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433Y1 - 예취기용 롤러 - Google Patents

예취기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433Y1
KR200416433Y1 KR2020060004797U KR20060004797U KR200416433Y1 KR 200416433 Y1 KR200416433 Y1 KR 200416433Y1 KR 2020060004797 U KR2020060004797 U KR 2020060004797U KR 20060004797 U KR20060004797 U KR 20060004797U KR 200416433 Y1 KR200416433 Y1 KR 200416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ller
washer
nu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박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filed Critical 박주철
Priority to KR2020060004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4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취기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행출원인 특허 10-2005-0000002호의 보완출원으로, 휴대용 예취기의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작업봉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과 기어를 통해 예취용 커터날이 부착된 구동부(기어박스)의 회전축을 회전해서 제초작업이 진행되는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상에 축볼트,너트 또는 축와샤와 마찰부재 및 구형 또는 반구형상의 케이싱과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롤러를 고안 부착해서 주관적인 작업 거리와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구동부와 커터날의 무게 중량과 경직된 자세로 장시간 작업시 팔과 어께 및, 허리에 오는 작업 피로도를 개선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동부,회전축,외부케이싱,축너트,축볼트,축와샤,렌치공구,커터날지지와샤.

Description

예취기용 롤러 {Cutting Machine an Roller}
도1, 제1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동부 회전축상의 결합구조도.
도2, 제1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조개략도.
도3, 제1 실시예의 롤러 축볼트 구조개략도.
도4, 제1 실시예의 롤러 축볼트 2실시 구조개략도.
도5, 제1 실시예의 롤러 축볼트 3실시 구조개략도.
도6, 제1 실시예의 롤러 외부회전체 케이싱 구조개략도.
도7, 제2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조개략도.
도8, 제2 실시예의 롤러 외부회전체 케이싱 구조개략도.
도9, 제3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동부 회전축상의 결합구조도.
도10, 제3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조개략도.
도11, 제3 실시예의 롤러 축너트 구조개략도.
도12, 제3 실시예의 롤러 외부회전체 케이싱 구조개략도.
도13, 제4 실시예의 완성롤러 구조개략도.
도14, 제4 실시예의 롤러 축와샤 구조개략도.
도15, 기존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 구조도.(커터날 결속부재가 볼트형)
도16, 기존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 구조도.(커터날 결속부재가 너트형)
도17, 기존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과 커터날 결속부재 실물 참고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휴대용 예취기의 구동부(기어박스).
12;커터날 결속볼트. 13;커터날 결속볼트(회전축)의 너트부.
2:구동부의 회전축.
21:회전축의 요철기어부. 22:회전축의볼트피치부. 23:커터날 결속너트.
210:제1와샤(커터날상단지지와샤). 220:제2와샤(커터날하단지지와샤). 230:제3와샤(커터날결속너트 또는 볼트의 풀림방지용 와샤).
3:커터날.
5:롤러.
50:롤러의 외부회전체 케이싱.
51:외부회전체케이싱의 돌출부. 52:이물질유입방지용 마개의 너트피치부. 53:마개뚜껑의 볼트피치부. 54:마개의 십자홈. 55:마개의 천공부.
500:롤러의 축볼트 또는 축너트.(또는 샤프트 축)
501:축삽입부. 511:커터날주연부결합부홈. 512:구동축요철기어부 결합부홈.
520:체결부(육각머리). 521:렌치공구 삽입구. 525:축볼트의 볼트나사산. 526:1자형 무브볼트. 541:축의 와샤면 내부홈.
550:마찰부재(또는 베어링). 551:마찰부재 결합부. 552:외부케이싱의 베어링 안착홈. 561:스넵키자리. 562:외부케이싱 결합돌출부. 571:스넵키자리. 572:베어링 결합키자리.
580:스넵키. 581:스넵키자리. 581A:축와샤 돌출부. 582,582A:외부케이싱 결합돌출부.
600:축와샤(또는 샤프트축) 601:축와샤의 구동부 회전축 결합구.
