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005Y1 -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005Y1
KR200417005Y1 KR2020060003844U KR20060003844U KR200417005Y1 KR 200417005 Y1 KR200417005 Y1 KR 200417005Y1 KR 2020060003844 U KR2020060003844 U KR 2020060003844U KR 20060003844 U KR20060003844 U KR 20060003844U KR 200417005 Y1 KR200417005 Y1 KR 200417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creen
water
movable plate
co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양원
최갑진
Original Assignee
(주)오에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에치케이 filed Critical (주)오에치케이
Priority to KR2020060003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0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는, 응집혼화조 탱크의 측면에 플럭은 차단하고 물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 탱크가 구비되어, 상당히 농축된 슬러지가 탈수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탈수 효율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폐수 처리가 가능해지고, 스크린부가 고정판 사이에 가동판이 유동하면서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원활한 수처리 작동이 가능하여, 스크린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다 많은 양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Cohesion mixing device having screen tank}
도 1은 종래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가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응집혼화조 탱크 60 : 유량 조정조
70 : 급속 교반조 80 : 완속 교반조
85 : 개방부 90 : 슬러지 투입조
100 : 스크린 탱크 110 : 케이싱
120 : 스크린부 130 : 편심축
140 : 구동장치
본 고안은 오수 및 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의 응집혼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집혼화조 탱크의 측면에 슬러지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바로 배출할 수 있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하여 탈수 효율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및 폐수의 처리는 1차적으로 스크린, 침전 등을 포함한 물리적 처리를 행하고, 2차적으로 응집제를 투입하여 물리화학적 처리를 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1차로 물리적 처리를 행한 다음 이들 처리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을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다음, 3차적으로 물리화학적 처리를 행하는 방식도 있다.
여기서 도 1과 도 2는 상기와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 과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응집혼화장치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응집혼화장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응집혼화조 탱크(1)로 구성되는데, 이 응집혼화조 탱크(1)는 처리수 인입구(11)를 통해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10)와, 응집제가 투입되어 처리수와 교반되는 급속 교반조(20)와, 상기 급속 교반조(20)를 통과한 처리수가 유입되어 응집 교반되는 완속 교반조(30)와, 상기 완속 교반조(30)에서 분리된 플럭과 물이 탈수기로 배출되는 슬러지 투입조(4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응집혼화장치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유량 조정조(10)로 유입된 처리수는 상측의 분리벽(15)의 노치(16) 부분을 넘어 급속 교반조(20)로 유입된다. 이때 급속 교반조(20) 내에는 물리화학적 처리를 위해 응집제 인입구(21)를 통해 응집제가 투입됨과 동시에 급속 교반기(23)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상기 급속 교반조(20)를 통과한 처리수는 하부의 유입구(27)를 통해 완속 교반조(30)로 유입되며, 이때 저속으로 회전하는 패들형 교반기(31)에 의하여 완전 응집이 이루어지면서 물과 플럭으로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완속 교반조(30)에서 형성된 물과 플럭은 상부에서 연통된 슬러지 투입조(40)로 유동된 다음, 다수의 배출구(45)를 통해 탈수기(미도시)로 공급되어, 탈수기에서 수분은 배출하고 고형물을 압축하여 처리하게 된다.
