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246Y1 - 자동 물 공급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물 공급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46Y1
KR200417246Y1 KR2020060006732U KR20060006732U KR200417246Y1 KR 200417246 Y1 KR200417246 Y1 KR 200417246Y1 KR 2020060006732 U KR2020060006732 U KR 2020060006732U KR 20060006732 U KR20060006732 U KR 20060006732U KR 200417246 Y1 KR200417246 Y1 KR 200417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ody
tank
por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학 김
Original Assignee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네이쳐 filed Critical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to KR2020060006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화분에 식재된 화초 즉 식물에 적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화초의 생육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은, 소정 크기로 식물을 식재하는 포트본체와 하부로 소정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조본체로 구성하고, 흡습연결재를 이용하여 수조본체의 물을 포트본체의 식물에 전달한다. 그리고, 수조본체의 일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물유입구가 1개 이상 형성된 돌출수조벽을 구성하고 돌출수조벽내에는 표시바가 설치된 부력체를 포함하며, 전면으로 투명창을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상기 포트본체의 분토와 수조본체의 바닥까지 연결하는 흡습연결재에 의해 모세관 현상으로 별도의 동력이 없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자동공급하여 식물 관리의 편리성을 높였다.
또한, 수조본체는 기존의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화분을 활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 혹은 자기로 만들어 미적으로 수려한 형태의 화분을 형성하며, 투명창과 부력체를 이용해 물 보충 시기를 쉽게 알 수 있다.
화분, 물 공급, 투시, 자동, 급수.

Description

자동 물 공급 화분{Auto water supply Flower po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과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를 포함한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창과 알림램프를 포함한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알림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a)(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 물 공급 화분 2 : 식물
100 : 포트본체 110 : 분토
120 : 통공 200 : 수조본체
210 : 돌출수조벽 211 : 물유입구
220 : 흡습연결재 230 : 포트받침부
240 : 충격방지용패드 250 : 부력체
251 : 표시바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화분에 식재된 화초 즉 식물에 적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화초의 생육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토를 채워 구성한다. 또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 받침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분들은 물과 양분의 공급을 분토가 가지고 있는 보습력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므로 식물의 성장 특성에 따라 화분의 크기와 분토의 양이 결정되는 것이고, 따라서 물 흡수량이 많은 식물의 경우 필요이상으로 큰 화분을 사용하게 됨으로 운반 및 물관리에 커다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분토에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물을 직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물주는 주기를 맞추기 어려워 식물이 고사하거나 수분 공급이 과다해 식물이 썩어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의 여행을 하는 경우 식물의 관리가 어렵다.
그리고, 상기 화분의 하부로 분토를 타고 바닥면의 통공을 통해 흘러나온 물을 받아내는 물받침대를 포함하지만 이는 크기가 작을 뿐더러 물이 넘쳐 화분을 둔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물 받침대에 고인 물은 분토를 통과하며 많은 이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이 마를 경우 이물질이 남아 미관상 좋지않다. 따라서 화분에 물을 줄 때는 적당한 양을 맞추기 어려워 화장실 등의 공간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이 식재된 포트본체의 하부로 일체형 혹은 분리 가능한 소정 크기의 수조본체를 형성하고, 수조본체의 물을 포트본체로 연결하는 흡습연결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일정 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화분에 식재된 화초에 적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 물 공급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조본체의 일측에 물의 양을 파악하고 부족한 물을 보충할 수 있게 물유입구와 필요에 따라 부력체를 포함하는 돌출수조벽을 구성하고 전면에 투명창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다 미적이고 세련된 감각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은 직접 화초 즉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본체와 상기 포트본체의 하부로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으며 물을 상부로 흡습해 이송하는 흡습연결재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수조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본체는 식물이 식재된 분토를 담고 바닥면에 통공을 형성한 것으로 기존의 화분(포트)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수조본체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별도 제작하여 전체 자동 물 공급 화분의 미적인 부분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조본체는 일정량의 물을 포함하는 통형상으로 포트본체의 하부로 상기 포트본체를 받치며 일체형 혹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작한다. 