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66Y1 - 앵카보울트 - Google Patents

앵카보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66Y1
KR200260266Y1 KR2020010029741U KR20010029741U KR200260266Y1 KR 200260266 Y1 KR200260266 Y1 KR 200260266Y1 KR 2020010029741 U KR2020010029741 U KR 2020010029741U KR 20010029741 U KR20010029741 U KR 20010029741U KR 200260266 Y1 KR200260266 Y1 KR 200260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concrete
incision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현
Original Assignee
안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현 filed Critical 안수현
Priority to KR2020010029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66Y1/ko

Links

Landscapes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을 콘크리트상에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면이나 바닥에 구멍을 천공하여 보울트를 고정시키는 앵카보울트에 관한 것으로, 보울트의 외주면에 별도의 캡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울트를 구멍내에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5)에 형성된 구멍(2)의 외부로 노출되는 숫나사부(8)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절개부(9)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개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0)이 형성되고 숫나사부가 형성된 구간에는 중심부에 통공(11)이 형성된 보울트(1)와, 상기 보울트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11)내에 강제로 삽입되어 절개부(9)를 확장시키는 확장부재(4)와, 상기 보울트(1)에 끼워져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일체형 너트(7)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앵카보울트{omitted}
본 고안은 구조물을 콘크리트상에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면이나 바닥에 구멍을 천공하여 보울트를 고정시키는 앵카보울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보울트의 외주면에 별도의 캡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울트를 구멍내에 직접 고정하는 앵카보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 완료 후 콘크리트의 외부 벽면에 광고판을 부착하거나, 옹벽(擁壁)면에 가이드레일 등의 부착물을 고정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상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상기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 내에 앵카보울트를 매설한 후 상기 앵카보울트를 이용하여 부착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앵카보울트의 분해 사시도로서, 원뿔형태의 머리부(22)를 갖는 보울트(21)에 숫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울트의 외주면에 끼워져 보울트(21)가 구멍(2)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캡(24)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24)에 의해 구멍(2)내에 고정된 보울트(21)에는 와셔(26) 및 너트(27)가 차례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조물(3)을 고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5)상에 구멍(2)을 천공한 다음 도 2a와 같이 상기 구멍내에 캡(24)이 끼워진 보울트(21)를 삽입한 후 상기 캡(24)을 별도의 지그(Jig)를 이용하여 상측에서 타격하면 절개부(25)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된 캡의 하부가 보울트(21)의 머리부(22)에 의해 확장되면서 도 2b와 같이 구멍(2)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므로 보울트(21)가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보울트(21)에 구조물(3)을 설치한 다음 숫나사부(23)에 와셔(26)를 끼우고 너트(27)를 체결함으로써 구조물(3)을 콘크리트(5)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앵카보울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해머 드릴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작업시 돌출된 원뿔형태의 머리부와 캡의 두께로 인해 구멍의 치수를 한 단계 큰 치수로 천공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보울트(21)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보울트에 씌워진 캡(24)을 별도의 지그(Jig)로 타격하여 확장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크게 천공된 구멍(2)의 중심과 보울트의 중심을 일치시키지 못하고 도 3과 같이 일측으로 편심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구멍(2)으로부터 편심되게 고정된 보울트(21)에 구조물의 구멍을 끼우기 위해서는 중량체의 구조물을 반복적으로 들었다 놓았다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콘크리트에 형성되는 구멍(2)과 보울트(21)의 공차를 크게 설정하면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들의 공차를 작게 설정하게 되므로 보울트(21)의 외주면에 캡(24)을 씌우고 지그(Jig)를 이용하여 캡(24)을 타격하더라도 콘크리트의 견고함으로 인해 절개부(25)가 충분히 확장되지 못하고 캡(24)이 구멍(2)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캡을 절단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음은 물론구조물을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되었다.
셋째, 보울트(21)와 캡(24)으로 구성되어 있어 앵카보울트의 부품 관리가 번거로웠음은 물론 작업공정수가 증가되었다.
넷째,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2)내에 보울트(21)가 캡(24)의 절개부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인해 구조물을 건물의 천장에 매달았을 경우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던 보울트가 구멍으로부터 빠져 추락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울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주면에 별도의 캡을 씌우지 않고도 보울트를 직접 구멍 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울트의 고정부위를 개선하여 현장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해 공정수를 단축시킴은 물론 보울트를 구멍내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신축성있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의 외부로 노출되는 숫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개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숫나사부가 형성된 구간에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보울트와, 상기 보울트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내에 강제로 삽입되어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확장부재와, 상기 보울트에 끼워져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일체형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앵카보울트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2a는 콘크리트내에 천공된 구멍내에 조립된 앵카보울트가 삽입된 상태도
도 2b는 앵카보울트용 캡이 확장되어 구멍내에 고정된 상태도
