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320Y1 -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 Google Patents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320Y1
KR200416320Y1 KR2020060005108U KR20060005108U KR200416320Y1 KR 200416320 Y1 KR200416320 Y1 KR 200416320Y1 KR 2020060005108 U KR2020060005108 U KR 2020060005108U KR 20060005108 U KR20060005108 U KR 20060005108U KR 200416320 Y1 KR200416320 Y1 KR 200416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teeth
tooth
side wall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1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만수
Original Assignee
임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만수 filed Critical 임만수
Priority to KR2020060005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3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3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teeth, e.g. settings or dec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 U "자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윗니 또는 아랫니 중 어느 하나의 치아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방향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made of a "U" 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inside of the body any one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are fitted, The outside of the body relates to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aromatic material is coa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정의 자체탄성으로 치아에 덧씌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므로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하며, 소형화로 인해 그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한 것은 물론 몸체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방향물질 또는/및 측벽의 중공부에 게재된 방향물질에서 발산되는 기분 좋은 향으로 인해 입안의 구취를 제거하여 상쾌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구취로 인해 소극적이던 대인관계 역시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 is cover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is very easy, and due to the miniaturization, the portable material is easy to carry and care as well as the fragrance material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or / And due to the pleasant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material plac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ide wall can remove the bad breath in the mouth to lead a fresh daily lif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was passive due to bad breath also provides a significantly improved effect.

치아, 구취, 방향물질, 코팅 Teeth, bad breath, fragrances, coatings

Description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Bad tooth removal tool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FIG.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A-A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B-B of FIG. 3,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측벽의 형상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고,5a and 5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ental aid for removing the bad breath.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잇몸,One; Gum,

3; 치아,3; teeth,

10;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 Bad breath aids,

100; 몸체,100; Body Part,

110; 측벽,110; Sidewall,

111; 중공부,111; Hollow Part,

113; 발산홀,113; Radiating Hall,

130; 바닥벽,130; Floor Wall,

150; 특수한 도형,150; Special Shape,

170a, 170b; 방향물질.170a, 170b; Fragrance.

D; 간격,D; interval,

θ; 경사도.θ; slope.

본 고안은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자체탄성으로 치아에 덧씌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므로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하며, 소형화로 인해 그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한 것은 물론 몸체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방향물질 또는/및 측벽의 중공부에 게재된 방향물질에서 발산되는 기분 좋은 향으로 인해 입안의 구취를 제거하여 상쾌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구취로 인해 소극적이던 대인관계 역시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and in particular, because it is f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 is overlai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ity, it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pleasant fragrance emitted by the coated fragrance or / and the fragrance released on the hollow part of the side wall eliminates bad breath in the mouth, leading to a refreshing daily life and greatly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used by bad breath. It relates to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일반적으로 구취(口臭)란 구강에서 나는 악취, 즉 입냄새를 뜻하는 것으로서, 구취의 원인으로는 충치, 치석, 잇몸질환과 같은 구강청결문제, 스트레스, 흡연이나 약물복용, 그리고 소화기계나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것이 있다.In general, bad breath (口 악) means oral odor, or bad breath, and cause bad breath, oral cleansing problems such as dental caries, tartar, gum disease, stress, smoking or drug use, and digestive or respiratory system It is due to the disease.

이러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구취는 스스로 구취를 느껴 문제가 되기도 하지 만,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타각적 증세가 되어 문제가 일으킨다. 특히 사춘기의 남녀는 실제로 구취가 없는데도 본인의 주관적 고통이 강하여 신경증적 경향을 보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되 한다.Bad breath caused by this cause may cause problems by feeling bad breath by itself, but even when there is no self-symptom, it is a subjective condition that causes problems. In particular, men and women in puberty do not actually have bad breath, the subjective pain of their own strong tend to show a neurotic tendency.