본 고안은 휴대용 예취기(이하 예취기)의 구동부(기어박스) 회전축(2)에 커터날(3)을 결속하는 볼트(도15,12) 또는 너트(도16,23)를 롤러(5)가 부착될 수 있도록 축형볼트(도3,4,5의 500) 또는 축형너트(도11,500)로 장치화하거나, 풀림방지용와샤(도17,230)를 장치화하여 베어링과 케이싱이 결합되게 구성하고 축내측에 구동부 회전축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예취기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출원한 특허 10-2005-0000002호의 보완출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예취기는 농가의 전,답이나 과수원, 또는 산소나 정원등의 잡초나 잔디 등을 제거하기 위한 휴대용 절삭기계로서, 잡초나 잔디 등이 무성한 곳에서 제초 작업을 수행하는대 이때, 지면과의 작업거리와 높이를 주관적으로 가늠하는 보조장치가 없어, 구동부의 회전축에 부착된 커터날부를 어림짐작으로 지면 가까이 접근하여 풀 베기를 진행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조그만 부주의에도 커터날이 지면과 부딪쳐 부상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초보자 등, 비숙련자가 예취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예취기용 롤러는 상술한 기존 예취기의 단점과 사용편의성을 제공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 예취기의 구동부(1) 회전축(2)상에 구비된 커터날 결합 볼트(도15,12) 또는 너트(도16,23)를, 축형볼트(이하 축볼트,도3,4,5의 500) 또는 축형너트(이하 축너트,도11의 500)로 개비하거나, 커터날(3)을 결속하는 상기 너트나 볼트의 풀림방지용 와샤(이하 제3와샤,230)를 베어링의 샤프트축으로 설정하여 마찰부재(550)와 외부케이싱(50) 및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형상화되는 롤러(5)를 구동부 회전축상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제초 작업시 주관적인 작업 거리와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장시간의 작업에도 피로도가 현저한, 작업 숙련자나 비숙련자 또는 부녀자나 노약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를 제공하는대 그 목적이 있다.
예취기용 롤러(5)의 구성에 있어서, 기존에 실시된 휴대용 예취기는 구동부(도15,16의 1)의 회전축(2)상에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가 볼트(도15,12) 또는 너트(도16,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커터날 결합 볼트(도15,12) 또는 너트(도16,23)를 축볼트(도3,4,5의 500) 또는 축너트(도11, 500)로 장치화하거나, 제3와샤(230)를 축와샤(600)로 개비하여 롤러의 샤프트축으로 형성하고, 상술한 축(500,600)상에 마찰부재(550)와 구형 또는 반구형상의 외부케이싱(50)과 결합부재(560,570,580)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5)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도1은 축볼트(도3,4,5의 500)와 마찰부재(550) 및 외부케이싱(50)과 이탈방지용 단속부재(예;스넵키와 와샤)로 이루어져 완성된 롤러(도2)를 기존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도1의 2)상에 부착한 결합구조도로서, 구동부(1) 회전축(2)의 하단으로 제1와샤(210)가 결합되어 있고, 그 하단으로 커터날(3)을 결합한 다음, 그 하단으로 제2와샤(220)를 결합하고, 그 하단으로 제1 실시예의 완성된 롤러(도2)를 회전축(2)의 너트부(도1, 13)에 체결하여 결속한 것이다.
여기서 참고 할 것은 휴대용 예취기를 생산하는 업체 또는 기종에 따라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가 볼트타입(도15의 12)으로 되어 있거나, 너트타입(16의 23)으로 구조가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고, 본 고안은 선행출원에서 기술하지 못한 볼트형 축(도3,4,5의 500) 또는 풀림방지용 와샤(도17,230)를 샤프트축(600)으로 병행하도록 안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2는 구동부의 회전축(도15의 2)상에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12)가 볼트형으로 형성된 기종에 적합하도록 안출된 롤러의 제1 실시예로서,
반구형상의 외부케이싱(도6의 50)과, 그 내측으로 위치하는 축볼트(도3,도4,도5의 500)의 마찰부재 결합부(도3의 551)에 롤형 베어링 또는 붓싱등으로 형성되는 마찰부재(550)를 삽착한 다음 상기 축을 외부케이싱(도6의 5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압입하여 결합한 다음 축볼트(도2,500)와 외부케이싱(도2,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속수단으로 스넵키(도2의 580)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롤러(도2)이다.