미설명 참조번호 13은 유량 조절구를 나타내고, 25와 33은 상기 급속 교반기(23)와 패들형 교반기(31)를 구동하는 모터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응집혼화장치는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1)에서 응집된 플럭과 물을 동시에 탈수기에 바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탈수기에 공급된 슬러지는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탈수기의 원리상 플럭과 물 중 수분만 배출되어야 하는 관계로 수분이 배출되는 공극이 미세하여 전체적인 수분 배출량에 한계가 있고, 결국 많은 양의 오폐수를 정화하여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응집혼화조 탱크의 측면에 정화가 이루어진 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 탱크를 구비함으로써 탈수 효율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폐수 처리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는, 유입된 처리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교반 혼화시키고, 여기서 생성된 플럭과 물을 탈수기로 배출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응집혼화조 탱크와;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에서 생성된 플럭은 거르고 일부의 물만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 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탱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 탱크는 전면에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슬러지가 걸러진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케이싱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들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고정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고정축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부분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앞쪽면과 뒤쪽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판에 전후 회동시키는 한 쌍의 편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가동판은, 하나의 가동판이 좌측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 그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가동판은 우측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가동판이 서로 교번되게 설치된다.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는 하부에 처리수 유입구가 위치되고, 상측에 탈수기로 플럭과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위치되며, 상기 스크린 탱크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된 응집혼화조 탱크의 상부쪽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응집혼화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는, 유입된 처리수를 응집제를 투입하여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한 다음 탈수기에 공급하는 응집혼화조 탱크(50)와, 이 응집혼화조 탱크(50)의 측면에 부착되어 탈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응집혼화조 탱크(50)에서 바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스크린 탱크(1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응집혼화조 탱크(50)는 크게 유량 조정조(60), 급속 교반조(70)와, 상기 급속 교반조(70)를 통과한 처리수가 유입되어 응집 교반되는 완속 교반조(80)와, 상기 완속 교반조(80)에서 분리된 플럭과 물이 탈수기로 배출되는 슬러지 투입조(90) 로 구성된다.
상기 유량 조정조(60)와 급속 교반조(70)는 하나의 챔버(C1) 내에 분리벽(65)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량 조정조(60)는 하부에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는 처리수 인입구(61)가 위치되고, 그 옆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배출구(63)가 위치된다.
상기 분리벽(65)은 그 상부에 V형 노치가 형성되어 유량 조정조(60)에 유입된 처리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급속 교반조(70)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속 교반조(70)는 처리수에 응집제를 투입할 수 있는 응집제 투입구(71)가 구성되고, 내부에는 응집제와 처리수를 혼합하는 프로펠러형 급속 교반기(7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급속 교반기(73)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급속 교반조(70)에서 응집제와 교반 혼합된 처리수는 완속 교반조(80)로 유입되게 되는데, 완속 교반조(80)는 상기 유량 조정조(60)와 급속 교반조(70)를 구성하는 챔버(C1)와 구분되는 다른 챔버(C2)로 구성되며, 하측에 상기 급속 교반조(70)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77)가 형성된다.
상기 완속 교반조(80)는 응집이 완전히 이루어지면서 처리수에서 플럭이 생성될 수 있도록 모터(83)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패들형 교반기(8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플럭과 물을 탈수기 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챔버(C3)로 이루어진 슬러지 투입조(90) 및 각각의 탈수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구(95)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완속 교반조(80)의 측면에는 상기한 스크린 탱크(100)가 부착되는 부분에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8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85)는 다양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 탱크(100)의 내부와 완전히 연통되도록 터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완속 교반조(80)의 처리수 유입구(77)가 하측에 위치되고 상측에 탈수기로 플럭과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95)가 위치되므로, 완속 교반조(80)의 하측으로 유입된 응집제와 혼합된 처리수가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플럭이 분리되어 생성되는 바, 이와 같이 처리수가 플럭과 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정화된 물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85)는 상기 배출구(95)와 인접한 완속 교반조(80)의 상부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 탱크(100)도 상기 배출구(95)가 위치된 응집혼화조 탱크(50)의 상부쪽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50)에 구비되는 스크린 탱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스크린 탱크(100)는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50)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완속 교반조(80)에서 생성된 플럭은 차단하고 일부의 물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1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100)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100) 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탱크(100)는, 상기 완속 교반조(80)의 개구부 쪽에 설치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구비되어 플럭 등의 고형물은 차단하고 물만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부(120)와, 상기 스크린부(120)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편심축(130)을 구동하는 구동장치(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0)은 전면에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1a)가 구비되고, 후방에 슬러지가 걸러진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7)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부(120)는 크게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고정판(125)과, 이렇게 적층된 고정판(125)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지지판(121) 및 하부 지지판(122)과, 상기 고정판(125) 사이에 구비되어 막힘을 방지하는 가동판(126)과, 상기 가동판(126)이 끼워지지 않은 고정판(125)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판(127)과, 상기 가동판(126)의 축홀 내부에 장착되는 스페이서 링(128)과, 상기 상부 지지판(121)과 하부 지지판(122)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고정판(125), 가동판(126), 스페이서 판(127), 스페이서 링(128)을 일체의 세트로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축(1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25)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판재들이 상기 케이싱(1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고정축(123)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판(125)은 상기 고정축(123)이 끼워지는 축홀이 형성되 고, 상호 인접한 고정판(125)과 고정판(125) 사이의 한 쪽 고정축(123)에는 상기 가동판(126)이 끼워지고, 다른 쪽 고정축(123)에는 스페이서 판(127)이 끼워진다.