이와 같이 자각적 또는 타각적 증상에 의해 문제를 일으키는 구취는 주위 사람과 가깝게 다정한 대화를 나누는데 어려움을 겪게 하며, 입냄새로 인해 사회생활에서의 자신감마저 잃어버리게 하는 등 커다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Such bad breath caused by subjective or subjective symptoms causes difficulties in having friendly conversations with those around them, and causes bad problems such as loss of confidence in social life due to bad breath.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중에서는 액체 또는 스프레이식으로 된 구강청정제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구취제거효과만을 제공할 뿐이며, 하루에도 몇 번씩 반복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지니고 있다.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liquid or spray mouthwashes on the market are sold, but this provides only a temporary bad breath removal effect, and it is cumbersome to use repeatedly several times a day.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아를 보호하는 일차적인 효과와 함께 소정의 자체탄성으로 치아에 덧씌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므로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하며, 소형화로 인해 그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한 것은 물론 몸체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방향물질 또는/및 측벽의 중공부에 게재된 방향물질에 서 발산되는 기분 좋은 향으로 인해 입안의 구취를 제거하여 상쾌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구취로 인해 소극적이던 대인관계 역시 향상시키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the primary effect of protecting the teeth is combined with a certain self-elasticity in the state of being overlaid on the tooth, so that the detachment is very easy, and due to its miniaturization, its carrying and management Not only is it easy to use, but the pleasant fragrance emitted by the fragrance substanc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or the fragrance substance placed on the hollow part of the side wall eliminates the bad breath in the mouth, leading to a fresh daily lif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that also improv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가 끼움결합되는 상기 치아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치아에 부딪혀 상기 주변치아에 손상을 주거나 이물감유발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를 착용했을 때 외관 및 미관을 향상시켜 타인으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peripheral teeth or to cause foreign objects such as hitting the peripheral teeth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ooth to which the tooth aid for removing the bad breath is inserted, the tooth for removing bad breath It is to provide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aesthetics when wearing the assistive device so that others do not feel rejection or discomfo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 U "자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윗니 또는 아랫니 중 어느 하나의 치아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방향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U" 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inside of the body any one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is fitted, the outside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is coated with a fragrance material.

여기서, 상기 치아의 전면과 후면에 접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은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는 방향물질이 게재되며, 상기 방향물질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발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de wall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tooth has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the aromatic material is placed in the hollow portion, the side wall from the hollow portion so that the fragrance of the aromatic material is divert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iverging holes penetrate.

그리고, 상기 몸체의 측벽은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한편, 상기 몸체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꽃잎모양, 하트모양, 클로버모양, 스페이드모양, 다이아몬드모양 등과 같은 특수한 도형이 부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special figure such as petals, hearts, clovers, spades, diamonds, or the like is added to one of the sidewalls of the bod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측벽의 형상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BB of FIG. 5A and 5B are side views showing the shape of side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먼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 U " 자 형상의 몸체(100)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윗니 또는 아랫니 중 어느 하나의 치아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는 방향물질(170a)이 코팅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d breath removing tooth assisting device 10 includes a “U” shaped body 100, and any one of upper teeth or lower teeth inside the body 100. The teeth of the fitting are coupled, the aromatic material (170a)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 U "자 형상의 몸체(100)는 치아의 전면과 후면에 접하게 되는 한 쌍의 측벽(110)과, 치아의 교합면에 접하게 되는 바닥벽(130)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10)과 상기 바닥벽(130)은 일체로 형성되어 결국 전체적으로 " U "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가 형성하는 높이(즉 상기 바닥벽(130)에서부터 상기 측벽(110)의 끝단에 이르기까지의 수직높이)및 상기 몸체(100)가 형성하는 폭(즉 상기 바닥벽(130)의 폭 및 상기 측벽(110)의 폭)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가 끼움결합될 치아의 종류에 맞게 각기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the "U" shaped body 100 may be subdivided into a pair of side walls 11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tooth, and a bottom wall 13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ooth. The side wall 110 and the bottom wall 130 are integrally formed to eventually form a “U” shape as a whole. Here, the height formed by the body 100 (ie, the vertical height from the bottom wall 130 to the end of the side wall 110) and the width formed by the body 100 (that is, the bottom wall ( Width of the 130 and the width of the side wall 11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eeth to be fitted to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the bad breath.

