b, 11c는 종래의 다른 형태를 갖는 스프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의 스프링이 갖는 단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된 사시도,
도 13은 통상의 침대 매트리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스프링 12 : 최상단 권선
14 : 최하단 권선 16 : 상단 스프링
18 : 하단 스프링 20 : 노출회선 스프링
24 : 연결단 26 : 헬리컬 코일
28 : 스프링 조립체 30 : 제1접촉방지단
32 : 제2접촉방지단 34 : 접촉방지공간
100,200,300,400,500,600,700 : 스프링
본 고안은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용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 구조를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닿지 않는 구조로 개선하여, 접촉 소음을 방지함과 함께 마찰 접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강도를 더욱 강화시켜 스프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매트리스는 침대틀상에 탑재되어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스프링 조립체와, 이 스프링 조립체의 상하면에 적층 부착되는 중간부재와, 스프링 조립체의 둘레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에지포머와, 상기 중간부재 및 에지포머의 표면을 감싸는 커버부재 등을 포함하여 제작되고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 조립체는 매트리스의 면적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들을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helical coil)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침대용 매트리스의 제작 공정을 첨부한 도 13을 참조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스프링(1)을 매트리스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으로 배열시키는 동시에 헬리컬 코일으로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조립체(2)의 제작 단계와; 상기 스프링 조립체(2)의 둘레면에 지지수단으로서, 에지포머(3: edge former)를 삽입 부착한 다음, 상기 스프링 조립체(2)의 상하면에 중간부재(4)로서, 펠트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여러겹의 쿠션수단을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부재(4)의 상하면 및 둘레면 그리고 에지포머(3)의 외표면 등을 커버(5)로 씌운 다음, 커버(5)의 이음부를 봉합수단(6)으로 봉합 처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침대용 매트리스(800)의 제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침 또는 휴식시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중간부재의 쿠션력 및 스프링의 완충력에 의해 흡수 및 완충되어, 사용자는 편리함 및 안락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프링 조립체를 구성하는 종래의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스프링 구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600)은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6)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끝단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 꼬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단 스프링(18)의 끝단 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이 끝나는 지점에 꼬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를 제작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스프링에서 최종 완충하여 흡수하게 되는 바, 큰 하중 및 작은 하중 등 모든 하중을 스프링에서 최종적으로 완충하여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하중이 불규칙적으로 집중되면, 스프링의 변형이 빠르게 진행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스프링의 변형에 따라 이웃하는 스프링끼리 접촉하여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큰 하중과 작은 하중을 별도로 분산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제작되었으며, 그 형상은 첨부한 도 11a 내지 11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형태를 갖는 스프링(700)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스프링 구조와 같이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상단 스프링(16)과,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이 끝나는 지점에서 평평하게 감기며 연장된 하단 스프링(18)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위쪽에 별도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일체로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끝단은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하단 스프링(18)의 끝단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이 끝나는 지점에 꼬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은 본체 스프링(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코일 형태로 감아진 형상을 가지며, 물론 상기 본체 스프링(10)에 비하여 쉽게 압축 변형되는 탄성력을 갖는다.
특히,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끝단으로부터 노출회선 스프링(20)으로 연장되는 부분(이하, 연결단이라 칭함)이 전체 스프링의 수직 중심축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단(24)과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서로 교차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침대 매트리스에 작은 하중(사용자가 뒤척이는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에서 그 충격을 완충/흡수하고, 매트리스에 큰 하중(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앉는 등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에서 그 충격을 완충/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에서 그 완충 기능을 별도로 분산하여 수행함으로써, 스프링의 변형 방지 및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형태를 갖는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첨부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끝단과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이어주고 있는 연결단(24)에도 압축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단(24)과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서로 교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단(24)이 하강하면서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닿아 접촉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침대 매트리스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되는 동시에 곧바로 상기 본체 스프링(10)이 압축되는 바,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될 때 상기 연결단(24)이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더 큰 충격으로 닿게 되고, 결국 접촉 소음을 더욱 크게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침대용 매트리스의 사용시 스프링에 의한 접촉 소음은 사용자에게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국 침대용 매트리스 제품에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이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반복적으로 마찰 접촉을 하게 되면, 얼마가지 않아 스프링 자체의 변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침대 매트리스용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 구조를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닿지 않는 구조로 개선하여,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노출회선 스프링이 압축될 때 상기 연결단이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전혀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촉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접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강도를 더욱 강화시켜 스프링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구현예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 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현예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스프링의 아래쪽에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더 형성하면서 상기 하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연결단에 상기 제1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현예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 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 스프링의 아래쪽에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더 형성하면서 상기 하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연결단에 상기 제1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하단 스프링에서 본체 스프링의 최하단 권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구현예는: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 스프링에서 본체 스프링의 최하단 권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의 높이는 5∼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수직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의 경사각은 0°∼ 6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a, 1b, 1c는 각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고, 첨부한 도 2a, 2b, 2c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 완충 기능을 별도로 분산 수행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은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10)과, 이 본체 스프링(10)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16,18)과,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20)과, 상기 상단 스프링(16)과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24)을 포함하는 구성된다.