상기 가동판(126)은 상기 고정축(123)에 끼워진 부분을 중심으로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부채꼴 모양의 판재로 구성되고, 타단부의 끝부분은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동판(126)은 그 폭이 상기 고정판(125)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확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25) 사이에서 상기 고정축(12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후술할 편심축(13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판(125) 사이의 틈새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동판(126)들은, 하나의 가동판(126)이 좌측 고정축(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 그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가동판(126)은 우측 고정축(1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가동판(126)이 서로 좌우 교번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 판(127)은 상기 고정판(125)과 고정판(125) 사이에서 상기 가동판(126) 설치되지 아니한 고정축(123)에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 링(128)은 상기 가동판(126)에서 상기 고정축(123)이 끼워지는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가동판(126)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구동장치(140)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141)와, 상기 편심축(130)을 이루고 상기 모터(141)와 직결되어 회전되는 편심 구동축(131)과, 상기 편심 구동축(131)과 함께 한 쌍의 편심축(130)을 이루는 편심 종동축(132)에 각각 설 치되어 상기 모터(141)의 회전력을 편심 종동축(132)에 전달하는 기어 세트(143,144)와, 상기 스크린부(120)의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 구동축(131)과 편심 종동축(132)을 지지하는 베어링(145)들로 구성된다.
상기 편심 구동축(131)과 편심 종동축(132)으로 이루어지는 편심축(130)은 편심 캠부(131d)(132d)가 각각 상기 가동판(126)의 앞쪽면과 뒤쪽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장치(1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판(126)을 상기 고정축(123)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량 조정조(60)로 유입된 처리수는 상측의 분리벽(65) 넘어 급속 교반조(70)로 유입된다. 이때 급속 교반조(70) 내에는 물리화학적 처리를 위해 응집제 인입구(71)를 통해 응집제가 투입됨과 동시에 급속 교반기(73)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상기 급속 교반조(70)를 통과한 처리수는 하부의 유입구(77)를 통해 완속 교반조(80)로 유입되며, 이때 저속으로 회전하는 패들형 교반기(81)에 의하여 완전 응집이 이루어지면서 물과 플럭으로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완속 교반조(80)에서 형성된 물과 플럭은 대부분 상부에서 연통된 슬러지 투입조(90)로 유동된 다음, 다수의 배출구(95)를 통해 탈수기로 공급되어, 탈수기에서 수분은 배출하고 고형물을 압축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완속 교반조(80)의 측면에 스크린 탱크(1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완속 교반조(8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처리수 중에서 일부는 개방부(85)를 통해 상기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처리수 중 플럭 등의 슬러지는 상기 스크린부(120)에 걸리게 되고, 물은 고정판(125)과 가동판(126) 사이의 미세 간극을 통해 스크린부(120)를 통과한 후에, 배출부(117)로 통해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120)에는 플럭 등의 고형물이 걸려서 막힐 수 있는데, 모터(141)와 양쪽 편심축(130)의 작동으로 상기 가동판(126)이 회전하면서 틈새 막힘을 방지하게 된다.
