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61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61Y1
KR200415861Y1 KR2020060004621U KR20060004621U KR200415861Y1 KR 200415861 Y1 KR200415861 Y1 KR 200415861Y1 KR 2020060004621 U KR2020060004621 U KR 2020060004621U KR 20060004621 U KR20060004621 U KR 20060004621U KR 200415861 Y1 KR200415861 Y1 KR 200415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egrees
stopper
slop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4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벌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되, 그 일정각도가 수평에 가까운 176도 내외 범위일 경우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점차 디스플레이 유닛이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구간(20도~0도)과 완전히 펼쳐지는 구간(160도~180도)에서 빠르게 여닫히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힌지장치를 이루는 다수의 힌지구조물 중에서, 고정캠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회동캠에는 스토퍼 가이드 캠부를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에 의해 회동캠이 176도 내외 범위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노트북, 힌지, 캠, 스토퍼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요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캠과 회동캠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고정캠과 회동캠의 각 외면부와 내면부의 전개도.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고정캠과 회동캠의 맞물림 상태에 따라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각도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이스 유닛 4 : 디스플레이 유닛
50 : 고정캠 52 : 캠면
52-1 : 경사부 53 : 경사면
54 : 하향경사면 55 : 제 1캠홈
56 : 상향돌출경사면 57 : 하향함몰경사면
58 : 제 2캠홈 60 : 회동캠
62 : 캠홈 63 : 경사면
64 : 캠면 65 : 상향경사면
66 : 제 1캠면 67 : 하향함몰경사면
68 : 상향돌출경사면 69 : 제 2캠면
600 : 스토퍼 가이드 캠부 610 : 스토퍼 가이드 캠홈
620 :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
630 :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
640 : 스토퍼 가이드 캠면 650 :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고, 일정각도에서 여닫힘의 클릭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180도 내외범위의 각도까지 벌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컴퓨터가 거의 필 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컴퓨터는 최근 각 사무실과, 학교 및 가정에 거의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데스크 탑 퍼스널 컴퓨터(Desk Top Personal Computer)와는 달리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편리한 노트북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메인보드, CPU, 각종 칩셋,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와, 키보드와 터치패드 등의 데이터 입력수단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온라인 기능을 위한 랜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베이스 유닛과; 상기한 베이스 유닛의 조작 및 작동에 의해 각종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상호 접히거나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노트북 컴퓨터에서 베이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장치는 다양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대부분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일정한 외력으로는 회동되나 자유회동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선택한 각도에서 안정적으로 벌어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장치가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자유회동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할지라도, 상기 베이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접이시킨 상태로 들고 다니거나 할 경우, 상기 베이스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유닛의 무게중심이 아래로 향하고 있게 되며, 이때 상기 베이스 유닛이나 디스플레 이 유닛의 무게가 상기 힌지장치의 자유회동 방지력보다 크므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유닛의 자유낙하에 의한 벌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이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잠금수단인 래치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접이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홀딩시키기 위한 래치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래치장치가 구비된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동시켜 일정각도로 벌리고자 할 경우에 일일이 래치장치의 잠금을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래치장치의 부가구성으로 인하여 노트북 컴퓨터가 고가인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원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을 예방함과 아울러 일정각도에서 여닫힘의 클릭 현상이 발생하도록 한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44838호)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44838호의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장치'는 별도의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고, 또한 일정각도 에서 여닫힘의 클릭현상이 발생하기는 하나,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대략 170도 정도 벌어진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게 되면 완전히 뒤로 젖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대략 170도 정도 벌어진 상태에서는 회동캠의 제1캠 중심이 고정캠의 돌출경사면의 단턱에 걸려진 상태인 바, 어느 정도 스토퍼 기능을 가지게 되나, 이는 소정의 토크에 의한 스토퍼 기능일 뿐,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클릭이 생기면서 뒤로 완전히 젖혀지게 됨으로써, 소비자 