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59Y1 - 다기능 귀마개 - Google Patents

다기능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59Y1
KR200415059Y1 KR2020060002163U KR20060002163U KR200415059Y1 KR 200415059 Y1 KR200415059 Y1 KR 200415059Y1 KR 2020060002163 U KR2020060002163 U KR 2020060002163U KR 20060002163 U KR20060002163 U KR 20060002163U KR 200415059 Y1 KR200415059 Y1 KR 200415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plug
earplugs
pres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난아
Original Assignee
최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난아 filed Critical 최난아
Priority to KR2020060002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6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aterpro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방한 및 소음 방지를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샤워를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에 귓속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향상된 귀마개로서, 이를 위하여 귀를 덮되, 하단이 아래로 절곡되어 고정단이 형성된 원반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몸체의 고정단과 상기 몸체와 걸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귀를 덮는 덮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귀마개, 샤워, 귀, 걸이, 집게, 방한, 방수, 방음

Description

다기능 귀마개{Multi functional Earplug}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걸이형 귀마개 110: 몸체
115: 몸체 116: 보호 패드
120: 걸이부 130: 고정단
150: 덮개막 200: 집게형 귀마개
210: 몸체 215: 연결홀
220: 몸체 230: 연결대
240: 누름부 250: 덮개막
255: 삽입홈 260: 누름편
265: 삽입홈 270: 지지부
본 고안은 다기능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방한 및 방음 기능뿐만 아니라 특히 샤워를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에 귓속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기능을 포함하는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샤워를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귓속으로 침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아기나 어린이를 씻기는 경우에, 귓속으로 물이 침투하게 되면, 이물감을 호소하거나 공포를 호소하는 경우가 잦다. 또한 어린이가 미처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물이 고여 중이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삽입형 귀마개가 제안되었다.
삽입형 귀마개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외이도(外耳道)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삽입형 귀마개에 의해 외이도가 막힌 상태가 되어 물이 고막 근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형 귀마개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 소리는 대부분 차단되고 내부 소리가 크게 울리는 현상이 일어나서 공포심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삽입형 귀마개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물감이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가 상존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한용 귀마개의 경우 방한을 위하여 해드폰과 같은 형상의 프레임에 귀접촉 부분을 따뜻한 천 등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사 용자의 머리 상부 또는 후부로 띠 부분이 가로지르게 되어 미관상 수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귀마개 착용을 꺼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귀마개의 경우 단순히 귀 부분을 천이 씌워진 프레임으로 눌러주어 방한을 의도 하였는바, 눌리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방한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눌리는 힘이 강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귀에 통증이 가해지는 등 착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방한, 방음의 용도뿐만 아니라,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귀마개를 제공하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삽입형 귀마개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내부 소리가 울리는 현상이 없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착용감이 좋은 귀마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한의 목적으로 사용 시에도 귀 주변 이외의 부분에는 다른 부재들이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의 단점이 극복된 귀마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귀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그 하단이 아래로 절곡된 고정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귀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귀의 뒷부분까지 형성된 고리 형상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귀의 뒷부분을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부를 감싸는 스펀지, 실리콘,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의 누름편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편은 상기 누름부가 귀 뒤편을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쪽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에는 몸체를 감싸는 덮개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막은 실리콘, 고무, 스펀지, 방한 또는 방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몸체는 귀와 접촉하는 일측에 스펀지, 실리콘, 방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보호 패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대는, 두 개의 귀마개를 끈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대의 일측에 연결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귀마개(100)는 귀에 걸어서 사용되는 귀마개로서, 걸이부(120)와 고정단(130)이 형성된 몸체(110)에 덮개막(15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몸체(150)는 귀(보다 정확하게는 '귀바퀴')를 덮는 몸체(115)를 중심으로, 하단에는 고정단(130)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걸이부(120)가 형성된다. 몸체(115)의 하면에서 귀와 접촉되는 부분은 스펀지 또는 실리콘 또는 방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의 보호 패드(116)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보호 패드(116)는 방한 등의 목적인 경우에는 몸체(115) 하면의 전체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목욕시 귀 내부로의 물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는, 물의 인입이 용이한 귀의 앞쪽 일측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보호 패드(116)에 의하면, 귀부분 피부의 긁힘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단(130)은 아래로 절곡되어 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덮개막(150)의 일단이 결합된다. 고정단(130)이 아래로 절곡됨에 따라 걸이형 귀마개(100)가 귀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걸이부(120)는 귓등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막(150)은 전술된 고정단(13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115)와 걸이부(120) 사이에 결합되며, 몸체(115)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된다.
