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394Y1 - 방한용 귀마개 - Google Patents

방한용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94Y1
KR200417394Y1 KR2020060005347U KR20060005347U KR200417394Y1 KR 200417394 Y1 KR200417394 Y1 KR 200417394Y1 KR 2020060005347 U KR2020060005347 U KR 2020060005347U KR 20060005347 U KR20060005347 U KR 20060005347U KR 200417394 Y1 KR200417394 Y1 KR 200417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let groove
covering
bo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춘섭
Original Assignee
고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춘섭 filed Critical 고춘섭
Priority to KR202006000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94Y1/ko
Priority to CNU200720004708XU priority patent/CN201044785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를 보호하면서 방한 및 보온의 기능을 갖는 방한용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탄성을 갖는 소정길이의 띠 형상으로, 양단만이 각각 상기 제2덮개 또는 제3덮개의 편중된 위치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띠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방한용 귀마개{EAR COV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제작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21, 22 ; 걸림띠 23 ; 탄성벨트
31 ; 볼록체 32 ; 오목체
41, 42 ; 자성체
100 ; 귀마개 110 ; 골체
111 ; 단부 112 ; 이격홈
113 ; 인입홈 120 ; 제1덮개
121 ; 단부 122 ; 이격홈
123 ; 인입홈 130 ; 제2덮개
131 ; 인입홈 150 ; 제3덮개
160 ; 마감재
본 고안은 귀를 보호하면서 방한 및 보온의 기능을 갖는 방한용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및 혹한기에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접하게 되는 신체의 돌출부인 코 및 귀 등이 냉각되어 피부조직이 얼거나 심하면 괴사할 수 있다. 특히 귀의 경우에는 연골과 피부조직으로만 된 귓바퀴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혈액을 공급받으면서 냉기를 흡수하므로, 피부조직의 손상은 더욱 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귀의 보온 및 방한을 목적으로 하는 귀마개가 창안되었다.
이러한 귀마개들은 귀의 착용감을 높이고 단단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및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이러한 귀마개들 중, 구조적인 특성에 의한 장력으로 귓바퀴를 감아 고정됨으로서, 헤어밴드 또는 각종 걸림기구에 의존없이 귓바퀴에 그대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귀마개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용법을 도시한 도면이나, 도시된 방한용 귀마개(100)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귀마개는 종래에도 있었다.
이러한 귀마개의 경우, 별도의 헤어밴드 또는 걸림기구가 이용되지 않으면서 양쪽 귀에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한 쌍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독립된 두 개의 귀마개를 보관하거나 소지하기가 불편하였고, 한쪽을 분실할 경우에는 다른 한쪽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한 쌍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방한용 귀마개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고 있고, 착용함에 있어서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제한으로 인해 보완책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쌍이 각각 독립해 존재하는 귀마개의 관리를 일괄적으로 하여 분실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고, 착용감에 대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방한용 귀마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탄성을 갖는 소정길이의 띠 형상으로, 양단만이 각각 상기 제2덮개 또는 제3덮개의 편중된 위치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띠;
로 이루어진 방한용 귀마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방한용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걸림띠는 상기 제2덮개의 표면에 위치되되, 일부가 상기 인입홈을 경유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 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탄성을 갖는 소정길이의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2덮개 또는 제3덮개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탄성벨트;
로 이루어진 방한용 귀마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방한용 귀마개에 있어서,
상기 탄성벨트는 상기 제2덮개의 인입홈 내에 고정되어 외부로 인출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오목체와, 상기 오목체와 일정크기 이상의 수평력에 의해서만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볼록체를 각각 구비하는 방한용 귀마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성에 대응하여 인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성체를 각각 구비하는 방한용 귀마개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제작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100)는 귀 전체를 덮으면 서 그 일부가 귓바퀴에 걸려 고정되고, 이를 통해 외부 공기와 직접 맞닿게 되는 귓바퀴 부분의 방한 및 보온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1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됨은 물론, 이러한 제작과정에 의해 발생한 원리를 이용해 작동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100)는 기본 뼈대를 이루는 골체(1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골체(110)는 타원형상을 이루며 중간부에는 소정 범위로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인입홈(113)이 배치된다.