만족을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고안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별도의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고, 일정각도에서 여닫힘의 클릭현상이 발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벌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갖춘 '힌지장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45291호)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45291호의 '힌지장치'는 별도의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고, 또한 일정각도에서 여닫힘의 클릭현상이 발생하기는 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일정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 스토퍼 기능이 갖추어져 있기는 하지만,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150도 정도 벌어진 상태에서 스 토퍼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못함으로써, 그 이상의 각도로 펼치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는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150도 정도 벌어진 상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못하는데, 이때 150도에서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강한 힘으로 뒤로 젖히게 되면, 힌지장치가 파손되어 더 이상 그 기능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래치장치를 배제하면서도 캠 작용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이된 상태에서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고, 일정각도에서 여닫힘의 클릭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180도 범위 내외로 펼쳐진 상태에서 스토퍼 기능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그 파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펼쳐짐에 있어서, 180도 범위로 펼쳐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춘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힌지장치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점차 디스플레이 유닛이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자중에 의해 닫히는 구간(약 20도~0도)과 완전히 펼쳐지는 구간(약 160도~180도)의 각도가 커져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빠르게 여닫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우려가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래킷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시 고정됨을 유지하는 시스템 브래킷과, 상기 샤프트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캠, 회동캠, 복수의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힌지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지 않도록 그 중앙에 원형상이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외주 둘레에는 각각 일정각도만큼씩 캠면과, 경사면과, 하향경사면과, 제 1캠홈과, 상향돌출경사면과, 하향함몰경사면 및 제 2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1캠홈에서 상기 통공의 외주와 연접되는 부위로부터 방사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만큼의 간격을 갖는 스토퍼가 일정각도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캠면 및 제 1캠홈에 비하여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형성된 것과; 상기 회동캠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도록 그 중앙에 각형공이 형성되되, 상기 각형공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캠 의 캠면, 경사면, 하향경사면, 제 1캠홈, 상향돌출경사면, 하향함몰경사면 및 제 2캠홈에 각각 대응하는 캠홈, 경사면, 캠면, 상향경사면, 제 1캠면, 하향함몰경사면, 상향돌출경사면, 제 2캠면이 형성된 외면부; 상기 고정캠의 스토퍼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연장형성된 내면부인 스토퍼 가이드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캠에서, 캠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하향경사면이 원주방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향경사면으로부터 제 1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캠홈으로부터 상향경사진 상향돌출경사면과, 연속해서 하향함몰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제 2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캠에서, 캠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9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81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 1캠홈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105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상향돌출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24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하향돌출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21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 2캠홈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30도 각도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캠의 스토퍼는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의 양 끝단에는 일정각도만큼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는, 외면부의 상향경사면 일부부터 캠면의 일부까지 대략 285도 각도만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되, 이 경우,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는, 스토퍼 가이드 캠홈과,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 스토퍼 가이드 캠면 및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가 각각 일정각도만큼씩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으로, 상기 회동캠의 외면부는, 캠홈이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연속해서 상기 경사면이 9도 각도만큼, 상기 캠면이 81도 각도만큼, 상기 상향경사면이 15도 각도만큼, 상기 제 1캠면이 60도 각도만큼 , 상기 하향함몰경사면이 24도 각도만큼, 상기 상향돌출경사면이 21도 각도만큼, 상기 제 2캠면이 3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에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홈은 원주방향으로 