덮개막(150)은 방수의 목적인 경우에는 비닐과 같은 방수 합성수지로서 특히 피부에 접촉을 하는 부분 이므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물이 내이도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방한의 목적인 경우에는 상기 덮개막(150)은 피부 접촉시 따뜻한 촉감을 주고 방한 기능이 좋은 모 등의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걸이형 귀마개(100)의 착용은, 걸이부(120)가 귓등에 걸리도록 위치시키고, 몸체(115)가 귀를 덮도록 위치시키면서, 고정단(130)이 귓불을 감싸도록 한 뒤, 덮개막(150)으로 귀를 완전히 감싸도록 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3에 도시된다.
이에 의해 샤워나 머리를 감는 중에 튀는 물이 귀로 침투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귀를 완전히 감싸 주게 되므로 방한을 위한 경우에도 적합한 형태가 된 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 내지 도6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귀마개(200)는 귀를 집게와 같이 양단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귀에 고정되며, 연결대(230)를 중심으로 일단에 몸체(220)가 형성되고, 타단에 누름부(240)가 형성되는 몸체(210)를 주 구성요소로 한다.
몸체(220)는 귀를 덮도록 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대(230)는 몸체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귓등쪽으로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대(230)의 일측에는 연결홀(215)이 추가로 형성되며, 연결홀(215)을 사용하여 두 개의 집게형 귀마개(200)를 끈 등으로 서로 연결한다.
연결대(230)의 타단에는 누름부(240)가 형성된다. 즉, 연결대(230)를 탄성 수단으로 하여 몸체(220)와 누름부(240)의 가압 작용에 의해 집게형 귀마개(200)가 귀를 가압하여 고정된다.
몸체(220)와 누름부(240)는 각각 삽입홈(255)이 형성된 덮개막(250)과 삽입 홈(265)이 형성된 누름편(260)이 추가로 결합된다.
덮개막(250)과 누름편(260)은 스펀지, 실리콘, 모 등의 천연섬유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편(260)은 지지부(270)가 추가로 형성되어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집게형 귀마개(200)의 가압력이 보다 커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게형 귀마개(200)의 착용은, 제1단계, 덮개막(250)을 몸체(220)와 결합하고, 누름편(260)을 누름부(240)와 결합한다. 귀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덮개막(250)과 누름편(260)은 연질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찰 등에 따른 통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덮개막(250)과 누름편(260)은 가압과 동시에 귀의 모양에 맞도록 소정부분 변형되어, 귀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단계, 덮개막(250)이 귀를 덮도록 위치시키고, 누름편(260)이 귓등에 위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연결대(230)의 탄성 작용에 따라 덮개막(250)과 누름편(260)이 귀를 가압하고, 지지부(270)에 의해 가압력이 증대되어, 집게형 귀마개가 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6에 도시된다.
이에 의해 샤워나 머리를 감는 중에 튀는 물이 귀로 침투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방한, 방음에도 효과적인 귀마개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걸이형 귀마개에도 집게형 귀마개와 같이 두 개의 걸이형 귀마개를 끈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집게형 귀마개의 몸체를 연질로 코팅 물질로 코팅하여, 덮개막이나 누름편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의 소리를 완벽히 차단하지 않아, 착용자에게 공포감을 주지 않는 귀마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이도에 삽입되지 않아 장시간의 사용에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귀마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에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 방한 또는 방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몸체를 감싸는 덮개막을 더 포함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하는 부분에 대한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방한 또는 방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스펀지나 방한용 합성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물이 침투되지 않는 실리콘, 고무, 방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귀마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귀와 접촉하는 일측에 스펀지, 실리콘, 방수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보호 패드가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덮개막과 마찬가지로 착용감이 더욱 좋아질 뿐 아니라, 방한 등을 위한 경우에는 2중으로 귀로 들어가는 외부의 찬 바람을 막아 줄 수 있다.
특히, 방수의 목적으로 사용시에는 유아나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경우와 같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감길 때 귀의 앞부분으로 물이 세어 들어가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완벽하게 방수가 되는 귀마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걸이대 또는 연결대의 일측에 연결홀이 형성되어 끈으로 두 개의 귀마개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귀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 자체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해드폰형 귀마개와 같이 양쪽으로 힘을 분산시켜 사용할 수 도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집게형 귀마개의 경우 누름부에는 누름부를 감싸는 누름편이 추가로 결합하고, 특히 누름편에는 누름부가 귀 뒤편을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쪽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부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귀의 가압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귀마개가 귀에 착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재질 등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가압에 의한 통증은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방한의 목적으로 사용시에도 귀 주변 이외의 부분에는 다른 부재들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의 단점이 극복된 귀마개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8)