상기 인입홈(113)은 귓바퀴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 및 범위로 절개되며, 상기 인입홈(113)을 한정하는 골체(110)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이격되게 절개된다.
상기 골체(110)는 가요성 및 탄성을 지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체(110)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이격홈(112)을 이루고, 절개된 골체(110)의 끝은 각각 단부(111)가 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단부(111)를 강제로 끌어 연결수단(L)을 매개로 상호 단단히 연결한다. 즉, 상기 이격홈(112)이 매꿔지면서 상기 단부(111)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연결이 이루어지면, 이격홈(112)을 통해 외부로 개방되었던 상기 인입홈(113)이 폐쇄되는 한편, 상기 골체(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그 중심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삿갓 형태가 된다. 이때,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골체(110)을 둘 경우 그 평면을 상면부라 한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골체(110)는 그 중심부의 돌출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즉, 상면부로 돌출된 것을 그 중심에 힘을 가해 강제로 하면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탄성재질의 가요성 골체(110)가 구조역학적으로 갖는 주지의 현상으로, 이에 대한 원인과 이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렇게 형성된 골체(110)를 뒤집어 하면부가 드러나도록 한 후, 그 표면에 상기 하면부의 전체 형상에 상응하는 제1덮개(120)를 씌운다.
상기 제1덮개(120)는 외피를 이루게 되는 제2덮개(130) 및 제3덮개(150) 등이 상기 골체(110)와 직접 맞닿으면서 안착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어느 정도의 쿠션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덮개(120) 또한 상기 인입홈(113)에 상응하는 인입홈(123)을 가지며, 상기 골체(110)의 초기 모습에 상응하는 이격홈(122) 및 단부(121)를 갖고, 골체(110)의 형성과 동일한 과정으로 성형되어서 상기 골체(110)의 하면부 상에 씌워진다.
상기 제1덮개(120)는 제2덮개(130) 및 제3덮개(150)와는 달리 골체(110)와 일체로 작동하므로, 상기 골체(110)의 하면부에 단단히 부착되며, 여기서는 접착제와 같은 수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골체(110) 하면부 상에 제1덮개(120)가 씌워지면, 그 위로 제2덮개(130)가 씌워진다. 이때도 역시 골체(110) 및 제1덮개(120)에 있는 인입홈(113, 123)에 상응하는 인입홈(131)을 구비하며, 상기 제2덮개(130)의 겉면이 도 5의 하면부와 맞닿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2덮개(130)의 겉면이 귓바퀴와 직접 접촉되는 면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덮개(130)와, 제1덮개(120)가 씌워진 골체(110)와의 결합은 상기 인입홈(113, 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부분(B)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덮개(130)는 후술하는 이유로서, 상기 인입홈(131)의 범위는 상기 골체(110) 및 제1덮개(120)의 인입홈(112, 123)에 대응하고, 전체 면적은 상기 하면부의 면적을 초과한다.