7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연속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은 21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은 24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캠면은 105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는 6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캠의 캠면 외면부 일측에는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경사부는 원주방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요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4)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기 위한 브래킷(12)이 그 일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와 스페이스 와셔(24)를 사이에 두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베이스 유닛(2)의 프레임 일측과는 고정결합되는 시스템 브래킷(30)과, 상기 샤프트(20)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20)는 그 중간 둘레에 걸림판(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림판(2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길이까지는 원통형부를 이루고, 이 원통형부로부터 일정길이까지는 양면이 대향되게 평면을 이루는 각형부를 이루며, 이 각형부로부터 일정길이까지는 나사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에 결합되는 시스템 브래킷(30)은, 상기 샤프트(20)의 원통형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제 1브래킷(32)과, 이 제 1브래킷(32)의 일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제 2브래킷(34)과, 이 제 2브래킷(34)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2)의 프레임과 고정결합되는 펨 너트(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원통형부에 삽설되어서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과 고정되는 고정캠(50)과, 상기 샤프트(20)의 각형부에 삽설되어서 상기 고정캠(50)의 캠면과 그 캠 면이 맞닿아 회전되되, 상기 샤프트(20)와 연동되는 회동캠(60)과, 역시 상기 샤프트(20)의 각형부에 삽설되는 복수의 판스프링(70) 및 가이드 와셔(80)와, 상기 샤프트(20)의 나사부와 체결고정되는 너트(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캠(50)의 일단은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과 고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0)의 단부로부터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에 형성된 통공을 끼워 맞추어 상기 제 1브래킷(32)의 일면이 상기 샤프트(20)의 걸림판(22) 일면과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캠(50)과, 회동캠(60), 복수의 판스프링(70), 가이드 와셔(8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최종적으로 너트(90)를 삽입시켜 샤프트(20)의 나사부와 체결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캠(50)의 일단에 돌출된 부위는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맞추고, 최종적으로 체결되는 너트(90)는 그 조임량을 설정된 토크로 조절한 후, 리벳팅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조립을 마무리하면 된다.
한편, 샤프트(20)의 단부로부터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에 형성된 통공을 끼워맞추어 상기 제 1브래킷(32)의 일면이 상기 샤프트(20)의 걸림판(22) 일면과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캠(50)과, 회동캠(60), 복수의 판스프링(70), 가이드 와셔(8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너트 없이 바로 리벳팅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조립을 마무리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2브래킷(34) 일 면에 형성된 펨 너트(40)는 베이스 유닛(2)의 프레임에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브래킷(12)은 디스플레이 유닛(4)의 프레임 측부에 고정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체결된 힌지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유닛(2)이 바닥면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에서 이 베이스 유닛(2)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유닛(4)을 각도회동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의 프레임이 고정설치된 브래킷(12)이 회동되면서 이 브래킷(12)과 고정결합된 샤프트(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 브래킷(30)은 펨 너트(40)가 베이스 유닛(2)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과 그 일단이 고정결합된 고정캠(50) 또한 샤프트(20)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샤프트(20)에 순차적으로 체결된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과, 고정캠(50), 회동캠(60), 복수의 판스프링(70), 가이드 와셔(80) 및 너트(90) 중에서 시스템 브래킷(30)과 고정캠(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인 회동캠(60), 복수의 판스프링(70), 가이드 와셔(80) 및 너트(90)만 샤프트(2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에 형성된 통공과, 고정캠(50)의 통공(51)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샤프트(20)의 원통형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0)가 회전되더라도 미끄러지면서 연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회동캠(60)과 복수의 판스프링(70) 및 가이드 와셔(80)의 통공은 상기 샤프트(20)의 각형부에 대응하는 각형공(61)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너트(90)는 샤프트(20)의 나사부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역시 샤프트(2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캠과 회동캠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는 고정캠과 회동캠의 각 외면부와 내면부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고정캠의 외면부 전개도, 도 5b는 고정캠의 내면부 전개도, 도 5c는 회동캠의 외면부 전개도, 도 5d는 회동캠의 내면부(스토퍼 가이드 캠부) 전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50)에는 그 중앙에 샤프트(20)의 축에 끼워져 상기 샤프트(20)와 연동되지 않기 위한 원형상의 통공(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51)의 외주 둘레에는 각각 일정각도만큼씩 캠면(52), 경사면(53), 하향경사면(54), 제 1캠홈(55), 상향돌출경사면(56), 하향함몰경사면(57) 및 제 