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74Y1 - 거푸집용 서포트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74Y1
KR200415874Y1 KR2020060004754U KR20060004754U KR200415874Y1 KR 200415874 Y1 KR200415874 Y1 KR 200415874Y1 KR 2020060004754 U KR2020060004754 U KR 2020060004754U KR 20060004754 U KR20060004754 U KR 20060004754U KR 200415874 Y1 KR200415874 Y1 KR 200415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nail
support
formwor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혁
Original Assignee
임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혁 filed Critical 임장혁
Priority to KR2020060004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몰 가능한 못이 장착된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서포트{support for form}
도 1a 및 도 1b는 못의 출몰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는 종래 거푸집용 서포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받이판에 고정용 쐐기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높이조절나사 11 : 가이드홈
10 : 외관 20,120 : 내관
26 : 관통공 30 : 지지핀
100 : 파이프 140,150 : 못
160 : 출몰부재 161 : 슬롯
163 : 승강판
본 고안은 출몰 가능한 못이 장착된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거푸집용 서포트로서,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928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용 서포트는 지면에 접지하여 설치되는 바닥판(1)의 중앙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숫나사가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11)이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외관(10)과; 상기 외관(10)에 끼워지며, 외측면에 다수의 관통구멍(26)이 형성된 내관(20)과; 상기 외관(20)의 숫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외관(10)으로 부터 내관(20)을 인출하거나 수용되도록 하여 파이프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3)와; 상기 가이드홈(11)과 관통구멍(26)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가 상기 높이조절나사(3)의 상면에 단속되는 것에 의해 내관(20)의 높이를 유지하는 지지핀(30)과; 상기 내관(20) 상부에 고정되어 거푸집(70)의 하부에 위치된 멍에(7)와 밀착되며, 못 삽입공(21) 및 볼트 체결공(22)을 갖는 받이판(2)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이판(2)의 상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쐐기(23)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판(2)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쐐기(23)가 거푸집(70)의 하부에 위치된 멍에(7)에 강하게 밀착되어 박힘므로써, 조립작업시 못질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생략하므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거푸집(7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억제하여 파이프서포트가 넘어지거나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받이판(2)의 상면에 쐐기(23)가 항상 돌출하여 있어서, 조립이나 분해, 이동 등과 같은 취급시 충돌에 의한 파손이나 사람에게 상해를 줄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못의 취급이나 보관이 안전한 거푸집용 서포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푸집용 서포트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파이프; 상기 외관에 대해 상기 내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내관 내에 배치되는 못; 상기 못을 상기 내관의 상단에 대해 출몰시키는 출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못의 출몰에 따른 취급이나 보관이 안전하여 파손이나 상해 등의 우려가 없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출몰부재는,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못을 지지한 채 상기 슬롯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간단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관의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받이판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상기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못이 더 설치되면, 한 번에 중심의 못과 외주의 못을 동시에 박을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더욱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종 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노출전 및 노출후 상태의 못을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용 서포트는 외관(10)과 내관(120)으로 구성된 파이프(100); 상기 외관(10)에 대해 상기 내관(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내관 내에 배치되는 못(140); 상기 못(140)을 상기 내관(120)의 상단에 대해 출몰시키는 출몰부재(160); 으로 구성하여 있다.
상기 외관(10)의 하단에는 플랜지와 같은 바닥판(1)이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내관(120)의 상단은 천정거푸집(70), 보다 정확히는 멍에(7)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내관(120)의 상단에는 멍에(7)에 밀착되는 플랜지형 받이판(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받이판(2)의 외주면에는 못삽입공(21)이나 체결공(22)과 같은 관통공(21 또는 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1 또는 22)에 별도의 못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하지 않고, 상기 승강판(163)에 상기 관통공(21 또는 22)을 삽입 통과하는 다른 못(150)을 설치하면, 승강판(163)이 올라갈 때 중심의 못(140)과 외주의 못(150)을 한 번에 동시에 박을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더욱더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높이조절부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관(120)에 길이방향을 따 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관통공(26), 상기 외관(10)의 상단측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나사(3) 및 가이드공(11), 상기 가이드공(11)과 상기 관통공(26)에 배치된 채 상기 높이조절나사(3)에 의해 내관(120)의 높이를 유지하는 지지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몰부재(160)는 상기 내관(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161)과, 상기 못(140)을 지지한 채 상기 슬롯(16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판(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포트100)를 설치한 경우, 승강판(163)을 망치 등으로 쳐서 밀어올리면 못(140)이 올라와 멍에(7)에 박은 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행하고,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 파이프(100) 해체시 반대로 승강판(163)을 아래로 당기거나 내관(120)을 아래로 당겨 못(140)을 빼내면 된다. 슬롯(161)의 상하단은 승강판(163)의 상하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물론, 못(140)이 빠질 때 못(150)도 같이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출몰부재(160)의 구성에 의하여, 비사용시에는 못(140)이 내관(120) 내에 탑재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못의 파손이나 부주의로 인한 상처를 입을 우려가 전혀 없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 서포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거푸집용 서포트에 의하면, 서포트 비사용시에는 못이 파이프 내에 배치되어 있어서, 못의 충돌에 따른 파손이나 부주의로 인한 상처를 입을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관의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받이판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상기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못이 더 설치됨으로써, 한 번에 중심의 못과 외주의 못을 동시에 박을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더욱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된 파이프;
    상기 외관에 대해 상기 내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내관 내에 배치되는 못;
    상기 못을 상기 내관의 상단에 대해 출몰시키는 출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용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는,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못을 지지한 채 상기 슬롯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서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형 받이판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상기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못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서포트.
KR2020060004754U 2006-02-21 2006-02-21 거푸집용 서포트 KR200415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54U KR200415874Y1 (ko) 2006-02-21 2006-02-21 거푸집용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54U KR200415874Y1 (ko) 2006-02-21 2006-02-21 거푸집용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74Y1 true KR200415874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54U KR200415874Y1 (ko) 2006-02-21 2006-02-21 거푸집용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2203T3 (es) Conjunto de fijación temporal de una guía vertical de mampostería en la pared interior de un muro hueco
US6065730A (en) Bolt positioning and retaining device
JP5904668B2 (ja) 仮設足場用部材
KR200415874Y1 (ko) 거푸집용 서포트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394338Y1 (ko) 건축용 석판재 고정장치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101913638B1 (ko) 슬라브 거푸집 체결용 고정핀 타격장치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KR20060027954A (ko) 영구 앵커의 재긴장공법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39343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215928Y1 (ko) 파이프서포트 받이판 미끄럼 방지장치
KR101619772B1 (ko) 알루미늄 거푸집 체결핀
KR100916807B1 (ko)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200246003Y1 (ko) 건축용 받침지주
KR102447669B1 (ko) 클라이밍콘 어셈블리
KR200260266Y1 (ko) 앵카보울트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0433916Y1 (ko) 매립 지지콘의 커플링을 이용한 벽면 시공용 갱폼 낙하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