또한, 상기 측벽(110)과 상기 바닥벽(130)으로 이루어진 상기 " U " 자 형상의 몸체(100)는 치아를 그 내부로 수용하여 치아와 끼움결합을 이루어야 하므로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 사이의 간격(gap)(D)은 끼움결합하고자 하는 치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치아에 억지끼움될 때 상기 측벽(110) 사이의 간격(D)이 벌어지면서 치아에 밀착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억지끼움에 의해 치아에 끼움결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100)(특히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는 그 자체로 소정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지니고 있어 야 한다. 아울러 내식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 shaped body 100 formed of the side wall 110 and the bottom wall 130 should have a predetermined self-elasticity because it should be fitted with the teeth by receiving the teeth therein. . That is, the gap D between the sidewalls 110 of the body 10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ooth to be fitted, and the gap D between the sidewalls 110 when the tooth is forcibly fitted to the tooth. ) Will be tightly coupled to the teeth. Thus, in order to achieve a fitting fit to the teeth by interference fit, the body 100 (particularly, the side wall 110 of the body 100) should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a restoring force by itself.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material with strong corrosion resistance.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몸체(100)는 나노실버, 스테인레스강, 금, 은, 니켈, 구리 및 합금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atisfy such characteristic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00 of the dental aid tool 10 for removing bad breath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nano silver, stainless steel, gold, silver, nickel, copper, and an alloy material.

그리고,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몸체(100)의 외부, 즉 상기 측벽(110)의 외부면와 상기 바닥벽(130)의 외부면에는 소정의 두께로 방향물질(170a)이 코팅되어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fragrance material 170a i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of the dental aid tool 10 for removing bad breath,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30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Should be.

여기서, 상기 방향물질(170a)은 식용방향물질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방향물질을 사용해야하며, 주로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종자, 과실, 나무껍질, 수지 등에서 얻은 천연식물성 방향물질이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산류 ·지방족 고급알코올류 ·지방족 고급알데히드류 ·지방족 고급탄화수소류 ·티오알코올류 ·티오에테르류 ·이소티오시안산류 ·테르펜계 탄화수소류 ·페놀류 ·페놀에테르류 ·방향족 알코올류 ·방향족 알데히드류 ·락톤류와 인돌 및 그 유도체, 푸르푸랄 및 그 유도체 등을 배합하여 얻는 화학합성 방향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agrance material (170a) should use a fragranc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edible fragrance material, mainly natural plant fragrance material obtained from flowers, leaves, stems, roots, seeds, fruits, bark, resin, etc. of the plant, Ethers, esters, ketones, fatty acids, aliphatic higher alcohols, aliphatic higher aldehydes, aliphatic higher hydrocarbons, thioalcohols, thioethers, isothiocyanic acids, terpene hydrocarbons, phenols, phenol ethers It is preferable to use a chemical synthetic aromatic substance obtained by blending aromatic alcohols, aromatic aldehydes, lactones, indole and derivatives thereof, furfural and derivatives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은 방향물질(170a)을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시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 내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코팅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팅방법을 채택함을 밝힌다.By coating the fragrance material (170a) as described above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o emit a scen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in the oral cavity.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coating method adopts a coating method commonly used.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치아의 전면과 후면에 접하게 되는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중공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111)의 내부에 방향물질(170b)을 게재하고, 상기 방향물질(170b)의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111)로부터 상기 측벽(110)의 외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발산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니며,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는 앞서 설명한 방향물질(170a)이 일정한 두께로 코팅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3 and 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ental removal tool 1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side wall 110 of the body 100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tooth. The hollow part 111 may be formed, the fragrance material 170b may be placed inside the hollow part 111, and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material 170b may diverge outward from the side wall from the hollow part 111. A plurality of diverging holes 113 penetrating to the outside of the 110 is form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body 100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the aromatic material 170a described above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여기서, 상기 중공부(11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110)의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111)는 상기 측벽(110)의 소재 및 내구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한다.Here, as shown in FIG. 4, the hollow part 111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center of the side wall 110, and the hollow part 111 is formed of the material of the side wall 110 and It must be designed with sufficient durability in mind.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중공부(111)의 내부에는 방향물질(170b)이 게재되는데, 상기 방향물질(170b)은 앞서 설명한 방향물질(170a)과 마찬가지로 식용방향물질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방향물질을 사용해야한다. 단, 상기 방향물질(170b)은 상기 중공부(111) 내에서 소정의 크기를 가진 입자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The fragrance material 170b is placed inside the hollow part 1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agrance material 170b should use fragrance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an edible fragranc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 However, the fragrance material 170b is more preferably present in the form of a partic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the hollow part 111.