2캠홈(58)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캠홈(55)에서 상기 통공(51)의 외주와 연접되는 부위로부터 방사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만큼의 간격을 갖는 스토퍼(59)가 일정각도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59)는 상기 캠면(52) 및 제 1캠홈(55)에 비하여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끝단이 일정간 격만큼 경사부(59-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캠(50)에서 통공(51)의 외주부터 고정캠(50)의 외주까지의 간격을 A라고 하면, 상기 스토퍼(59)의 간격은 A/2만큼 즉, 상기 통공(51)의 외주로부터 고정캠(50)의 외주 중간지점까지 직경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9)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내면부라 하고, 상기 스토퍼(59)가 없는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외면부라하고 그 전개도를 구분하면 도 5a 및 도 5b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캠면에서 외주부에는 일정각도만큼 하향경사진 경사부(5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캠면(52)은 원주방향으로 9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경사면(53)은 상기 캠면(52)의 일측으로부터 하향방향으로 9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54)은 81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1캠홈(55)은 10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향돌출경사면(56)은 24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향함몰경사면(57)은 21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2캠홈(58)은 3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면(52)에 형성된 경사부(52-1)는 그 시작점부터 외면부에서만 대략 4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9)는 통공(51)을 사이에 두고 캠면(52)과 대향되게 90도 각도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고정캠(50)의 면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스토퍼 (59)가 제일 많이 돌출되고, 제 2캠홈(58)이 제일 많이 함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캠(60)은, 도 3 내지 도 5c 및 도 5d에서와 같이, 그 중앙에 샤프트의 축에 끼워져 상기 샤프트와 연동되기 위한 타원형상의 각형공(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각형공의 외주 둘레에는 상기 고정캠(50)의 경사부(52-1)를 포함하는 캠면(52), 경사면(53), 하향경사면(54), 제 1캠홈(55), 상향돌출경사면(56), 하향돌출경사면(57) 및 제 2캠홈(58)에 대응하는 외면부와,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와 대응하는 내면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캠(60)에서 내면부의 직경은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 직경과 대응되며, 상기 스토퍼(59)가 안내되는 이동로가 되는 바,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를 이루게 된다.
상기 회동캠(60)에서 외면부에는, 도 3, 도 4 및 도 5c에서와 같이, 고정캠(50)의 캠면(52)과 대응하는 캠홈(62)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캠(50)의 경사면(53)과 대응하는 경사면(63)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캠(50)의 하향경사면(54)의 일부와 대응하는 캠면(64)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캠의 하향경사면(54) 일부와 제 1캠홈(55)의 일부에 걸쳐 대응하는 상향경사면(65)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캠(50)의 제 1캠홈(55)에 대응하는 제 1캠면(66)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캠의 상향돌출경사면(56)과 대응하는 하향함몰경사면(67)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캠의 하향함몰경사면(57)과 대응하는 상향돌출경사면(68)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캠의 제 2캠홈(58)과 대응하는 제 2캠면(69)이 연 장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캠(60)의 캠홈(62)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어 있고, 연속해서 경사면(63)이 9도 각도만큼, 캠면(64)이 51도 각도만큼, 상향경사면(65)이 45도 각도만큼, 제 1캠면(66)이 90도 각도만큼, 하향함몰경사면(67)이 24도 각도만큼, 상향돌출경사면(68)이 21도 각도만큼, 제 2캠면(69)이 3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에서는,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와 대응하는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이 75도 각도만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캠의 스토퍼(59) 일측 경사면(59-1)과 대응하는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620)이 21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원주방향으로 24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630)이 연장형성되고, 계속해서 105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캠면(640)이 연장형성되며, 계속해서 60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650)가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는 총 28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650)의 끝단은 수직방향으로 절벽면을 이루게 되는데, 이 절벽면에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단이 닿게 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캠(50)과 회동캠(60)의 맞물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4)이 각도회동되는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상기 고정캠의 캠면과 회동캠의 캠면은 상호 맞닿게 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4에서는, 고정캠의 좌측에 회동캠의 우측이 포개어져서 맞물리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도 6 내지 도 8은 고정캠과 회동캠이 상호 포개진 상태로 맞물린 것을 표현한 것으로서, 그 구조적 복잡함으로 인해 설명의 편의상 고정캠의 좌측에 회동캠의 좌측이 맞물리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면을 표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즉, 도 6내지 도 8은 고정캠과 회동캠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동캠을 투시되게 표현하여 우측으로 빼낸 상태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캠(50)의 캠면에 대하여 회동캠(60)의 캠면을 포개면, 캠면들과 캠홈들이 서로 대응을 이루게 된다.
