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46Y1 - 살균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46Y1
KR200415846Y1 KR2020060004411U KR20060004411U KR200415846Y1 KR 200415846 Y1 KR200415846 Y1 KR 200415846Y1 KR 2020060004411 U KR2020060004411 U KR 2020060004411U KR 20060004411 U KR20060004411 U KR 20060004411U KR 200415846 Y1 KR200415846 Y1 KR 200415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zone
washing
sterilized
cl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림
반 황보
Original Assignee
최용림
반 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림, 반 황보 filed Critical 최용림
Priority to KR2020060004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3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염이나 감염된 의료/구급장비와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가 다른 사람과 접촉하기 전에 분리되어 샤워, 세척, 살균처리하여 감염과 재전파를 초기에 방지하며, 청정구역과 살균세척구역으로 구분된 구급소독실에 공기, 물건, 사람의 이동에 의한 또는 처리전,후나 상호 구획간의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고, 구급소독실 내에 단시간/ 단거리 이동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살균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의료인의 가운이나 의복, 공공기관종사자의 유니폼 등의 의복류 및 기구나 장비 등의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함은 물론 살균대상인의 신체를 살균 및 씻길 수 있는 살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출입이 가능한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와,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살균 및 세척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대와,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신체 전체를 씻는 응급샤워부스와,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탕기와, 오존수를 생성하여 급수하는 오존수생성기로 이루어지는 살균세척구역; 및 입출입이 가능한 청정구역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상호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입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연통되게 상호 구획되는 벽체에 구비되어 감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로 이루어지는 청정구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급소독실, 살균, 멸균, 살균처리시스템

Description

살균처리 시스템{STERILIZING TREATMENT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의 보관함에 보관되는 살균대상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 및 의복류를 살균 및 세척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의복류를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및 착의한 의복류를 살균 및 세척한 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의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의 내부 공기가 오염되었을 시 내부공기를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급소독실 200 : 살균세척구역
300 :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 400 : 건조대
500 : 온수급탕기 600 : 오존수생성기
700 : 냉수급수조 800 : 세척조
810 : 오존수공급관 820 : 온수공급관
830 : 냉수공급관 900 : 살균모듈
910 : 반입측도어 920 : 반출측도어
1000 : 응급샤워부스 1010 : 샤워기
1020 : 온수공급관 1030 : 냉수공급관
1040 : 배수로 1050 : 가림막
1060 : 토출밸브
1100 : 폐기물보관실 1110 : 폐기물반입측도어
1120 : 폐기물반출측도어 1200 : 벽걸이형핸드드라이어
1300 : 헤어드라이어 1400 : 청정구역
1500 : 청정구역출입도어 1550 : 내부출입도어
1600 : 보관함 1610 : 보관함반입측도어
1620 : 보관함반출측도어
1700 : 사물함 1710 : 사물함반입출도어
1800 : 실내살균모듈 2000 : 열교환식환풍기
2010 : 필터부재 2020 : 급배기팬
2100 : 에어커튼
본 고안은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가 응급환자를 응급처치하고 후송한 후 발생될 수 있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과 그로 인한 다른 장소와 다른 사람에게 재전파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가 감염되고 재전파하는 것을 차단하는 살균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술이나 외과치료에 따른 의료용 기구류의 고압증기멸균, 이오(EO) 가스 멸균에 의존하였을 뿐, 부피가 크고 다중에게 이용되는 이동식 침대, 휠체어, 구급장비와 응급의료진의 의복, 신체를 통한 감염과 재전파는 대책이 전무한 상태로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 및 제3자에 대한 재감염 및 재전파의 우려가 매우 높았다.
