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902Y1 -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 Google Patents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902Y1
KR200416902Y1 KR2020060004487U KR20060004487U KR200416902Y1 KR 200416902 Y1 KR200416902 Y1 KR 200416902Y1 KR 2020060004487 U KR2020060004487 U KR 2020060004487U KR 20060004487 U KR20060004487 U KR 20060004487U KR 200416902 Y1 KR200416902 Y1 KR 200416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se
continuously
steel plat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황
Original Assignee
씨엠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씨(주) filed Critical 씨엠씨(주)
Priority to KR2020060004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9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이 권취 된 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배기호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단 혹은 합성 원단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의 내측에 케이블의 하나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연속 배치하면서 이를 호스의 내면이 감싸는 형태로 파지 되도록 연속 봉합하고, 상기 호스의 케이블 파지로 인해 외 측으로 연속 돌출되는 형태를 띠는 나선형의 돌출선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을 연속되게 권취하면서 상기 외측에 위치한 케이블과 돌출선을 일정 길이를 갖는 터널형의 마감 스틸판으로 함께 파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한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를 제공하여 전원, 통신케이블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간편함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호스 내측에 별도의 신장수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감 스틸판의 종단에 이를 행거형으로 고정하여 신장, 수축작동시 사용의 간편함과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얻을 수 있게 한 케이블이 권취 된 호스에 그 특징이 있다.
호스, 케이블, 권취, 배기관, 마감스틸판, 나선

Description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The cable two volume chwi the hose which becomes}
도 1 은 본 고안이 배기호스로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 개략도,
도 2 는 도 1 의 정면 개략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5 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
2 : 케이블,
3 : 마감스틸판,
4 : 커넥터,
5 : 수축튜브,
11 ; 나선형 돌출선,
본 고안은 케이블이 권취 된 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배 기호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단 혹은 합성 원단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의 내측에 케이블의 하나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연속 배치하면서 이를 호스의 내면이 감싸는 형태로 파지 되도록 연속 봉합하고, 상기 호스의 케이블 파지로 인해 외 측으로 연속 돌출되는 형태를 띠는 나선형의 돌출선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을 연속되게 권취하면서 상기 외측에 위치한 케이블과 돌출선을 일정 길이를 갖는 터널형의 마감 스틸판으로 함께 파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한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를 제공하여 전원, 통신케이블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간편함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호스 내측에 별도의 신장수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감 스틸판의 종단에 이를 행거형으로 고정하여 신장, 수축작동시 사용의 간편함과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얻을 수 있게 한 케이블이 권취 된 호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호스의 용도는 일반 산업현장, 음식점 등의 배기호스 등 다용도로 활용가능하나, 본 고안에서는 일례를 들어 자동차 배출가스, 특히 소방서의 소방자동차가 갖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배출가스를 효과적으로 정화하여 배기시키는 배기호스로의 사용에 맞춰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의 필요성을 기술하기 위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최근 디젤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성분은 주로 CO, HC, NOx, Smoke, Particulate, 알데히드, 벤젠 등 방향족 성분의 인체에 유해한 가스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연소 특성상 회피할 수 없는 것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자동차에서는 주로 후처리 장치를 적용하여 대기오염을 저감 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토록 하고 있으며, 우리나 라의 환경부에서도 수도권 대기질 개선 특별법을 시행하면서 노후 된 차량은 대 폐차를 유도하고 있고, 배출가스 규제를 단계적으로 강화시키면서 점진적으로 배출가스 저감 장치의 장착을 의무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는 소방서의 보유 차량들은 전부 디젤자동차로서 초기 시동 및 소방 활동 후 소방서에 복귀시 차고에서 차량을 운전할 경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소방대원들이 그대로 위험 물질에 노출되어 건강을 위해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소방서의 디젤 자동차 운전 특성을 살펴보면 주로 아침에 비상점검(소방차량, 각종 통신장비 등)으로 인한 배출가스로 소방대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특히, 아침에 Cold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초기에는 연소 특성상 백연(White Smoke), 시간이 약간 경과 하면 청연(Blue Smoke)이 발생 된다.
이러한 청연은 가스의 성분이 주로 알데히드로 되어 있어 눈이 따갑고 속이 미식미식 거리는 기분이 들어 인체에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완전 연소가 되면 NOx와 흑연(Black Smoke)이 발생 되어 이는 인체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도 가중시키는 물질로 변해가면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앞서 살펴 보았듯 경유를 사용하는 소방차량의 배출가스가 인체에 유해한 요인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잔류가스가 차고지 내에서 순환하고 있어 대부분의 시간을 소방서의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소방대원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 됨으로써 건강 위해 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소방차의 엔진 배기량이 커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많음으로 매연을 정화, 재생하는 배출 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가 절실하다.