즉, 고정캠(50)의 캠면(52)에는 회동캠(60)의 캠홈(62)이, 고정캠(50)의 경사면(53)에는 회동캠(60)의 경사면(63)이, 고정캠(50)의 하향경사면(54)에는 회동캠(60)의 캠면(64) 및 상향경사면(65)의 일부가, 고정캠(50)의 제 1캠홈(55)에는 회동캠(60)의 상향경사면(65) 일부와 제 1캠면(66)이, 고정캠(50)의 상향돌출경사면(56)에는 회동캠(60)의 하향돌출경사면(67)이, 고정캠(50)의 하향돌출경사면(57)에는 회동캠(60)의 상향돌출경사면(68)이, 고정캠(50)의 제 2캠홈(58)에는 회동캠(60)의 제 2캠면(69)이 각각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다소 들뜬 상태로 서로 대응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2) 외주부에 일정각도만큼 형성된 경사부(52-1)는 회동캠(60)의 캠홈(62)에 일부가 밀착된다.
이와 같이 고정캠(50)과 회동캠(60)이 완전히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는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 중,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과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620)과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캠(50)의 캠면(52), 경사면(53), 하향경사면(54), 제 1캠홈(55), 상향돌출경사면(56), 하향함몰경사면(57), 제 2캠홈(58)과 스토퍼(59)가, 상기 회동캠(60)의 캠홈(62), 경사면(63), 캠면(64), 상향경사면(65), 제 1캠면(66), 하향돌출경사면(67), 하향돌출경사면(68), 제 2캠홈(69)과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들과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된 상태에서는 다소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이스 유닛(2)과 디스플레이 유닛(4)이 완전히 접혀 그 개방각도가 0도를 이루는 상태를 고정캠(50)과 회동캠(6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된 상태로 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꾸로 들었을 때,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2), 경사면(53), 하향경사면(54), 제 1캠홈(55), 상향돌출경사면(56), 하향함몰경사면(57), 제 2캠홈(58)과 스토퍼(59)가, 상기 회동캠(60)의 캠홈(62), 경사면(63), 캠면(64), 상향경사면(65), 제 1캠면(66), 하향함몰경사면(67), 상향돌출경사면(68), 제 2캠면(69)과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이 상호 맞닿게 대응된 상태에서 다소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2)과 디스플레이 유닛(4)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이스 유닛(2)과 디스플레이 유닛(4)이 완전히 접힌 상태, 즉 베이스 유닛(2)과 디스플레이 유닛(4)의 벌어진 각도가 0도일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50)의 하향함몰경사면(57)이 회동캠(60)의 상향돌출경사면(68)에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함으 로써, 상호 마찰에 의한 계속적인 토크가 작용하여 이 토크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유동성을 갖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측 경사부(59-1)에는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620)과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호 마찰에 의한 계속적인 토크가 작용하여 이 토크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유동성을 갖지 않도록 하였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캠(50)의 캠면(52), 경사면(53), 하향경사면(54), 제 1캠면(55), 상향돌출경사면(56), 하향함몰경사면(57), 제 2캠홈(58), 및 스토퍼(59)가, 상기 회동캠(60)의 캠홈(62), 경사면(63), 캠면(64), 상향경사면(65), 제 1캠면(66), 하향함몰경사면(67), 상향돌출경사면(68), 제 2캠면(69) 및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된 상태는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대략 -19도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조정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마이너스 각도로 접혀질 수는 없게 되는 바,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혀져 그 벌어진 각이 0도일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캠(50)의 하향함몰경사면(57)과 회동캠(60)의 상향돌출경사면(68)에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하며,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측 경사부(59-1)에는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620)과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호 마찰에 의한 계속적인 토크가 작용하여 이 토크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유동성을 갖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4)을 