특히,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은 본체 스프링(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 서 점차 좁아지는 직경을 이루며 코일 형태로 감아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본체 스프링(10) 및 노출회선 스프링(20)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단품은 매트리스 면적에 걸쳐 좌우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되는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상단 스프링(16) 및 하단 스프링(18)의 일측단이 헬리컬 코일(26: helical coil)에 의하여 서로 결합 고정되어, 첨부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조립체(28)로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100)은 상기 연결단(24)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될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접촉되지 않고 하강 이동을 하여 접촉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구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교차되거나 겹쳐짐 없이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압축시 함께 하강하는 제1접촉방지단(30)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을 접촉없이 그대로 지나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종래 스프링에서 발생하던 접촉 현상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스프링 구조(도 11a 내지 도 11c 참조)에 따르면, 상기 상단 스프링 (16)의 끝단과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24)이 나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위에서 보았을 때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과 서로 교차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압축과 함께 연결단(24)이 하강하면서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닿아 접촉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구조, 즉 상기 연결단(24)에 제1접촉방지단(30)이 구비됨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될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접촉하지 않고 그대로 지나는 하강 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접촉 소음 자체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 4b, 4c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5b, 5c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스프링 조립체로 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200)은 제1실시예의 스프링(100) 구조와 동일하되,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 제2접촉방지단(32)을 더 형 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이 끝나는 지점과 상기 상단 스프링(16)의 시작점간의 연결부위에 제2접촉방지단(32)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이때, 도 4b의 측면도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접촉방지단(32)의 뒤쪽 공간(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로 위쪽 공간)이 접촉방지공간(34)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될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이 하강하면서 제2접촉방지단(32)의 뒤쪽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과의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촉방지단(32)을 하단 스프링(18)의 최하단 권선(14)에도 제2접촉방지단(32)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본체스프링(10)의 탄성강도를 보다 보강해줄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4d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침대 매트리스에 하중이 가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압축될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도 하강을 하여 상기 제2접촉방지단(32)의 뒤쪽 공간, 즉 접촉방지공간(34)에 위치하게 되고, 결국 상기 제1접촉방지단(30)과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간의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접촉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작동시 동시에 나타나는 효과로서,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이 하강할 때 상기 하단 스프링(18)의 최하단 권선(14)에 형성된 제2접촉방지단 (32)이 본체스프링(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스프링(10)의 탄성강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만일, 침대 매트리스에 아주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제2접촉방지단(32)의 접촉방지공간(34)을 지나서 최상단 권선(12)쪽으로 더 하강하게 되지만, 이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은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의 바깥쪽을 통하여 접촉없이 하강 이동을 하게 되므로, 결국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접촉방지단(30)과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간의 접촉 자체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구조에 의하면, 위와 같은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의 접촉 방지 기능에 의거 소음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의 높이는 5∼40mm 범위이며, 높이를 한정한 이유는 5mm 이하 이면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의 형성 작업 자체가 어려우며, 40mm 이상이면 스프링 본연의 능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수직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의 경사각은 0°∼ 60°범위로 한정하는 바, 그 이유는 0°이면 노출회선 스프링(20)의 강성이 가장 양호하고, 60°이상이면 노출회선 스프링(20)의 강성이 약해짐과 함께 노출회선 스프링(20)의 충격 흡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3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의 스프링과 동일하되, 그 하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 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스프링(300) 특징은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상단 스프링(16)의 위쪽 뿐만아니라 하단 스프링(18)의 아래쪽에 일체로 연결한 점에 있고, 물론 상기 하단스프링(18) 및 노출회선 스프링(20)간에도 접촉소음 방지를 위하여 제1접촉방지단(30)이 형성된다.
첨부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4실시예로서, 제2실시예의 스프링과 동일하되, 그 하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스프링(400) 특징은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상단 스프링(16)의 위쪽 뿐만아니라 하단 스프링(18)의 아래쪽에 일체로 연결한 점에 있고, 물론 상기 하단스프링(18) 및 노출회선 스프링(20)간에 제1접촉방지단(30)이 형성되는 동시에 하단스프링(18)과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간에 제2접촉방지단(32)이 형성된다.