또한 수조본체의 바닥면에서 상부 포트본체의 분토까지 연결된 흡습연결재를 포함해 구성하여 상기 흡습연결재가 물을 빨아들이고 포트본체의 분토까지 이송해 일정기간동안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포트본체의 식물이 고사하지 않게 한다. 상기 흡습연결재는 천이나 부직포 등의 물을 충분히 빨아들일 수 있는 심지형태의 것으로 포트본체 내의 식물이 필요로 하는 물을 수조본체에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자동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는 상부측에 상기 포트본체를 받칠 수 있도록 포트받침부를 내주면상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충격방지 패드를 포트본체와 수조본체가 닿는 부위에 포함하여 상기 포트본체가 깨지기 쉬운 즉 사기등의 재료로 제작되었을 경우에 파손의 우려를 조기에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본체는 상기 포트본체와 일체형으로 꽉 차게 결합함으로써 흔들림이나 이송중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일측에 물의 재주입과 물의 양을 파악하 기 위해 소정크기로 물유입구를 형성하는 돌출수조벽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돌출수조벽의 물유입구는 수조본체의 외측벽에 위치하고 밖에서 수조본체 내부의 물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물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수조벽을 따라 상하로 물의 양에 의해 움직이는 표시바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바는 상기 돌출수조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부력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수조벽의 역할은 물을 주입하고 또한 물의 양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양을 보다 쉽게 파악하기 위해 상기 수조부의 전면 일측에 유리 혹은 투명플라스틱등을 이용한 투명창을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투명창은 자기로 만든 화분의 경우 물이 새지 않도록 실리콘 및 몰딩재 등을 이용하여 밀봉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에는 발광다이오드와 전극봉을 이용한 알림램프를 형성하는데, 상기 전극봉은 양 끝이 떨어진 액체접속단자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액체접속단자가 서로 떨어져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액체접속단자에 물이 닿으면 전기가 통하는 회로역할을 해 상기 전극봉을 연결하고 회로에 의해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통해 상기 수조본체 내부에 물이 충분하거나 혹은 부족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포트본체와 결합하는 수조본체의 상부측을 만개한 나팔꽃 형상 즉, 상부를 넓게 제작함으로써 포트본체와 수조본체가 결합하였을 때 측면부에 물 유입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물을 주입하며 외적으로도 곡선을 가지는 미적인 수려함을 더욱 부각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물 자동 공급화분은 수조본체의 흡습연결재가 물을 빨아들여 포트본체의 하부를 통해 분토내로 이송하고 상기 물을 식물이 이용하여 성장 하게 한다. 상기 수조본체는 플라스틱 또는 자기로 제작해 외관이 수려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의 탁상위에 사용하기 쉬우며, 일측에 물의 유입과 물 보충 시기를 알 수 있도록 물유입구가 형성된 돌출수조벽을 구성하고 전면에는 투명창을 이용해 보다 나은 미적외관을 구성하고, 충격방지 패드를 이용해 파손의 경우를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의 하부로 은코팅을 하거나 물에 은용액을 포함토록 하여 은나노기술 효과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도 물이 썩지 않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3과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체를 포함한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창과 알림램프를 포함한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알림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a)(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화분(1)은 화초 즉 식물을 식재하는 포트본체(100)와 흡습연결재(220)를 포함하는 수조 본체(200)로 크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본체(200)의 일측으로 물보충을 위해 물유입구(211)가 형성된 돌출수조벽(210)을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포트본체(100)는 종래에 사용하던 화초 즉 식물(2)이 식재된 화분(포트)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외적인 수려함과 수조본체(2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바닥면에 통공(120)을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하고, 