상기 토크보다 더 큰 힘으로 들어올려 상향으로 각도 회동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 유닛(4)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래킷이 연동하여 회동되고,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회동캠(60)이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고정캠(50)은 베이스 유닛(2)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시스템 브래킷(30)의 제 1브래킷(32)과 고정결합되어 있는 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캠(60)이 고정캠(5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4)과 상향경사면(65) 및 제 1캠면(66)이 고정캠(50)의 캠면(52)과 마찰되면서 회전하는 상태가 디스플레이 유닛(4)이 베이스 유닛(2)을 중심으로 각도회동되는 상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캠(60)의 캠면(64)과 상향경사면(65) 및 제 1캠면(66)이 고정캠(50)의 캠면(52)을 압착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복수이 판스프링이 압축된 상태가 되며, 이때 설정된 토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자유회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위치를 선택한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의 각도회동에 따라 회동캠(60)의 캠면(64)과 상향경사면(65) 및 제 1캠면(66)이 고정캠(50)의 캠면(52)을 압착시키면서 회전될 때,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에 의해 상기 스토퍼(59)가 걸립되지 않는다.
즉, 상기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의 깊이가 상기 스토퍼(59)의 높이만큼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회동캠(60)의 고정캠(5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될 때 걸림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는, 회동캠(60)의 전체 원주길이 즉 360도만큼 형성되지 않고, 상향경사면(65)의 일부부터 캠면(64)의 일부까지 대략 285도 만큼만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의 끝단 즉, 상기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650)의 끝단인 절벽면에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측단이 맞닿게 되는 위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4)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대략 176도 정도 벌어진 상태이다.
즉, 상기 회동캠(60)에서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의 전체 원주각도는 285도라고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캠(50)의 원주각도는 앞에서 90도라고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고정캠(50)과 회동캠(60)이 완전히 일치되게 맞물린 상태, 즉,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측단이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홈(610) 끝단의 절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9)가 회전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 즉, 스토퍼(59)의 타측단으로부터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650) 끝단의 절벽면까지 원주각도는 285도에서 스토퍼(59)의 원주각도 90도를 뺀 195도가 된다.
그러나, 고정캠(50)에 대하여 회동캠(60)이 서로 포개어져 대응되는 상태는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19도 각도로 된 상태에서, 이는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각도인 바, 상기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포개어져 그 벌어진 각도가 0도일 경우, 고정캠(50)에 대하여 회동캠(60)이 완전히 일치된 상태에서 19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9)가 실질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 즉, 스토퍼(59)의 타측단으로부터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경사면(650)의 끝단인 절벽면까지의 원주각도는 285도에서 스토퍼(59)의 원주각도 90도와, 디스플레이 유닛(4)과 베이스 유닛(2)이 0도로 포개어지도록 미리 회전되어 있는 19도를 뺀 176도가 됨으로써,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최대로 벌어질 수 있는 각도가 176도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 전체 원주각도를 285도보다 조금 더 크게 하거나 또는 조금 작게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최대로 벌어지는 각도를 176도에서 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을 상기한 바의 반대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대략 5도 정도인 시점에서 클릭현상이 발생하여 닫히게 된다.