도 3은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내에 앵카보울트가 편심되게 고정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앵카보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5a는 콘크리트내에 천공된 구멍내에 앵카보울트가 삽입된 상태도
도 5b는 앵카보울트의 중심부에 확장부재를 강제적으로 압입하여 절개부를 확장시킨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울트 4 : 확장부재
7 : 너트 8 : 숫나사부
9 : 절개부 10 : 걸림턱
11 : 통공 12 : 신축부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앵카보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5)에 형성된 구멍(2)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조물(3)을 지지하는 보울트(1)와, 상기 보울트의 중심부에 강제로 압입되어 보울트의 절개부(9)를 확장시키는 확장부재(4)와, 상기 보울트에 끼워져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와셔(6) 및 너트(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2)에 고정되는 보울트(1)는 상부에 숫나사부(8)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절개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의 외주면에는 보울트(1)를 구멍(2)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걸림턱(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9)를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에서는 2개로 분할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절개부(9)를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9)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0)은 확장부재(4)에 의해 절개부(9)를 확장시켰을 때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2)의 내주면을 파고 들어가 강한 힘으로 지지하고 있을 정도의 형태이면 된다.
한편, 숫나사부(8)가 형성된 구간의 중심부에는 못과 같은 확장부재(4)가 자유로이 삽입되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있지만, 나머지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절개부(9)가 상호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숫나사부(8)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공(11)은 절개부(9)가 약간 포함되게 연장되어 있다.
이는, 확장부재(4)의 타격에 의해 절개부(9)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절개부의 절곡부위에서 크랙(creak)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울트(1)의 숫나사부(8)에 구조물(3)을 끼운 다음 숫나사부에 끼워지는 와셔(6) 및 너트(7)를 각각 분할 형성하여도 되지만, 취급 및 작업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이들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걸림턱(10)의 외주면에 신축부재(12)를 위치시키지 않고도 본 고안의 앵카보울트를 콘크리트의 구멍(2)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6a와 같이 걸림턱(10)이 형성된 절개부(9)의 상, 하부에 가락지형태의 고무링을 끼우거나, 도 6b와 같이 걸림턱(10)이 외부로 약간 노출되도록 골무형상의 신축부재(1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별도로 성형하여 끼울 수도 있다.
이는, 콘크리트(5)에 형성되는 구멍(2)이 보울트(1)의 외경과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절개부(9)가 확장부재(4)에 의해 확장되어 걸림턱(10)이 구멍(2)의 내주면을 파고 들어가는 과정에서 신축부재(12)의 전체 면이 구멍(2)의 내주면과 보다 긴밀히 밀착되어 방진효과는 물론 마찰력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절개부(9)상에 끼워지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신축부재(12)는 절개부(9)가 확장부재(4)의 타격에 의해 확장될 때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이면충분하고, 걸림턱(10)부위는 걸림턱역할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않을 두께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앵카보울트와 같이 콘크리트(5)상에 천공된 구멍(2)내에 도 5a와 같이 보울트(1)를 삽입한 다음 숫나사부(8)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1)내에 못과 같은 확장부재(4)를 끼우면 확장부재의 일부가 통공(11)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확장부재(4)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면 절개부(9)의 접속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확장부재(4)가 절개부(9)의 접속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할 형성된 절개부(9)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걸림턱(10)이 도 5b와 같이 구멍(2)의 내주면에 파고들어 긴밀히 밀착되는데, 이 때 상기 절개부(9)의 외주면에는 가락지 또는 골무형태의 신축부재(12)가 감싸여져 있어 신축부재가 절개부(9)와 함께 확장되면서 걸림턱(10)이 구멍(2)의 내주면에 파고들므로 보울트(1)가 구멍(2)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9)에 감싸여져 있던 신축부재(12)가 확장되면서 보울트(1)가 구멍(2)내에 고정되고 나면 신축부재(12)는 보울트(1)의 방진역할은 물론 구멍(2)의 공차로 인한 보울트(1)와 구멍(2)의 내주면과의 밀착력 저하를 보상하여 보울트가 구멍(2)내에 최대의 마찰력을 갖으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절개부(9)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보울트(1)가 구멍(2)내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보울트(1)의 외경과 구멍(2)의 내경 공차가 작으므로 보울트(1)가 일측으로 편심되는 현상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구멍(2)내에 보울트(1)를 고정시키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 공정에 따라 콘크리트(5)의 외부로 노출된 숫나사부(8)에 구조물(3) 및 와셔(6)가 일체로 형성된 너트(7)를 체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카보울트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콘크리트에 보울트의 외경보다 최소한의 허용공차로 천공하면 되므로 해머드릴의 천공작업이 능률적이고도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 보울트가 구멍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편심량을 완전한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보울트의 숫나사부에 구조물의 구멍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보울트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캡이 불필요하여 구조물을 콘크리트의 정위치에 놓고 천공 및 보울트 삽입 고정 및 너트의 잠금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보울트의 중심과 구조물에 형성된 구멍의 불일치에 따른 보울트의 교정작업을 위해 구조물을 반복적으로 들었다 놓았다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둘째, 별도의 캡을 이용하여 보울트를 구멍내에 고정하는 타입이 아니고 보울트 자체를 구멍내에 직접 고정하는 타입이므로 보울트가 구멍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의 풀림현상으로 구조물이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너트와 와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품 관리가 보다 용이하다.
넷째, 절개부의 외주면에 신축부재가 감싸여져 있어 보울트의 방진역할은 물론 보울트와 구멍의 내주면과의 전체 면에 압축 밀착되므로 마찰력을 최대한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멍으로부터 보울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5)