국내의 디젤 차량의 매연 저감 장치 개발이 국내외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실차 탑재형으로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며 환경부의 정책에 따라 매연 후처리 장치를 개발하여 일부 시 운전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본격적으로는 시판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는 장거리 운전과 운행조건이 아이들링, 가감속, 급제동 등 다양한 운전 형태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특히, 매연 후처리장치는 내구성이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매연 후처리의 보증기간을 3년/160,000km로 제한하고 있지만 특수차량과 관공서 차량은 우선적으로 매연 후처리장치의 장착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방서 차고지 내에서의 잔류가스를 외부로 전부 배출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차고지의 셔터, 창문을 개방하여 환풍기 등으로 배출하고 또, 소방서별로 현장에 맞게 환풍을 시키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 고안자는 종래 소방서의 차고지 내 잔류가스로 인한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국내특허출원 제2005-0090396호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소방서의 차고지 내 천정부에 메인배기관이 설치되고 메인배기관에는 입고차량의 대수에 맞는 분기배기관을 연통연결시키며, 각 분기배기관은 개폐밸브가 제어박스의 제어동작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기배기관의 각 종단에는 조임 장치가 설치되어 차량의 배기관과 밀접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한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을 제공하여 동 절기 난방열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위 본 고안자의 선출원 발명은 제어시스템에 의해 소방차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메인배기관과 연통 연결된 분기배기관의 종단이 소방차의 배기관과 연결되어 이를 원할히 수행함으로써 근무여건의 개선효과를 보고 있기는 하나, 승강되는 배관의 주위에 각종 전선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함께 이동하거나, 배관과 별도로 케이블 뭉치가 별도로 행거에 결합된채 함께 움직여야 함으로써 한정되어 있는 소방서의 차고지 실내 공간을 더욱 협소하게 하거나 정리되지 않은 복잡함을 주어 개선해야될 문제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배기관과 별도구성되어 함께 이동되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호스의 내측에 케이블의 하나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연속 배치하면서 이를 호스의 내면이 감싸는 형태로 파지 되도록 연속 봉합하고, 상기 호스의 케이블 파지로 인해 외 측으로 연속 돌출되는 형태를 띠는 나선형의 돌출선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을 연속되게 권취하면서 상기 외측에 위치한 케이블과 돌출선을 일정 길이를 갖는 터널형의 마감 스틸판으로 함께 파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한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를 제공하여 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간편함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호스 내측에 별도의 신장수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감 스틸판의 종단에 이를 행거형으로 고정하여 신장, 수축작동시 사용의 간편함과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얻을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스(1)의 사용시 케이블(2)이 그와 함께 이동하면서 그 케이블(2)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 또는 통신신호에 의해 호스가 승 하강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호스(1)는 원단 혹은 합성 원단 또는 합지된 원단 혹은 합지된 합성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통신용 케이블로써 가요성이 있는 피복재로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호스(1)의 내 측면에는 케이블(2)의 하나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연속 배치하면서 이를 호스(1)의 내면이 감싸는 형태로 파지 되도록 연속 봉합하고,
상기 호스(1)의 케이블(2) 파지로 인해 외 측으로 연속 돌출되는 형태를 띠는 나선형 돌출선(11)의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2)을 연속되게 권취하면서 상기 외측에 위치한 케이블(2)과 돌출선(11)을 일정 길이를 갖는 터널형의 마감 스 틸판(3)으로 함께 파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호스(1)와 케이블(2)의 종단에는 커넥터(4)가 수축튜브(5)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호스(1) 내측에 별도의 와이어와 정역모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신장수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끝을 호스(1)의 종단에 고정된 마감 스틸판(3)의 종단 양측에 고정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를 행거 형태로 신장, 수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 는 접지선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처에 따라 적합한 원단을 선택하고 규격을 정하여 일반적인 호스(1)를 제작하는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기성제품을 구매하여 재가공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호스(1)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 본 고안의 케이블(2) 하나를 내부에 계속 인입시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봉침(재봉)하여 호스(1)의 내면에 상기 케이블(2)을 상기 호스(1)의 내면이 파지하는 형태로 연속 고정하여 이룰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호스(1)의 내면에 케이블(2) 한 가닥이 일률적으로 고정되면서 그 외면에는 나선형의 돌출선(11)이 연속 형성되게 되는데, 돌출선(11)의 일측에 나머지 다른 하나의 케이블(2)을 근접시키면서 터널형의 마감스틸판(3)으로 동시에 파지하여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나선형으로 감겨진 마감스틸판(3)의 강성에 의해 호스(1)가 일정 내경을 갖게되고 스프링 형태를 띠어 신장 수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끝을 통상의 수단으로 마감한 후, 커넥터(4)를 케이블(2)과 연결시키고 수축튜브(5)를 이용하여 마감한다.