즉, 상기 회동캠(60)의 제 1캠면(66)과 상향경사면(65) 및 캠면(64)이 고정캠(50)의 캠면(52)과 접촉이 끝나면서 상기 회동캠(60)의 경사면(63)이 고정캠(50)의 경사면(53)을 타고, 고정캠(50)의 하향함몰경사면(57)이 회동캠(60)의 상향돌출경사면(68)을 타게 되는 시점에서 복수의 판스프링이 복원됨으로써, 닫히는 상태의 클릭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완전히 접이되어 0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고정캠(50)의 하향돌출경사면(57)과 회동캠(60)의 상향돌출경사면(68)이 마찰력에 의해 걸림되며, 이때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그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잠금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59)의 일측 경사부(59-1)가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의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620)에 마찰력에 의해 걸림되는 바, 이때 발생되는 토크에 의해서도 일정한 크기의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그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잠금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그 디스플레이 유닛(4)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상기와 같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이 크게 되면, 그 자중에 의해 닫히는 구간(약 20도~0도)과, 완전히 오픈되는 구간(약 160도~180도)의 각도가 커져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빠르게 닫히거나 열릴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2) 외주부 일측에 경사부(52-1)를 형성하고, 경사면(53)과 제 1캠홈(55) 사이에 하향경사면(54)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회동캠(60)에도 캠면(64)에 연속해서 상향경사면(65)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캠(50)의 경사부(52-1)와 하향경사면(54) 및 회동캠(60)의 상향경 사면(6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소되는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회동캠(60)이 고정캠(50)에 대하여 대략 150도 정도 회동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그 각도만큼 회전을 이룬 상태는, 상기 회동캠(60)의 상향경사면(65)이 고정캠(50)의 캠면(52)에 형성된 경사부(52-1)와 맞닿게 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캠(60)의 상향경사면(65)과 고정캠(50)의 경사부(52-1)가 서로 마찰력에 의해 소정의 토크가 발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4)의 자중에 의한 급격한 오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캠(50)의 스토퍼(59) 일측 경사부(59-1)가 회동캠(60)의 스토퍼 가이드 캠부(600)의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650)와 맞닿게 되면서 소정의 토크가 발생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 유닛(4)의 자중에 의한 급격한 열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회동캠(60)이 고정캠(50)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20도 정도 회동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이 베이스 유닛(2)에 대하여 그 각도만큼 회전을 이룬 상태는, 상기 회동캠(60)의 상향경사면(65)이 고정캠(50)의 하향경사면(54)과 맞닿게 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캠(60)의 상향경사면(65)과 고정캠(50)의 하향경사면(54)이 서로 마찰력에 의해 소정의 토크가 발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4)의 자중에 의한 급격한 닫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고정캠(50)과 회동캠(60)은 잦은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될 염려가 큰 바, 공지된 MIM기술(플라스틱 사출공정에 소결공정을 혼합한 것으로서 높은 표면조도 및 치수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며, 형상이 복잡한 제품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현재 컴퓨터 및 전자부품에 많이 사용되고 잇다)로 작업한 캠(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 향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에 의하면,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도 캠의 맞물린 작용에 의해 상호 벌어짐이 예방되는 바, 별도의 래치장치가 불필요하여 보다 심플한 디자인의 노트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열고 닫을 때, 일정 각도에서 클릭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사용감각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일정각도 회동하여 벌어지게 되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추되, 그 벌어지는 각도가 수평을 이루는 180도에 가까운 즉, 대략 ㅁ176도 각도 범위까지 벌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부주의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베이스 유닛에 대하여 강제로 펼쳐지게 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힌지장치의 파손을 예방하는 등, 보다 향상된 제품성능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형화로 그 자중이 커서 닫히는 시점이나 완전히 열리는 시점에서 빠르게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예방하고 오히려 천천히 여닫히도록 함으로써, 제품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래킷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시 고정됨을 유지하는 시스템 브래킷과, 상기 샤프트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캠, 회동캠, 복수의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힌지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지 않도록 그 중앙에 원형상이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외주 둘레에는 각각 일정각도만큼씩 캠면과, 경사면과, 하향경사면과, 제 1캠홈과, 상향돌출경사면과, 하향함몰경사면 및 제 2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1캠홈에서 상기 통공의 외주와 연접되는 부위로부터 방사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만큼의 간격을 갖는 스토퍼가 일정각도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캠면 및 제 1캠홈에 비하여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퍼가 형성된 것과;