  1. 콘크리트에 형성된 구멍의 외부로 노출되는 숫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개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숫나사부가 형성된 구간에는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보울트와, 상기 보울트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내에 강제로 삽입되어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확장부재와, 상기 보울트에 끼워져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일체형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상광하협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공이 절개부의 일부가 포함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구간의 상, 하부에 가락지형태의 신축부재가 감싸여지게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노출되게 절개부상에 골무형상의 신축부재가 감싸여지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카보울트.
KR2020010029741U 2001-09-26 2001-09-26 앵카보울트 KR200260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741U KR200260266Y1 (ko) 2001-09-26 2001-09-26 앵카보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741U KR200260266Y1 (ko) 2001-09-26 2001-09-26 앵카보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73A Division KR20030021992A (ko) 2001-09-07 2001-09-25 앵카보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66Y1 true KR200260266Y1 (ko) 2002-01-10

Family

ID=7306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741U KR200260266Y1 (ko) 2001-09-26 2001-09-26 앵카보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57B1 (ko) * 2009-12-24 2012-05-16 정옥순 알루미늄폼용 높이 조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57B1 (ko) * 2009-12-24 2012-05-16 정옥순 알루미늄폼용 높이 조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552A (en) Expansible mounting assembly
KR102307193B1 (ko) 세트 앵커볼트
KR200260266Y1 (ko) 앵카보울트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EP0416183B1 (en) Anchor-fixing
KR20030021992A (ko) 앵카보울트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20220054805A (ko) 확장 앵커
KR200186258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KR200394428Y1 (ko) 앵커볼트
KR200290214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254712Y1 (ko) 앵카보울트용 캡
KR200250946Y1 (ko) 앵커볼트
KR200286078Y1 (ko) 구조물 고정용 앵커보울트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KR200250797Y1 (ko) 앵커볼트
KR200313579Y1 (ko) 스트롱 앙카
KR20030090292A (ko) 구조물 고정용 앵커보울트
KR102348490B1 (ko) 골 접합용 임플란트 결합구조
KR200382747Y1 (ko) 앵커볼트
KR200221018Y1 (ko) 앵커볼트
KR20230168353A (ko) 매입형 앵커조립체
KR200396511Y1 (ko) 고정용 앵커
JP4449626B2 (ja) 抜止めブッシング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