내부로 식물(2)이 식재된 분토(110)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본체(100)를 별도로 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본체(200)는 상기 포트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측에 포트본체(100)를 안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수조본체(200)의 상부측에는 내주면상에 내측으로 돌출한 형태로 상기 포트본체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받침부(230)를 형성하는데, 상기 포트받침부(230)는 수조본체(200)와 포트본체(100)가 결합할 때 흔들림이나 이동중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안착되는 포트본체 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충격방지패드(240)를 내측이나 상측에 포함토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본체(200)는 자기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200)는 식재된 식물(2)이 별도의 물공급없이 한동안 자랄 수 있도록 일정량의 충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수조본체(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포트본체(100)의 통공(120)을 거쳐 분토(110)내부까지 연결한 흡습연결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흡습연결재(220)는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수조본체(200) 내부의 물을 흡수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포트본체(100)로 물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이송된 물은 분토(110)내에 흡수되 고 식재된 식물(2)의 뿌리가 재차 물을 흡수하여 식물(2)이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
더하여, 상기 수조본체(200)의 일측에 수조본체(200) 내부에 있는 물의 양을 파악하고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수단으로 1개 이상의 물유입구(211)를 가지는 소정크기의 돌출수조벽(210)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돌출수조벽(210)은 상측에 외부로 뚫려 연통된 물유입구(211)를 형성하며 수조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한 것으로 상기 수조본체(200)의 외주면이 내벽의 역할을 하게 되고 하부로는 소정 크기의 물유입로(212)를 형성해 상기 수조본체(200)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물의 양을 파악하고자 할 때는 상기 돌출수조벽(210)의 물유입구(211)를 통해 파악하고, 부족한 물을 보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물유입구(211)를 통해 부족분의 물을 주입하고 하측의 물유입로(212)를 통해 물을 수조본체(200)내부에 채우는 방식으로 물을 보충한다.
상기 포트본체(100)와 수조본체(200)는 플라스틱 혹은 자기 등 통상의 화분을 만드는 재질로 미적인 감각을 고려하여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이 수월하고 곡선의 수려함을 가진 자기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200)의 하부로 은코팅을 하거나 물에 은용액을 포함토록 하여 은나노기술 효과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도 물이 썩지 않도록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포트본체(100)와 수조본체(2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물 공급 화분(1)은 보다 쉽게 수조본체(200) 내부의 물의 양을 파악하기 쉽도록 돌출수조벽(210) 내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력체(25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250)는 물을 유입할 때는 수조본체(200)의 차오르는 물의 수위에 따라 위로 이동하고 반대로 증발과 흡습연결재(220)에 의한 물의 이송으로 인해 물의 양이 줄어들 때는 상기 돌출수조벽(210)과 수조본체(20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타고 아래로 움직이는 것으로 물에 뜨기 쉬운 재질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수조벽(210)이 형성하는 물유입구(211)의 공간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이다. 또한, 상측에 시각적으로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 형식의 표시바(251)를 일체로 포함하는데, 상기 표시바(251)는 빨강, 파랑, 녹색 등의 색깔별로 구분을 하고 물을 주입했을 때 이동하는 부력체(250)에 의해 돌출수조벽(210) 내부로 떠올라 현재 수조본체(200)의 물의 양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수조벽(210)은 하부로 물유입로(212)를 통해 수조본체(200)내부와 연통되게 형성하기도 하지만,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물유입로가 존재하지 않고 돌출수조벽(210)이 수조본체(200)의 일체형으로 외주면역할을 하기도 한다. 물유입구(211)측의 내벽역할을 하던 수조본체(200) 부분이 없이 형성한 것으로 유입한 물은 바로 수조본체(200)에 채워진다.
따라서, 이때에는 물의 양에 따라 움직이는 부력체(250)를 지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 돌출수조벽(210)의 일측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부력체가이드(212)를 형성하고 상기 부력체(250)에는 가이드홈(252)을 형성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상기 부력체(250)는 물의 양의 변화에 따라 상기 부력체가이드(21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흙을 이용한 자기형태의 수조본체(200)를 제 작할 때 성형이 쉬운 방법으로 내벽을 구성하거나 가이드(212)를 형성해 상기 자동 물 공급 화분(1)을 구성한다.