또한,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의 오염된 신체를 씻고 의복 등을 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이나 감염된 의료/구급장비와 응급의료진 또는 공공기관종사자가 다른 사람과 접촉하기 전에 분리되어 샤워, 세척, 살균처리하여 감염과 재전파를 초기에 방지하고, 구급소독실을 청정구역과 살균세척구역으로 구분하여 공기, 물건, 사람의 이동에 의한 또는 처리전후나 상호구획간의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며, 구급소독실 내에 단시간, 단거리 이동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청정구역과 살균세척구역의 분리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살균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은,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의료인의 가운이나 의복, 공공기관종사자의 유니폼 등의 의복류 및 기구나 장비 등의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함은 물론 살균대상인의 신체를 살균 및 씻길 수 있는 살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출입이 가능한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와,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살균 및 세척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대와,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신체 전체를 씻는 응급샤워부스와,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탕기와, 오존수를 생성하여 급수하는 오존수생성기로 이루어지는 살균세척구역; 및 입출입이 가능한 청정구역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상호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입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연통되게 상호 구획되는 벽체에 구비되어 감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로 이루어지는 청정구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반입측도어가 살균세척구역 측으로 구비되고, 살균이 완료된 후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반출측도어가 청정구역 측으로 구비되며, 오존으로 살균하는 오존살균기, 이오 가스로 살균하는 이오가 스살균기 및 고온스팀으로 살균하는 고온스팀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에는, 폐기물을 반입하는 폐기물반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으로부터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과, 내부 벽체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폐기물반출도어로 이루어져 병원균에 의해 오염 및 감염된 폐기물을 임시저장하여 처리하는 폐기물보관실이 구비되며; 상기 세척조에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신체 일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수생성기에서 생성되는 오존수를 급수받는 오존수공급관이 구비되며, 오존수로 일차적으로 살균된 살균대상물 및 신체 일부를 온수와 냉수를 이용하여 이차적으로 세척하도록 상기 온수급탕기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는 온수공급관과 냉수를 급수받는 냉수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응급샤워부스에는, 병원균에 의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전체를 씻을 수 있는 샤워기와, 부피가 큰 기구를 살균 세척하는 토출밸브와, 상기 온수급탕기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는 온수공급관와, 냉수를 급수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냉수급수관와, 샤워중 바닥으로 흐르는 오염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로와, 상기 응급샤워부스 입구에는 가림막이 구비되며; 상기 응급샤워부스에서 씻은 후 나와 신체의 일부 및 전체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벽걸이용핸드드라이어와, 머리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헤어드라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정구역에는, 살균 건조된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보관함반입측도어와, 이를 외부로 반출하도록 청정구역의 벽체를 관통하여 보관함반출측도어 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 건조된 살균대상물을 보관하는 보관함; 및 일측에 사물함반입출도어가 구비되어 의료인이나 공공기관종사자의 의복류가 보관되는 사물함;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에는,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의 실내 공기가 오염될 시 살균물질을 발생하여 각각의 실내 공기를 살균하며 살균된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제거하도록 실내살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살균모듈은, 오존 살균기, 포르말린 훈증 살균기, 약제 분무 살균기, 자외선 조사 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약제 분무 살균기의 약제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Chlorhexidine gluconat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및 클로록시레놀(PCMX)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 청정구역출입도어 및 내부입출입도어에는, 입출입시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기와 혼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 간에 이동시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 청정구역 및 응급샤워부스의 일측 벽체에는, 실내외의 미세먼지 및 분진을 포집하여 세균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헬파필터나 울파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필터부재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외부로 배기하는 급배기팬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식환풍기가 구비되어 상기 급배기팬의 조작에 따라 청정구역은 양압으로, 살균세척구역은 음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의 보관함에 보관되는 살균대상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 및 의복류를 살균 및 세척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의복류를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에서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및 착의한 의복류를 살균 및 세척한 후 청정구역으로 반입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 내의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의 내부 공기가 오염되었을 시 내부공기를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의 구급소독실(100)은 입출입이 가능한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300)가 구비되며,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살균 및 세척하는 세척조(800)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에 구비된다.