도3은 상기 제1 실시 롤러(도2)의 축볼트(도2의 500)를 더욱 상세하게 표시한 구조개략도로서, 금속 환봉을 성형 또는 연삭하는 방법으로 도면 상단으로 M10 또는 M8 mm등의 외경 크기에 좌측 나사산의 피치가 구비된 볼트(도3의 525)가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커터날 하단부 지지와샤(도1의 220)와 밀착되는 와샤형 평면(553)이 구성된 다음, 그 하단으로 마찰부재(550)가 삽착되는 결합부(551)가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외부케이싱(50)의 탈출방지를 위한 단속수단용 스넵키자리(581)가 개설된 다음, 그 하단으로 볼트,너트의 육각머리에 해당하는 체결부(520)가 구비되어 축볼트(도3,500)가 형성된다.
도4는 제1 실시예의 롤러 축볼트 2실시 구조개략도로서,
상기 제1실시 롤러(도2)의 축볼트(도3의 500)를 변형 실시한 구조도면으로서, 금속재질의 환봉을 성형 또는 연삭하는 방법으로 도면 상단으로 M10 또는 M8mm의 외경 크기에 좌측 나사산의 피치가 구비된 볼트(도4의 525)부를 구비하고, 그 하단으로 제2와샤(도1 또는 도17의 220)의 역활을 하는 와샤형 평면이 전개되고 중앙부는 커터날 주연부와 연개되는 결합홈(511)과, 회전축(2)의 요철기어(21) 결합홈(512)이 내,외부로 단을지어 구비된 다음, 축 하단으로 3도 실시와 동일한 베어링 결합부(551)와 스넵키자리(581) 및 육각머리의 체결부(520)가 구비된 축(도4)이 이루어지며, 상기 축볼트(도4)는 제2와샤(220)와 제1실시 축볼트(도3)가 합체된 구조로서 보다 간결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5는 제1 실시예의 롤러 축볼트 제3변형 실시 구조개략도로서,
도11에서 실시되는 너트형 축에 좌측나사산의 1자형 무브볼트(도5,526)만 별도로 구비하여 양방향으로 체결함으로서 이루어지는 축(도5,500)으로 1실시 축(도3 또는 도4)과, 제2실시축(도11)을 공용으로 변환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의 커터날 결합부재는 M10 또는 M8mm의 볼트와 너트로 상이한 구조이나, 좌측나사산의 1,25mm 탭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정한 길이의 무브볼트(526) 만 구비하여 공용사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6은 상기 축볼트(도3,도4,도5)의 외부 회전체인 외부케이싱(50)의 구조 도면으로서,
프라스틱 또는 경량재질로 사출 또는 성형으로 이루어지며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되는 확장홈을 구성하고 상단면 중앙 하단 내측은 축볼트(도2의 500)에 삽착된 마찰부재(550)가 압입되어 결착되는 안착홈(도6,552)과 그 하단으로 돌출부(51)을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 복스렌치 공구가 삽입될 크기의 공구삽입구(521)가 구비되어 외부케이싱(5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돌출부(51)는 축볼트(도3,4,5의 500)와 외부케이싱(도6,50)의 상호 이탈방지를 위한 단속수단용 지지부이다.
상술한 축볼트(도3,4,5의 500)의 마찰부재 결합부(551)에 롤형 베어링(550)을 압입한 후 외부케이싱(도6)의 상단으로 축볼트(500)를 압입하여 1실시예의 예취기용 롤러(도2)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7과 도8은 제2 변형실시예의 롤러 구성으로서,
외부케이싱(도7,8의 50)은 금속을 프레스 금형으로 성형 압착하여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 또는 경량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3"자를 90도로 눕혀놓은 원반형상으로 상단의 요홈부는 비어있는 형상이고 하단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밀착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상단 중앙 하단 내부로 베어링 안착홈(도8,552)을 형성하고 홈의 마감부를 90도로 절곡하여 이탈방지용 단속수단 지지부(582)로 구성되고 하단 상부의 넓은 확장홈은 렌치공구 투입구로 구성되는 외부케이싱(도8,50)에 볼트형 축(도3,4,5의 500) 또는 너트형 축(도11,500)과 부재로 결합되어 완성되는 롤러(도7)이다.