    상기 회동캠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도록 그 중앙에 각형공이 형성되되, 상기 각형공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캠의 캠면, 경사면, 하향경사면, 제 1캠홈, 상향돌출경사면, 하향함몰경사면 및 제 2캠홈에 각각 대응하는 캠홈, 경사면, 캠면, 상향경사면, 제 1캠면, 하향함몰경사면, 상향돌출경사면, 제 2캠면이 형성된 외면부; 상기 고정캠의 스토퍼가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연장형성된 내면부인 스토퍼 가이드 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에서, 캠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하향경사면이 원주방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향경사면으로부터 제 1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캠홈으로부터 상향경사진 상향돌출경사면과, 연속해서 하향함몰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제 2캠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에서, 캠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9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81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제 1캠홈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105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상향돌출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24도 각도만큼 형성되고, 상기 하향돌출경사면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21도 각도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 2캠홈은 원주방향으로 대략 30도 각도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스토퍼는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양 끝단에는 일정각도만큼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는, 외면부의 상향경사면 일부부터 캠면의 일부까지 대략 285도 각도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는, 스토퍼 가이드 캠홈과,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 스토퍼 가이드 캠면 및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가 각각 일정각도만큼씩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캠의 외면부는, 캠홈이 원주방향으로 대략 9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연속해서 상기 경사면이 9도 각도만큼, 상기 캠면이 81도 각도만큼, 상기 상향경사면이 15도 각도만큼, 상기 제 1캠면이 60도 각도만큼 , 상기 하향함몰경사면이 24도 각도만큼, 상기 상향돌출경사면이 21도 각도만큼, 상기 제 2캠면이 3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부에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캠홈은 원주방향으로 7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연속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상향돌출경사면은 21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하향함몰경사면은 24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캠면은 105도 각도만큼, 스토퍼 가이드 경사부는 60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캠면 외면부 일측에는 일정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원주방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만큼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60004621U 2006-02-20 2006-02-20 힌지장치 KR200415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21U KR200415861Y1 (ko) 2006-02-20 2006-02-20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21U KR200415861Y1 (ko) 2006-02-20 2006-02-20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61Y1 true KR200415861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21U KR200415861Y1 (ko) 2006-02-20 2006-02-20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9582B1 (en) Hinge device
US6929291B2 (en) Magnetic lock
US9009919B1 (en) Steady opening and closing double-axis hinge
TWI294092B (en) Portable apparatus and stylus thereof
US8205301B2 (en) Hinge assembly and ele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03876B1 (ko) 힌지장치
US8074323B2 (en) Inverted-type hing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086996A1 (en)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US9329640B2 (en) Laptop computer
JPH09329127A (ja) 軸ロック装置
US20040139579A1 (en) Axial rotary hinge assembly
CN103322030B (zh) 回转止挡式双轴枢纽器
WO2017082910A1 (en)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KR200415861Y1 (ko) 힌지장치
CN101983363A (zh) 计算装置锁定机构
KR200417369Y1 (ko) 힌지장치
KR100746966B1 (ko) 힌지장치
KR200392473Y1 (ko) 힌지장치
KR200413879Y1 (ko) 힌지장치
TWI751754B (zh) 轉軸結構
KR100710816B1 (ko) 힌지장치
KR101029735B1 (ko) 힌지장치
TWI490420B (zh) Rotary stop type biaxial hub
KR200361985Y1 (ko)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장치
KR100595022B1 (ko)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