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367Y1 - 원형 볏짚 절단기 - Google Patents

원형 볏짚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67Y1
KR200417367Y1 KR2020060000735U KR20060000735U KR200417367Y1 KR 200417367 Y1 KR200417367 Y1 KR 200417367Y1 KR 2020060000735 U KR2020060000735 U KR 2020060000735U KR 20060000735 U KR20060000735 U KR 20060000735U KR 200417367 Y1 KR200417367 Y1 KR 200417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upport frame
cutting
cutter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식
Original Assignee
박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식 filed Critical 박노식
Priority to KR202006000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1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or drawn by a tractor, e.g. field c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0Feeding devices

Abstract

볏짚 절단기의 높이 및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볏짚 절단기의 이동이 자유롭고, 볏짚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형 볏짚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는 “∩”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일단이 용접 결합되면서 상부에는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을 가지며,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절단하고자 하는 볏짚뭉치가 절단 길이만큼 안내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과 제 2 지지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프레임부와, 개구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커터바디와, 커터바디를 구동시키는 커팅실린더를 갖는 커팅부; 및 제 1 지지프레임 및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안치판에 안치된 볏짚뭉치를 커팅부 및 개구부 측으로 절단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형 볏짚 절단기{CUTTING DEVICE FOR RICE STRA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볏짚 절단기의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원형 볏짚 절단기 110 : 프레임부
112 : 제 1 지지프레임 114 : 제 2 지지프레임
116 : 안치판 118 : 개구부
120 : 공간부 122 : 다리프레임
124 : 고정지지바아 130 : 커팅부
132 : 커터바디 134 : 커팅실린더
136 : 커터날 138 : 바디플레이트
140 : 커팅실린더로드 150 : 푸싱부
152 : 고정플레이트 154 : 푸싱실린더
156 : 푸싱실린더로드 158 : 푸싱바아
160 : 힌지 162 : 푸싱회전편
164 : 푸싱연장편 166 : 푸싱편
170 : 가압부 172 : 가이드프레임
174 : 가압프레임 176 : 가압실린더
178 : 가압바아 180 : 가압실린더로드
본 고안은 원형 볏짚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볏짚 절단기의 높이 및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볏짚 절단기의 이동이 자유롭고, 볏짚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형 볏짚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볏짚은 가을철 추수가 완료된 후 벼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를 말한다. 이러한 볏짚은 통상적인 작두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콩깍지 등과 배합하여 가축의 먹이로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볏짚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절단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절단기들은 원통형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를 고정된 칼날 또는 회전하는 띠톱 측으로 강제로 압송하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절단기는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볏짚뭉치는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으나, 통상 400~500㎏이상이 나가는 원통형상의 볏 짚뭉치를 절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예를 들면, 고정 칼날식 절단기는 강제로 압송되는 볏짚뭉치에 의해 칼날이 무뎌지거나 파손되어 칼날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칼날 교체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띠톱식 절단기는 마찬가지로 이송되는 볏짚뭉치에 의해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파손되거나, 볏짚의 절단 압력에 의해서 띠톱을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볏짚 절단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칼날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면서 투입되는 원형 볏짚 뭉치를 절단하는 절단기들이 주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절단기들은 실린더가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볏짚 절단기의 높이가 높아져 볏짚 절단기를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볏짚 절단기의 높이 및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볏짚 절단기의 이동이 자유롭고, 볏짚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형 볏짚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 을 가지면서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일단이 용접 결합되면서 상부에는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을 가지며, 제 1 지지프레임과 제 2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절단하고자 하는 볏짚뭉치가 절단 길이만큼 안내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과 제 2 지지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프레임부와,
개구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커터바디와, 커터바디를 구동시키는 커팅실린더를 갖는 커팅부; 및
제 1 지지프레임 및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안치판에 안치된 볏짚뭉치를 커팅부 및 개구부 측으로 절단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볏짚 절단기의 높이 및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볏짚 절단기의 이동이 자유롭고, 볏짚절단에 따른 노동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볏짚 절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100)는 절단하 고자 하는 원통형상의 볏짚뭉치(R)가 안치되는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볏짚뭉치(R)를 절단하는 커팅부(130)와, 프레임부(110)에 장착되어 볏짚뭉치(R)를 커팅부(130) 측으로 절단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푸싱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100)는 마찬가지로 프레임부(110)에 장착되고 절단 시 볏짚뭉치(R)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압부(170)를 더 구비한다.