상기의 실시 롤러(도7)는 공구삽입구(521)가 넓게 형성되고 무게가 경량으로 제작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9는 너트형 축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도10)를 구동부 회전축에 결합한 구성도로서,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너트(도16,23)를 축너트(도11)로 장치화하고 마찰부재(도10,550)와 외부케이싱(도12)과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도10)는, 구동부(1) 회전축(2) 하단의 제1와샤(210)에 커터날(3)을 결합한 다음, 제2와샤(도14,220)와 제3와샤(도14,230)을 배재(절재)하고 회전축(2)의 볼트나사산(도9,22)에 바로 결합하여 사용되는 롤러(5)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도10은 제3 실시예의 롤러 완성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축너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12는 외부케이싱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축너트(도11,500)는 금속재질의 환봉을 성형하거나 연삭하여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단부를 넓게 구성하여 커터날(3)과 밀착되는 면을 와샤(도11,540)화 하여 기존의 제2와샤(220)기능을 부여하고, 중심내부로 단을지어 제1와샤(210)의 커터날 결합 주연돌출부(직경 25,6mm)와 결합되는 제1홈(511)과 구동부 회전축(2)의 요철기어(21)와 결합되는 제2홈(512)을 개설하고 그 내부 하단으로 구동부 회전축(2)의 볼트 피치부(22)에 결합되는 너트 피치부(522)를 구비하여 상단부가 구성되며, 축의 외부도 내부 단(511,512)과 비례하여 단을 지우고, 그 하단으로 마찰부재(550)가 결착되는 결합부(551)가 구비되어 롤형베어링(550)이 삽입되고, 삽입된 베어링(550)의 이탈을 단속하거나, 외부케이싱(50)과 결합한 다음 스넵키(580)로 키자리(561,571)에 체결하여 상호 이탈을 단속하고, 키자리(561,571) 하단부로 일반볼트의 머리와 같은 육각의 체결부(520)를 구비하여 렌치공구로 구동부의 회전축(2)과 결속하게 구성되는 축너트(도11, 500)를 형성한 것이다.
참고로 상단의 와샤면(540)을 짧게 절제한 다음 제1,2단(511,512)도 절제하고 기존의 제2와샤(220) 하단으로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타이트한 축너트(도3참조)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외부 회전체 케이스를 형성하는 반구형 외부케이스(도12)는 프라스틱이나 경량재질로 사출 또는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단 중앙부에서 하단부로 관통홈을 형성하되, 상단은 마찰부재(550)가 압입 결착되는 확장홈(552)과, 그 하단부에 탈출방지용 돌출부(562)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는 축너트(도11,500)의 체결부(520)에 렌치공구가 삽입될 크기의 확장 홈(521)이 구비되어 형성된 반구형 외부케이싱(도12,500)을, 상기의 축너트(도11,500)와 결합하여 제3 실시예의 예취기용 롤러(도10)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공구삽입구(521)는 항상 오픈된 상태로 있게 되는대 사용중 지면과 밀착되므로 흙등 이물질이 공구삽입구에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용 돌출부(562) 하단으로 너트의 나사산(도10,52)을 구비한 다음, 하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내부는 체결부(520)의 외측으로 투입되는 크기의 외경과 원통외부에 볼트의 나사산(도10,53)을 구비하고 밀폐된 하단 외부에 -자형 또는 +자형 체결수단(도10,54)을 구비한 마개뚜껑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13과 14는 제4 실시예의 롤러 완성 구조개략도와, 축와샤(600)의 구조개략 도로서, 상술한 제1,2 실시예와는 축이 차별화되는 구조이다.
앞서 상술하였듯이 기존에 실시되는 예취기는 제조사와 생산 기종에따라 회전축(2)에 커터날(3)를 결속하는 체결부재가 볼트 또는 너트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호 호환되게 사용하려면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 제4 실시예의 롤러는,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부호12,23)의 풀림을 방지하는 제3와샤(230)를, 그 외측에 마찰부재(55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결합된 마찰부재의 이탈방지 수단(581A)과 상술한 외부 케이싱(도6,8의 50)을 상호 결합하여 완성되는 롤러(도13,5)이다.
