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215Y1 -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15Y1
KR200417215Y1 KR2020060005923U KR20060005923U KR200417215Y1 KR 200417215 Y1 KR200417215 Y1 KR 200417215Y1 KR 2020060005923 U KR2020060005923 U KR 2020060005923U KR 20060005923 U KR20060005923 U KR 20060005923U KR 200417215 Y1 KR200417215 Y1 KR 200417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p
sealing
contents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근서
Original Assignee
(주)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진 filed Critical (주)민진
Priority to KR202006000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6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bayonet cams, i.e. removed by first pushing axially to disengage the cams and then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 및 폐쇄가 편리하고, 보관 시 관리소흘로 인해 포장용기가 엎어지거나 옆으로 구를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뚜껑의 내부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밀폐용 돌기(31)가 내주연에 서로 떨어져 돌출된 뚜껑(30)과, 상기 뚜껑(30)에 돌출된 각 밀폐용 돌기(31)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연의 횡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일측부가 하부로 굴곡진 밀폐 안내용 테(41), 상면에 내용물(G)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누르는 힘(P1)에 의해 압착되고, 누르는 힘(P1)이 제거 시 복원되는 스프링부재(51)가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으로 이루어진다.
포장용기, 화장품, 겔, 스프링

Description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Packing courage with convenient opening and closing}
도 1은 종래의 점성도가 높은 겔타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구성 중 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의 개방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 요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30 : 몸체 11 : 나사산
20,30 : 뚜껑 21 : 나사홈
31 : 밀폐용 돌기 32 : 고정판
32a : 고정테 41 : 밀폐 안내용 테
42 : 밀폐용 홈 50 :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
51 : 스프링부재 52 : 대응고정판
52a : 대응고정테 53 : 밀폐용 오링
본 고안은 개방 및 폐쇄가 편리하고, 보관 시 관리소흘로 인해 포장용기가 엎어지거나 옆으로 구를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뚜껑의 내부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점성도가 높은 겔타입으로 이루어진 의약품(겔타입의 안티프라민) 및 화장품(콜드 크림)은 외부로 그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성도가 높은 겔타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성도가 높은 겔타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포장용기는 상면에 내용물(G)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11)이 형성된 몸체(10)와, 내주연에 나사홈(21)이 형성된 뚜껑(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기는 밀폐성을 좋게 하기 위해, 내용물(G)이 수용된 몸체(10)와 뚜껑(20)은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는 포장용기를 구성하는 몸체(10)에 나사체결된 뚜껑(20)을 해제한 후 필요량 만큼 내용물(G)을 사용한 후 나사체결하여 보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점성도가 높은 겔타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포장용기는 밀폐성을 위해 나사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시 개폐가 불편한 사용상의 문제점 이 있다.
또한, 보관 시 관리소흘로 인해 포장용기가 엎어지거나 옆으로 구를 경우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동하여 뚜껑의 내부면에 묻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개폐가 나사타입이기 때문에 유아(2∼3세 정도)가 쉽게 포장용기를 개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도 야기시킬 수 있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방 및 폐쇄가 편리하고, 보관 시 관리소흘로 인해 포장용기가 엎어지거나 옆으로 구를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뚜껑의 내부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방구조를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정해진 부분까지 회동을 해야만 뚜껑이 개방되게 하여 유아가 쉽게 개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용기에 의한 안전사고도 최소화 시켜 주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구성 중 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의 개방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 요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밀폐용 돌기(31)가 내주연에 서로 떨어져 돌출된 뚜껑(30)과, 상기 뚜껑(30)에 돌출된 각 밀폐용 돌기(31)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연의 횡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일측부가 하부로 굴곡진 밀폐 안내용 테(41), 상면에 내용물(G)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누르는 힘(P1)에 의해 압착되고, 누르는 힘(P1)이 제거 시 복원되는 스프링부재(51)가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40) 상에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을 상기 몸체(40) 상에 놓을 시 상기 스프링부재(51)의 끝단면부가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뚜껑(30)의 내주연에 돌출된 밀폐용 돌기(31)는 짝수개로 구비되되, 바람직하게는 4개 정도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90°만 회전하면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게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부재(51)는 