즉, 모터(141)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편심 구동축(131)과 편심 종동축(132)은 도 6에서와 같이 가동판(126)의 양쪽에서 상반된 편심 운동을 하게 되고, 각각의 편심 캠부(131d)(132d)가 가동판(126)에 밀착되면서 가동판(126)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판(126)이 고정판(125) 사이에서 전후 회동하면서 틈새에 끼인 플럭 등을 완속 교반조(80) 쪽으로 밀어 내면서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완속 처리조 내에서 응집이 신속히 진행되면서 플럭이 형성되는데, 일부의 물은 상기 스크린 탱크(100)를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되므로, 상당량의 물이 배출된 농축된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투입조(90)를 통해 탈수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탈수기의 용량을 확대하지 않고도, 다량의 슬러지의 처리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오수 또는 폐수의 처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는, 응집혼화조 탱크의 측면에 플럭은 차단하고 정화가 이루어진 물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 탱크가 구비되어, 상당량의 수분이 제거된 농축된 슬러지가 탈수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탈수 효율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켜 대용량의 폐수 처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크린 탱크에 구비된 스크린부가 고정판 사이에 가동판이 유동하면서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 작동이 가능하여, 스크린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다 많은 양의 수처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유입된 처리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교반 혼화시키고, 여기서 생성된 플럭과 물을 탈수기로 배출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응집혼화조 탱크와;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에서 생성된 플럭은 거르고 일부의 물만 배출할 수 있도록 스크린 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탱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는 하부에 처리수 유입구가 위치되고, 상측에 탈수기로 플럭과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위치되며,
    상기 스크린 탱크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된 응집혼화조 탱크의 상부쪽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탱크는 전면에 상기 응집혼화조 탱크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슬러지가 걸러진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케이싱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들이 상기 케이싱 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 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고정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고정축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부분이 형성된 복수의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앞쪽면과 뒤쪽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판에 전후 회동시키는 한 쌍의 편심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판은, 하나의 가동판이 좌측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 그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가동판은 우측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가동판이 서로 교번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KR2020060003844U 2006-02-10 2006-02-10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KR200417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44U KR200417005Y1 (ko) 2006-02-10 2006-02-10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44U KR200417005Y1 (ko) 2006-02-10 2006-02-10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005Y1 true KR200417005Y1 (ko) 2006-05-24

Family

ID=4176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44U KR200417005Y1 (ko) 2006-02-10 2006-02-10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0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59B1 (ko) * 2011-02-14 2011-09-05 최기억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KR101201885B1 (ko) * 2012-05-07 2012-11-15 최기억 폐수처리장치
CN113968608A (zh) * 2021-06-25 2022-01-25 北京绿恒科技有限公司 自循环加密颗粒污泥滤沉池
CN114737899A (zh) * 2022-02-22 2022-07-12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泥浆净化分离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59B1 (ko) * 2011-02-14 2011-09-05 최기억 슬러지 응집 농축 탈수장치
KR101201885B1 (ko) * 2012-05-07 2012-11-15 최기억 폐수처리장치
CN113968608A (zh) * 2021-06-25 2022-01-25 北京绿恒科技有限公司 自循环加密颗粒污泥滤沉池
CN113968608B (zh) * 2021-06-25 2023-07-18 北京绿恒科技有限公司 自循环加密颗粒污泥滤沉池
CN114737899A (zh) * 2022-02-22 2022-07-12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泥浆净化分离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1261B (zh) 凝集沉淀装置
JP3903070B1 (ja) 汚泥脱水処理装置および汚泥脱水処理装置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US8808548B2 (en)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on method, an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200417005Y1 (ko) 스크린 탱크를 구비한 응집혼화장치
KR101087502B1 (ko) 일체형 수처리 장치
CN108751611B (zh) 高效印染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JP2012045498A (ja) 濃縮装置
JP2010057997A (ja) 汚泥脱水装置及び汚泥脱水方法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200392069Y1 (ko) 슬러지 응집처리장치가 부설된 농축기
JP2002052302A (ja) 液体処理装置
JP2008149256A (ja) 汚泥凝集槽及びこれを備えた汚泥濃縮装置
KR20120091553A (ko) 폐수처리용 고액분리장치, 스크루 탈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552506B1 (ko) 미생물 슬러지 농축장치
JP2002166152A (ja) 撹拌水槽
KR100452432B1 (ko)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JP2595441B2 (ja) 凝集沈澱分離装置
KR200305034Y1 (ko) 무동력 고효율 고속침전장치
JPH10337406A (ja) 凝集処理装置
JP4336059B2 (ja) 排水等の固液分離装置
JP2006281019A (ja) 浄水処理装置
KR100786774B1 (ko) 일체형 침전장치
KR101796878B1 (ko) Pmp 시스템이 적용된 수처리장치
CN216336779U (zh) 一种新型同向流斜板沉淀除油一体化装置
CN218709812U (zh) 垃圾渗滤液膜滤浓缩液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