먼저, 프레임부(110)는 대략“∩”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1 지지프레임(11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지지프레임(112)의 타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114)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타단에 일단이 용접 결합되면서 상부에는 볏짚뭉치(R)가 안치되는 안치판(116)을 구비한다.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내측으로는 절단하고자 하는 볏짚뭉치(R)가 절단 길이만큼 안내될 수 있도록 개구부(118)가 형성되고, 제 1 지지프레임(112)의 타단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일단 사이에는 커팅부(1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120)가 마련된다. 한편, 안치판(116)의 타단 하부 양측에는 지면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리프레임(1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다리프레임(122)과 인접한 제 2 지지프레임(114) 및 제 1 지지프레임(112)은 다리프레임(122)에서 제 2 지지프레임(114)을 거쳐 제 1 지지프레임(112)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지지바아(1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부(110)에는 커팅부(130) 및 푸싱부(150)가 장착된다.
커팅부(130)는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2 지지프레임(114) 사이 개구부 (118)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커터바디(132)와, 커터바디(132)를 구동시키는 커팅실린더(134)를 구비한다.
커터바디(132)의 하부에는 톱니형상을 가지는 커터날(136)이 장착되고, 커터바디(132)의 양측에는 커터날(136)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제 1 지지프레임(112) 및 제 2 지지프레임(114) 사이 공간부(120) 상에 배치되는 바디플레이트(138)가 일체로 장착된다. 한편, 커팅실린더(134)는 대략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양측 중앙부분에 장착되는데, 각각의 커팅실린더(134)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커팅실린더로드(140)의 연장단부는 각각의 바디플레이트(138)의 하측에 장착된다. 즉, 각각의 커팅실린더(134)가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양측에 중앙부분에 장착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100)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푸싱부(150)는 제 1 지지프레임(112)과 제 2 지지프레임(114)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2)와, 고정플레이트(152)의 일단 측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싱실린더(154)와, 고정플레이트(152)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부는 푸싱실린더(154)에서 신장되는 푸싱실린더로드(156)에 장착되어 안치판(116)에 안치된 볏짚뭉치(R)를 커팅부(130) 측으로 이송시키는 푸싱바아(158)를 구비한다.
푸싱바아(158)는 중앙부분이 고정플레이트(152)의 타단에 힌지(160) 결합되고 상부는 푸싱실린더로드(156)와 연결되는 푸싱회전편(162)과, 푸싱회전편(162)의 하부에서 안치판(116)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푸싱연장편(164) 및 푸싱연장편 (164)의 타단 하부에 장착되어 볏짚뭉치(R)에 밀착되는 푸싱편(16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볏짚 절단기(100)는 가압부(170)를 더 구비하는데, 가압부(170)는 제 2 지지프레임(114)에 인접한 안치판(116)의 양측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프레임(172)과, 각각의 가이드프레임(172)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선택적으로 볏짚뭉치(R)를 가압하는 가압프레임(174)과, 가압프레임(174)을 구동시키는 가압실린더(176)를 구비하는데, 가압프레임(174)의 양측에는 각각의 가이드프레임(172)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수직한 가압바아(178)가 형성된다. 한편, 가압실린더(176)는 각각의 가이드프레임(172)의 외측에 수직하게 장착되는데, 각각의 가압실린더(176)에서 연장되는 가압실린더로드(180)의 연장단부는 각각의 가압바아(178)의 외측에 연결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볏짚 절단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R)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볏짚뭉치(R)를 안치판(116) 상에 안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치판(116)에 볏짚뭉치(R)가 안치되면서 푸싱부(150)를 작동시켜 볏짚뭉치(R)를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커팅부(130), 즉 제 1 지지프레임(112) 및 제 2 지지프레임(114)의 개구부(118)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볏 짚뭉치(R)를 커팅부(13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푸싱실린더(154)를 작동시키는데, 푸싱실린더(154)가 작동함에 따라 푸싱실린더로드(156)는 신장되고, 푸싱실린더로드(156)가 신장됨에 따라 푸싱회전편(162)은 힌지(16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푸싱연장편(164) 및 푸싱편(166)은 안치판(116)에 안치된 볏짚뭉치(R) 측으로 선회하게 되고, 푸싱편(168)은 볏짚뭉치(R)의 타단에 밀착되면서 볏짚뭉치(R)를 커팅부(13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렇게 볏짚뭉치(R)의 일부분이 커팅부(130) 및 개구부(118) 측으로 이송 안내되면, 먼저 가압부(170)를 작동시켜 볏짚뭉치(R)를 가압한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각각의 가압실린더(176)를 작동시키는데, 가압실린더(176)가 작동함에 따라 가압실린더로드(180)는 수축되고, 가압실린더로드(180)가 수축됨에 따라 가압바아(178)는 가이드프레임(172) 내측으로 안내되며, 그 결과 가압프레임(174)은 안치판(116)에 안치된 볏짚뭉치(R)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볏짚뭉치(R)의 일부분이 커팅부(130) 및 개구부(118) 측으로 이송된 상태 하에서 가압부(170)에 의해 가압되면, 커팅부(130)를 구동시켜 볏짚뭉치(R)를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볏짚뭉치(R)를 절단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각각의 커팅실린더(134)를 작동시킨다. 커팅실린더(134)가 작동함에 따라 커팅실린더로드(140)는 신장되는데, 그 결과 커팅날(136)이 장착된 커팅바디(132)는 하강하면서 볏짚뭉치(R)를 절단하게 된다.
