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90Y1 -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 Google Patents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90Y1
KR200414990Y1 KR2020060003669U KR20060003669U KR200414990Y1 KR 200414990 Y1 KR200414990 Y1 KR 200414990Y1 KR 2020060003669 U KR2020060003669 U KR 2020060003669U KR 20060003669 U KR20060003669 U KR 20060003669U KR 200414990 Y1 KR200414990 Y1 KR 20041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guide block
memory module
guid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웅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2020060003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리 모듈(30)의 접촉단자(32) 측이 삽입되는 삽입슬롯(11)을 형성한 소켓몸체(12)와 삽입슬롯의 하부 양측에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콘택트(13)를 구비하는 메모리 테스트 소켓(10)에서, 메모리 모듈의 측부(32)를 가이드하기 위해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가이드 블록(100)으로서, 블록몸체(101) 정면에는 그 상부와 전면 일부에 걸쳐 메모리 모듈(30)의 측부(32)를 가이드 홈(120)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몸체(101)의 하부 중앙에 홀(132)이 마련된 고정판(130)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마련된 고정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홈에 고정판(130)이 삽입된 후, 홀(132)의 위치와 대응하게 소켓몸체(12)에 마련된 관통홀에 고정핀(14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소켓, 가이드 블록

Description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THE MODULE TYPE GUIDE BLOCK OF THE SOCKET FOR TESTING MEMORY MODULE}
도 1은 종래 메모리 테스트 소켓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메모리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 가이드 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블록과 메모리 테스트 소켓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블록
101 : 블록몸체 110 : 경사부
120 : 가이드 홈 130 : 고정판
132 : 홀
140 : 고정핀
본 고안은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예시한 메모리 테스트 소켓(10)은 주로 PC에 사용되는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의 전기적 테스트를 위한 접촉 장치로서,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메모리 모듈(30)(도 2 참조)의 접촉단자 측이 삽입되는 삽입슬롯(11)을 형성한 소켓몸체(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슬롯(11)의 하부 양측에는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콘택트(1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소켓몸체(12)의 상부 양측단에는 메모리 모듈의 삽입을 원활케 하고 메모리 모듈이 삽입슬롯(11)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가이드 블록(Guide Block)(20)이 모듈(Module)형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가이드 블록은 상기 소켓몸체(12)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성형되었는데 통상적으로 소켓몸체(12)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인 바, 메모리 모듈(20)의 착탈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이드 블록의 마모 정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듈 형식으로 소켓몸체(12)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가이드 블록(20)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2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 블록의 몸체(22) 정면에는 메모리 모듈(30) 삽입시 메모리 모듈의 측부(32)를 가이드 홈(24)으로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경사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몸체(22)의 중앙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스크류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블록(20)은 스크류(Screw, S)를 통해 소켓몸체(12)의 양측에 체결된다.
그러나 메모리 모듈의 착탈 횟수 증가에 따른 스크류의 이완(스크류 풀림 현상)에 의해 가이드 블록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한 삽입슬롯에 대한 메모리 모듈의 정위치 삽입이라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메모리 모듈의 삽입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메모리 모듈이 물리적으로 손상될 수도 있다. 이는 메모리 모듈을 생산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업체 측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스크류(Screw) 체결 방식이 아닌 소켓몸체 단면상에서 수평하게 관통하는 핀(Pin)을 통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가이드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금속 재질의 가이드 블록(100)은 정면으로 블록몸체(101) 정면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상부와 전면 일부에 걸쳐 메모리 모듈(30)의 측부(32)를 가이드 홈(120)으로 유도하기 위한 깔대기 형상의 경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블록몸체(101)의 하부 중앙에 고정판(130)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30)에는 도 4d에 예시한 고정핀(140)이 삽입되는 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132)은 대략 고정판(13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핀(140)은 가이드 블록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140)을 그 단면이 원형인 핀(Pin)으로 설정하였으나, 상기 단면을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판(130)의 홀(132)은 설정되는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가이드 블록(100)이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양상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의 고정판(130)이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삽입된 후, 상기 홀(132)의 위치와 대응하게 소켓몸체(12)에 형성된 관통홀(미 도시)에 고정핀(13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는 고정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고정판(130)과 고정핀(140) 통해 결합되는 본 고안의 가이드 블록(100)은, 종래의 스크류(Screw) 체결 방식에서 나타난 문제점, 다시 말해 메모리 모듈(30)의 잦은 착탈에 따른 스크류의 이완이라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이드 블록(100)은 스크류 체결 방식이 아닌 고정핀에 의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스크류의 이완(스크류 풀림 현상)에 의한 가이드 블록의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메모리 모듈(30)의 접촉단자(32) 측이 삽입되는 삽입슬롯(11)을 형성한 소켓몸체(12)와 상기 삽입슬롯의 하부 양측에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콘택트(13)를 구비하는 메모리 테스트 소켓(10)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의 측부(32)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가이드 블록(100)으로서,
    블록몸체(101) 정면에는 그 상부와 전면 일부에 걸쳐 메모리 모듈(30)의 측부(32)를 가이드 홈(120)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몸체(101)의 하부 중앙에 홀(132)이 마련된 고정판(130)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소켓몸체(12)의 양측단에 마련된 고정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홈에 고정판(130)이 삽입된 후, 상기 홀(132)의 위치와 대응하게 소켓몸체(12)에 마련된 관통홀에 고정핀(14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40)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KR2020060003669U 2006-02-09 2006-02-09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KR20041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69U KR200414990Y1 (ko) 2006-02-09 2006-02-09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69U KR200414990Y1 (ko) 2006-02-09 2006-02-09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90Y1 true KR200414990Y1 (ko) 2006-04-26

Family

ID=4176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69U KR200414990Y1 (ko) 2006-02-09 2006-02-09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502B1 (ko) 러버 커넥터를 포함한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을 포함한 테스트 장치
US782856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731547B2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KR20140096969A (ko) 커넥터
JP2014514695A (ja) マーキングデバイスを備えている電気コンダクタ用接続デバイス
US20070259543A1 (en) Pressure device for test socket
TW200642178A (en) Socket connector with inspection datum windows
KR101089789B1 (ko) 커넥터
KR200414990Y1 (ko) 메모리 테스트 소켓의 가이드 블록
WO2008088821A3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and its method of assembly
KR101674792B1 (ko) Usb 리셉터클
CN108134226B (zh) 电连接器
US7963791B1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 reinforcer with a head with a driving element
US7147515B1 (en) Dual card type connector
KR20130094333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48822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
JP201214641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7824226B1 (en) Electrical terminal
KR100889951B1 (ko) 반도체 검사소켓 장치
US8313341B1 (en) Guide element for a connector device
KR20180079552A (ko) 소켓 커넥터
KR102650705B1 (ko)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JP2005108781A (ja) Icチップ用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する抜去治具、icチップの挿抜方法。
KR200345190Y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보드 어셈블리
KR20170042111A (ko) 반도체 테스트용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