도 5는 수조본체(200)의 전면부 일측에 소정 크기의 투명창(260)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자기가 아닌 플라스틱 등의 가공이 수월한 재질로 자동 물 공급 화분(1)을 제작할 때 상기 수조본체(200) 내부를 볼 수 있어 물의 양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260)은 강화유리 혹은 플라스틱 등 투명하면서도 깨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며 자기 등을 이용한 화분(1)의 제작에는 실리콘이나 몰딩재 등를 사용해 투명창(260)을 고정하여 수조본체(2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단단히 밀봉한다.
또한, 물의 양을 파악하기 쉽도록 상기 수조본체(200)의 일측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알림램프(270)를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알림램프(270)는 빨강, 파랑, 초록 등의 색깔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조본체(200)내부 물의 수위변화에 따라 알림램프(270)가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물 보충시기를 알려준다. 이는 필요에 따라 부력체(250)와 투명창(260)과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동일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선택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알림램프(270)의 기능과 작동상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알림램프(270)는 상기 수조본체(200)의 일측으로 발광다이오드(271)와 액체접속단자(273)를 가진 전극봉(272)이 회로연결되어 구성한다.
상기 수조본체(200)의 일측이나 물유입구(211)를 형성한 돌출수조벽(210)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고 회로를 연결하며 외측으로 전원(P)과 색깔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271)를 구성한다. 수조본체(200)의 내측에 형성된 전극봉(272)은 단자끼리 떨어져 보통의 상태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액체접속단자(273)을 포함하여 수조본체(200) 내부에 위치하는 깊이가 다르도록 각각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의 양이 A의 위치로 차 있을때는 수조본체(200)의 물이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액체접속단자(273)에 닿게 되고 떨어져 있던 단자(273)는 물이 전기가 통하므로 열려있던 회로가 닫혀 전원(P)의 전기가 회로에 흐름으로 그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진 발광다이오드(271)의 불이 켜지게 된다. 이에 따라, A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발광다이오드(271)의 색깔을 확인하고 사용자는 현재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고, 물 보충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의 수위가 B와 C의 위치로 있을때는 또한 그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진 발광다이오드(271)가 켜진다.
상기 알림램프(270)는 물의 양에 따라 불이 켜지는 방식을 사용한 경우지만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램프의 점멸을 이용한 물의 양을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a)(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물을 주입하는 물유입구(211a)를 상기 포트본체(100)와 수조본체(200)가 결합한 부위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수조본체(200)의 상부측은 만개한 꽃봉오리의 형상으로 벌어져 있으며 상기 포트본체(100)는 상기 수조본체(200)의 내측에 형성한 포트받침부(230)에 안착되고 충격방지패드(240)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포트받침부(23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떨어진 포트받침부(230) 사이로 물유입구(211a)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자동 물 공급 화분(1)은 투명창(260) 혹은 알림램프(27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물의 양과 보충시기를 확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자동 물 공급 화분에 의하면, 흡습연결재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장기간동안 별도의 동력이 없이 화초의 특성에 맞게 수분이 자연 조절 공급되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식물 관리의 편리성을 높였다.
또한, 수조본체는 기존의 화분에 분리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화분을 활용할 수 있고 하부로 물이 흐를 염려가 없어 가정이나 사무실의 탁상위에 사용하기 쉽다.