첨부한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의 제5실시예로서, 종래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에 노출회선 스프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스프링(500) 특징은 종래 코일 형태의 스프링(도 10a 및 도 10b 참조)의 상단 스프링(16)에, 또는 상단 및 하단 스프링(18)에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일체로 연결한 점에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상단 및/또는 하단 스프링과 상기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단에 제1접촉방지단 (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프링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체 스프링(10)의 상부에, 또는 상부 및 하부에 노출회선 스프링(2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노출회선 스프링(20)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1접촉방지단(30)만을 또는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을 형성하여 스프링간의 접촉 및 그 접촉에 따른 소음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있어서,
ⅰ) 상기 상단 스프링(12)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하거나,
ⅱ) 상기 상단 스프링(12)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서 상단 스프링(16)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2접촉방지단(32)을 형성하거나,
ⅲ) 상기 상단 스프링(12)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하단 스프링(18)과 그 아래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거나,
ⅳ) 상기 상단 스프링(12)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서 상단 스프링(16)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2접촉방지단(32)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스프링(18)과 그 아래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상기 제1접촉방지단(30)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는 동시에 하단 스프링(18)에서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32)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거나,
ⅴ) 상기 상단 스프링(12)과 그 위쪽의 노출회선 스프링(20)간의 연결부위에 제1접촉방지단(3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 스프링(10)의 최상단 권선(12)에서 상단 스프링(16)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2접촉방지단(32)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스프링(18)에서 본체 스프링(10)의 최하단 권선(14)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32)을 동일하게 더 형성시킨,
2중의 완충 구조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에서 그 완충 기능을 별도로 분산하여 수행함으로써, 스프링의 변형 방지 및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제1접촉방지단(30) 또는 제1 및 제2접촉방지단(30,32)에 의하여 스프링 강성이 증대됨과 함께 접촉소음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의하면, 침대 매트리스용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 구조를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닿지 않는 구조로 개선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에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노출회선 스프링이 압축될 때 상기 제1접촉방지단이 하강하면서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전혀 닿지 않게 되어 접촉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접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제1접촉방지단 이외에 상단 스프링과 본체 스프링간에 제2접촉방지단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1접촉방지단이 하강하면서 제2접촉방지단의 뒤쪽 공간에 위치되거나, 더 아래로 하강하더라고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을 접촉없이 그대로 지나는 하강을 하게 되므로, 접촉 소음을 더욱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접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본체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을 이어주는 연결단에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그에따라 스프링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2.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3.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스프링의 아래쪽에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더 형성하면서 상기 하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연결단에 상기 제1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4.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 스프링의 아래쪽에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더 형성하면서 상기 하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간의 연결단에 상기 제1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하단 스프링에서 본체 스프링의 최하단 권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5. 코일 형태의 본체 스프링과, 이 본체 스프링의 상하부에 평평하게 감겨진 상단 및 하단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된 노출회선 스프링과,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프링과 노출회선 스프링을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단에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상단 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접촉방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접촉방지단의 아래쪽에 위치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최상단 권선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접촉방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단 스프링에서 본체 스프링의 최하단 권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상기 제2접촉방지단을 동일하게 더 형성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의 높이는 5∼4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스프링의 수직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접촉방지단의 경사각은 0°∼ 6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2020060006767U 2006-03-14 2006-03-14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200417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67U KR200417435Y1 (ko) 2006-03-14 2006-03-14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67U KR200417435Y1 (ko) 2006-03-14 2006-03-14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307A Division KR100717543B1 (ko) 2006-03-14 2006-03-14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35Y1 true KR200417435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67U KR200417435Y1 (ko) 2006-03-14 2006-03-14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968A (ja) * 2007-02-20 2010-06-03 シーリー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非螺旋セグメントを有するインナースプリングコイルおよびインナースプリング
WO2019153028A1 (en) * 2018-02-09 2019-08-15 Madad Pty Ltd Wire coil and innerspr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968A (ja) * 2007-02-20 2010-06-03 シーリー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非螺旋セグメントを有するインナースプリングコイルおよびインナースプリング
WO2019153028A1 (en) * 2018-02-09 2019-08-15 Madad Pty Ltd Wire coil and innerspring system
CN111727002A (zh) * 2018-02-09 2020-09-29 美达私人有限公司 线型线圈和内置弹簧系统
GB2583324A (en) * 2018-02-09 2020-10-21 Madad Pty Ltd Wire coil and innerspring system
KR20200123427A (ko) * 2018-02-09 2020-10-29 마다드 피티와이 엘티디 와이어 코일 및 이너 스프링 시스템
GB2583324B (en) * 2018-02-09 2022-02-23 Madad Pty Ltd Wire coil and innerspring system
CN111727002B (zh) * 2018-02-09 2023-09-22 美达私人有限公司 线型线圈和内置弹簧系统
KR102635827B1 (ko) * 2018-02-09 2024-02-13 마다드 피티와이 엘티디 와이어 코일 및 이너 스프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543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JP4372123B2 (ja) 接触防止及び剛性補強構造を有するベッドマットレス用スプリング
EP2441353A1 (en) Pocket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EP2853176A1 (en) High tension coil spring for bed mattres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frictional noise
US20070101507A1 (en) Spring core
KR200417435Y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JP5674908B1 (ja) 接触騒音遮断手段を有するベッドマットレス用高弾性コイルスプリング
KR200421339Y1 (ko) 접촉 방지 및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용스프링
KR100820579B1 (ko) 침대매트리스용 코일스프링의 완충장치
WO2013005867A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110135577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110125447A (ko) 다중 코일스프링 구조
KR20180020465A (ko) 침대 매트리스 구조
MXPA06011452A (en) Spring structure for bed mattress
KR200423683Y1 (ko) 노출회선 스프링의 노출회선부를 삽입구 내부로 수용하여감싸주는 쿠션재
KR200195307Y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구조
KR20029588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S5940858Y2 (ja) スプリング構体
JP2003166586A (ja) バンプクッション
KR20090125864A (ko) 침대 설치 구조
KR20190139654A (ko)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치
KR20130057583A (ko) 적층형 스프링조립체를 갖는 침대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