상술한 축와샤(600)는 하방 내부가 오픈되어 커터날 체결부재와 렌치공구가투입되는 크기로 형성하고, 상단 중앙부에 회전축(2)과 결합되는 결합구(601)가 개설되는 컵 형상으로 외측에 마찰부재(55)가 압입되도록 축(도14)부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4 실시예의 롤러는 적용하는 마찰부재(550)의 내경크기가 커지는 일부 단점은 있으나, 생산되는 예취기의 기종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기종에 호환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15,16,17은 참고도면으로 볼트형 구동축과 너트형 구동축 및 구동축을 형성하는 부품을 해부한 것으로 상세 설명은 배재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제1,2,3 실시예와, 제4 실시예로 완성된 롤러(5)를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2)에 부착하여 지면(땅)에 놓고 제초작업을 하게 되는대, 롤러(5)가 지면으로 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제초작업이 진행되므로 장시간의 작업이 가 능하고 피로도가 현저한 예취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롤러(5)는 예취기의 구조상 구동부의 회전축(2)상에 커터날(3)과 함께 결합되어야 함으로, 제초작업 중 빈번하게 마모되는 커터날(3)의 교환이나 탈,부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커터날(3)이 파손되거나 마모되면, 부득이하게 롤러(5)를 탈착해야 커터날(3)의 교환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항상 탈부착이 용이하고 간편한 구조이어야 한다. 본 고안 실시예는 이를 충분히 감안하여 최대한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축볼트(도3,4,5의 500) 또는 축너트(도11,500)의 상단부(553,540)의 와샤면은 넓게하거나 절제하여 타이트하게 형성 할 수도 있고, 상기 와샤면(553,540) 측면에 체결부(520)를 구성하고, 반구형으로 하단부가 밀폐된 외부케이싱(50)의 측면 일부를 천공하고, 축볼트,너트의 측면 일측에 보조체결부를 형성한 다음 보조체결부에 공구를 투입하여 탈,부착 할수 있는 조임수단을 더 구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축볼트,너트(도4,5,11)와 같이 제2와샤(도17,220) 일체형의 축와샤(600)의 형성도 가능한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실시되는 축볼트(도3,4,5의 500)와 축너트(도11,500) 및 축와샤(600)의 변형과, 이와 비례하는 외부케이싱(50)의 변형 및, 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실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고안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구조로 완성된 예취기용 롤러(5)의 작동을 살펴보면, 시동된 예취기를 등에 지거나 앞으로 들고 예취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구동부 회전축(2)에 부착된 롤러를 지면에 밀착하거나 근접한 상태로 엔진 회전을 높이면 커터날(3)이 빠른속도로 회전하면서 제초작업이 진행되고, 이때 지면과 이격된 커터날(3)은 예취기의 작업봉을 좌,우 또는 전,후면으로 밀어주면 롤러의 회동으로 부드럽고 안정되게 예취작업이 진행되므로, 예취작업 거리와 높이가 주관적으로 가늠되어 불시에 발생되는 지면과의 충돌이나 이물질과의 충돌을 피할수 있고, 경량재질로 소형인 롤러를 상시 부착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해도 불편함이 없어, 장시간 작업시 구동부와 커터날의 무게 및 회전축의 진동에서 오는 피로도를 줄여주며, 숙련자나 비숙련자 누구나 보다 쉽게 예취작업이 가능한 예취기용 롤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예취기용 롤러를 제공함으로 발생하는 효과는 예취기의 구동부 회전축(2)과, 롤러가 동기회전하지 않고 작업거리와 높이가 주관적으로 가늠되어, 불시에 발생되는 지면과의 충돌 횟수가 줄어들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여 노약자나 숙련자, 비숙련자 누구나 보다 쉬운 예취작업이 가능한 예취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8)

  1.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결합 체결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5)에 있어서,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인 볼트(도15,12) 또는 너트(도16,23)를, 축형볼트(도3,4,5의 500) 또는 축형너트(도11,500)로 장치화하고, 마찰부재(550)가 결합되게 형성한 롤러(5)의 샤프트 축(500)과,
    상기 축의 외부를 감싸고 지면과 밀착되는 회전체 케이싱(50)과,
    상기에서 형성된 축(500)과 마찰부재(550)를 케이싱(50)과 상호 결합하고 상호 결합된 축(500)과 마찰부재(550)가 외부케이싱(50)과 이탈되지 않토록 단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예취기용 롤러.
