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372Y1 - 두발 고정핀 - Google Patents

두발 고정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372Y1
KR200416372Y1 KR2020060005704U KR20060005704U KR200416372Y1 KR 200416372 Y1 KR200416372 Y1 KR 200416372Y1 KR 2020060005704 U KR2020060005704 U KR 2020060005704U KR 20060005704 U KR20060005704 U KR 20060005704U KR 200416372 Y1 KR200416372 Y1 KR 200416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older
support
support portion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도화
Original Assignee
홍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도화 filed Critical 홍도화
Priority to KR2020060005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발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서, 두발이 지지되는 두발지지부를 갖는 제1홀더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만곡 형성되어 두발을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된 두발이 상기 두발지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와 대향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가 상호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두발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두발 고정핀{HAIR P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발 고정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두발 고정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두발 고정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두발 고정핀 3 : 두발
10 : 제1홀더 11 : 두발지지부
20 : 제2홀더 21 : 만곡부
23 : 이탈방지턱 25 : 미끄럼방지돌기
31 : 두발수용부 35 : 회동축
41 : 스프링
본 고안은, 두발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발 고정 구조 를 개선한 두발 고정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발 고정핀은 머리를 치장하는 데 쓰는 핀으로서, 두발의 컬을 고정시키거나 웨이브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미용기구로서의 핀과 머리 장식용으로 쓰는 핀의 2가지가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서 미용기구로서의 종래의 두발 고정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두발 고정핀(101)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며 두발(3)을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110,120)와, 한 쌍의 홀더(110,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135)과, 한 쌍의 홀더(110,120)가 상호 접근하도록 탄성부세하는 스프링(141)을 가진다.
한 쌍의 홀더(110,120)는 긴 띠의 평판 단면형상을 가진다.
종래의 두발 고정핀(101)은 한 쌍의 홀더(110,120)를 상호 이격하여, 상호 이격된 각 홀더(110,120)의 내측에 두발(3)을 수용시킨 후, 한 쌍의 홀더(110,120)를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근시킴으로써, 두발 고정핀(101)은 두발(3)을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두발 고정핀은 각 홀더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평판 단면형상을 가지므로, 두발의 고정시 두발의 두께에 의해 각 홀더의 자유단부 영역이 벌어지며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두발 고정핀은 두발의 고정시 한 쌍의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두발의 일부가 상기 틈새를 통해 이탈하여 두발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두발의 컬을 고정시키거나 웨이브를 내기 위해 미용작업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두발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두발 고정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두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두발 고정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두발 고정핀에 있어서, 두발이 지지되는 두발지지부를 갖는 제1홀더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만곡 형성되어 두발을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된 두발이 상기 두발지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와 대향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가 상호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고정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두발지지부의 자유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두발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발지지부와 상기 만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주 일 영역에는 상기 두발과 상기 각 홀더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참숯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두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발 고정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두발 고정핀(1)은, 상호 접근 및 이격하며 두발(3)을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10,20)와, 한 쌍의 홀더(10,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35)과, 한 쌍의 홀더(10,20)가 상호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1)을 가진다.
한 쌍의 홀더(10,20)는 상호 대향 배치되며, 하측에 배치되는 제1홀더(10)와, 상측에 배치되는 제2홀더(20)로 이루어진다.
제1홀더(10)는 긴 띠형상을 가지며, 고정하고자 하는 두발(3)이 지지되는 두발지지부(11)를 가진다. 여기서, 두발지지부(11)는 평판 단면형상을 갖거나, 후술할 제2홀더(20)의 만곡부(21) 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홀더(20)는 긴 띠형상을 가지며, 제1홀더(10)와 대향 배치된다. 제2홀더(20)는 제1홀더(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만곡 형성된 만곡부(21)와, 만곡부(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두발지지부(11)에 지지된 두발(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3)을 가진다.
만곡부(21)는 제1홀더(10)의 두발지지부(11)에 대응하여 만곡 형성되어, 두 발지지부(11)와 함께 두발(3)을 수용 지지하는 두발수용부(31)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두발수용부(31)는 부분 원호단면형상을 가지며, 이에 각 홀더(10,20)는 고정되는 두발(3)의 수용 체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두발(3)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홀더(10)의 두발지지부(11)를 향하는 제2홀더(20)의 만곡부(21)의 내주 일 영역에는 두발지지부(11)와 두발(3)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탈방지턱(23)은 두발 고정핀(1) 사용시에도 제1홀더(10)의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를 둘러싸도록 두발지지부(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 갈고리형상을 가진다. 이에, 이탈방지턱(23)이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를 상시 둘러싸게 되어, 즉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와 이탈방지턱(2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두발수용부(31)에 수용 지지된 두발(3)은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각 홀더(10,20)는 각 홀더(10,20)의 자유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27)를 더 가진다. 각 홀더(10,20)의 파지부(13,27)는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 스프링(41)의 일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홀더(10,20)의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는 회동축(35)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15,29)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축(35)은 긴 봉형상을 가지며, 각 홀더(10,20)의 힌지부(15,29)에 회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스프링(41)은 회동축(35)의 일 영역의 외주에 결합되며, 스프링(41)의 양단 부는 각 홀더(10,20)가 상호 접근하도록 각 홀더(10,20)의 파지부(13,27)의 상호 대향하는 일측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각 홀더(10,20)는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상호 접근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41)은 토오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에, 제1홀더(10), 제2홀더(20), 회동축(35), 스프링(41), 한 쌍의 파지부(13,27)는 상호 조합되어 본 고안에 따른 두발 고정핀(1)은 집게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는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며, 부재료로서 압축공법에 의해 제조된 참숯을 함유하여 제조된다. 이에,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두발(3)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홀더(10)와 제2홀더(20) 중 어느 하나만 참숯을 함유하거나, 제1홀더(10)와 제2홀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참숯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각 홀더(10,20)의 재질은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27)를 가압하여 각 홀더(10,20)를 상호 이격시킨 후, 제1홀더(10)의 두발지지부(11)와 제2홀더(20)의 만곡부(21) 사이에 고정하고자 하는 두발(3)을 수용시킨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27)를 가압해제하여 각 홀더(10,20)를 접근시켜, 제1홀더(10)의 두발지지부(11)와 제2홀더(20)의 만곡부(21) 사이에 두발(3)을 고정한다. 이 때,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제1홀더(10)와 제2홀더(20)는 상호 접근하게 된다.
한편, 두발(3)을 두발 고정핀(1)에 고정할 때, 제2홀더(20)의 이탈방지턱(23)이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를 상시 둘러싸게 되어, 만곡부(21)에 의해 두발지지부(11)에 지지된 두발(3)은 두발지지부(11)의 자유단부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두발을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만곡된 만곡부와, 만곡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두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마련함으로써, 두발의 고정시 한 쌍의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두발의 일부가 이탈방지턱에 의해 각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어, 두발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두발의 컬을 고정시키거나 웨이브를 내기 위해 미용작업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홀더의 만곡부의 내주 일 영역에 두발과 각 홀더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미끄럼방지돌기는 제1홀더의 두발지지부의 내주 일 영역에 형성되거나, 두발지지부 및 만곡부의 양측 내주 일 영역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두발 고정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두발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홀더와 제2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참숯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두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두발 고정핀에 있어서,
    두발이 지지되는 두발지지부를 갖는 제1홀더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만곡 형성되어 두발을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두발지지부에 지지된 두발이 상기 두발지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와 대향 배치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제2홀더와;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가 상호 접근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고정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두발지지부의 자유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두발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고정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발지지부와 상기 만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주 일 영역에는 상기 두발과 상기 각 홀더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고정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와 제2홀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참숯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고정핀.
KR2020060005704U 2006-03-02 2006-03-02 두발 고정핀 KR200416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04U KR200416372Y1 (ko) 2006-03-02 2006-03-02 두발 고정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04U KR200416372Y1 (ko) 2006-03-02 2006-03-02 두발 고정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372Y1 true KR200416372Y1 (ko) 2006-05-15