한편, 절단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커팅부(130)와, 가압부(170)를 복귀시킨 상태 하에서 다시, 푸싱부(150)의 푸싱실린더(154)를 작동시켜 절단되지 않은 볏짚 뭉치(R)의 일부분을 다시 커팅부(130) 및 개구부(118) 측으로 이송 안내시킨다. 그리고 다시 가압부(170) 및 커팅부(130)를 작동시켜 다시 한번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연속적인 방법으로 볏짚뭉치(R)를 연속하게 절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볏짚 절단기(100)는 커팅날(136)이 장착된 커팅바디(132)를 구동시키는 커팅실린더(134)가 제 1 지지프레임(112) 및 제 2 지지프레임(114)의 대략 양측 중앙부분에 장착됨으로써, 볏짚 절단기(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볏짚 절단기(100)를 이동할 때 차량적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이가 낮아 제작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일단이 용접 결합되면서 상부에는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볏짚뭉치가 안치되는 안치판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절단하고자 하는 상기 볏짚뭉치가 절단 길이만큼 안내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볏짚뭉치를 절단하는 커터바디와, 상기 커터바디를 구동시키는 커팅실린더를 갖는 커팅부; 및
    상기 제 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안치판에 안치된 상기 볏짚뭉치를 상기 커팅부 및 상기 개구부 측으로 절단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의 타단 하부 양측에는 지면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리프레임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다리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제 2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은 상기 다리프레임에서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을 거쳐 상기 제 1 지지프레임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지지바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바디의 하부에는 톱니형상을 가지는 커터날이 장착되고, 상기 커터바디의 양측에는 상기 커터날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 사이 상기 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바디플레이트가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커팅실린더는 대략 상기 제 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양측 중앙부분에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커팅실린더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커팅실린더로드의 연장단부는 각각의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 측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싱실린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부는 상기 푸싱실린더에서 신장되는 푸싱실린더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안치판에 안치된 상기 볏짚뭉치를 상기 커팅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푸싱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바아는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푸싱실린더로드와 연결되는 푸싱회전편과, 상기 푸싱회전편의 하부에서 상기 안치판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푸싱연장편 및 상기 푸싱연장편의 타단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볏짚뭉치에 밀착되는 푸싱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볏짚 절단기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절단 시 상기 볏짚뭉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2 지지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안치판의 양측 외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볏짚뭉치를 가압하는 가압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가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프레임의 양측에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수직한 가압바아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에 수직하게 장착되면서 각각의 상기 가압실린더에서 연장되는 가압실린더로드의 연장단부는 각각의 상기 가압바아의 외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볏짚 절단기.
KR2020060000735U 2006-01-10 2006-01-10 원형 볏짚 절단기 KR200417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735U KR200417367Y1 (ko) 2006-01-10 2006-01-10 원형 볏짚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735U KR200417367Y1 (ko) 2006-01-10 2006-01-10 원형 볏짚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67Y1 true KR200417367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735U KR200417367Y1 (ko) 2006-01-10 2006-01-10 원형 볏짚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3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1581B1 (en) Agricultural baling machine
ZA200706112B (en) Mower provided with an improved folding and unfolding device
KR200417367Y1 (ko) 원형 볏짚 절단기
KR101823373B1 (ko) 트랙터용 볏짚 절단기
CN212677814U (zh) 一种结构改良型的玉米切割打捆机
CN112959388A (zh) 一种节能环保的农用饲料切割设备
CN101326880B (zh) 双箱式饲草打捆机
CN109452674A (zh) 一种用于大豆的脱荚机
CN207290885U (zh) 一种用于吹塑机的产品裁切装置
KR101107772B1 (ko) 베일포장기의 랩 절단장치
CN211329541U (zh) 一种秸秆处理装置
CN211278594U (zh) 一种高效率中药用铡刀
CN2442499Y (zh) 往复式铡草机
CN113352369A (zh) 一种用于芦笋去根的裁切装置
KR200416443Y1 (ko) 원형볏짚절단기용 볏짚 가압장치
CN209937785U (zh) 一种对冲式液压冲床
KR101267573B1 (ko) 볏짚 절단기
KR200364103Y1 (ko) 원형 볏짚 절단기
KR200366945Y1 (ko) 원형 볏짚 절단기의 커팅부
KR100749014B1 (ko) 원형 볏짚 절단기
CN112791767A (zh) 一种辣椒面生产用装置
CN2595141Y (zh) 多功能扶禾器
KR200421093Y1 (ko) 볏짚 절단장치
KR100464820B1 (ko) 원형 볏짚 절단기
CN213317095U (zh) 一种车牌料片自定义切割冲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