탄성스프링, 비틀림스프링 등과 같이 누르는 힘(P1)에 의해 압축되고, 그 가해진 힘(P1)을 제거할 시 복원되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진 힘에 의해 휨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복수개의 막대를 등방향으로 원형 배치된 것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30)의 외주연에 돌출된 밀폐 안내용 테(41)의 굴곡진 일측부의 끝단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가해지는 힘(P1)에 의해 뚜껑(30)이 더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몸체(40)의 외주연의 횡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 안내용 테(41)의 타측부도 하부로 굴곡지되,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이 안착된 상기 몸체(40) 상에 놓여진 상기 뚜껑(30)을 누른 상태에서 돌렸을 때 상기 뚜껑(30)의 내주연에 돌출된 밀폐용 돌기(31)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굴곡진 길이를 갖도록 제작한다.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환형의 고정판(32)이 일체로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고정판의 내측면의 끝단에는 환형의 고정테(3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대응 고정판(52)이 일체로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대응 고정판(52)의 외측면의 선단에는 환형의 대응 고정테(52a)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상면에 구비된 환형의 대응 고정판(52)을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32)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끼워 넣어,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32)의 내주연에 돌출된 고정테(32a)의 상측면에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52)의 외주연에 돌출된 대응 고정테(52a)의 하측면이 걸림으로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판(32)의 내주연에 돌출된 고정테(32a)가 끝나는 부분부터 일체 로 연결된 뚜껑(30) 까지의 길이는 뚜껑(30)의 내주연에 돌출된 밀폐용 돌기(31)가 가해진 힘(P1)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단턱에 닿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하부 외주연에는 밀폐용 오링(53)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40)의 내주연에는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에 구비된 밀폐용 오링(53)의 대응되는 위치에 밀폐용 홈(42)을 형성하여 안착 시 밀폐성을 향상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뚜껑(30)에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상부가 끼움 고정되고,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하부가 몸체(40)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때,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밀폐용 오링(53)이 몸체(40)의 내주연에 형성된 밀폐용 홈(42)에 밀착되어 있고 또한, 뚜껑(30)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된 밀폐용 돌기(31)가 몸체의 밀폐 안내용 테(41)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리소흘로 인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G)이 뚜껑(30)의 내부면이나 또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준다.
이처럼 밀폐된 본 고안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G)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밀폐된 뚜껑(30)을 힘(P1)을 주어 누르면 뚜껑(31)의 내부면에 접촉된 스프링부재(51)가 압축되면서 뚜껑(30)이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스프링력에 의해 몸체(40)의 밀폐 안내용 테(41)의 하측면에 걸려진 뚜껑(30)의 밀폐용 돌기(31)도 하부로 이동하면서 몸체(40)에 형성된 단턱에 닿는다.
이후, 시계반대방향으로 힘(P2)을 주어 뚜껑(30)을 회동하면 몸체(40)의 단턱 부근에 위치한 밀폐용 돌기(31)도 같이 회동하면서 밀폐 안내용 테(41)의 굴곡진 타측부와 단턱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통과한다.
이후, 사용자가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뚜껑(30)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압축된 스프링부재(51)가 복원되면서 뚜껑(30)의 밀폐가 해제된다. 이때, 밀폐 해제된 뚜껑(30)을 들어올리면, 뚜껑(30)에 끼움고정된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도 함께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편하게 밀폐된 뚜껑(30)을 연 후 내용물(G)을 사용하고, 앞에서 언급한 개방과정의 역순으로 뚜껑(30)을 다시 밀폐함으로써 간편하게 본 고안의 포장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뚜껑(30) 상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정해진 회동각도(90°)까지 회동해야만 뚜껑(30)이 개방되기 때문에 유아가 단지 뚜껑(30)을 회동시킬 경우에는 몸체(40)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밀폐시켜주는 뚜껑(30)이 개방되지 않아 유아를 통해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도 최소화 시켜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개방 및 폐쇄가 편리하고, 보관 시 관리소흘로 인해 포장용기가 엎어지거나 옆으로 구를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뚜껑의 내부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뚜껑의 개방이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 상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정해진 회동각도까지 회동해야만 뚜껑이 개방되기 때문에 유아를 통해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도 최소화 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2개 이상의 밀폐용 돌기(31)가 내주연에 서로 떨어져 돌출된 뚜껑(30)과,