  2.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결합 체결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에 있어서,
    롤러(5)의 샤프트축은 금속 환봉을 성형 또는 연삭하여 형성한 축볼트(도2,3,4의 500) 또는 축너트(도11,500)와,
    상기 샤프트축은 구동부(1) 회전축(2)의 너트(도1,13)부 또는 볼트(도9,22)부에 체결되는 볼트(도3,525)부 또는 너트(도11,522)부는 M10 또는 M8mm의 외경에 좌측 나사산의 1,25mm 탭과,
    볼트부(도3,525)의 하단면 또는 축(도11)의 상단면으로 제2와샤(도1의 220)와 밀착되는 와샤면(553,540)과,
    와샤면(553,540) 하단으로 마찰부재(550)가 삽착되는 결합부(551)와,
    마찰부재 결합부(551) 하단으로 마찰부재(550) 또는 외부케이싱(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속수단과,
    단속수단 하단으로 볼트,너트의 육각머리에 해당하는 체결부(520)와,
    프라스틱, 또는 경량 재질로 사출이나 성형으로 형성되는 반구형상(도6,도12) 또는 경량 재질의 금속을 프레스 압착하여 형성되는 외부케이싱(50)과,
    상기 외부케이싱(50)의 반구형 케이스(도6 또는 도12의 50)는 상,하 관통하는 확장홈을 개설하되, 상단은 마찰부재(550)가 삽입되어 결착하는 홈(552)과,
    상기 홈 하단으로 돌출부(51)가 구비되고, 돌출부 하단으로 렌치공구 삽입구(521)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50)과,
    상기 샤프트축(500)과 마찰부재(550)가 외부케이싱(50)과 상호 결합되고 결합된 상호 부재가 이탈되지않게 단속부재로 형성된 롤러(5)는 샤프트축(500)상에서 외부케이싱(50)이 좌,우측으로 구동되게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예취기용 롤러.
  3.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결합 체결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5)에 있어서,
    롤러(5)의 샤프트축은 금속 환봉을 성형 또는 연삭하여 형성한 축볼트(도2,3,4의 500) 또는 축너트(도11,500)와,
    상기 샤프트축은 구동부(1) 회전축(2)의 너트(도1,13)부 또는 볼트(도9,22)부에 체결되는 볼트(도3,525) 또는 너트(도11,522)는 M10 또는 M8mm 크기의 외경에 좌측 나사산의 1,25mm 탭과,
    축볼트(도4,5의 500) 또는 축너트(도11,500)의 상단부 와샤면(553,540)의 중앙 하부는 단을 지우되, 제1단은 제1와샤(도1,210)의 하단 돌출부(커터날주연부)와 결합되는 폭25,6 +-0,5mm와 깊이2mm 내외의 제1단(도4,5,11의 511)과,
    회전축(2)의 요철기어(21)가 결합되는 요홈(도4,5,11의 512)을 개설하여 내,외부로 단을 형성한 제2단(도4,5,11의 512)과,
    마찰부재 결합부(551)와 단속부재 및 체결부(520)로 형성된 롤러의 샤프트 축이 제2와샤(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축볼트,너트(500)와,
    상기 샤프트축을 외부에서 감싸고 지면과 밀착되는 외부 회전체 케이싱(50)과,
    마찰부재(550)와 상호 결합된 상기 부재가 이탈되지 않토록 단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예취기용 롤러.