또한, 상기 발산홀(113)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111)에서 상기 측벽(110)의 외부에 이르기까지 복수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중공부(111) 내부에 게재된 상기 방향물질(170b)의 향을 외부로 발산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 상기 방향물질(170b)이 입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발산홀(113)의 직경은 상기 방향물질(170b)의 입자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iverging hole 113 penetrates into the hollow part 111 from the hollow part 111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10 and is placed inside the hollow part 111. Serves to divert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material 170b to the outside. However, when the fragrance material 170b is formed in a particle shape, the diameter of the diverging hole 113 should be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rticles of the fragrance material 170b.

아울러,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중공부(111)를 상기 측벽(110)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측벽(110) 및 상기 바닥벽(13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상기 방향물질(170b)을 게재시켜 외부로 발산되는 향을 양을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ollow portion 111 is not limited to the sidewall 110, but is formed entirely inside the sidewall 110 and the bottom wall 130, and the fragrance material ( 170b) may be add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ragrance emitted outside.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측벽(110)의 형상을 각각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5a에서 도시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측벽(110)은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진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에서 도시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측벽(110)에 꽃잎모양의 특수한 도형(150)이 부가되어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a and Figure 5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ide wal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side wall 110 of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bad breath shown in Figure 5a is the width toward the end This progressively narrowed embodiment is shown, and the embodiment in which the petal-shaped special figure 150 is added to the side wal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moving bad breath 10 shown in Figure 5b.

여기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측벽(110)을 도 5a와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이유, 즉 도 5a의 경사도(θ)를 형성하는 이유는 치근(齒根) 즉 잇몸(1)으로 갈수록 치아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고려하여 치아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과,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가 끼움결합되는 치아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치아에 부딪혀 상기 주변치아에 손상을 주거나 이물감유발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for forming the side wall 110 of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the bad breath as the width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as shown in Figure 5a, that is, the reason for forming the inclination (θ) of Figure 5a is root (齒 根) That is,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deodorant tooth removal tool 10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that the width of the teeth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gum (1), the tooth aid for removing bad breath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peripheral teeth or induce foreign body sensation by hitting the peripheral teeth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ooth (10) is fitted.

그리고,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측벽(110)에 도 5b와 같이 꽃잎모양의 특수한 도형(150)을 부착하는 이유는 외관 및 미관을 향상시켜 타인으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도 5b에서는 꽃잎모양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트모양, 클로버모양, 스페이드모양, 다이아몬드모양 등과 같은 특수한 도형(150)이 채택되어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특수한 도형(150)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측벽(110) 모두에 각각 부착되어도 무방하나, 외부에서 보이는 측벽(110)은 하나에 불과하므로 외부에서 인식되는 측벽(110)에 한해서 상기 특수한 도형(150)이 부가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reason for attaching the petal-shaped special figure 150 to the side wall 110 of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bad breath as shown in Figure 5b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aesthetics so that others do not feel rejection or discomfort To do this. However, in FIG. 5B, only the petal shape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special shape 150 such as a heart shape, a clover shape, a spade shape, a diamond shape, or the like is adopted to provide aesthetics of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bad breath. It can be configured to improve. Of course, the special figure 150 may be attached to all of the side walls 110 of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bad breath, but only one side wall 110 visible from the outside side wall (recognized from the outside (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cial figure 150 is added and fixed to the 110 only.