상기 세척조(800)에서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대(400)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대(400)에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탕기(500)와, 오존수를 생성하여 급수하는 오존수생성기(600)와 냉수가 급수되는 냉수급수조(7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의 세척조(800)에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과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대(400)에 설치되는 오존수생성기(600)에서 오존수를 급수받아 일차적으로 살균하는 오존수공급관(810)이 구비되고, 오존수로 일차적으 로 살균된 살균대상물과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온수와 냉수를 이용하여 이차적으로 세척하도록 상기 건조대(800)에 설치되는 온수급탕기(500)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는 온수공급관(820)과 냉수를 급수받는 냉수공급관(830)이 구비된다.
또한,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전체를 씻는 응급샤워부스(1000)가 살균세척구역(200)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의 응급샤워부스(1000)에는, 병원균에 의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전체를 씻을 수 있도록 상기 응급샤워부스(1000)에 샤워기(1010)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온수급탕기(500)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아 신체 전체를 씻을 수 있도록 온수공급관(820)이 구비되며, 상기 냉수급수조(700)에서 냉수를 급수받아 신체 전체를 씻을 수 있도록 냉수급수관(830)이 구비되고, 부피가 큰 기구(침대, 의자, 휠체어 등)를 살균 세척하는 토출밸브(1060)가 구비된다.
상기 응급샤워부스(1000)에서 샤워중 바닥으로 흐르는 오염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응급샤워부스(1000)의 바닥에는 배수로(1040)가 구비되고, 샤워중 오염된 물이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의 내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에는 가림막(10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에는, 상기 응급샤워부스(1000)에서 씻은 후 나와 신체의 일부 및 전체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벽걸이용핸드드라이어(1200)가 구비되고, 의료인의 머리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헤어드라이어가(1300)구비된다.
상기 벽걸이용핸드드라이어(1200)와 헤어드라이어는 응급샤워부스(1000)와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 설치하여 동선(動線)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에는, 병원균에 의해 오염 및 감염된 폐기물을 임시저장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보관실(1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폐기물보관실(1100)에는, 의료용 폐기물을 반입하는 폐기물반입도어(1110)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 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폐기물보관실(1100) 간에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210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커튼(2100)은 폐기물보관실(1100)과 살균세척구역(200)간의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폐기물보관실(1100)과 살균세척구역(200)의 경계를 구획하는 폐기물반입도어(1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기물보관실(1100)의 벽체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폐기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폐기물반출도어(1120)가 구비된다.
반면에, 청정구역(1400)에는 입출입이 가능한 청정구역출입도어(1500)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상호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입출입도어(1550)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연통되게 상호 구획되는 벽체에 구비되어 감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900)이 구비된다.
상기 살균모듈(900)은, 오존으로 살균하는 오존살균기, 이오 가스로 살균하는 이오가스살균기 및 고온스팀으로 살균하는 고온스팀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오(EO : Ethylene oxide) 가스는 약 60년 전부터 소독제로 사용되어 오다가 세포포자를 살균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열과 습기에 약한 합성수지나 고무제품 등의 의료용구를 낮은 온도와 습도에서 멸균하는 데 이용하게 되었다. 즉 일정한 습도(40∼100% RH) 및 온도(40∼60℃)의 ethylene oxide(끓는 점, 50.8℃)의 가스 중에서 수 시간 이상 폭로시켜 멸균시키는 방법으로서 대부분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의료용구에 널리 적용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살균물질을 이용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모듈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11372호 "다기능 살균탈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탈취 방법"으로 본 고안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살균모듈(900)에는,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반입측도어(910)가 살균세척구역(200) 측으로 구비되고, 살균이 완료된 후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반출측도어(920)가 청정구역(1400) 측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청정구역(1400)에는, 상기 살균모듈(900)에서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보관하는 보관함(16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관함(1600)에는,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보관함반입측도어(1610)가 청정구역(1400) 측으로 구비되고, 이를 외부로 반출하도록 청정구역(1400)의 벽체를 관통하여 보관함반출측도어(16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청정구역(1400)에는, 필요할 시 착의할 수 있는 다량의 의복류가 보관되는 사물함(17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사물함(1700)에는, 반출입이 가능하도록 사물함반입출도어(171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에는,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의 실내 공기가 오염될 시 살균물질을 발생하여 각각의 실내 공기를 살균하며, 살균된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제거하는 