  4.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예취기의 롤러(5)에 있어서,
    구동부(1)의 회전축(2)상에 커터날(3)을 결속하는 체결부재(12,23)를 풀리지않게 보호하는 제3와샤(230)를 장치화하여 롤러의 샤프트 축으로 형성한 축와샤(600)와,
    상기 축와샤(600)는 하방 내부가 통공되어 커터날(3) 체결부재(12,23)와 상기 체결부재를 결속하는 공구가 투입되게 형성하고, 상단 중앙부에 회전축(2)과 결합되는 결합구(601)와, 외측에 마찰부재(550)가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컵 형상의 축와샤(600)와,
    상기 축의 외부를 감싸고 지면과 밀착되는 회전체 케이싱(50)과,
    상기에서 형성된 축와샤(600)상에 마찰부재(550)를 삽착한 다음, 케이싱(50)의 내부로 압입(삽입)되어 결합된 축와샤(600)와 외부케이싱(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예취기용 롤러.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너트(도11,500)의 나사(도11,522)상에 길이 40mm 내외와 외경 M10 또는 M8 mm의 좌측 나사산의 높이 1.25mmm의 탭으로 "-"자형상의 무브볼트를 구비하여 축너트(도11)의 나사산(도11,522)에 체결 또는 탈부하여 축볼트(도5) 또는 축너트(도11)로 변환사용이 가능하게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예취기용 롤러.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도2,도10)의 하단부 공구삽입구(도6,도12의 521)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마개뚜껑)이 외부케이싱(50)상에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예취기용 롤러.
  7.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지면과 밀착되는 하단부가 밀폐된 반구형 외부케이싱(50)의 측면에 공구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50)의 높이에 비례한 축(500)의 측면에 보조 체결부의 조임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예취기용 롤러.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축와샤(600)는 제2와샤(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롤러의 사프트 축으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예취기용 롤러.
KR2020060004797U 2006-02-22 2006-02-22 예취기용 롤러 KR200416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97U KR200416433Y1 (ko) 2006-02-22 2006-02-22 예취기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97U KR200416433Y1 (ko) 2006-02-22 2006-02-22 예취기용 롤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504A Division KR20050080021A (ko) 2004-12-06 2005-07-03 예취기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433Y1 true KR200416433Y1 (ko) 2006-05-15

Family

ID=4176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97U KR200416433Y1 (ko) 2006-02-22 2006-02-22 예취기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4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34B1 (ko) 2006-09-07 2007-06-11 김주배 휴대 예취기용 만능안전롤러
KR200490904Y1 (ko) * 2019-09-03 2020-01-20 김태현 풀 감김 방지 기능이 향상된 예초기의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34B1 (ko) 2006-09-07 2007-06-11 김주배 휴대 예취기용 만능안전롤러
KR200490904Y1 (ko) * 2019-09-03 2020-01-20 김태현 풀 감김 방지 기능이 향상된 예초기의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227A (en) Weed cutter head
CA2574415C (en) Rotary head for garden trimmers, of the type comprising pivoted cutter means
KR200416433Y1 (ko) 예취기용 롤러
KR101078824B1 (ko) 기아 보조장치 및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CN101404869B (zh) 切割机的地面滑动导向件及切割机
KR20070093470A (ko) 예취기용 롤러
KR20050080021A (ko) 예취기용 롤러
CN207948157U (zh) 一种坐骑式割草机刀头组合件
AU2009100688B4 (en) Head assembly for a rotary line trimmer
CN106804198B (zh) 一种多功能打草机
KR102425045B1 (ko)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
JP4413985B2 (ja) 刈払機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刈払機
KR200292421Y1 (ko) 예초기 커터날 보호장치
CN203985044U (zh) 一种植被修剪工具
WO2023101024A1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US2674795A (en) Hedge trimmer
CN220191472U (zh) 一种使用方便的割草机
JP3563262B2 (ja) 回転刃を備えた携帯型作業機
KR101185487B1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KR101179141B1 (ko) 예초기의 칼날 고정홀더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029075A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200455207Y1 (ko)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절단체가 펼쳐지는 휨강도가 우수한 바퀴식 예초기의 안전 절단장치
JPS6016280Y2 (ja) 刈払機、特に草刈機に於けるカッタ−用のコ−ド装置
KR200455954Y1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