상기에서의 케이블(2)은 통상 플러스 마이너스가 구분될 수 있도록 내측에 플러스 케이블(2)을 고정시키고 외측에 마이너스 케이블(2)을 고정시키는 것이 사용상 안전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 케이블(2)과 별도로 나선형 돌출선(11)을 따라 접지케이블을 별도 내장시켜 이룰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 즉 커넥터(4)를 케이블(2)들과 연결하고 수축튜브(5)로 마감 완료하면 예를들어 상하로 신장수축하는 소방서의 배출가스 배기관으로 사용하는 것의 경우, 내부에 와이어(미도시)를 배치하고 한단에는 구동용 정역모터를 설치하여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배관근처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타측단은 호스의 타측에 고정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마감스틸판(11)에 지지될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어동작 시키면 그 동작신호에 따라 내부의 구동 모터가 정,역회전하여 와이어를 신장수축 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호스가 상하로 신장, 수축 작동하여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호스에 케이블이 권취 고정되어 있으면서 마감스틸판에 의해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그 지지력에 보강되어 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간편함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호스 내측에 별도의 신장수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감 스틸판의 종단에 이를 행거형으로 고정하여 신장, 수축작동시 사용의 간편함과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얻을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호스(1)의 사용시 케이블(2)이 그와 함께 이동하면서 그 케이블(2)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 또는 통신신호에 의해 호스가 승 하강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호스(1)는 원단 혹은 합성 원단 또는 합지된 원단 혹은 합지된 합성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통신용 케이블로써 가요성이 있는 피복재로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호스(1)의 내 측면에는 케이블(2)의 하나를 일정 거리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연속 배치하면서 이를 호스(1)의 내면이 감싸는 형태로 파지 되도록 연속 봉합하고,
    상기 호스(1)의 케이블(2) 파지로 인해 외 측으로 연속 돌출되는 형태를 띠는 나선형 돌출선(11)의 일측에는 다른 하나의 케이블(2)을 연속되게 권취하면서 상기 외측에 위치한 케이블(2)과 돌출선(11)을 일정 길이를 갖는 터널형의 마감 스틸판(3)으로 함께 파지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호스(1)와 케이블(2)의 종단에는 커넥터(4)가 수축튜브(5)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KR2020060004487U 2006-02-17 2006-02-17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KR200416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87U KR200416902Y1 (ko) 2006-02-17 2006-02-17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87U KR200416902Y1 (ko) 2006-02-17 2006-02-17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902Y1 true KR200416902Y1 (ko) 2006-05-23

Family

ID=4176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87U KR200416902Y1 (ko) 2006-02-17 2006-02-17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41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41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KR102457919B1 (ko) * 2021-02-17 2022-10-25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직포 시트를 이용한 주름관 덕트 및 그 성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5430A (en) Automotive catalytic converter exhaust system
US4031700A (en) Heat insulating apparatus for exhaust pip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60028379A (ko)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ES2102070T3 (es) Sistema regenerable de filtro de gases de escape para motor diesel.
MY142591A (en) High-temperature-resistant coated fiber layer and particulate trap with the coated fiber layer
KR102122849B1 (ko) 차량용 선택적 환원촉매(scr) 장치
KR102028423B1 (ko) 운행차용 선택적 환원촉매 시스템
KR200416902Y1 (ko) 케이블이 권취된 호스
ES2125667T3 (es) Instalacion catalitica enfriada por agua.
US20090104091A1 (en) Exhaus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US7332137B2 (en) End cone assembly, exhaust emis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100111779A1 (en) Exhaust treatment device
KR20130005357U (ko) 매연 저감 장치
AU2002330825B2 (en) Housing arranged in an exhaust gas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KR101298151B1 (ko) 차량용 단열배기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7500818A5 (ko)
FR2841595B1 (fr) Tube des gaz d&#39;echappement pour l&#39;installation des gaz d&#39;echappement d&#39;un vehicule automobile
KR101550315B1 (ko) 후륜 구동 디젤 차량용 배기장치의 고정 구조
KR20110138556A (ko)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12161433A2 (ko) Scr시스템의 환원제 믹싱장치
CN214118297U (zh) 一种柴油发动机尾气净化装置
CN107725159A (zh) 一种新型汽车用排气管
KR200402786Y1 (ko) 소방차 배기가스 배출시스템
CN215256417U (zh) 叉车排气系统
KR200447315Y1 (ko) 차량용 매연저감촉매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