실내살균모듈(180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실내살균모듈(1800)은, 오존 살균기, 포르말린 훈증 살균기, 약재 분무 살균기, 자외선 조사 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약재 분무 살균기의 약제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Chlorhexidine gluconat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및 클로록시레놀(PCMX)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클로록시레놀(PCMX)는 우리 몸에 안전하면서도 피부보호 효과가 탁월한 피부살균 소독제로 살균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항진균,항바이러스 효과가 탁월한 성분으로 피부 상처 소독이외에 살균이 필요한 곳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수초 내에 대부분의 세균,곰팡이,바이러스를 99.9% 제거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실내살균모듈(1800)로 실내 공기를 살균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35751호 "실내 오존확산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로 본 고안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상기 살균세척구역(200) 및 청정구역(1400)의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300) 및 청정구역출입도어(1500)에는, 입출입시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기와 혼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 커튼(210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커튼(2100)은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의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300) 및 청정구역출입도어(1500)의 입출입시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외부와 경계를 구획하는 상기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300)와 상기 청적구역출입도어(15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상기 청정구역(1400)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상기 내부입출입도어(1550)에는,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 간에 이동시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210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커튼(2100)은 상기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간의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살균세척구역(200)과 청정구역(1400)의 경계를 구획하는 내부출입도어(15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살균세척구역(200), 청정구역(1400) 및 응급샤워부스(1000)의 일측 벽체에는, 실내외의 미세먼지 및 분진을 포집하여 세균의 유입을 억제하는 헤파필터(HEPA FILTER)나 울파필터(ULPA FILT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필터부재(2010)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외부로 배기하는 급배기팬(2020)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식환풍기(2000)가 구비되어 상기 급배기팬(2020)의 조작에 따라 청정구역(1400)은 양압으로, 살균세척구역(200)은 음압으로 유지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청정구역(1400)에서 살균세척구역(200)으로 흐르게 하여 상기 살균세척구역(200)의 오염물질이 청정구역(1400)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른 살균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일 실시예의 살균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는,
a) 살균세척구역으로 살균대상물을 반입하는 단계(S10)
b) 살균대상물을 세척조에 담는 단계(S20)
c) 세척조에 구비되는 오존수를 통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단계(S30)
d)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S40)
e)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대로 옮겨 건조하는 단계(S50)
f) 건조된 살균대상물을 살균모듈에 반입하는 단계(S60)
g)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물질로 살균대상물을 일정시간 살균하는 단계(S70)
h) 상기 살균모듈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분해하는 단계(S80) 및
i)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으로 반출하여 마무리 단계를 수행하는 절차(S90) 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의 상기 마무리 단계를 수행하는 절차는,
j) 내부입출입도어를 통해 청정구역으로 입실하는 단계(S100)
k) 상기 살균모듈의 반출측도어를 열어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단계(S110) 및
l)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청정구역출입도어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는 단계(S120) 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마무리 단계를 수행하는 절차는,
j') 내부입출입도어를 통해 청정구역으로 입실하는 단계(S130)
k') 상기 살균모듈의 반출측도어를 열어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단계(S140) 및
l') 보관함에 살균된 살균대상물을 넣는 단계(S150)
m') 청정구역에 구비되는 청정구역출입도어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단계(S160)
n') 보관함반출측도어를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단계(S170)
를 포함한다.
한편,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및 의복류를 살균 및 세척하는 절차는,
1) 살균세척구역의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를 통해 의복류를 착의한 상태에서 입실하는 단계(S100)
2) 의복류를 탈의하여 살균모듈에 넣는 단계(S200)
3)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물질로 의복류를 일정시간 살균하는 단계(S300)
4) 상기 살균모듈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분해하는 단계(S400)
5) 샤워실로 이동하여 온수 및 냉수를 이용하여 신체 전체를 깨끗하게 씻는 단계(S500) 및
6) 샤워 후 샤워실에서 나와 벽걸이형핸드드라이어와 헤어드라이어를 이용 신체 전체를 건조하는 단계(S600)
7) 내부입출입도어를 통해 청정구역으로 입실하는 단계(S700)
8) 상기 살균모듈의 반출측도어를 열어 살균된 의복류를 꺼내는 단계(S800)
9) 사물함의 사물함반입출도어를 열어 보관된 의복류를 필요한 양만큼 꺼내는 단계(S900) 및
10) 살균된 의복류를 청정구역출입도어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여 사용하는 단계(S1000)
를 포함한다.