Claims (8)

  1. 내부에 분토를 포함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화분에 있어서,
    하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분토와 식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본체와;
    일정량의 물을 포함하는 공간을 가지고 상부측에 상기 포트본체가 안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상에서 돌출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트받침부를 구성한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외주면 일측에 상부로 물유입구를 1개 이상 형성하고 하부로 수조본체 내부와 연통한 물유입로를 형성한 돌출수조벽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수조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포트본체의 분토층까지 연결한 흡습연결재로 구성하여, 상기 흡습연결재에 의해 수조본체에서 포트본체까지 물을 이송함으로 장시간동안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의 일측으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구를 형성한 돌출수조벽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로 수조본체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상측에 표시바를 일체로 형성한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조벽은 상기 수조본체의 외주면의 연장선상으로 상부로 물유입구를 형성하고 수조본체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조벽의 내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부력체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부력체가이드를 따라 수조본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의 일측에 물의 수위에 따라 회로가 연결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림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램프는 수조본체의 외측으로 전원부와,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다이 오드를 구성하고, 두 개의 액체접속단자를 가지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대응하는 수의 전극봉을 수조본체 내부에 서로 회로로 연결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하는 액체접속단자가 수조본체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물의 접촉에 따라 전기를 통하게 해 발광다이오드의 점등 또는 소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8. 내부에 분토를 포함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화분에 있어서,
    하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분토와 식물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본체와;
    일정량의 물을 포함하는 공간을 가지고 상부측에 상기 포트본체가 안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상에서 돌출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트받침부와 상기 포트본체와의 결합부에 물유입구를 형성한 상부가 넓은 형태의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일측으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형성하고;
    상기 수조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포트본체의 분토층까지 연결한 흡습연결재로 구성하여, 상기 흡습연결재에 의해 수조본체에서 포트본체까지 물을 이송함으로 장시간동안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화분.
KR2020060006732U 2006-03-13 2006-03-13 자동 물 공급 화분 KR200417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32U KR200417246Y1 (ko) 2006-03-13 2006-03-13 자동 물 공급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32U KR200417246Y1 (ko) 2006-03-13 2006-03-13 자동 물 공급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46Y1 true KR200417246Y1 (ko) 2006-05-24

Family

ID=4176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32U KR200417246Y1 (ko) 2006-03-13 2006-03-13 자동 물 공급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4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KR100982629B1 (ko) 2008-05-15 2010-09-15 박광서 급수통과 화분받침대가 일체화된 조형 화분
CN103155841A (zh) * 2011-12-22 2013-06-19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给水的装置及盆栽容器
CN103168664A (zh) * 2011-12-22 2013-06-26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水装置及盆栽容器
KR20190002516U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KR20230001979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루비 모듈형 식물 재배기 및 이의 조립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KR100982629B1 (ko) 2008-05-15 2010-09-15 박광서 급수통과 화분받침대가 일체화된 조형 화분
CN103155841A (zh) * 2011-12-22 2013-06-19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给水的装置及盆栽容器
CN103168664A (zh) * 2011-12-22 2013-06-26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水装置及盆栽容器
CN103168664B (zh) * 2011-12-22 2015-09-16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水装置及盆栽容器
CN103155841B (zh) * 2011-12-22 2015-09-16 北京仁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补给水的装置及盆栽容器
KR20190002516U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KR200490771Y1 (ko) * 2018-03-30 2019-12-31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KR20230001979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루비 모듈형 식물 재배기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594316B1 (ko) 2021-06-29 2023-10-26 주식회사 루비 모듈형 식물 재배기 및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246Y1 (ko) 자동 물 공급 화분
KR101354307B1 (ko) 피동식 급수 화분체
US5502924A (en) Planter assembly having automatic water-feeding and drying intervals
US20110000131A1 (en) Flower pot using humidity sensor material to prompt watering
KR101677675B1 (ko) 수분이 자동 보충되는 관상용 화분
KR200405109Y1 (ko) 다용도 어항
JP4898161B2 (ja) 植木鉢
CN201042142Y (zh) 可自动浇水的夹层花盆
CN203167664U (zh) 便于通氧和浇水的花盆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JP2020191821A (ja) 動植物共生観賞用鉢
CN204888124U (zh) 一种自浇水花盆
CN204811539U (zh) 一种生态鱼缸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CN107980418B (zh) 具有液位显示功能的植物生长机
CN207340906U (zh) 一种干湿平衡储供水一体花盆
KR101445189B1 (ko) 배양액 확인과 보충이 용이한 양액 재배기
CN218125687U (zh) 一种花盆
CN102771373A (zh) 一种种植箱
CN212487454U (zh) 一种可自动吸水的花盆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CN220402512U (zh) 一种具有自动提示浇水的花盆
KR200330264Y1 (ko) 장식용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