상기 제2덮개(130)는 골체(110)의 하면부인 제1덮개(120)의 표면에 고정되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홈(113, 123, 131)을 통해 뒤집어서 제2덮개(130)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면이 상기 골체(110)의 상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덮개(130)의 겉면은 드러나고, 속면은 골체(110)의 상면부와 대면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홈(113, 123, 131)을 통해 뒤집힌 상기 제2덮개(130)는 그 속면이 골체(110)의 상면부에 고정되도록 하며,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덮개(130)의 가장자리를 끌어서 상기 골체(110)의 가장자리와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씌워진 제2덮개(130)의 반대면 즉, 상기 골체(110)의 하면부인 제1덮개(120)의 상면으로는 제3덮개(150)가 씌워져 고정되고, 이렇게 이루어지는 골체(110)를 중심으로 한 제1덮개 내지 제3덮개의 가장자리 층은 마감재(160)가 덮히면 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3덮개(150)는 상기 인입홈(113, 123, 131)에 상응하는 인입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골체(110)에 각각 고정된 제1덮개(120) 및 제2덮개(130)의 인입홈(113, 123, 131)의 일방을 폐구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3덮개(150)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골체(110)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3덮개(150)의 내면과 제1덮개(120)의 일면으로 둘러쌓이고 상기 인입홈(113, 123, 131)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귓바퀴를 상기 인입홈(113, 123, 131)으로 삽입하여 상기 공간에 안착시키고, 상기 인입홈(113, 123, 131)은 귓바퀴를 감싸면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인입홈(113, 123, 131)을 통한 귓바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골체(110)의 돌출방향을 힘을 가해 강제로 뒤틀어 변경시킨다.
이때, 골체(110)를 중심으로 고정되는 제1덮개 내지 제3덮개 및 마감재(160)는 미싱에 의한 박음질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귀마개(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한 쌍의 귀마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보관될 필요없이 용이하게 탈부착되면서도, 그 사용에는 불편없이 안락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첫번째 실시예로,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귀마개(101, 101')에 상면부 및/또는 후면부에 각각 걸림띠(21, 2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띠 (21, 22)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각각의 귀마개(101, 101')를 포개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띠(21, 22)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인 귀마개(101, 10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일방으로 편중되게 위치되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귀마개(101, 101')의 타방이 상기 걸림띠(21, 22) 안으로 삽입되어 단단히 조여지도록 한다.
즉, 상기 귀마개(101)는 자신의 몸체 일방에 위치한 걸림띠(21)로 다른 귀마개(101')의 타방을 수용하고, 자신의 몸체 타방은 다른 귀마개(101')의 걸림띠(22)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띠(21, 22)를 도 8에 도시한 위치보다 더 바깥쪽으로 배치시켜서 인입홈(113, 123, 131)을 통한 귓바퀴의 입출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띠(21, 22)를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인입홈(113, 123, 131)의 일단부를 덮듯이 위치시켜서 인입홈(113, 123, 131)으로 삽입된 귓바퀴와의 걸림가능성을 높여 착용감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띠(21, 22)는 귀마개(101, 102)의 상면부에만, 또는 후면부에만, 또는 상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엇갈리게 하나씩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두번째 실시예로, 상기 귀마개(103)에 고리형상의 탄성벨트(23)을 위치시켜서 다른 한짝을 상기 탄성벨트(23)로 묶어 구속하면서, 한 쌍의 귀마개(103)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벨트(23)는 귀마개(103)의 모든 부분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홈(113, 123, 13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벨트(23)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귀마개(103)를 서로 고정하는 용도로도 쓰일 수 있지만, 귀마개(103) 사용시에는 상기 탄성벨트(23)를 귓바퀴에 감아 고정함으로서, 귀마개(103) 착용시 고정성을 높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세번째 실시예로, 한 쌍의 귀마개(104, 104')를 탈부착시키는 단추를 매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단추는 오목체(32)와 볼록체(31)가 있으며, 상기 오목체(32)와 볼록체(31)는 상호 맞물려 고정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수평력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오목체(32)와 볼록체(3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홈(113, 123, 131) 내 제3덮개(150, 150')의 내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서 외곽에서 상기 오목체(32) 및 볼록체(31)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고안의 네번째 실시예로, 한 쌍의 귀마개(105, 105') 내에 각각 자성체(41, 42)를 두어, 상기 자성체(41, 42)의 인력을 통해 한 쌍의 귀마개(105, 105')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성체(41, 42)는 외곽에 드러날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 제1덮개 내지 제3덮개 내에 내장되어서 외곽에서는 가시할 수는 없으나 그 자력효과는 미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자성체(41, 42)는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에 자력을 받는 영구자석 또는 금속이 될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분리된 한 쌍의 귀마개를 하나로 고정하여 일괄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개별적인 분실을 막는 한편, 한 쌍의 귀마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되더라도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고 착용력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탄성을 갖는 소정길이의 띠 형상으로, 양단만이 각각 상기 제2덮개 또는 제3덮개의 편중된 위치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띠;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띠는 상기 제2덮개의 표면에 위치되되, 일부가 상기 인입홈을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3.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 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탄성을 갖는 소정길이의 고리 형상으로, 상기 제2덮개 또는 제3덮개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탄성벨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벨트는 상기 제2덮개의 인입홈 내에 고정되어 외부로 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5.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 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오목체와, 상기 오목체와 일정크기 이상의 수평력에 의해서만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볼록체를 각각 구비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방한용 귀마개.