한편, 병원균에 의해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의 내부 공기가 오염되었을 시 내부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절차는,
A) 살균세척구역 및 청정구역의 구비된 모든 출입도어를 잠그는 단계(S2000)
B) 열풍교환식환풍기의 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S2100)
C) 실내살균모듈을 작동시켜 살균물질로 실내전체를 일정시간 살균하는 단계(S2200)
D) 실내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분해하는 단계(S2300)
E) 열교환식환풍기의 팬을 작동하는 단계(S2400) 및
F) 살균세척구역 및 청정구역의 구비된 모든 출입도어를 해제하는 단계(S250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에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출동귀소후 가장 가까운 장소에 구급소독실을 선정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효율적 공간을 이용하여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급소독실 내에서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을 분리하여 살균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청결구역에서 퇴실하도록 하여 상호 감염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 사용된 작업복이나 기구들을 살균세척구역(오염구역)에서 살균하여 청정구역에서 살균 완료된 물품을 꺼내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응급상황에서 병원균 등에 노출 또는 오염된 신체를 씻거나 살균할 수 있는 샤워시설이 갖추도록 하여 사용된 기구 등의 살균이나 세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급소독실 내를 오존이나 자외선, 약제 등을 사용하여 살균 처리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급소독실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환기를 유지하면서 환기시 열손실이 없도록 열교환식환풍기가 구비되며, 또한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먼지나 세균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고,
구급소독실 내에 폐기물을 처리 보관할 수 있는 폐기물보관실이 구비되며, 살균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대가 구비되고, 살균 건조 처리된 물품을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게끔 보관함이 구비되며,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 간에 열교환식환풍기를 이용해 양압과 음압 또는 에어커튼을 이용해 상호 오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병원균에 의해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의료인의 가운이나 의복, 공공기관종사자의 유니폼 등의 의복류 및 기구나 장비 등의 살균대상물을 살균 및 세척함은 물론 살균대상인의 신체를 살균 및 씻길 수 있는 살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출입이 가능한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와, 감염과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살균대상인의 신체 일부를 살균 및 세척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된 살균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대와,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신체 전체를 씻는 응급샤워부스와,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탕기와, 오존수를 생성하여 급수하는 오존수생성기로 이루어지는 살균세척구역; 및
    입출입이 가능한 청정구역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상호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입출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연통되게 상호 구획되는 벽체에 구비되어 감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로 이루어지는 청정구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반입측도어가 살균세척구역 측으로 구비되고, 살균이 완료된 후 살균대상물을 꺼내는 반출측도어가 청정구역 측으로 구비되며,
    오존으로 살균하는 오존살균기, 이오 가스로 살균하는 이오가스살균기 및 고온스팀으로 살균하는 고온스팀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척구역에는,
    폐기물을 반입하는 폐기물반입도어와, 상기 살균세척구역으로부터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과, 내부 벽체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폐기물반출도어로 이루어져 병원균에 의해 오염 및 감염된 폐기물을 임시저장하여 처리하는 폐기물보관실이 구비되며;
    상기 세척조에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물 및 신체 일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수생성기에서 생성되는 오존수를 급수받는 오존수공급관이 구비되며, 오존수로 일차적으로 살균된 살균대상물 및 신체 일부를 온수와 냉수를 이용하여 이차적으로 세척하도록 상기 온수급탕기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는 온수공급관과 냉수를 급수받는 냉수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응급샤워부스에는, 병원균에 의하여 감염 및 오염이 의심되는 살균대상인의 신체 전체를 씻을 수 있는 샤워기와, 부피가 큰 기구를 살균 세척하는 토출밸브와, 상기 온수급탕기에서 생성되는 온수를 급수받는 온수공급관와, 냉수를 급수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냉수급수관와, 샤워중 바닥으로 흐르는 오염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로와, 상기 응급샤워부스 입구에는 가림막이 구비되며;