아울러, 도 5b와 같이 상기 측벽(110)의 외부면에 상술한 특수한 도형(150)이 별도로 부가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측벽(110) 자체를 상술한 특수한 도 형(150)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측벽(110)에 상술한 특수한 도형(150)을 새길 수도 있음을 밝힌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special figure 150 may be separately add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10 as shown in FIG. 5B, the side wall 110 itself may be formed of the above-mentioned special shape 150, or It is revealed that the above-described special figure 150 may be engraved on the sidewall 110.

한편, 도 6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로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를 사용자의 윗니 중 하나의 치아(3)에 끼움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ental aid tool for removing the bad breath 10, the dental aid tool for removing the bad breath 10 is fitted to one of the teeth (3) of the upper teeth of the user. It shows the state.

이와 같이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를 사용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 중 어느 하나의 치아(3)에 끼움결합시키면, 사용자의 입안은 코팅된 방향물질(170a) 또는/및 상기 중공부(111) 내부에 게재된 방향물질(170b)로부터 발산되는 인체에 무해하고 기분 좋은 향이 감돌게 되어 언제나 상쾌한 기분으로 생활을 할 수 있으며, 구취로 인해 망설여지던 대인관계 역시 월등히 좋아지게 된다.As such, when the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10 is fitted to any one of the teeth (3) of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of the user, the user's mouth is coated fragrance material (170a) or / and the hollow portion 111 ) Harmless and pleasant fragrance to the human body emitted from the fragrance material (b) posted therein can always live a refreshing mood,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esitated by bad breath is also greatly improved.

또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는 구취의 정도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당한 수로 치아(3)에 끼움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탈착이 자연스럽고 매우 간편하여 누구라도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aid 10 for removing the bad breath can be used by fitting to the teeth (3)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bad breath or the user's preference, the detachment is natural and very simple, so that anyone can carry conveniently Can be us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ental aid for removing the bad breath thus configured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소정의 자체탄성으로 치아에 덧씌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므로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하며, 소형화로 인해 그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한 것은 물론 몸체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방향물질에서 발산되는 기분 좋은 향으로 인해 입안의 구취를 제거하여 상쾌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며, 구취로 인해 소극적이던 대인관계 역시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it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because it is fitted in the state covered by the tooth with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because of its miniaturization, it is easy to carry and manage, as well as a pleasant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material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Due to the bad breath of the mouth can remove the fresh daily life, and because of bad breath due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측벽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방향물질을 게재시키고, 상기 방향물질의 향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복수의 발산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방향물질과 더불어 상기 중공부에 게재된 방향물질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어 입안의 구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Secondly, by forming a hollow part in the side wall, placing the fragrance material in the hollow part, and forming a plurality of diverging holes to diverge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material to the outside, the fragrance material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In addition,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substance posted on the hollow portion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o more effectively remove bad breath in the mouth.

셋째, 상기 몸체의 측벽을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치아와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가 끼움결합되는 치아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치아에 부딪혀 상기 주변치아에 손상을 주거나 이물감유발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the width of the body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of the body, there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 and the bad breath removing tooth rest and at the same time positioned around the tooth to which the bad breath removing tooth rest is fitted. It hits the peripheral teeth to damage the peripheral teeth or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matters.

넷째, 상기 몸체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꽃잎모양, 하트모양, 클로버모양, 스페이드모양, 다이아몬드모양 등과 같은 특수한 도형을 부가함으로써, 외관 및 미관을 향상시켜 타인으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ourth, by adding special shapes such as petals, hearts, clovers, spades, diamonds, etc. to one of the sidewalls of the body, the appearance and aesthetics can be improved so that others do not feel rejected or uncomfortable. Provide effect.

다섯째, 본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는 입안의 구취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치아를 덧씌운 상태로 끼움결합되기때문에 치아를 보호하며, 특히 노약자 등과 같이 치아가 부실한 경우에는 구취제거와 함께 치아 보호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Fifth, the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protects teeth because it removes bad breath in the mouth and is also fitted with the tooth covered. In particular, when the tooth is poor, such as the elderly, there are two kinds of teeth protection. The effect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of course,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out below.