  1. 귀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귀에 걸리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하단이 아래로 절곡된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3. 귀를 덮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귀의 뒷부분까지 형성된 고리 형상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귀의 뒷부분을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몸체를 감싸는 덮개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막은 실리콘, 고무, 스펀지, 방한 또는 방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귀와 접촉하는 일측에 스펀지, 실리콘, 방 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보호 패드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또는 상기 연결대에는,
    두 개의 귀마개를 끈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에 연결홀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부를 감싸는 스펀지, 실리콘, 연성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누름편이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상기 누름부가 귀 뒤편을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쪽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KR2020060002163U 2006-01-24 2006-01-24 다기능 귀마개 KR200415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3U KR200415059Y1 (ko) 2006-01-24 2006-01-24 다기능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3U KR200415059Y1 (ko) 2006-01-24 2006-01-24 다기능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59Y1 true KR200415059Y1 (ko) 2006-04-28

Family

ID=4176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63U KR200415059Y1 (ko) 2006-01-24 2006-01-24 다기능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08B1 (ko) 2019-07-12 2020-03-05 윤영진 유아 목욕용 귀마개
KR20210136680A (ko) * 2020-05-08 2021-11-17 이원석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08B1 (ko) 2019-07-12 2020-03-05 윤영진 유아 목욕용 귀마개
KR20210136680A (ko) * 2020-05-08 2021-11-17 이원석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KR102410279B1 (ko) * 2020-05-08 2022-06-16 이원석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998C2 (ru) Средство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не имеющее оголовья,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US20070036376A1 (en) Earphones
WO2007069784A1 (ja) 骨伝導受話装置
DK2142956T3 (en) Element for transferring sound of the speaker to the ear and the equipment provided with such an element
KR200415059Y1 (ko) 다기능 귀마개
GB2470177A (en) Moulded earpieces and adaptor and earphone for use therewith
US11297408B2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KR20130054567A (ko) 적외선 비염치료기
KR200314976Y1 (ko) 귀마개
KR20100010453U (ko) 방한용 귀마개
KR20140134463A (ko) 음원 출력 기능을 가지는 쿠션 목베개
KR200443339Y1 (ko) 뒷목걸이형 이어폰
JP3125805U (ja) 耳栓で固定する洗髪用補助具
CN209731535U (zh) 一种带记忆功能的自结皮乳胶发泡海绵耳塞
CN201063826Y (zh) 带麦克风的悬挂式耳塞机
KR200208110Y1 (ko) 음향수신기기용 다기능 커버
KR20140040578A (ko) 미용용 귀마개
CN208572378U (zh) 一种运动睡眠耳机
CN210009229U (zh) 多功能耳部按摩防压器
KR200373737Y1 (ko) 울림방지귀마개
KR200370929Y1 (ko) 귀마개
JP3074198U (ja) シャンプーハット
CN205339302U (zh) 防噪音耳塞
KR200395875Y1 (ko) 귀마개
KR200218659Y1 (ko) 귀걸이형 헤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