    상기 응급샤워부스에서 씻은 후 나와 신체의 일부 및 전체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벽걸이용핸드드라이어와, 머리를 단시간에 건조하는 헤어드라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구역에는,
    살균 건조된 살균대상물을 반입시키는 보관함반입측도어와, 이를 외부로 반출하도록 청정구역의 벽체를 관통하여 보관함반출측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모듈에서 살균 건조된 살균대상물을 보관하는 보관함; 및
    일측에 사물함반입출도어가 구비되어 의료인이나 공공기관종사자의 의복류가 보관되는 사물함;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에는,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의 실내 공기가 오염될 시 살균물질을 발생하여 각각의 실내 공기를 살균하며 살균된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살균물질을 제거하도록 실내살균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살균모듈은,
    오존 살균기, 포르말린 훈증 살균기, 약제 분무 살균기, 자외선 조사 살균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약제 분무 살균기의 약제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Chlorhexidine gluconat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및 클로록시레놀(PCMX)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척구역출입도어, 청정구역출입도어 및 내부입출입도어에는, 입출입시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내부의 공기가 실내의 공기와 혼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 간에 이동시 오염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척구역, 청정구역 및 응급샤워부스의 일측 벽체에는,
    실내외의 미세먼지 및 분진을 포집하여 세균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헬파필터나 울파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필터부재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외부로 배기하는 급배기팬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식환풍기가 구비되어 상기 급배기팬 의 조작에 따라 청정구역은 양압으로, 살균세척구역은 음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처리 시스템.
KR2020060004411U 2006-02-17 2006-02-17 살균처리 시스템 KR200415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11U KR200415846Y1 (ko) 2006-02-17 2006-02-17 살균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11U KR200415846Y1 (ko) 2006-02-17 2006-02-17 살균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026A Division KR100752631B1 (ko) 2006-02-16 2006-02-16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으로 나누어진 살균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46Y1 true KR200415846Y1 (ko) 2006-05-08

Family

ID=4176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11U KR200415846Y1 (ko) 2006-02-17 2006-02-17 살균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42763B (en) Mobile containerized autopsy facility
US8585832B2 (en) Washer and decontaminator with lid control
US9561296B1 (en) Disinfecting apparatus for restraining devices
WO2017218832A1 (en) Sterilization, disinfection, sanitization, decontamination, and therapeuti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0752631B1 (ko) 살균세척구역과 청정구역으로 나누어진 살균실
KR100744707B1 (ko) 하나의 살균실로 이루어진 통합형 살균실
KR101112037B1 (ko) 소방 장비 세척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감염방지장치
KR200415846Y1 (ko) 살균처리 시스템
US6599470B1 (en) Process and device for counteracting and deodorizing formalin gas
CN105435267A (zh) 一种双用医疗器械消毒柜
CN214942855U (zh) 一种移动式医用仓
KR102319254B1 (ko) 응급환자 이송수단용 살균장치
CN215652804U (zh) 救护车人车一体化洗消系统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CN212481513U (zh) 一种洁净手术室用新风净化机组
KR20120050886A (ko) 이동 형 클린룸 살균장치
EP4192526A1 (en) Ozone sanitization device, preferably hand sanitization device and associated sanitization method
KR20110008720A (ko) 감염방지시스템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JP3230337U (ja) 防護服殺菌装置
CN213608547U (zh) 一种洗消系统
CN219773750U (zh) 一种移动式应急消洗房
CN218793208U (zh) 一种铅衣自清洗消毒柜
KR102660129B1 (ko) 대인 무균소독기
JP3232206U (ja) 室内履き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