Claims (4)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 U "자 형상의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윗니 또는 아랫니 중 어느 하나의 치아(3)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는 방향물질(170a)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It consists of a "U" shaped body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y one of the teeth 3 of the upper teeth or lower teeth is fitted, the body of the Bad breath removal aid for the tooth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aromatic material (170a) is coated on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치아(3)의 전면과 후면에 접하는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은 그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1)의 내부에는 방향물질(170b)이 게재되며, 상기 방향물질(170b)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상기 중공부(111)로부터 상기 측벽(110)을 관통하는 복수의 발산홀(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The side wall 110 of the body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ooth 3, has a hollow portion 111 formed therein, and a fragrance material 170b is placed inside the hollow portion 111. And a plurality of diverging holes 113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wall 110 from the hollow part 111 so that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material 170b is diverted to the outside.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은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Side wall 110 of the body 100 is a dental aid for removing bad bre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몸체(100)의 측벽(110) 중 어느 하나의 측벽(110)에는 꽃잎모양, 하트모양, 클로버모양, 스페이드모양, 다이아몬드모양 등과 같은 특수한 도형(150)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10). For removing bad bre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al shape 150, such as petals, hearts, clovers, spades, diamonds, etc. is added to one of the side walls 110 of the side wall 110 of the body 100. Dental braces (10).
KR2020060005108U 2006-02-24 2006-02-24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KR2004163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08U KR200416320Y1 (en) 2006-02-24 2006-02-24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08U KR200416320Y1 (en) 2006-02-24 2006-02-24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320Y1 true KR200416320Y1 (en) 2006-05-12

Family

ID=4176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108U KR200416320Y1 (en) 2006-02-24 2006-02-24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320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785B1 (en) 2006-05-17 2006-08-22 황윤선 The jewel to decorate the tooth
KR100763872B1 (en) * 2005-07-12 2007-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mats by electrospinning and mats manufactured thereby
KR100763873B1 (en) * 2005-07-12 2007-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mats by electrospinning and mats manufactured thereb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72B1 (en) * 2005-07-12 2007-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mats by electrospinning and mats manufactured thereby
KR100763873B1 (en) * 2005-07-12 2007-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mats by electrospinning and mats manufactured thereby
KR100614785B1 (en) 2006-05-17 2006-08-22 황윤선 The jewel to decorate the to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6548A (en) Personal oral hygiene tool
US6352545B1 (en) Breath system appliance with dorsal applicator and scraper
TWI359642B (en) Oral care implement housing an oral care agent
US8857004B1 (en) Oral hygiene device
CA2613509A1 (en) Carrier strip for application to oral surfaces and related methods
KR200416320Y1 (en) A tooth assistant for eliminating foul breath
Sagar Role of natural toothbrushes in containing oral microbial flora-a review
US20130276814A1 (en) Toothpick with floss
JP2006246916A (en) Odontotherapy suction chip
CN102000261A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reating ozostomia
US9743751B1 (en) Oral hygiene device
KR20190057454A (en) Gold containing disposable dental floss
US6722805B1 (en) Tongue adhered dentifrice apparatus
US20040152031A1 (en) Disposable tongue plaque removing device
JP6347015B1 (en) Oral care cleaning tool
JP2016209097A (en) toothbrush
US20110014584A1 (en)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1345915A (en) Teeth cleaning device capable of containing and assembling interdental brush
CN2202436Y (en) Water-flushing finger-cover type healthful toothbrush
CN109125153A (en) A kind of effervescent tablet for rinsing mouth
CN1491608A (en) Mouth freshening fragrant tooth-brush
JPH021208A (en) Combined microdrug spoon and ear pick
CN216165848U (en) Brush head with smell and toothbrush
CN113262060B (en) Denture base with antibacterial and denture stomatitis preventing functions
CN208404945U (en) A kind of neck portion silver circl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eriodont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