  6. 귓바퀴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1인입홈이 돌출되도록 옆면만을 갖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고, 외력을 가해 상기 제1인입홈의 돌출방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탄성 및 가요성 재질의 골체;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2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일면을 덮는 제1덮개;
    상기 제1인입홈에 상응하여 연통하는 제3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골체의 타면을 덮는 제2덮개;
    상기 제1덮개를 덮으면서 가장자리만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인입홈을 통해서만 개구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3덮개; 및,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성에 대응하여 인력을 받는 또 다른 자성체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방한용 귀마개.
KR2020060005347U 2006-02-27 2006-02-27 방한용 귀마개 KR200417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47U KR200417394Y1 (ko) 2006-02-27 2006-02-27 방한용 귀마개
CNU200720004708XU CN201044785Y (zh) 2006-02-27 2007-02-05 防寒用耳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47U KR200417394Y1 (ko) 2006-02-27 2006-02-27 방한용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94Y1 true KR200417394Y1 (ko) 2006-05-26

Family

ID=393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47U KR200417394Y1 (ko) 2006-02-27 2006-02-27 방한용 귀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7394Y1 (ko)
CN (1) CN201044785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970A1 (ko) * 2011-09-30 2013-04-04 Bae Sanghyuk 스포츠 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644A (zh) * 2016-02-23 2016-05-04 徐漫 一种双海绵吸水耳罩
CN106214341B (zh) * 2016-09-20 2018-06-29 郑端金 一种头戴后戴两用式可调耳罩
JP7315762B1 (ja) 2022-07-08 2023-07-26 希 西荒井 イヤーウォーマ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970A1 (ko) * 2011-09-30 2013-04-04 Bae Sanghyuk 스포츠 밴드
US9706802B2 (en) 2011-09-30 2017-07-18 Sanghyuk Bae Sports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044785Y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1389A2 (en) Hairpiece and headwear incorporating the same
US20120047636A1 (en) Sports helmet
US20130232670A1 (en) Protective head gear
US9486030B2 (en) Audio pouch for helmet
KR200417394Y1 (ko) 방한용 귀마개
US20060010579A1 (en) Helmet head cushion
US6665881B2 (en) Head gear and method of use
JP2004515293A (ja) 着脱可能なストラップ付の眼鏡保持装置及びケース
KR200314976Y1 (ko) 귀마개
KR20190002755U (ko) 수면 안대
KR200417393Y1 (ko) 방한용 귀마개
EP3797618A1 (en) Face mask retention system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NL1022750C2 (nl) Masker.
KR100603534B1 (ko) 수면안대
KR20170001761U (ko) 귀걸이형 페이스 마스크 팩
KR200281390Y1 (ko) 귀마개
KR200474023Y1 (ko) 다용도 보온부재
KR200183712Y1 (ko) 옥이 부착된 안대
KR100653224B1 (ko) 프리 사이즈 모자
KR200419267Y1 (ko) 방탄모 턱끈에 결합 사용하는 안면보호대
KR20170001857U (ko) 귀걸이형 안면 하부 마스크 팩
KR200265785Y1 (ko) 보온용 귀마개
KR200345243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190011986A (ko) 이중으로 빛을 차단시키는 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