Family

ID=4176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04U KR200416372Y1 (ko) 2006-03-02 2006-03-02 두발 고정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3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96Y1 (ko) 2012-01-12 2014-08-04 오일용 머리카락의 고정력이 우수한 헤어클립
KR101502889B1 (ko) 2013-08-08 2015-03-16 한영동 기능성 헤어 클립
US20190328101A1 (en) * 2018-04-29 2019-10-31 Stephanie Chang Adaptive hair cli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96Y1 (ko) 2012-01-12 2014-08-04 오일용 머리카락의 고정력이 우수한 헤어클립
KR101502889B1 (ko) 2013-08-08 2015-03-16 한영동 기능성 헤어 클립
US20190328101A1 (en) * 2018-04-29 2019-10-31 Stephanie Chang Adaptive hair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886B2 (en) Multi-function hair styling iron
US5522407A (en) Heated hair clip
RU26850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локонов различных размеров
US9849599B2 (en) Razor having free movability of the razor head
US20050166939A1 (en) False eyelash applicator
US20130146081A1 (en) Hair styling apparatus
US9687060B2 (en) Nail styling device
KR200416372Y1 (ko) 두발 고정핀
US20040237990A1 (en) Device for curling hair
CA1234732A (en) Hair curling spool holder
KR20110111979A (ko)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KR200432939Y1 (ko) 헤어컬링기
KR101987745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헤어 고데기
KR101497685B1 (ko) 헤어 컬 고정용 클램프
KR20210000744U (ko) 클램프를 구비하는 빗살형 고데기
KR20160064430A (ko) 인조 속눈썹 보조장치
KR200246253Y1 (ko) 손 끼움식 손잡이를 구비한 헤어 드라이기
US20210015231A1 (en) Melamine foam hair apparatus
KR20100001162U (ko) 헤어 아이론
KR100407533B1 (ko) 헤어 아이론
JP2002165629A (ja) ヘアークリップ
KR20140020637A (ko) 헤어 롯드
CN216907134U (zh) 一种多层次烫发器
KR200483630Y1 (ko) 헤어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