    상기 뚜껑(30)에 돌출된 각 밀폐용 돌기(31)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연의 횡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일측부가 하부로 굴곡진 밀폐 안내용 테(41), 상면에 내용물(G)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누르는 힘(P1)에 의해 압착되고, 누르는 힘(P1)이 제거 시 복원되는 스프링부재(51)가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40) 상에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0)을 상기 몸체(40) 상에 놓을 시 상기 스프링부재(51)의 끝단면부가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의 외주연의 횡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밀폐 안내용 테(41)의 타측부도 하부로 굴곡지되,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이 안착된 상기 몸체(40) 상에 놓여진 상기 뚜껑(30)을 누른 상태에서 돌렸을 때 상기 뚜껑(30)의 내주연에 돌출된 밀폐용 돌기(31)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굴곡진 길이를 갖도록 제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환형의 고정판(32)이 일체로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고정판의 내측면의 끝단에는 환형의 고정테(3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대응 고정판(52)이 일체로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대응 고정판(52)의 외측면의 선단에는 환형의 대응 고정테(52a)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상면에 구비된 환형의 대응 고정판(52)을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32)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끼워 넣어, 상기 뚜껑(30)의 내부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32)의 내주연에 돌출된 고정테(32a)의 상측면에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52)의 외주연에 돌출된 대응 고정테(52a)의 하측면이 걸림으로서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의 하부 외주연에는 밀폐용 오링(53)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40)의 내주연에는 상기 내용물 이탈방지용 캡(50)에 구비 된 밀폐용 오링(53)의 대응되는 위치에 밀폐용 홈(42)을 형성하여 안착 시 밀폐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KR2020060005923U 2006-03-06 2006-03-06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KR200417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23U KR200417215Y1 (ko) 2006-03-06 2006-03-06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23U KR200417215Y1 (ko) 2006-03-06 2006-03-06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15Y1 true KR200417215Y1 (ko) 2006-05-25

Family

ID=4176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23U KR200417215Y1 (ko) 2006-03-06 2006-03-06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46B1 (ko) * 2006-06-02 2007-07-04 박석우 위험물 안전 개폐 용기
CN110294207A (zh) * 2019-07-22 2019-10-01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儿童锁盒子
CN114132623A (zh) * 2021-12-24 2022-03-04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盗储物盒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46B1 (ko) * 2006-06-02 2007-07-04 박석우 위험물 안전 개폐 용기
WO2007142429A1 (en) * 2006-06-02 2007-12-13 Suk Woo Park Openable and closable safety container for hazardous materials
GB2451052A (en) * 2006-06-02 2009-01-14 Suk Woo Park Openable and closable safety container for hazardous materials
GB2451052B (en) * 2006-06-02 2011-03-02 Suk Woo Park Child proof safety container
US8636160B2 (en) 2006-06-02 2014-01-28 Suk Woo Park Safety container with safety locking part
CN110294207A (zh) * 2019-07-22 2019-10-01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儿童锁盒子
CN110294207B (zh) * 2019-07-22 2024-05-14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儿童锁盒子
CN114132623A (zh) * 2021-12-24 2022-03-04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盗储物盒
CN114132623B (zh) * 2021-12-24 2023-12-12 东莞市镭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盗储物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462A (en) Snap hinge made of plastic and container for longitudinally extending diagnostic test supports
US20080011704A1 (en) Tamper Indicative Closure
US20140053942A1 (en)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CN108357778B (zh) 将产品分配在容器中的盒
CN103209902A (zh) 安全盖
CN103648922A (zh) 容器和封闭件
ES2401969T3 (es) Una botella con una tapa segura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US6149022A (en) Bottle and cap
KR200417215Y1 (ko)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JP5281355B2 (ja) ヒンジキャップ付き容器
JP426925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KR20160064169A (ko) 계측 뚜껑
JP5294722B2 (ja) 容器
JP5804849B2 (ja) 逆止弁付注出具及びこれのキャップ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AU2005282233B2 (en) Tamper indicative closure
JP4666442B2 (ja) 衝撃吸収容器
RU180062U1 (ru) Кег с фитингом
KR20039609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CN110621588B (zh) 用于流体容器的分配闭合件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200379603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210076096A (ko) 적어도 하나의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RU2483010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посредством вращения и пробивающее прокладку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